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이해

Understanding Comics
만화 이해:
UnderstandingComics.jpg
만화 이해의 툰드라 출판판 오리지널 표지: 인비저블 아트
에디터마크 마틴
작가.스콧 매클라우드
나라미국
언어영어
주제만화
발행일자
1993
페이지215
이어서만화 재창조

만화 이해: 인비저블 아트(The [1]Invisible Art)는 미국 만화가 스콧 맥클라우드의 1993년 논픽션 만화 작품이다.만화의 형식적인 측면, 미디어의 역사적 발전, 기본적인 어휘,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이 [2]사용된 다양한 방법을 탐구한다.만화에 대한 이론적인 아이디어를 예술의 형태이자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로서 설명하고 있으며, 그 자체가 만화책 [3]형태로 쓰여져 있다.

코믹스의 이해는 아트 슈피겔만, 아이스너, 앨런 무어, 닐 게이먼,[4] 그리고 개리 트뤼도같은 저명한 만화 및 그래픽 소설 작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비록 이 책이 McCloud의 많은 [5]결론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아이코닉" 예술에 대한 논의와 패널들 간의 "클로저" 개념은 [6][7]매체의 논의에서 공통적인 참조 포인트가 되었다.

코믹스의 제목은 마셜 맥루한의 1964년 작품[citation needed]'미디어의 이해'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것이다.

발행 이력

이해 만화에서 발췌한 글들은 어메이징 히어로즈 #200 (1992년 4월호)에 실렸으며, 이 호는 후에 1992년톰슨상 최우수 논픽션 작품상을 수상했다.맥클라우드는 1992년 8월 코믹스 아트 [8]컨퍼런스에서 이 책을 시사회했다.

코믹스의 이해툰드라 출판사에 의해 처음 출판되었다; 전집Kitchen Sink Press, DC Comics의 Paradox Press, DC의 Vertigo 라인, 그리고 HarperPeverly에 의해 출판되었다.그 책은 마크 마틴에 의해 편집되었고, 밥 라판이 글씨를 썼다.

에디션

소프트 커버

  • 툰드라(1993) : ISBN1-56862-019-5
  • 주방 싱크대(1993년 1월):ISBN 0-87816-243-7
  • William Morrow Paperbacks(1994년 4월):ISBN 0-06-097625-X
  • 패러독스 프레스 / DC (1999년 5월):ISBN 1-56389-557-9
  • 하퍼 다년생(2004)

하드커버

속편

맥클라우드는 미디어가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코믹스(2000년)와 만화 제작 방법 연구인 메이킹 코믹스(2006년)를 이어갔다.

요약

'만화의 이해'는 만화 매체의 정의, 역사, 어휘, 방법 등을 폭넓게 탐구한 것이다.만화에 대한 연구를 공식화하려는 시도, 그 자체가 만화 형식이다.

그 책의 가장 중요한 주장은 만화는 일련의 [9]이미지들의 원시성에 의해 정의된다는 것이다.McCloud는 또한 만화 [10]패널 사이의 서술적 격차를 좁히는 독자의 역할을 언급하기 위해 "클로저" 개념을 도입했습니다.이 책은 만화는 독자의 선택과 상호작용에 의존하기 때문에 비선형 서사를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의 개념과 시각적 매체에서의 서술의 역사에 대한 논의로 시작한다.McCloud는 그래픽 내러티브의 다른 초기 작품들 중에서 만화의 선행작으로서 Bayeux Tapestry를 언급하고 있다.코믹스의 이해스위스의 만화가 로돌페 토퍼를 여러 에서 "현대 만화의 아버지"로 칭한다.McCloud는 "유럽에서 볼 수 있는 단어와 그림의 상호의존적 결합"[11]과 함께 Töpffer의 "카툰과 패널 테두리" 사용을 강조한다.

McCloud는 또한 상징적인 수치와 실제 수치 간의 차이점을 강조합니다.아이콘 피규어는 표준 만화에 비유할 수 있는 반면, 현실 피규어는 디테일 면에서 사진 품질에 더 초점을 맞춘다.그는 서양 문화가 단순하기 때문에 상징적인 이미지에 더 사로잡힌다고 말한다.그는 상징적이고 사실적인 이미지의 완전한 비교와 분석을 제공하고 이 진술 뒤에 있는 자신의 논리에 대해 흥미로운 설명을 합니다.

이 책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사실주의 에서 묘사된 시각적 스타일, 극적인 규칙, 문학적 기법인 "마스크링"이다.그것은 비록 상세하고, 사진적이고, 서로 다른, 화려한 배경나란히 있더라도 단순하고, 원형적이며, 서술적인 인물들의 사용이다.McCloud는 이러한 기능을 통해 투영 식별의 한 형태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친숙하고 최소한의 디테일이 있는 캐릭터는 보다 강한 정서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시청자들이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책의 컨셉 중 하나는 다양한 스타일의 만화 예술을 생각하는 도구인 "빅 트라이앵글"이다.McCloud는 사실적인 표현을 왼쪽 아래 모서리에 배치하고 아이콘적인 표현(카투니 아트)을 오른쪽 하단에 배치하고 세 번째 식별자인 이미지를 삼각형의 정점에 배치합니다.를 통해 삼각측량을 통해 아티스트를 배치하고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

수상과 영예우

1994년 하비 어워드에서 최우수 그래픽 앨범/오리지널[12] 머티리얼과 최우수 전기,[12] 역사 또는 저널리즘 프레젠테이션을 수상했습니다.게다가, McCloud는 1994년 Harvey Award 최우수 [12]작가상을 수상했다.

1994년 아이스너상 만화 관련 베스트 [13]북을 수상했다.

작가 McCloud는 1994년 Adamson Award 최우수 국제만화연재상(또는 만화책상)이 책은 1994년 휴고상 논픽션 부문 최종 후보작이다.

스웨덴어로 번역된 Serier: 1995년 헤프타드가 발행한 덴 오신리가 콘스텐은 1996년 우르훈덴상을 수상했다.

Vertige Graphic에 의해 출판되고 L'Art라는 제목의 이 책의 프랑스어 번역본은 2000년 앙굴렘 국제 만화 축제에서 Prix Blood Mary 상을 수상했다.게다가 그 해 앙굴렘 국제 만화 페스티벌 최우수 앨범상 후보에 올랐다.

레거시

아이스너만화, 시퀀셜 아트와 함께, 만화 이해는 영어로 [14]정식 만화 연구의 토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책은 애플 매킨토시 공동창작자 앤디 헤르츠펠트에 [15][undue weight? ]의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가장 통찰력 있는 책들 중 하나"로 불렸다.

패러디

코믹스의 이해는 딜런 시슨이 필리버스팅 코믹스에서 패러디했습니다. The Next Chapter는 1995년에 Fantagraphics에 의해 출판되었고 나중에 스페인어로 [16]번역되었다.

2012년 [17]Kickstarter를 통해 자체 출판된 Tim Heiderich와 Mike Rosen의 오해 만화에서 다시 패러디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Brooks, Kevin (2009). "More "Seriously Visible" Reading: McCloud, McLuhan, and the Visual Language of "The Medium Is the Massage"".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61 (1): 180. JSTOR 40593531.
  2. ^ Varnum, Robin; Gibbons, Christina T (2007). The Language of Comics: Word and Image.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pp. xiii, xiv, 147. ISBN 978-1578064144. Retrieved 23 June 2014.
  3. ^ Manning, A.D. (March 1998). "Understanding Comics: The Invisible Art (article)". IEEE Transactions on Professional Communication. 41 (1): 66–69. doi:10.1109/TPC.1998.661632.
  4. ^ 트뤼도, 게리. "만화의 이해—스코트 맥클라우드", 뉴욕타임스리뷰(1994년 2월 13일), 페이지 13.
  5. ^ 호록스, 딜런"만화의 발명: Scott McCloud의 만화 정의" The Comics Journal #234 (2001년 6월).
  6. ^ Brenner, Robin (March–April 2006). "Graphic novels 101: where to start". The Horn Book Guide. 82 (2): 240. Retrieved 23 June 2014.
  7. ^ Magnussen, Anne; Christiansen, Hans-Christian (2000). Comics & Culture: Analytical and Theoretical Approaches to Comics. Museum Tusculanum Press. pp. 13, 14, 23, 49. ISBN 9788772895802. Retrieved 23 June 2014.
  8. ^ CAC Web 사이트의 과거 프레젠테이션 리스트.2008년 1월 27일에 액세스.
  9. ^ Thomas 2010, 페이지 157, 170. 오류:: 2010
  10. ^ Hatfield 2005, 페이지 70. 오류:: 2005
  11. ^ McCloud, Scott, 만화 이해: 인비저블 아트뉴욕: Harper Collins & Kitchen Sink Press. 1994.ISBN 0-06-097625-X, 페이지 17.
  12. ^ a b c '1994년 하비상 후보와 수상자'한 도서관 만화상 연감.2011년 11월 16일 취득.
  13. ^ '1994아이스너 코믹 산업상 후보'한 도서관 만화상 연감.2011년 11월 16일
  14. ^ Heer & Worcester 2009 페이지 14 오류:: CITREF Worcester 2009 Holston 2010, 페이지 16 오류:: CITEREF 도움말)
  15. ^ "Recommended Computer Books". www.differnet.com. Retrieved 2018-01-19.
  16. ^ 세바스찬, 트리샤'필리버스팅 코믹스 #1', '시퀀셜 타르트'(2002년 7월 1일).
  17. ^ 리치 존스턴입니다"Kick Start From The Heart – 오해만화", 블리딩 쿨(2012년 7월 30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