東京의 대부

Tokyo Godfathers
東京의 대부
Tokyo Godfathers (Movie Poster).jpg
극장 개봉 포스터
연출자사토시곤
각본:
스토리 작성자사토시곤
제작자
주연
시네마토그래피스가이 카츠토시
편집자
음악:
생산.
회사
배포자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재팬
발매일
실행 시간
92분
나라일본.
언어일본인입니다
예산.240만달러[1]
매표847,170달러[2]

도쿄 갓파자즈는 2003년에 개봉한 일본애니메이션 영화이다.이 영화는 콘이 감독한 세 번째 영화이자 그가 각본을 쓰고 감독한 두 번째 영화이다.이전 두 명과는 달리, 도쿄의 대부들토루 에모리, 우메가키 요시아키, 오카모토 아야같은 실사 배우들이 주연 성우로 출연한다.

콘은 1948년 미국 영화 3대부로부터 영감을 받아 [3]이 영화를 만들었다.사토시 곤 영화로서는 이례적으로 도쿄의 대부들은 판타지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소설과 현실의 경계에 대한 주제를 탐구하지 않고 보다 [4][5]사실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하지만 콘의 작품에서 전형적으로 그렇듯, 이 영화는 직설적이지 않은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콘은 그것을 비틀린 감상적인 [6]이야기라고 말했다.

도쿄 갓파더스는 2003년 11월 8일 일본에서,[7][8] 2004년 1월 16일 북미에서 개봉되었다.2003년 제58회[9] 마이니치 [10][11]영화대상에서 최우수상, 최우수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했다.

줄거리.

어느 크리스마스 이브에 아이들의 성탄절 장면을 본 후, 세 의 노숙자들, 즉 중년의 알코올 중독자인 진, 성전환 여성, 그리고 의존적인 십대 가출 소녀 미유키는 선물을 찾기 위해 쓰레기를 뒤지던 중 버려진 신생아를 발견한다.익명의 아기에게 맡겨진 것은 신원 미상의 발견자에게 그녀를 잘 돌봐달라는 메모와 열쇠로, 부모의 신원에 대한 단서가 담긴 가방으로 이어졌다.세 사람은 아기의 부모를 찾기 위해 떠난다.아기 이름은 하나씨가 크리스마스 이브에 발견된 "순수한 아이"라는 뜻의 "고요한 밤"을 일본어로 번역한 것에 착안하여 지은 것이다.묘지 밖에서 일행은 자신의 차 밑에 깔린 고위 야쿠자 두목과 마주친다.남자는 우연히 키요코의 어머니가 일하던 클럽의 주인을 알게 된다.그날 그의 딸은 그 클럽의 주인과 결혼한다.결혼식 피로연에서 신랑은 아기 엄마가 사치코라는 이름의 전 술집 소녀라고 그들에게 말한다.그는 그들에게 사치코의 주소를 알려주지만, 변장한 라틴계 청부살인 것으로 밝혀진 하녀가 신부의 아버지를 쏘려고 하면서 파티는 중단된다.총구를 들이대고 미유키와 아기 키요코를 납치해 집으로 데려간다.거기서 미유키는 우연히 자신의 아이를 가진 살인범의 부인과 친구가 되고, 그들은 언어 장벽에도 불구하고 유대관계를 맺기 시작한다.오래된 사진첩을 뒤지던 미유키는 사랑하는 고양이 엔젤이 없어지자 과단성 있는 아버지 이시다를 칼로 찌르고 도망쳤다고 눈물을 흘린다.

하나는 미유키와 키요코를 찾고, 진은 길거리에서 죽어가는 노숙자를 돌본다.진에게 작은 빨간 봉지를 준 후, 노인은 평온하게 세상을 떠난다.몇몇 십대들이 나타나서 진과 죽은 노인의 시체를 구타한다.한편, 하나는 소녀들을 발견하고 그들은 머물 곳을 찾기 위해 떠난다.그들은 몇 년 전 무례하고 만취한 고객을 폭행했다는 이유로 직장을 그만두기 전에 하나씨가 일했던 클럽인 엔젤 타워에 간다.클럽의 다른 멤버에 의해 구조된 진도 거기에 있다.그곳에 있는 동안, 하나라는 그녀의 연인 켄이 화장실에서 비누에 미끄러져 다쳐 사망했을 때 노숙자가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3인방은 사치코의 집을 찾기 위해 출발하지만, 집이 허물어진 것을 발견한다.그들은 사치코와 도박 중독자인 남편과의 불행한 관계를 알게 된다.일행은 점원이 나가라고 할 때까지 가게에서 휴식을 취한다.하나는 쓰러져, 진과 미유키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진다.병원에 입원한 진은 키요코라는 이름의 소원해진 딸이 간호사로 일하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하나씨는 딸 앞에서 진을 꾸짖고 병원에서 뛰쳐나온다.미유키는 아기 키요코를 손에 들고 뒤를 따른다.하나와 미유키는 다리에서 뛰어내리려는 사치코를 발견한다.사치코는 남편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아기를 버렸다고 주장하고, 아기를 돌려보내라고 주장한다.

진은 사치코의 남편을 발견하게 되고, 그는 기요코가 실제로 병원에서 사치코에게 도둑맞았다는 TV 보도를 확인하게 된다.그들은 사치코와 키요코를 뒤쫓는다.격렬한 자동차 추격 끝에 미유키는 사치코를 건물 꼭대기까지 쫓아간다.사치코는 남편에게 더 가까워질 수 있다는 희망으로 임신을 했다고 말한다.아기가 사산했을 때, 그녀는 그 아이가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하며 병원의 탁아소에서 키요코를 납치하기로 결심했다.키요코를 손에 쥐고 자살하려고 건물에서 뛰어내리려는 사치코의 남편이 길 건너편 아파트에서 나와 다시 시작하라고 애원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치코는 뛰어내리지만, 미유키는 그녀가 떨어지기 전에 간신히 그녀를 잡지만, 사치코는 우연히 키요코를 떨어뜨린다.기요코를 따라 건물에서 뛰어내려 아기를 잡고 기적 같은 돌풍에 무사히 착륙한다.하나, 미유키, 진은 병원으로 이송됩니다.미유키는 긴에게 담배를 건네고 노인의 작은 빨간 가방을 바닥에 떨어뜨리고 당첨 복권을 드러낸다.키요코의 친부모는 3인조에게 대모가 되어 달라고 부탁하고 싶다.경감이 이들을 3인조에게 소개하면 경감은 미유키의 아버지라는 것이 드러난다.

출연자들

東京 대부 출연자
성격 일본인입니다 영어
Animax / Red Angel[12] 미디어 GKIDS / NYAV 포스트 (2019)[13][14]
토오루 에모리 대런 플레이빈 존 에이브너
하나 우메가키 요시아키 러셀 웨이트 샤키나 네이팩
미유키 오카모토 아야 캔디스 무어 빅토리아 그레이스
키요코 사토미 쿠로기 카리 왈그렌
오오타 쇼즈이즈카 Jamieson 가격
어머니. 카토 세이조 케이트 본스타인
야스오 이시마루 히로야 커크 손턴
노숙자 사이카치 류우지 데이비드 매니스
이시다 야라 유사쿠 크리스핀 프리먼
사치코 데라세 쿄우코 라리사 갤러거
은의 딸 키요코 노토 마미코 에리카 슈뢰더
오오타의 딸 키요코 코로기 사토미
의사선생님. 오오츠카 아키오 Jamieson 가격
아라오 코야마 리키야 마이클 신터니클라스
쿠루미자와 이누야마 이누코 필리스 샘플러
야마노우치 야하라 카나코 필리스 샘플러
캣 레이디 시바타 리에 에리카 슈뢰더
택시 기사 야마데라 고이치 마크 톰슨

추가 음성

일본어:가와세 아키코, 다케구치 아키코, 유야 아츠코, 호리카와 빈, 시바하라 치야코, 가와사키 에리코, 우메즈 히데나리, 이토우 카즈아키, 하라다 마사오, 오가타 미츠루, 후루타 노부유키, 시미, 츠구오, 츠오, 츠구오

영어(GKIDS):[14] Crispin Freeman, David Manis, Erica Schroeder, Jaden Waldman, Jamieson Price, Jordan Cole, Kirk Thornton, Lexie Poley, Gloria Garayua, Marc Thomspon, Michael Sinternikla, Orla, Phille, Phille.

생산.

밀레니엄 여배우를 제작하는 동안, 매드하우스의 한 프로듀서는 콘에게 다음 영화에 대한 계획이 있는지 물었다.이 영화를 완성한 후, 콘은 짧은 제안서를 쓰고 제출하는 데 두 달이 걸렸고, [15]매드하우스에 의해 즉시 받아들여졌다.

원작과 각본은 사토시 콘 감독이 쓰고 TV 드라마 시리즈 하쿠센 나가시와 TV 애니메이션 카우보이 비밥의 시나리오 작가이자 TV 애니메이션 울프의 [6]를 만든 노부모토 게이코가 공동 집필했다.콘은 이전에 노부모토에게 퍼펙트 블루의 대본을 써달라고 부탁했지만, 그녀는 바쁜 [16]일정을 이유로 거절당했다.애니메이션 감독은 스튜디오 지브리에 있을 때 '야마다이웃'을 작업한 코니시 켄이치, 스튜디오 감독은 후루야 [6]쇼고.

전작 2편이 이야기의 진행에 초점을 맞췄던 것에 비해, 이 작품은 시나리오와 [6]스토리보드 모두에서 캐릭터의 연극성과 존재감을 우선시했다.스토리나 연극이 꽤 코믹한 외관이지만, 이 영화는 구태의연한 만화 해석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6] 리얼한 애니메이션을 거쳐 앞으로 펼쳐질 만화 해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영화는 디지털 기술로 제작되었으며, 그 이후의 모든 작품은 디지털 [17]애니메이션이다.

테마

영화의 모티브는 "우연"과 "가족"으로, 대략적인 줄거리는 "혈연관계는 아니지만 마치 진짜 가족처럼 함께 살고 있는 세 명의 주인공들이 아기에게 촉발된 기적적인 우연으로 각자 잃어버린 [4]원래의 가족과의 인연을 회복한다"는 내용이다.

허구와 현실의 혼합을 노골적으로 모티브로 한 것은 아니지만 조심스럽게 들여다보면 허구와 현실의 관계가 [6][18]의식돼 있음을 알 수 있다.쿤 씨가 의식한 것은 이야기를 [3]진전시키기 위해 기적적인 사건들을 연쇄적으로 만들어 내는 의미 있는 우연이었다.콘은 보도자료에서 이 영화는 과학적 논리의 무기로 저승으로 내몰린 기적과 우연의 관계를 건강한 모습으로 복원하려는 시도라고 쓰고 있다.[18]즉, 「기적과 우연」의 「픽션」은, 도쿄의 노숙자의 실생활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 이 영화의 구상이다.현실에서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련의 사건들을 현실감과 이를 가능하게 [18]하는 설득력으로 그려내는 것이 감독의 목표다.

콘 씨는 집이 없는 사람은 말처럼 집이 없다는 말이지만 이 영화에서는 집을 잃은 사람뿐만 아니라 가족을 잃은 사람,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잃어버린 [4][19]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이야기라고 말했다.곤이 노숙인을 주인공으로 선택한 이유는 영화 프로젝트를 [20]구상하기 전부터 노숙인의 존재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이다.곤이 이 일을 하게 된 계기 중 하나는 풍요로운 시기에도 태어난다는 생각과 동시에 세상이 풍요롭기 때문에 지탱되고 있기 때문에 [20]시에서 계속 살아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또 다른 생각은 도시의 애니미즘, 도시의 건물이나 골목에도 영혼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 그리고 주인공들이 도시와 [20]겹치는 다른 세계로 발을 내딛는다는 생각이었다.콘은 사이비 가족처럼 사는 노숙자 3명이 아기를 안아 부모에게 돌려주려 한다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세 사람이 기묘한 우연이 잇따르는 '다른 세상'에 들어가 모험을 통해 가족, 사회와의 관계를 회복하는 이야기를 상상했다.'[20]도쿄'라는 이름의 주인공이 그들을 지켜보고 있다.실제로 에어컨과 창문의 실외기를 눈과 입으로 사용하는 '얼굴처럼 생긴 풍경'이 다양한 칼집에 박혀 있어 주인공들을 [21]바라보는 도시의 신들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이러한 「얼굴」은, 캐릭터의 관점에서는 보이지 않고, 관객만이 [21]알 수 있습니다.Kon도 여기에 소설을 썼다.영화의 배경은 도시 풍경=[21]인물의 현실과 관객만이 볼 수 있는 얼굴 풍경=일종의 픽션이라는 두 가지 정보를 겹치는 묘기다.

혈연관계가 아닌 세 주인공의 설정은 마치 [20]가족처럼 보인다는 조건을 달았다.과장이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가족상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 관계를 가진 가족에 대한 곤 씨의 생각이 받아들여질지도 모른다는 단순한 제안이었다.콘의 생각은 새로운 가족이 어떻게 [19]보여야 하는지에 대한 표준화된 모델보다는 각자 자신의 가족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곤 교수는 노숙인을 나약함과 불행의 대표나 사회의 방해물로 묘사할 의도는 없었다며 이들 세 사람은 진정한 [20]노숙인이라기보다는 모든 사람의 약점과 후회의 상징이라고 말했다.그는 또한 그들이 행복하지 않은 것은 집이 없어서가 아니라 그들의 삶이 이전의 빛을 잃었기 때문이며, 행복은 이 작품의 [20]이야기인 회복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풀어주다

이 영화는 2003년 12월 29일 소니 픽처스에 의해 북미에서 개봉되었지만 아카데미 [22]장편 애니메이션상 후보에 오르는데 실패했다.이 영화는 2004년 [23]4월 13일에 서브 전용 DVD로 발매되었고, 그들은 DVD에 DTS를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결국 [24]폐기되었다.2019년 12월 19일 발표된 국제 애니메이션 라이선스 업체 GKIDS는 미국 오리지널 배급사 Destination Films와 손잡고 2020년 3월 9일 새로운 4K 복원과 새로운 영어 [25]더브로 영화를 출시했다.

접수처

리뷰 집계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는 비평가들의 91%가 74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이 영화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평균 평점은 7.1/10이라고 보고했다.비평가들의 의견 일치는 "아름답고 실속 있는 도쿄의 대부들은 감동적이고 다소 파격적인 크리스마스 [26]캐논을 추가한다"고 말한다.메타크리틱에서 이 영화는 25명의 평론가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73점의 가중 평균 점수를 받아 "대체로 호의적인 평가"[27]를 받았다.로저 에버트는 이 영화를 "참혹하고 마음이 [28]따뜻하다"고 말하며 4개의 별 중 3개를 주었다.

영화평론가 조지 펠루라니는 "도쿄의 대부들은 우리가 서로 모르는 사람으로 추정되는 사람들과의 작지만 중요한 유대관계를 보여주는 영화이며 기적, 가족, 사랑, [citation needed]용서의 이야기를 잘 말해준다"고 말한다.

수잔 네이피어는 도쿄의 대부들은 전통적인 가족과의 문제를 드러내고 점점 더 분열되고 고립된 현대 일본 사회에서 "[29]의사 가족"을 건설하려는 사람들의 시도로서 점점 더 어두운 방식으로 가족을 묘사하는 애니메이션과 만화의 트렌드의 일부라고 지적한다.영화 내내 전통적인 가족들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그들의 전통/원래 가족으로 돌아가면서 더 보수적인 느낌으로 끝난다는 것이다.겉으로 보기에 전통적인 결말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가족의 보다 급진적인 버전을 제공한다.이야기 내내 이 세 명의 노숙자들은 외부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개인적인 [29]악마를 극복하기 위해 자신도 모르게 "의사 가족"을 형성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Interview Satoshi Kon" (in French). Catsuka. October 18, 2006. Retrieved December 20, 2015.
  2. ^ "Tokyo Godfathers (2004) - Financial Information". The Numbers. Retrieved March 12, 2020.
  3. ^ a b "『東京ゴッドファーザーズ』と『グレムリン』はあのクリスマスの名作映画に繋がっている". BANGER!!! (in Japanese). ジュピターエンタテインメント株式会社. 2019-12-23. Retrieved 2021-10-06.
  4. ^ a b c "Interview 02 2002年12月 イタリアから、主に「千年女優」に関するインタビュー".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2007-03-16. Retrieved 2021-10-06.
  5. ^ 数土直志 (2020-08-24). "『千年女優』の今 敏監督作品が世界で「千年生き続ける」理由――没後10年に捧ぐ (3/7)". ITmedia ビジネスオンライン (in Japanese). アイティメディア株式会社. Retrieved 2021-10-06.
  6. ^ a b c d e f "Interview 14 2002年3月 国内の雑誌から「千年女優」に関するインタビュー".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2007-03-16. Retrieved 2021-10-06.
  7. ^ 数土直志 (2020-08-24). "『千年女優』の今 敏監督作品が世界で「千年生き続ける」理由――没後10年に捧ぐ (4/7)". ITmedia ビジネスオンライン (in Japanese). アイティメディア株式会社. Retrieved 2021-10-06.
  8. ^ 数土直志 (2020-08-24). "『千年女優』の今 敏監督作品が世界で「千年生き続ける」理由――没後10年に捧ぐ (5/7)". ITmedia ビジネスオンライン (in Japanese). アイティメディア株式会社. Retrieved 2021-10-06.
  9. ^ "Excellence Award - TOKYO GOD FATHERS Award Animation Division 2003 [7th] Japan Media Arts Festival Archive".
  10. ^ Kon, Satoshi (2015). The Art of Satoshi Kon. Tribute from Darren Aronofsky (First ed.). Milwaukie, OR. p. 142. ISBN 978-1-61655-741-6. OCLC 896980881.
  11. ^ "毎日映画コンクール 第58回(2003年)". 毎日新聞 (in Japanese). Retrieved 2020-03-30.
  12. ^ "Tokyo Godfathers". Behind The Voice Actors. Retrieved 2020-12-24.
  13. ^ Sherman, Jennifer (February 13, 2020). "GKIDS Announces New English Dub Cast for Satoshi Kon's Tokyo Godfathers Film". Anime News Network. Retrieved February 13, 2020.
  14. ^ a b Grace, Victoria (March 12, 2020). "Go team!😊 #TokyoGodfathers @GKIDSfilms @nyav_post @stephaniesheh @MSinter @Shakeenz @jonavner". Twitter. Retrieved May 31, 2020.
  15. ^ "Interview 10 2001年11月アメリカからと2002年4月イタリアからの二つのインタビューの合成 (未発表)". KON'S TONE (in Japanese). 2007-03-16. Retrieved 2021-10-06.
  16. ^ タニグチリウイチ (2020-05-10). "アニメだから表現できた現実と虚構のミックス――没後10年を迎える今敏監督作品を観よう". IGN Japan (in Japanese). 産経デジタル. Retrieved 2021-10-06.
  17. ^ "本田雄インタビュー 「千年女優」と今 敏 監督の思い出を語る (後編)". アニメ!アニメ! (in Japanese). 株式会社イード. 2014-02-22. Retrieved 2021-10-06.
  18. ^ a b c 藤津亮太 (2020-12-18). "「虚構と現実」の狭間で…"没後10年"今敏監督はアニメで何を描き続けていたのか? (1/5)". 文春オンライン (in Japanese). 文芸春秋. Retrieved 2021-10-06.
  19. ^ a b "Interview 11 2004年 アメリカから、主に日本のアニメーションについてのインタビュー".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2007-03-16. Retrieved 2021-10-06.
  20. ^ a b c d e f g "Interview 08 2004年7月 台湾から「東京ゴッドファーザーズ」に関するインタビュー".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2007-03-16. Retrieved 2021-10-06.
  21. ^ a b c 藤津亮太 (2020-09-04). "今敏作品における「虚構と現実」の関係性とは? 「千年女優」ほか劇場作から探る【藤津亮太のアニメの門V 第62回】". アニメ!アニメ! (in Japanese). 株式会社イード. Retrieved 2021-10-08.
  22. ^ Macdonald, Christopher (October 30, 2003). "Tokyo Godfathers theatrical release". Retrieved December 19, 2019.
  23. ^ "Tokyo Godfathers on DVD April 13th". February 23, 2004. Retrieved December 19, 2019.
  24. ^ Macdonald, Christopher (February 3, 2004). "Tokyo Godfathers DVD Release". Retrieved December 19, 2019.
  25. ^ @GKIDSfilms (December 19, 2019). "GKIDS is proud to announce the acquisition of the North American theatrical & home video rights to TOKYO GODFATHERS from Satoshi Kon" (Tweet) – via Twitter.
  26. ^ "Tokyo Godfathers (2020)". Rotten Tomatoes. Fandango. Retrieved November 13, 2020.
  27. ^ "Tokyo Godfathers Reviews". Metacritic. CBS Interactive. Retrieved December 20, 2019.
  28. ^ "Tokyo Godfathers". Retrieved April 3, 2020.
  29. ^ a b Napier, Susan (2008). "From Spiritual Fathers to Tokyo Godfathers". In Akiko Hashimoto; John W. Traphagan (eds.). Imagined Families, Lived Families. New York: SUNY Press. pp. 33–49. ISBN 978-0-7914-7578-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