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외교
Twitter diplomacy![]() |
"트위터 외교" 또는 "해시태그 외교"라고도 불리는 트위터 외교는 국가원수, 정부간기구(IGO) 지도자, 그리고 그들의 외교관들이 외교 홍보와 공공 [1]외교를 수행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 트위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트위터는 양국간 협력에 대한 진심 어린 발표부터 간결한 교류와 외교 잽, 그리고 더 가벼운 [2]게시물에 이르기까지 외교 소통에서 다양하고 이따금씩 역할을 해왔다.
오리진스
트위터 외교라는 용어는 소셜 네트워크 내 [3][better source needed]외교 연구에 초점을 맞춘 첫 번째 작품 중 하나에서 2011년에 제안되었습니다.이 보고서는 대통령이 다른 대통령 및 정치 행위자들과 외교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트위터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을 전제로 한다.그러나 2014년 4월[citation needed] 현재 세계 지도자들과 외교관들이 트위터를 사용하는 것은 증가하고 있지만, 트위터 외교는 많은 세계 [original research?]정부들에 의해 전자 외교 또는 페이스북 외교로도 알려진 디지털[citation needed] 외교의 증가하는 추세의 한 측면일 뿐이다.
트위터와 외교

2014년 4월 현재 Twitter의 사용자는 약 2억4천100만 [4]명입니다.따라서 Twitter는 정책 입안자들에게 전세계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세계 지도자들과 그들의 외교관들은 트위터의 빠른 확장에 주목하여 외국 대중들과 [5]자국민들과 소통하기 위해 트위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마이클 A 러시아 주재 미국 대사 맥폴은 2011년 대사가 된 뒤 외교전문가로서는 처음으로 영어와 [2]러시아어로 트위터를 올렸다.웹사이트 Twiflomacy의 2013년 조사에 따르면 UN에 대표되는 193개국 중 153개국이 정부 트위터 [6]계정을 개설했다.같은 조사에서 이 계정들은 세계 지도자들과 외무장관들이 사용하는 505개의 트위터 핸들에 달하며, 그들의 트윗은 총 1억 6백만 명 이상의 [6]팔로워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전 이탈리아 외무장관 Giulio Terzi는 제네바에 본부를 둔 비영리 단체 Diplo에 관한 2013년 출판물에서 소셜 미디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소셜 미디어는 외국 정책 입안자들을 전세계 청중들에게 노출시키는 동시에 정부가 그들에게 즉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외교 정책에 두 가지 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정책입안자와 시민사회 간의 유익한 의견교환을 촉진하고 정보를 수집하고 사건을 [7]예측, 분석, 관리 및 대응하는 외교관의 능력을 강화합니다.
논란
트위터 외교를 통한 대결은 전 세계 [citation needed]시청자들에게 눈에 띈다.
2014년 4월에는 2014년 크림사태를 둘러싼 미 국무부와 러시아 외무부의 긴장이 트윗으로 바뀌어 양 부처가 해시태그 #UnitedForUkrain을 사용해 상반된 [8][9]견해를 전달하기도 했다.
전 세계 독자들에게 트윗을 하는 것은 지도자와 외교관들에게도 도전이다.2014년 초, 이란 대통령 하산 로하니는 많은 언론의 관심을 받았던 이란의 핵 에너지 프로그램과 관련된 논란이 많은 트윗을 삭제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는 그의 국내 [10]시청자들을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정부기관 및 정부기관 간 사용
Twiflomacy의 2013년 연구는 정부의 트위터 사용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다.지역별 트위터 등록은 다음과 같습니다.[6]
- 아프리카: 71%의 정부
- 아시아: 75%의 정부
- 유럽: 100% 정부[11]
- 북미: 18개 정부
- 오세아니아: 38%의 정부
- 남미: 92%의 정부
국가원수 및 정부원수별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2007년 3월 5일 자신의 2008년 대통령 선거운동과 연계된 트위터 계정을 사용자 번호 [6]81만3286으로 개설한 최초의 국가 원수로 인정받고 있다.그는 또한 [12]트위터에서 가장 팔로워가 많은 국가 원수였다.
트위터 외교를 개척한 다른 국가원수와 정부 수반으로는 2007년 트위터에 합류한 엔리케 페냐 니에토 멕시코 대통령, 엘리오 디 루포 [13]벨기에 총리, 스티븐 하퍼 캐나다 총리 등이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운동 중 트위터 사용이 빈번하고 종종 논란이 됐으며 그 이후로 전 세계에 널리 알려짐)은 [14][15][16][17]재임 기간 동안 트위터 외교에 자주 관여했다.
정부간 조직의 리더에 의한
2014년 4월 현재, UN(유엔)[19]은 2014년 4월에 256만 명이 넘는 시청자를 기록한 정부 간 [18]기구로 가장 많은 추종자를 기록하고 있다.유엔 산하 기금과 기구들 중 상당수도 팔로워들을 끌어모으고 있다.유엔아동기금은 모기관인 유엔보다 더 많은 인기를 얻었으며 2014년 [20]4월 현재 269만 명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외교관 및 공관에 의해
마이클 오렌 전 주미 이스라엘 대사는 2012년 5월 트위터에 가입한 이유에 대한 질문에 대해 "오늘날 트위터만큼 광범위하고 효과적인 대안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Twitter는 다른 외교관이나 언론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또 다른 도구이며 개인적인 [21]터치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외무부도 인기를 끌었고, 일부는 그들의 존재를 트위터에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예를 들어, 영국 외무부는 소셜 미디어에 모든 영국 임무의 통합 목록을 [citation needed]발표했다.
미 국무부는 디지털 외교의 선두 주자 중 한 명으로 트위터에서 활발한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은 미국 외교관들의 트윗을 독려했지만 이미 [22]퇴임한 뒤인 2013년이 되어서야 자신의 권한을 확립했다.존 케리 현 장관은 [23]취임 후 1년 만에 개인 트위터 조작을 다시 활성화했다.Michael McFaul 전 러시아 연방 대사는 2011-2014년 재임 [24][25]기간 동안 영어/러시아어 트윗을 꾸준히 사용하여 미국 대사들을 위한 트위터 사용을 개척했습니다.직업 외교관이 아닌 직업적인 학자인 맥폴 대사의 트윗은 러시아 정부로부터 잦은 비판과 그의 [25]지지자들로부터 칭찬을 받는 등 대체로 무뚝뚝하고 세련되지 않은(외교계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것이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해시태그 행동주의
- 트위터의 공인들에 의해 사용.
- Volfefe 지수,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 사용에 관한 변동성 지수
레퍼런스
- ^ Keleman, Michele (21 February 2014). "Twitter Diplomacy: State Department 2.0". National Public Radio. Retrieved 28 April 2014.
- ^ a b Landler, Mark (4 February 2014). "In the Scripted World of Diplomacy, a Burst of Tweets". International New York Times. Retrieved 28 April 2014.
- ^ Treeintelligence (6 April 2011). "Twitplomacy". Retrieved 17 July 2014.
- ^ Twitter. "About Twitter, Inc". Retrieved 26 April 2014.
{{cite web}}
:last=
범용명(도움말)이 있습니다. - ^ "How Twitter enhances conventional practices of diplomacy OUPblog". OUPblog. 2017-10-05. Retrieved 2018-01-30.
- ^ a b c d "Twiplomacy Study 2013 – International Organisations". Twiplomacy.com. 23 June 2013. Retrieved 27 April 2014.
- ^ DiploFoundation. "Twitter for Diplomats". Retrieved 26 April 2014.
- ^ Ishaan, Tharoor. "Russia hijacks U.S. State Department's Ukraine hashtag". Washington Post. Retrieved 27 April 2014.
- ^ Foxnews.com (26 April 2014). "Obama's hashtag diplomacy with Russia sparks new criticism about weak foreign policy". Fox News. Retrieved 28 April 2014.
- ^ Loguirato, Brett. "Iran's President Deleted A Controversial Tweet". Business Insider. Retrieved 27 April 2014.
- ^ Tutt, A. (2013), E-Diplomacy Capacities within the EU-27: Small States and Social Media. www.grin.com. Retrieved 2015-09-17.
- ^ Miles, Tom (26 July 2012). "@tweeter-in-chief? Obama's outsourced tweets top twitocracy". Reuters. Retrieved 28 April 2014.
- ^ Tutt, A. (2013), E-Diplomacy Capacities within the EU-27: Small States and Social Media. www.grin.com. Retrieved 2015-09-17.
- ^ McCaskill, Nolan (2 May 2017). "Clinton slams Trump's Twitter diplomacy: 'That doesn't work'". Politico. Retrieved 11 August 2017.
- ^ Rebecca Kheel; Ellen Mitchell (6 June 2017). "Trump's diplomacy-by-Twitter sets off firestorm". The Hill. Retrieved 11 August 2017.
- ^ Apps, Peter. "Commentary: Trump's brave new world of Twitter diplomacy". Reuters. No. 6 December 2016. Retrieved 11 August 2017.
- ^ Romero, Luis Gomez (27 January 2017). "Twitter diplomacy: how Trump is using social media to spur a crisis with Mexico". The Conversation. Retrieved 11 August 2017.
- ^ Twiplomacy. "Twiplomacy 2013 - How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weet" (PDF). Retrieved 28 April 2014.
- ^ "United Nations (UN) on Twitter".
- ^ "UNICEF (UNICEF) on Twitter".
- ^ Tracy, Marc (30 May 2012). "Israeli Ambassador Michael Oren Talks About Why He Joined Twitter". The Tablet. Retrieved 27 April 2014.
- ^ Thomas, Ken (2013). "Hillary Clinton starts Tweeting". A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pril 2014. Retrieved 28 April 2014.
- ^ Gearan, Anne (4 February 2014). "John Kerry unleashed on Twitter once again". Washington Post. Retrieved 28 April 2014.
- ^ Elder, Miriam (29 May 2012). "Michael McFaul, US ambassador to Moscow, victim of Kremlin 'Twitter war'". Guardian. Retrieved 28 April 2014.
- ^ a b Lally, Kathy (11 January 2014). "U.S. ambassador in Moscow uses social media to bypass official line". Washington Post. Retrieved 28 April 2014.
추가 정보
- Andreas Sandre "Twitter for Diplo" (2013년)제네바에 본사를 둔 비영리 Diplo의 보고서
- 「외교: 국가원수 및 정부원수 Twitter, 2013년 7월" Twi외교 연구(2013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