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보병여단, 2보병사단
3rd Infantry Brigade, 2nd Infantry Division3 보병 여단 | |
---|---|
![]() 제3여단 제2보병대 휘장 | |
활동적인 | 1917–1941; 1962-2015 |
나라 | ![]() |
나뭇가지 | ![]() |
유형 | 스트라이커 보병 |
역할 | 기동여단 2~4개를 포함하는 지휘통제 조직 |
크기 | 나누기 |
의 일부 | 미8군 |
수비대/HQ | 대한민국(HQ), 포트 루이스 |
닉네임 | "인디언헤드",[1] "고스트 솔져스"[2] |
모토 | 둘째로 없음 |
3월 | 전사 행진곡 |
계약 | 제1차 세계 대전 아프가니스탄 전쟁 |
지휘관 | |
현재 지휘관 | 시어도어 마틴 소령 |
휘장 | |
고유 단위 휘장 | ![]() |
두 번째 ID & 여덟 번째 ID(ROKA) 결합 구분 탭 | ![]() |
제3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 제2 보병 사단은 미 육군 제2 보병 사단의 비활성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이다.
활성화 때, 제2보병 사단 3보병 여단은 9일 보병 연대 포함했다;그 23일 보병 연대와 5기계 건 대대, 4해병 여단은 5해병 연대, 6일 해병 연대와 6일 머신 건 대대로 구성되었다;으로 구성되었다[3]2여단 파일의.노년 포병, 그리고 다양한 지원 부대.[4]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이 여단은 1917년 8월 11일 뉴욕 시라큐스에서 정규군 부대인 제1임시여단으로 처음 조직되었다. 2사단이 창설된 지 하루 만인 9월 22일 2사단 제3보병여단으로 재설계됐다.[5]
2사단은 1917년 9월 21일 정규군에서 처음 편성되었다.[6][7][8][9] 1917년 10월 26일 프랑스 오뜨마르네 부르몽에서 조직되었다.[10] 활동 당시 인도헤드사단은 제9보병연대와 제23보병연대와 제5기계총대대가 포함된 제3보병여단, 제5보병연대와 제6기총대, 제6기총대대로 구성된 제4기병여단, 제6기총대대로 구성된 제4기병여단, 야전 2여단으로 구성되었다.포병, 그리고 다양한 지원 부대.[3][4] 제1차 세계 대전 중 두 차례 사단은 찰스 A 준장의 지휘를 받았다. 도옌과 존 A 소령. 르쥔(이후 노스캐롤라이나주 해병대 캠프의 명칭)은 미 육군 역사상 해병대 장교들이 육군 사단을 지휘한 유일한 시간이다.[10]
그 사단은 1917-18년 겨울 동안 프랑스와 스코틀랜드의 참전용사들과 함께 훈련했다. 프랑스 전술가들에 의해 준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미국 원정군은 1918년 봄 파리를 향해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한 필사적인 시도로 전투에 전념했다. 에드워드 만 루이스 소장이 파리를 따라 메츠로 향하는 프랑스인들을 보강하기 위해 배치하면서 3여단을 지휘했다. 사단은 벨라우 우드 전투에서 처음 전투를 벌였고, 이어진 샤토-티에리 전투 동안 4년간 지속되어온 전쟁터 교착상태를 타파하는데 기여했다.
1918년 7월 28일, 해병대 르쥔 소장이 2사단의 지휘를 맡아 1919년 8월까지 그 역량을 유지했다. 그 사단은 계속해서 소이슨스와 블랑 몽에서 치열한 승리를 거두었다. 마침내 인디언헤드 사단은 독일의 승리를 향한 어떤 희망도 종식시킨 뮤즈 아르곤느 공세에 참가했다. 1918년 11월 11일 휴전이 선언되었고, 2사단은 1919년 4월까지 점령 임무를 맡은 독일에 입성했다. 2사단은 1919년 7월 미국으로 돌아왔다.
2사단은 벨라우 우드, 소이슨스, 블랑 몽에서 포격을 받은 용맹으로 프랑스 크룩스 드 게레에게 3회 수여되었다. 이것은 현재의 사단 구성원들과 당시 사단의 일부였던 연대들 (5차 및 6차 해병대 연대 포함)에게 기념으로 특별한 랜야드, 즉 4래게르를 착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다. 해군은 해병 제5연대와 제6연대에 배속된 병사들이 제복의 왼쪽 어깨에 어깨끈을 매어 사그라게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 제복 변경을 허가했다.
이 사단은 전사자 1,964명(USMC: 4,478명 포함)과 부상자 9782명(USMC: 17,752명 포함)을 잃었다.
전쟁중년
미국으로 돌아오자 사단은 3개 사단 중 하나로 텍사스 주 샌안토니오에 있는 포트 샘 휴스턴에 주둔해 전쟁 기간 내내 온전하게 현역으로 복무했다. 이때 에드워드 만 루이스 소장이 다시 사령부에 배치되었는데, 이번에는 사단뿐 아니라 8군단 구역의 사령부에 배치되었다. 그 후 23년 동안 그 곳에 머물면서, 육군의 새로운 개념과 혁신을 시험하는 실험 부대의 역할을 했다. 텍사스 주 캠프 불리스와 포트 샘 휴스턴에 주둔한 2사단은 각 사단에 3개의 별도 연대를 제공했던 새로운 삼각편대 개념의 전쟁 조직 이론에 따라 재편된 첫 번째 지휘부였다.
조직개편
1954년 여름, 제2보병사단은 한국에서 워싱턴의 포트 루이스로 이양되었는데, 그곳에서 겨우 2년밖에 남아 있지 않았던 1956년 8월 알래스카의 포트 리처드슨으로 이양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1957년 11월 8일, 사단이 비활성화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그러나 몇 달 후인 1958년 봄, 육군성은 독일로부터 10사단의 인력과 장비를 반납한 채 조지아 주 포트 베닝에서 2사단을 재편성한다고 발표했다. 포트 베닝은 1958년부터 1965년까지 새로운 2사단의 본거지로 남아 있었는데, 그들은 처음에 훈련 사단의 임무를 부여받았다. 전투태세를 높이기 위해 1962년 3월 2ID를 전략군단(STRAC) 부대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사단은 작전 준비태세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특수훈련 외에 강화된 전투훈련, 전술훈련, 현장훈련 등에 임하게 되었다.
1963년 사단은 재편성 목표 육군 사단(ROAD)으로 재편성되었다. 3여단을 포함한 3개 여단 사령부가 활성화되었고, 보병부대는 대대적으로 재편되었다.
백 투 코리아
1965년 포트베닝에 1기병사단(에어모빌)이 편성된 결과, 11기병사단의 인력과 장비와 함께 2기병사단의 주미부대가 통합되어 새로운 편성을 이루게 되었고, 기존 주한 1기병사단은 2기병사단의 직함을 맡게 되었다. 이리하여 사단은 1965년 7월 정식으로 귀국하였다. 1966년부터 한국 DMZ 분쟁(1966~69년)이 증가했다. 1966년 11월 2일 제1대대대 23d 보병연대 장병들이 북한군의 매복공격으로 전사했다. 1967년 한국 비무장지대(DMZ)에서 적의 공격이 증가하면서 그해 미군 16명이 전사했다.
1968년 2사단은 통구리에 본부를 두고 DMZ의 일부를 감시하는 임무를 맡았다.[11] 1968년 북한 주민들은 DMZ를 넘어 탐사를 계속했고, 1969년 순찰 중 3d대대대 23d 보병 4명이 숨졌다. 1976년 8월 18일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통상적인 트리밍 작전 중 미국 합동경비대 장교 2명이 '도끼 살인사건'이라는 북한 국경수비대와 난투극을 벌이다 도끼에 맞아 숨졌다. 8월 21일 사망에 이어 2사단은 '폴 번얀 작전'에서 유엔군사령부를 지원해 '판문점 나무'를 베어냈다. 이 같은 노력은 태스크포스(TF) 브라디(제2ID사령관 이름)가 태스크포스 비에라(공동경비구역 대대장 이름 이름)를 지원하기 위해 진행했다.
의회는 1991년 말까지 주한미군 병력을 4만3000명에서 3만6000명으로 감축하도록 명령한 1989년 국방 세출법 개정안을 채택했다. 그 결과 1992년 9월 16일 캠프 하우즈에서 2사단 3여단이 불활성화되었다.
제2보병사단을 제3여단으로 완결시키기 위해 독일 배드 크루즈나흐에서 파견된 3d여단 1기갑사단 및 사단지원부대의 연합 '슬라이스'를 본국으로 귀환시켜 워싱턴 포트루이스에 주둔시킬 예정이었다. 그러나 1994년 9월 이사가 완료되면서 3여단 장병 4000명(여전히 1기갑사단의 일부)이 새 모 사단으로부터 분리되었다. 그 결과, 그들은 분할 기반 여단 전투 팀(BCT)으로 조직되었다.
1995년 3월 29일, 3여단, 2사단이 포트 루이스에서 재활성화되어 사실상 3d여단, 1기갑사단으로부터 '재충전'되었다. 1-23 보병, 1-32 갑옷, 1-33 갑옷, 1-37 야전포병, 168 기술자, 296 전방지원대대, 찰리 배터리 5-5 방공포병 등으로 구성되었다. 다른 소스는 1995년 4월 16일을 공식 재활성화일로 하고 있다.
이라크
이 글은 검증을 위해 인용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 · · · · (2011년 12월) (이 |
2003년 11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제3차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은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워싱턴 포트 루이스에서 파견되었다. 이라크의 모래밭에서 제3여단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은 전투와 물류 작전에서의 스트라이커 여단 개념의 가치를 증명했다.[12]
2006년 6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제3차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은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워싱턴 포트 루이스에서 파견되었다. 제3 스트레이커 여단이 이라크 자유 작전(Operation Freedom)에 두 번째로 파견된 동안 그들의 임무는 이라크 치안 부대를 나인와(Ninewa)주(州)에서 반간첩성 작전으로 지원하는 것이었다. 172번째 SBCT를 사용한 두 번째 RIP(Relief in Place)에 이어 BDE가 교량 본체와 1번째 BDE, 1번째 CAV DIV 사이에서 갈라졌다. 각각의 부대는 발라드, 타지, 바그다드 대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배치 과정에서 전사자 46명 중 상당수는 이 기간 동안 발생했다.
2006년 6월 1일 워싱턴 포트 루이스 4여단에서는 2d 보병사단이 결성되었다. 2007년 4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이라크 정세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기 위해 제4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이 급상승의 일환으로 투입되었다. 여단은 바그다드와 디얄라주 북쪽 지역을 책임졌다. 이 여단 소속 군인 35명이 배치 도중 사망했다.
2006년 10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제2보병여단전투단은 콜로라도주 포트카슨에서 다국적군 바그다드(1기병사단)를 지원하여 이라크군의 자립을 지원함으로써 폭력과 반란 수준을 무너뜨리고 이라크 재건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사회 기반 시설 이 여단 소속 군인 43명이 배치 도중 사망했다.
SSG 크리스토퍼 B. 5대대대, 20보병연대, 3d여단 전투단의 웨이터들은 그가 전문가였던 2007년 4월 5일 그의 행동으로 2008년 10월 23일 특공대장을 받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4대대대의 SPC 에릭 오로페자, 9사단, 4여단 전투팀[13] 이렇게 해서 사단은 1975년 이후 17, 18대 공로수상 공로를 인정받게 된다.
2009년 가을 2사단 4여단 전투단은 이라크에 파병됐다.[14]
3여단은 2009년 8월 4일 여단의 세 번째 이라크 파병을 위해 이라크로 배치되었는데, 이는 스트레이커 여단 전투팀 중 가장 많은 것이다.
아프가니스탄 전쟁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2009년 2월 17일 제5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부대에서 8000명의 해병대 병력과 함께 아프가니스탄으로 향할 것을 명령했다. 아프간 전쟁의 악화로 인해 군인들이 그곳으로 보내지고 있다. 이 군인들은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국경의 남동부에 배치되었다. 배치 과정에서 35명의 군인이 전사하고, 2명이 사고로 사망했으며, 239명이 부상했다.[15] 2010년 7월, 제5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이 비활성화되어 제2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 팀으로 재활성화되었다. 여단의 특수부대 대대도 불활성화·재배치되었고, 나머지 예하부대는 재활성화된 제2 SBCT에 재배치되었다.[16]
3차 SBCT는 2011년 12월에 배치되어 1년간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했다. 여단 소속 군인 16명이 배치 도중 목숨을 잃었다.[17][18] 이들은[19] 2012년 12월경, 2013년 1월경 파병 당시 8명의 병사를 잃었던 스프링 2여단 소속 제2 SBCT 자매 스트라이커 여단이 합류했다. 제4차 스트레이커 BCT도 2012년 가을 첫 파병지로 투입됐다가 2013년 여름 병사 4명을 잃고 돌아왔다.[20]
카싱 오브 더 컬러스
육군은 2015년 9월 5일 3여단, 2사단 깃발을 퇴역시켰고, 이 부대는 1여단, 2사단으로 재지정됐다.[21]
위치
참조
- ^ "Special Unit Designations".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1 April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y 2009. Retrieved 23 June 2010.
- ^ "After 4 deployments, JBLM's first Stryker brigade gets a new name". thenewstribune.
- ^ a b McClellan, Major Edwin N. (1920). The United States Marine Corps in the World War. Washington D.C.: U.S. Marine Corps History Division. Retrieved 23 February 2017.
- ^ a b McGrath, John J. (2004). The Brigade: A History: Its Organization and Employment in the US Army.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p. 165. ISBN 978-1-4404-4915-4.
- ^ "3d Brigade Combat Team Lineage and Honors".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December 2005. Retrieved 23 December 2005.
- ^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2nd Infantry Division".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Retrieved 3 November 2009.
- ^ 제1차 세계대전에서 미국 육군, 보병사단에는 단 한 종류의 사단이 있었을 뿐 모든 사단은 단순히 "사단"이라고 불렸다.
- ^ Rinaldi, Richard A. (2004). The U. S. Army in World War I: Orders of Battle. General Data LLC. pp. 29–30. ISBN 0-9720296-4-8.
- ^ Stanton, Shelby (2006). World War II Order of Battle: An Encyclopedic Reference to U.S. Army Ground Forces from Battalion through Division, 1939–1946. Stackpole Books. p. 77. ISBN 0-8117-0157-3.
- ^ a b "2nd Infantry Division Homepage: History". 2nd Infantry Divi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ly 2012. Retrieved 4 November 2009.
- ^ 스탠튼, 셸비, 베트남 전투훈장: 베트남 주둔 미군과 연합 지상군에 대한 완전한 일러스트레이션 참고문헌, 1961–1973, 스택폴 북스 2006, 페이지 340–341로 한국에서 분단 전투훈장을 찾을 수 있다.
- ^ "3rd Brigade Combat Team :: Fort Bragg". home.army.mil. Retrieved 1 August 2020.
- ^ Cox, Matthew (7 February 2009). "Spc. earns DSC for heroism during ambush" (News Article). Army Times. Army Times Publishing Company. Retrieved 14 February 2009.
Two days after arriving to the unit on 10 Dec., he was told he would receive the DSC
- ^ "DoD Announces Iraq Unit Rotations" (Press release). Department of Defense. 2 March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rch 2009. Retrieved 3 March 2009.
- ^ Whitlock, Craig (18 September 2010). "Army monitored Stryker brigade, hit hard in Afghanistan, for signs of stress". The Washington Post.
- ^ "5th Stryker Brigade Combat Team, 2nd Infantry Division "Strike, Destroy"".
- ^ Ashton, Adam (27 August 2011). "Lewis' 3rd Stryker Brigade to deploy again". Army Times. Associated Press.
- ^ "Ground leveling Flickr - Photo Sharing!". Flickr. 10 February 2012. Retrieved 19 July 2014.
- ^ "Lewis-based Stryker BCT headed to Afghanistan". Army Times. 16 February 2012. Retrieved 31 October 2012.
- ^ The U.S. Army (5 June 2012), Stryker prep, retrieved 1 August 2020
- ^ "After 4 deployments, JBLM's first Stryker brigade gets a new name". thenewstribune. Retrieved 22 February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