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레쇼트카
TreshchotkaTreshchotka (Russian: трещо́тка, IPA: [trʲɪˈɕːɵtkə], singular; sometimes referred as Treshchotki, Russian: трещо́тки, IPA: [trʲɪˈɕːɵtkʲɪ], plural) is a Russian folk music idiophone instrument which is used to imitate hand clapping.
트레슈초트카 (클라퍼)
러시아 전통 관용악기 타악기 트레쉬초트카는 러시아 민속음악에서 흔히 사용되는 단체인 트레쉬초트키가 함께 사용되면서 박수갈채를 받는 줄에 달린 작은 널빤지 세트다.
이름
이 단어는 '뿌리 트레스크-'에서 유래되었는데, '까닥까닥' 또는 '까닥따닥'을 의미한다.러시아 속어에서는 트레쉬초트카(러시아어: реааа)라는 단어가 때로는 지나치게 수다스럽고 시끄러운 사람을 묘사하는 데 쓰이기도 했다.
역사
고대 러시아에서 트레슈초트카의 사용을 확인하는 알려진 문서는 없지만, 1992년 고고학적으로 노브고로드 시를 발굴하는 동안, 두 개의 나무 판자가 발견되었는데, 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포베트킨의 가설에 의하면 12세기 고대 노브고로드의 트레슈초트카의 일부분이었다.Treshchotka에 대한 첫 번째 출판된 언급은 Climent Vasillievich Kvitka에 의해 만들어졌다.러시아의 위대한 사전 편찬가 블라디미르 달은 그의 "살아있는 위대한 러시아어의 설명사전"에서 트레쉬초트카를 크래킹, 천둥, 라켓팅 소리를 내기 위해 만들어진 장치라고 묘사한다.현재 러시아의 몇몇 마을들은 여전히 놀이를 하고 있고, 테레쉬초트카를 만들고 있다.
건설
Treshchotka는 약 16에서 18 센티미터(약 6-8 인치) 길이의 15에서 20개의 얇은 오크 판자/보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자는 각 판자의 윗부분에 있는 구멍을 통해 실을 꿰는 밧줄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보드가 서로 눌리지 않도록 각 보드 사이에 작은 나무 조각(2cm[약 1.5인치])을 삽입한다.
놀이
Treshchotka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두 손으로 끝을 잡고, 일반적으로 가슴이나 머리를 높이 들고, 퉁명스러움과 매끄러운 사이를 번갈아 가면서 딱딱하고 찰칵거리는 소리를 낸다.이 기술은 소리에 의해 듣는 사람을 끌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광경 효과를 더한다.
미신
레쉬초트카스는 농민의 결혼식에서 리본, 꽃, 때로는 종으로 장식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결혼식에서의 트레쉬초트카의 사용은 과거에 그것이 악기의 역할뿐만 아니라 신비로운 기능을 수행했고, 아마도 악령으로부터 신혼부부를 보호했다는 이론을 세울 수 있게 한다.
참조
외부 링크
- Трещётки (러시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