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브(용기)
Tube (container)튜브, 스퀴즈 튜브 또는 접이식 튜브는 치약, 예술가들의 페인트, 접착제, 콜크 & 연고와 같은 점성 액체에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패키지다. 기본적으로 튜브는 둥근 또는 타원형의 프로필을 가진 원통형의 속이 빈 조각이며 플라스틱, 종이판, 알루미늄 또는 다른 금속으로 만들어졌다. 일반적으로 튜브 본체의 한쪽 끝에는 둥근 오리피스가 있는데, 다른 캡과 폐쇄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오리피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모양을 낼 수 있다: 다양한 스타일과 길이의 플라스틱 노즐이 가장 전형적이다. 다른 쪽 끝은 용접 또는 접힘으로 씰링된다.
일반적인 튜브 크기는 3ml에서 300ml까지입니다.[1] 대부분의 튜브는 손의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어떤 튜브는 롤 업을 돕기 위해 밑면에 튜브 키와 함께 사용된다.
역사
미국의 초상화 화가인 존 고프 랜드는 1841년 물감을 위해 압착이 가능한 금속 관을 발명했다.[2]
튜브에 든 치약은 1889년 존슨앤드존슨이 도입했다.[3] 얼마 후, 뉴런던의 한 치과의사인 워싱턴 셰필드(Washington Sheffield)는 1890년대에 납 튜브에서 치약을 팔기 시작했다.
자재
가장 초기의 접을 수 있는 관은 주석, 아연 또는 납으로 만들어졌고, 때로는 안쪽의 왁스로 코팅되기도 했다.[4][5]
알루미늄 튜브 캡과 클로저는 노즐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나사산이 있다. 알루미늄 튜브는 일반적으로 내용물이 추가된 후 맨 끝부분을 여러 번 접는다. 이 튜브는 일반적으로 밀폐되어 있고 생산 공정의 높은 온도 때문에 거의 무균 상태로 유지된다. 튜브 내부는 소재가 내용물에 반응하지 않도록 코팅할 수 있다. 알루미늄 튜브는 작은 원형 블랭크에서 충격 돌출에 의해 생성된다. Wet-in-Wet 오프셋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튜브에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다. 6개의 톤이 자주 사용된다. 채워진 내용물은 손가락 압력에 의해 짜낼 수 있다. 알루미늄 튜브의 주요 특징은 주변 대기와 내용물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부패하기 쉬운 내용물의 포장에 적합하다. 알루미늄 관은 화장품, 의약품, 식품, 페인트 및 기술 제품에 사용된다.
관은 또한 플라스틱, 가장 흔히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 튜브는 손 크림과 같은 화장품과 일부 식료품에도 사용된다. 플라스틱 튜브는 치약 튜브와 같은 라미네이트 튜브와 달리 압착할 때마다 모양을 유지한다. 플라스틱 튜브는 사용 중이나 판매 시점에 튜브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고도로 장식하거나 부드러운 촉감과 같은 특별한 첨가물을 가질 수 있다. 플라스틱 튜브는 압출에 의해 만들어진다. 소매는 먼저 특수 압출 기계에서 생산된다. 압출 후 자동화된 공정과 호환되는 매우 높은 표준(장식용) 및 엄격한 공차까지 생산해야 한다. 슬리브가 생산되면 자동 헤드 머신을 사용하여 튜브 헤드를 장착한다. 실크 스크린 인쇄와 같은 전문 인쇄기를 이용한 튜브 인쇄는 원하는 장식을 적용한다. 개방된 튜브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시설에서 채워지고 밀봉된다. 다층 플라스틱 튜브는 점점 더 인기를 끌게 되었다; 그것들은 내용물을 공기와 더 잘 분리하여 음식과 같은 더 넓은 범위의 제품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적용들
많은 상품들은 일반적으로 접을 수 있는 튜브로 판매된다.
- 과거에는 금속이었던 치약이 지금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다.
- 오일 페인트, 아크릴 페인트 및 농축 수채화 물감(물로 희석해야 함)을 포함한 비스코스 아티스트의 페인트: 일반적으로 금속
- 멸치 페이스트, 토마토 페이스트, 겨자, 마요네즈[2] 등 음식에 사용되는 페이스트
- 약연고
- 접착제, 콜크, 접착제 및 실란트(더 많은 양이 견고한 콜크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음)
- 기타 화장품 및 젤
참고 항목
메모들
- ^ 접착제 재료 그룹, "접착 가능한 튜브 포장"
- ^ a b 1960년 8월 6일, The New Yorker, 페이지 20
- ^ 마가렛 구로위츠 "존바이스: 튜브에 든 최초의 치약?", 킬머 하우스 (존슨 & 존슨 히스토리 블로그) 155, 2012년 5월 18일 [1]
- ^ Steve Hollier, "오늘날: 1892년에 튜브에 든 치약이 특허를 받았다." [2]
- ^ 헨리 L. 파머, "채소 추출물 보존의 개선", 1870년 7월 19일 미국 특허 105,485
참조
- Yam, K. L. "포장 기술의 백과사전", John Wiley & Sons, 2009, ISBN978-0-470-08704-6
- Soroka, W, "포장기술의 자금", IoPP, 2002, ISBN 1-930268-25-4
- 1959년 9월 9일-11월 1일 현대미술관(뉴욕), "The Package", 전시 카탈로그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튜브(패키지화)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