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

Visual literacy
찰스 조셉 미너드카르테 피규어나폴레옹의 1812년 러시아 캠페인과 관련된 사실들을 잘 보여준다.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은 이미지의 형태로 제시된 정보를 해석하고 협상하며 의미를 부여하는 능력으로서, 일반적으로 글이나 인쇄된 의 해석을 나타내는 문해력의 의미를 확장하는 것이다.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은 그림이 '읽기'가 될 수 있고, 그 의미는 읽기의 과정을 통해서 될 수 있다는 생각에 바탕을 두고 있다.[1]

역사적 배경

시각적 읽고 쓰는 것에 대한 개념은 꽤 오랫동안 존재해왔다. 예를 들어, 기억과 학습에 대한 고전과 중세 이론들은 단어와 행의 시각적 형식이 어떻게 마음의 정보 순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강하게 강조하였다. 계몽주의 시절에는 떠오르는 중산층을 이롭게 하는 방법으로 인쇄술과 원고기술을 통한 감각훈련에 새로운 역점을 두었다.[2][3] 표나 인물과 같은 시각 자료를 읽는 것을 배우는 것 외에도, 많은 학생들은 그들의 노트에 더 접근하기 쉽고 접근하기 쉽게 만드는 그래픽 패턴을 쓰고 그리는 방법을 배웠다.[4] 19세기까지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은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생겨나고 있는 국가 교육 시스템의 핵심 요소였으며, 존 러벅 경과 같은 교육 개혁자들은 교실에서[5] 사용될 도표와 모델과 같은 시각적 도구를 주장하였다.

현대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

3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 사이에 시각적 읽고 쓰는 용어가 이전에 잘 문서화되어 있기는 하지만,[6][7] 보통 이 용어는 국제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 협회의 공동 창립자인 존 데베스에게 인정된다.[8] 1969년 데베스는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은 인간이 다른 감각 경험을 보고 통합함으로써 개발할 수 있는 시각적 경쟁의 그룹을 의미한다"라는 개념의 잠정적 정의를 제시했다.[9] 2004년 1월에 작성된 백서는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을 "사람들이 사물을 어떻게 인지하고, 그들이 보는 것을 해석하며, 그것으로부터 배우는 것을 이해하는 것"[10]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교육, 미술사비평, 수사학, 기호학, 철학, 정보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등의 여러 분야들이 시각적 문해라는 용어를 사용하므로, 시각적 문해력의 공통적인 정의에 도달하는 것은 전문 출판물에 처음 등장한 이래부터 경합되어 왔다.

기술 진보가 전례 없는 속도로 계속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자들은 정보 시대의 삶에 없어서는 안 될 것으로 시각적 문학의 학습을 점점 더 장려하고 있다.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가르치는 언어적 읽고 쓰는 능력(문자 또는 구술 인간 언어에서 파생된 의미)과 유사하게, 대부분의 교육자들은 21세기의 읽고 쓰는 능력이 더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다는 데 동의할 것이다.[11]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고도로 복잡한 세상에서 살아남고 소통하기 위해 시각적 문학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라스코 동굴 벽화

코트니 카즈든, 제임스 기, 건터 크레스, 앨런 루크 같은 뉴런던 그룹의[12] 많은 학자들은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 대 언어적 읽고 쓰는 능력의 이분법에 반대한다. 대신, 그들은 언어적 문학과 시각적 문학의 공존을[13] 의미 생성 과정에서 상호 작용하고 상호 작용하는 양식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은 현대 대중 매체신기술에 국한되지 않는다. 스콧 맥클라우드가 쓴 그래픽 소설 '코믹스 이해'는 비주얼 미디어에서 서술의 역사를 논한다. 또한 프랑스 라스코에 있는 것과 같은 고대 동굴의 동물 그림은 시각적 문맹의 초기 형태다. 따라서, 비록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이라는 이름 자체가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더라도, 독서 표지와 상징의 개념은 선사시대다.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은 개념적 시각적 표현을 평가, 적용 또는 창조하는 능력이다. 기술에는 시각적 표현의 장단점 평가, 단점 개선, 지식 창출 및 전달에 활용하거나 통찰력을 표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포함된다. 교육적 접근방식은 애플리케이션 맥락에서 시각화를 뿌리뽑는 것으로 구성된다. 즉, 특정 문제에 대한 자체적인 고품질 시각화 형식(문제 기반 학습)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비판적 태도, 원칙, 도구 및 피드백을 제공한다. 다양한 영역에서 우수한 시각화의 공통점, 전문화 분야(실제 사례 연구를 통해) 시각화의 특수성 탐구.

고등교육에서의 교수에 대한 시각적 읽고 쓰는 표준은 2011년 대학 연구 도서관 협회에 의해 채택되었다.[14] 그들은 "19개월에 걸쳐 개발되었고, 복수의 지역사회와 조직의 입력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50개 이상의 기관에서 개인에 의해 검토되었으며, 3개의 ACRL 위원회와 ACRL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다".[15]

교육

시각적 읽고 쓰는 방법에는 많은 다른 형식이 있고 학생들에게 시각적 읽고 쓰는 방법을 가르치는 많은 다른 방법들이 있다. 비주얼을 볼 때 물어봐야 할 질문은 "이 사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와 "이 사진을 처음 볼 때 무엇이 떠오르는가?"가 될 수 있다. 이것은 학생들이 분석 과정을 시작할 수 있게 해준다. 비주얼을 볼 때 학생들은 그래픽으로 보고, 이해하고, 생각하고, 만들고,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것을 하기 위해서, 학생은 항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16]

영화감독 마틴 스콜세지는 아이들이 어떻게 어린 나이에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을 개발하기 시작해야 하는지를 강조한다. 여기에는 사상과 감정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탐구하고, 감정적 또는 생리적 포인트를 만들기 위해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는 아이들이 이러한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어떻게 있는지 설명한다.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은 많은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몇 년 동안 더 인기 있는 과목이 되고 있다. 기술과 함께 이미지와 시각적 프리젠테이션이 그 어느 때보다 번창하고 있다.[17]

참고 항목

참조

  1. ^ Orland-Barak, Lily; Maskit, Ditza (2017-03-20). Methodologies of Medi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Springer. ISBN 978-3-319-49906-2.
  2. ^ Eddy, Matthew Daniel (2013). "The Shape of Knowledge: Children and the Visual Culture of Literacy and Numeracy". Science in Context. 26 (2): 215–245. doi:10.1017/s0269889713000045.
  3. ^ Eddy, Mathew Daniel (2016). "The Child Writer: Graphic Literacy and the Scottish Educational System, 1700–1820". History of Education. 45 (6): 695–718. doi:10.1080/0046760X.2016.1197971. S2CID 151785513.
  4. ^ Eddy, Matthew Daniel (2018). "The Nature of Notebooks: How Enlightenment Schoolchildren Transformed the Tabula Rasa". Journal of British Studies. 57 (2): 275–307. doi:10.1017/jbr.2017.239.
  5. ^ Yeh, Ellen; Wan, Guofang (2019-05-09).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21st Century Teacher Education".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dia Literacy: 1–18. doi:10.1002/9781118978238.ieml0230. ISBN 9781118978245.
  6. ^ 페냐 알론소, E. J. (2018).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 시각화(T)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https://open.library.ubc.ca/collections/ubctheses/24/items/1.0368982에서 검색됨
  7. ^ Peña & Dobson (March 23, 2021). "The Lost Years of Visual Literacy". Journal of Visual Literacy.
  8. ^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이란 무엇인가?, 국제시각장애인협회
  9. ^ 에이버리노우, 엠앤에릭슨, 제이(1997)시각적 리터러시 개념 검토」, 영국 교육기술 저널, 280(4), 280-291.
  10. ^ 엘킨스, 제임스 2010. 시각적 읽고 쓰는 것의 개념과 그것의 한계인 In: 시각적 읽고 쓰는 능력, ed. 제임스 엘킨스. 뉴욕, 루틀리지 217번지
  11. ^ 리들, J. (2009) 눈 생성 참여: K-5 교실의 시각적 문해 전략 Stenhouse Publishers 페이지 3. ISBN 978-1-57110-749-7
  12. ^ 미시간 주립 대학교 정보 해비타트위키 뉴런던 스쿨
  13. ^ Kress, Gunther R. (2003). Literacy in the New Media Age. New York: Routledge. ISBN 0-415-25356-X.
  14. ^ 고등교육을 위한 ACRL 시각적 읽고쓰기 능력 표준
  15. ^ ACRL 시각적 사용능력 표준
  16. ^ Smith, Nathaniel W. (2019-02-14). "Photos from "True Pictures"". Radical Teacher. 113: 52–53. doi:10.5195/rt.2019.589. ISSN 1941-0832.
  17. ^ Bergsma, Ad (2009-07-28). "Can Movies Enhance Happines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1 (5): 655–657. doi:10.1007/s10902-009-9151-8. ISSN 1389-497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