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마히메

Toyotama-hime

토요타마히메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2],[1] 니혼쇼키함께바다의 행운과 산의 행운」의 에피소드에 등장한다.그녀는 바다의 신 와타츠미의 딸이다.

도요타마는 왕자 '산행'과 결혼하지만, 출산을 하는 동안 그녀를 감시하지 않겠다는 맹세를 어기자 바다로 돌아간다.그녀가 낳은 아이는 우가야후키아에즈였다.

신화

후리가 도요타마를 만나다
-Evelyn Paul의 일러스트[3]

도야타마히메와 산행은 고지키[4][5][6] [7][8]니혼쇼키에 나온다.

도요타마히메(lux田-)는 와타쓰미(和田 toy)의 딸이다.이들이 거주하는 궁궐은 물고기 비늘로 만든 것으로 [a]전해지며 해저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녀는 후리로도 알려진 산의 행운(야마사치)이라는 이름의 사냥꾼 왕자와 운명적인 만남을 갖는다.왕자는 바다에서 잃어버린 낚싯바늘을 찾으러 왔고, 그의 형인 '바다의 행운'[11][12]으로부터 빌렸다.

공주가 우물에서 물을 길어 올렸을 때, 왕자는 이미 우물 위에 우뚝 솟은 가쓰라[13] 나무(또는 카시아[14] 나무)에 올라 기다리고 있었다.왕자는 물을 마시자고 했고 보석을 그릇에 뱉는 제스처를 취했다.공주는 그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었다.그녀의 바다의 신 아버지는 그를 천신의 후손으로 인정하고 잔치를 주선했다.도요타마는 왕자와 결혼하여 그곳에서 3년간 [15]살았다.

3년 후, 도요타마의 남편은 한숨을 내쉬며 잃어버린 낚싯바늘에 대한 미완성의 탐색을 밝혔다.도미의 에 낚싯바늘이 걸린 후, 도요타마의 남편은 한 마리의 긴 악어(상어)를 집으로 돌려보내고, 시고드의 조언에 따라 형을 [16]복속시켰다.

남편을 따라 뭍까지 갔던 도요타마는 임신 사실을 알렸다.왕자는 그녀를 위해 가마우지의 깃털로 초가마른 오두막("분만장")을 지어주었는데, 이 오두막은 그녀가 진통을 시작했을 때 완전히 초가마른 것이 아니었다.도요타마는 남편에게 아이를 낳는 동안 지켜보지 말라고 부탁했다.토요타마는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은 우가야후키아에즈(가마란테-초치-만남-불완전하게)[17] 또는 "[18][20]해안의 남자 용사"로 불렸다.

불행하게도, 후리의 호기심이 그를 이겨서 그는 그의 아내를 염탐하려 했다.놀랍게도, 그는 아내를 본 것이 아니라, 아이를 안고 있는 거대한 와니(악어, 고대 용법으로도 상어를 의미함)를 목격했다.이 생물은 다름 아닌 출산을 위해 형체를 바꾼 사랑하는 도요타마였다.남편이 자신을 염탐하는 것을 보고 그녀는 남편이 약속을 어긴 것을 몹시 부끄러워했다.파이어-서브사이드를 용서할 수 없었던 그녀는 바다로 돌아가 그와 그들의 아이를 버렸다.출국에 이어 여동생 타마요리(보석 굿)를 보내 자신이 [21]없는 동안 아이를 키우게 했다.우가야후키아에즈는 나이가 들면서 숙모와 결혼하여 마침내 아이인 진무(金武)를 낳아 초대 [22]천황이 되었다.

평행

몇몇 [23]해설자들은 거북이를 구하는 소년 우라시마 타로의 이야기에서 도요타마히메와 오토히메 공주의 유사점에 주목했다.니혼쇼키[24]따르면 도요타마는 바다거북을 타고 출산을 위해 바다에서 돌아왔다.

도요타마의 악어 형상은 유럽 대륙의 멜루신 전설과 스코틀랜드와 스칸디나비아의 [25]셀키 전설과 유사하다.

과학

멸종된 악어속 도요타마피메아는 이 신화에 직접적으로 언급하여 이 신의 이름을 따왔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대중문화

  • 일본 언론을 통틀어 인간-드래곤 하이브리드(옛 도요타마의 경우처럼 외가 쪽)는 특히 포폴로크로이, 파이어 엠블럼, 브레스 오브 파이어 등의 비디오 게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일본 애니메이션 세키레이에는 전통적인 나무 지팡이를 사용하여 싸우는 도요타마라는 세키레이가 있다.

설명 메모

  1. ^ 운수대는 니혼쇼키[9]나오는 '한판'에 따라 바다에 가라앉는 직조 대나무 배를 타고 그곳을 여행한다.코지키에는 그가 물에 빠졌다고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잠시 항해했다」[10]라고 쓰여 있다.

레퍼런스

인용문
  1. ^ Ō no Yasumaro (2014). The Kojiki : an account of ancient matters. Gustav Heldt, translator. ISBN 9780231163897.
  2. ^ 체임벌린 (tr. 1882), 고지키, 페이지 121 및 주8
  3. ^ 데이비스 1912
  4. ^ 체임벌린 (tr. 1882), 고지키, 117-119페이지
  5. ^ 시라네(tr.) 2012, 「바다의 행운과 산의 행운」, 23-26 페이지
  6. ^ 다케다(에드) 1977년 고지키, 68~74쪽
  7. ^ 애스턴(t.) 1896, 니혼기 II, 47, 61, 95~108페이지
  8. ^ 우지야 (tr. 1988), 니혼쇼키, 74~89페이지
  9. ^ 애스턴 (t.) 1896, 96페이지
  10. ^ 시라네 (tr.) 2012, 23페이지 23
  11. ^ 체임벌린 (tr. 1882), 고지키, 117-119페이지
  12. ^ 시라네(tr.) 2012, 「바다의 행운과 산의 행운」, 23-26 페이지
  13. ^ 시라네(tr.) 2012, 24
  14. ^ 체임벌린 (t. 1882), 121페이지
  15. ^ 체임벌린 (t. 1882), 121~122페이지
  16. ^ 체임벌린 (t. 1882), 122~125페이지
  17. ^ 체임벌린 (t. 1882), 127페이지
  18. ^ 시라네(tr.) 2012, 26페이지
  19. ^ 체임벌린 (t.) 1882, 페이지 127 및 주 10
  20. ^ "천국-태양-높이-태양-왕자-파동 제한-용감-가마른-초치-만남-불완전"[19]으로 렌더링되었습니다.
  21. ^ 체임벌린 (t. 1882), 127-128페이지
  22. ^ Shirane (tr.) 2012, 에필로그 요약, 페이지 26
  23. ^ Kawai, Hayao (1988), The Japanese psyche: major motifs in the fairy tales of Japan, Spring Publications, Incorporated, pp. 93, 154
  24. ^ 아스톤 1896년 니혼기 2세 104쪽"토요타마히메는 여동생 타마요리히메와 함께 큰 거북이를 타고 도착했다"
  25. ^ 아슈케나지 2003, 167페이지
참고 문헌
(프라이머리 소스)
(리텔링)
(세컨더리 소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