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코이 산맥

Unicoi Mountains
유니코이 산맥
Unicoi-crest-cherohala-tn1.jpg
유니코이 산맥
최고점
피크허클베리 노브
표고5,620ft(1,690m)
지리
Appalachian map.svg
애팔래치아 산맥 체계
나라미국
미국.노스캐롤라이나와 테네시 주
상위 범위블루리지 산맥
경계:그레이트 스모키 산맥
지질학
오로젠성알레게니아어

유니코이 산맥은 미국 남동부의 테네시노스캐롤라이나의 경계를 따라 솟아 있는 산맥이다. 그들은 남부 애팔래치아 산맥블루리지 산맥 지방의 일부다. 유니코이족은 그레이트 스모키 산맥의 바로 남쪽에 위치하며 처아 산맥의 바로 서쪽에 위치한다. 일부 지역은 황무지로 지정되어 있고 따라서 더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사거리는 국유림, 즉 테네시 쪽의 체로키 국유림과 노스캐롤라이나 쪽의 난타할라 국유림으로 보호되고 있다.

유니코이 산맥은 미국 동부에서 가장 원시적이고 미개발 지역 중 하나로 남아 있다. 그 산맥의 강 계곡과 깊은 움푹 파인 곳에 사람이 사는 곳은 결코 밀도가 높지 않았다. 19세기와 20세기에 벌목이 일어났을 때, 유니코이 지역의 다른 숲이 우거진 지역만큼 벌목 작업이 광범위하지는 않았다.

유니코이스 북동쪽에 위치한 조이스 킬머 기념 숲은 미국 동부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오래된 나무 숲들 중 하나가 있는 곳이다. 유니코이 산맥의 정상에서 풀풀과 히스 대들보가 보이고, 그 중 가장 높은 곳은 5,000피트 이상의 고도를 오른다. 1996년에 완공된 국립경관 바이웨이인 체로할라 스카이웨이 테네시주 텔리코 평야와 노스캐롤라이나주 로빈스빌을 잇는 유니코이 산맥의 정상을 가로지른다.

우니코이(Unicoi)라는 이름은 체로키어 ꮑꮑ ((unega)에서 따온 것으로, '흰색'이라는 뜻이다. 그것은 이른 아침이나 습하거나 습한 날에 종종 남쪽 애팔래치아 산을 덮는 낮은 구름과 안개를 가리킨다. 역사적으로 테네시-노스캐롤라이나 국경을 따라 산을 지칭하는 우나카라는 이름은 체로키 뿌리가 '우니코이'와 같다. 그곳에서는 밤꽃보다 먼저 봄에 유행했던 긴 밤꽃의 흰색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1]

지리

유니코이 산맥은 북쪽의 리틀 테네시 강과 남쪽으로는 히와시 강 사이의 약 37마일(60km), 테네시 강을 따라 있는 구릉에서 동쪽 극단의 처아 강까지 약 97km에 걸쳐 뻗어 있다. 그 사거리는 2,600km2(1,000평방마일)를 약간 넘는다.[2]

몇 개의 강과 주요 하천의 원천은 유니코이 산맥의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텔리코 강은 유니코이스 남동쪽 구석에 있는 맥대니엘 발드의 비탈에 솟아 전체 사거리를 가로질러 북서쪽으로 흐른 뒤 테네시 보노레 근처의 리틀 테네시 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리틀 테네시주의 또 다른 지류인 시티코 크릭은 제프리 헬로 알려진 북서 유니코스의 빽빽한 숲 속에 솟아 있는 두 개의 하천이 융합되어 형성된다. 볼드 강은 유니코 남부 비버담 볼드의 비탈에 솟아 북쪽으로 굽이쳐 흐르는 아름다운 협곡을 지나 텔리코 강을 따라 입구로 향하는 90피트(27m)의 폭포 위로 곤두박질친다. 산테틀라 강은 허클베리 노브의 서쪽 경사면에 솟아 동쪽으로는 처아강의 산테틀라 호로 가는 도중에 산기슭을 따라 흘러내린다. 그것의 지류인 리틀 산테틀라 크릭은 조이스 킬머 기념 숲을 배수한다.

주요 봉우리

유니코이 산맥에서 가장 높은 정상들은 비록 대부분이 두 개의 볏을 따라 4천에서 5천 피트 사이로 떨어지고, 동쪽과 서쪽의 볏을 넘어 3천에서 4천 피트 사이로 떨어지지만, 1,500 미터 이상으로 솟아 있다. 허클베리 노브는 유니코이 산맥에서 5,560피트(1,690m)로 가장 높은 산으로 지형적으로 유명한 3,400피트(1,000m)의 산이다. 1,000피트 이상의 저명성을 가진 다른 정상들로는 조이스 킬머-슬릭록 황야지의 남쪽 경계를 따라 있는 밥 스트랫턴 볼드와 그 산맥의 남쪽 지역에 있는 비버담 볼드가 있다. 남부 애팔래치아산맥을 가로지르는 크로스컨트리 하이킹 코스인 벤튼 맥케이 트레일이 유니코이스에서 여러 정상들을 지나간다.

표고 일반면적 좌표 접근
허클베리 노브 5,620 ft/1,695 m 센트럴 유니코리스 35.3221, -83.9939 허클베리길
빅 정션 5,620 ft/1,670m 센트럴 유니코리스 35.30526, -84.013994 체로할라 스카이웨이
호 노브 5,472ft/1,668m 센트럴 유니코리스 35.309621, -84.026652 벤튼 맥케이 트레일
후퍼 볼드 5,429 ft/1,655m 센트럴 유니코리스 35.30584, -83.99392 후퍼 볼드 트레일
스트래튼 볼드 5,360 ft/1,634 m 조이스 킬머 슬릭록 황야 35.373403, -83.992979 스트랫턴 볼드 트레일 (#54)
밥 볼드 5,282 ft/1,280 m 조이스 킬머 슬릭록 황야 35.37093, -84.00069 스트랫턴 볼드 트레일 (#54)
하회 5,249ft/1,600m 조이스 킬머 슬릭록 황야 35.385954, -83.969372 동일로53번길
존스 노브 4,908ft/1,496m 센트럴 유니코리스 35.330974, -84.030215 벤튼 맥케이 트레일
맥대니얼 볼드 4,520ft/1,414m 유니코이스 남동부 35.3144444, -83.9927778
록스택 4,570ft/1,347m CCW/JKSW 경계 35.397674, -84.013865 벤튼 맥케이 트레일
빅 포드더스택 4,346ft/1,325m CCW/JKSW 경계 35.412352, -84.027499 벤튼 맥케이 트레일
비버담 볼드 4,259ft/1,298m 남부 유니코리스 35.249941, -84.125076 벤튼 맥케이 트레일
헴록 노브 4,019 ft/1,210 m 시티코 크릭 황야 35.359615, -84.103051 체로할라 스카이웨이
시더 탑 4,008ft/1,210m 동부 유니코리스 35.32586, -83.92692
아이크스 피크 3,820 ft/1,820 m 시티코 크릭 황야 35.38496, -84.05371
솔트 스프링 마운틴 3,620ft/962m 시티코 크릭 황야 35.46476, -84.05253
스타르 마운틴 2,380 ft/713 m 테네시 주, 에토와 35.273962, -84.508912

자연정보

1800년대 중반 로버트 스트래튼 가족이 살았던 밥 스트래튼 볼드

유니코이 산맥은 주로 10억년 전에 고대 해양 퇴적물로부터 형성된 오코이 슈퍼그룹으로 알려진 형태의 프리앰브리안 전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2차 시기 암석은 때때로 하천 바닥을 따라 충적 지역에서 발견된다. 유니코이 산맥은 약 2억 5천만년 전 알레게니아 오로제니 때 형성되었는데, 그 때 대륙 충돌로 암석이 위쪽으로 밀려 올라갔다.[3]

유니코이 산맥은 주로 2차 성장의 단단한 나무와 소나무 숲으로 덮여 있다. 코브 단단한 나무 숲은 일반적으로 강과 개울을 따라 낮은 고도에서 발견되며 주로 노란 포플러, 흰 오크, 붉은 오크, 헴록, 그리고 다른 여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잡목 소나무 숲이 산비탈을 덮고 있으며, 주로 흰 오크나무, 붉은 오크나무, 히코리, 탁상산 소나무, 송진 소나무, 짧은 잎 소나무로 이루어져 있다.[4]

시티코 크릭 황야지의 잡목과 소나무 숲

유니코이 산맥에 있는 대부분의 나무들이 2차 성장한 반면, 그 산맥은 미국 동부에 있는 몇 안 되는 오래된 숲의 스탠드 중 한 곳이다. 리틀산테라 크릭을 따라 있는 조이스 킬머 기념 숲은 처녀 코브 딱딱한 나무 숲이 있는 곳이며 유니코이 산맥에서 가장 오래되고 높은 나무 몇 그루가 있다. 조이스 킬머에서 가장 큰 나무들은 키가 150피트(46m)가 넘고 원주가 20피트(6.1m)를 조금 넘는다. 숲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는 400년이 넘는다. 다른 오래된 성장 숲의 스탠드로는 폴스 브랜치 폭포 주변의 187 에이커(0.76km2)의 패치와 글렌 갭 인근 시티코 크릭 황야지의 외딴 구간이 있다.[5]

산비탈과 산등성이의 밑바닥은 종종 울창한 수풀로 덮여 있다. 이러한 덤불은 일반적인 무능력 때문에 종종 "지옥"이라고 불린다. 로도덴드론-라우렐 덤펫의 가장 두드러진 예는 시티코 크릭 황야에 위치한 제프리 헬이다. 풀이 무성한 대들보는 두꺼운 풀밭과 희박한 나무로 이루어진 고원 초원의 한 종류로, 높은 고도에서 드문 일이 아니다. 그 산맥에서 가장 높은 산의 정상-허클베리 노브—풀 같은 대머리. 풀이 무성한 다른 대들보들로는 오크 노브(허클베리의 하위 피크), 후퍼 볼드(Hopper Bald), 밥 볼드(Stratton의 하위 피크) 등이 있다.

역사

수세기 동안,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남부 아팔라치아 산맥의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하기 위해 남부 유니코이 산맥의 도보 길을 이용했다. 와차사 트레일로 알려진 이 길은 현대의 코위로부터 베버담 크릭 근처의 중간 지점까지 뻗어 있었고 유니코이 갭을 통해 그레이트 텔리코로 내려왔다. 오늘날 조 브라운 하이웨이는 대략 고대의 길을 따라간다.[6]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유럽계 미국인 탐험가들이 이 지역에 도착했을 때 체로키족은 유니코이 산맥의 외곽 지역에 수많은 마을을 세웠다. 로빈스빌 인근에 위치한 미들타운에는 타세치, 일라이제이, 네콰시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오버힐 마을에는 사정거리의 북쪽 극단에 있는 리틀 테네시 계곡의 탈라시, 칠호위, 시티코 등 수많은 마을, 현대 텔리코 평원의 텔리코 강을 따라 있는 그레이트 텔리코, 스타 산 서쪽 기지의 히와시 강을 따라 있는 그레이트 히와시 등이 있었다. 시티코(시티코 크릭 하구)에서 실시된 발굴조사 결과 다층화 현장이며, 점령 기간은 수천 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7]

초기 유럽-미국 역사

존 미첼의 1755년 북아메리카 지도에 있는 유니코이 산지("텔리쿼 산지")

16세기 스페인 탐험가들은 유니코이 산맥을 본 최초의 유럽인이었다. 1540년 에르난도 소토 원정대는 테네시 주 동부의 치아하 마을에서 조지아 북부 쿠사 촌장까지 가는 도중에 산 서쪽을 바로 통과했다. 1567년 후안 파르도 원정대는 대서양 연안의 스페인 정착촌과 멕시코의 스페인 정착촌 사이의 길을 찾으려다 리틀 테네시 계곡의 '찰라후메'와 '사타포'(더 늦깎이, 시티코)의 마을을 방문했다.[8]

영국의 탐험가들과 무역상들이 아마도 1690년대 초에 와샤 트레일을 이용하고 있을 것이지만, 최초의 문서화된 건널목은 1725년 조지 치킨 대령의 그것이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의 특사인 치킨은 크리크 부족과의 계속되는 투쟁에서 그들의 지지를 얻고자 하는 바람으로 1725년 7월 24일 오전 10시 중간 마을의 리틀 텔리코를 떠나 남부 유니코스를 가로질러 야영지 C에서 약 5마일 떨어진 곳에 있는 야영지로 갔다.비버 댐을 얼려 놓았소." 치킨의 파티는 다음날 아침 5시에 출발하여 오후 3시에 그레이트 텔리코 마을에 도착했고, 40km를 더 여행했다.[9]

1730년 화려한 영국 특사인 알렉산더 커밍 경은 영국을 위해 체로키족의 충성을 얻고자 사우스 캐롤라이나 찰스턴에서 하류 리틀 테네시 계곡의 타나시의 오버힐 마을로 여행했다(커밍의 여행은 찰스턴 사람들을 사기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지만). 커밍은 치킨이 5년 전 타세치에서 출발해 비버 댐 크릭에서 3마일 떨어진 야영지로 가던 길을 따라갔다. 다음날 커밍 일행은 '오네카위 산'을 지나 다시 그레이트 텔리코까지 12마일(19km)[10]을 더 달렸다.

19세기

1899년 유니코 강을 건너다 죽은 로거 앤디 셔먼의 묘는 허클베리 노브 꼭대기에 있다.

옛 와차 트레일을 바짝 따라붙은 유니코이 턴피케는 1816년에 완공되었지만, 유니코이 산맥은 몇 개의 산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부족했다. 존 스트랫턴(1799–1862)의 가족은 1830년대에 현재 스트랫턴 메도우스(체로할라 스카이웨이가 주 경계를 가로지르는 근처의 주마루 위쪽)로 알려진 지역에 정착했다. 요한의 아버지 압솔룸은 1852년 아들을 방문하던 중 사망하여 스트랫턴 메도우스에 안장되어 있다. 존의 아들 로버트 "밥" 스트랫튼 (1825–1864)은 결국 스트랫턴 메도우즈에서 북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산으로 옮겨갔고, 지금은 그의 이름인 스트랫턴 볼드가 있다. 스트래튼은 미국 남북전쟁이 한창이던 1864년까지 '밥 볼드'로 알려진 초원에서 산 정상의 바로 서쪽으로 살았고, 그 때 그는 덤불에 매복해 죽임을 당했다.[11]

남북전쟁이 끝나고 얼마 후, 존과 알베르틴 덴튼의 가족은 리틀산테를라 강으로 이주하여 통나무 오두막을 지었다. 가족의 전설에 따르면, 덴튼 가족은 오두막을 짓는 동안 혼거한 거대한 밤나무 통나무에서 살았다. 그 통나무의 지름은 1.8m가 넘었고, 두 개의 방에 7인 가족 전체를 수용했다. 덴튼 가문은 1900년경까지 그 지역에 남아 있었다. 오두막은 1930년대에 시민 보호단에 의해 해체되었고, 오늘날에는 굴뚝 낙상만 남아 있다.[12]

20세기

1930년대 상부 텔리코 계곡의 로깅 작업

1911년경, 휘팅 제조 회사의 관리인 조지 고든 무어는 남동부 유니코이스의 후퍼 볼드 꼭대기에 멧돼지 사냥 보호구역 설립을 시도했다. 보호구역은 유럽에서 수입된 러시아산 멧돼지와 함께 비축된 500에이커(2.0km2)의 밀폐된 부지로 구성됐다. 하지만 대부분의 멧돼지들은 그 부지에서 탈출할 수 있었고, 멀리 떨어진 비탈길과 바닥으로 도망쳤다. 소개된 멧돼지는 오늘날까지 애팔래치아 환경에서 번성하고 있다. 멧돼지는 지역 분수대에 침식 피해를 줘 산림 관리들이 골칫거리로 여기고 있다.[13] 무어는 캘리포니아주 카르멜에 있는 자신의 랜초카를로스에서 같은 수법을 시도했는데, 이 수법에서 멧돼지가 탈출하여 지역 경관을 파괴한 것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4][15]

1915년 밥콕 목재 회사는 북부 유니코이 산맥에서 대규모 벌목 작업을 시작했다. 이 회사는 리틀 테네시 강을 따라 건설된 칼더우드 댐이 이 지역으로 통하는 철로를 범람시키고 지금의 조이스-킬머 슬릭록 황야지에 회사의 벌목 작업을 중단시킬 것이라고 위협했던 1922년까지 슬릭록록 크릭 유역의 거의 3분의 2를 기록했다. 그러나 같은 해 밥콕은 테네시 산맥의 시티코 크릭 유역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이 작전은 1925년까지 계속되었는데, 그 때 대규모 산불로 회사의 벌목 전차가 파괴되고 숲의 거의 절반이 소실되었다. 이 회사는 1929년까지 더블캠프 지역에서 저규모 벌목을 계속했다. 밥콕과 다른 벌목 회사의 벌목 관행은 유니코이 산맥의 산림 환경에 극도로 해로웠으며, 미국 산림청은 1930년대에 이 땅을 매입하기 시작했다. 자연과정이 숲을 치유할 수 있도록 하는 산림청의 정책은 숲을 크게 회복시킬 수 있게 했다.[16][17]

1958년에는 텔리코 평야에 거주하는 샘 윌리엄스가 유니코이 산맥을 넘어 노스캐롤라이나주 머피까지 잘 알려진 커버드 왜건 열차를 끌고 갔고, 이는 유니코이 산맥의 테네시와 노스캐롤라이나 주를 잇는 고속도로 건설을 촉진하는 연례행사가 되었다. 비록 주최자들이 유니코이 언덕을 넘어 로빈스빌로 가는 보다 실현 가능한 길을 선택했지만, 이 고속도로의 원래 길은 와차 트레일과 유니코이 턴파이크의 고대의 길을 따라갈 것이다. '체로할라 스카이웨이'(체로키와 난타할라의 합성어)라는 이름의 이 고속도로는 1996년에 완공되었다.[18]

유니코이 산맥 내의 보호 지역

볼드 리버 폭포

체로키 국유림, 난타할라 국유림과 함께, 몇몇 지정된 지역이 유니코이 산맥의 여러 지역을 보호한다.

  • 1975년 황무지로 지정된 조이스 킬머-슬릭록 황야. 이곳은 1만7394에이커(70.39km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1만3562에이커는 노스캐롤라이나에 위치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테네시 주의 국경 바로 맞은편에 놓여 있다. 조이스 킬머 기념 숲은 산테틀라 강 유역을 따라 약 3,800에이커(15km)의2 오래된 경목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숲의 이름 석자인 조이스 킬머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죽은 시인이자 저널리스트였다.
  • 1984년 황야 지역으로 지정된 시티코 크릭 황야지는 시티코 크릭의 상류 유역을 보호하고 있으며, 총 16,226에이커(65.66km2)로 구성되어 있다.
  • 1984년 황무지로 지정된 볼드강 협곡 황야는 3721에이커(15.06km2)로 이루어져 있다. 그것은 볼드 강과 그것의 즉각적인 분수령을 보호한다.
  • 1975년 황무지로 지정된 기 크릭 황야는 2,493에이커(10.09km2)로 이루어져 있다. 스타르 산의 동쪽 경사면에 있는 기 크릭 유역을 보호한다.
  • 1980년에 구입한 상부 텔리코 오프로드 차량 구역. 남동부 유니코이스에 있는 텔리코 강의 상류 유역은 4x4 매니아들에게 인기 있는 여러 개의 오래된 벌목 도로와 길들이 교차하고 있다. 2009년 미국 산림청은 탐방로를 따라 침식이 강을 따라 귀중한 개울 송어 물을 훼손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자 텔리코 오프로드 차량 지역을 영구 폐쇄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19]

사진 갤러리

참고 항목

참조

  1. ^ 체로키 신화 체로키 신성한 공식 (네시주 나시빌: C and R Elder Publishers, 1972), 542.
  2. ^ "우니코이 산맥." Peakbagger.com, 1987-2008. 검색됨: 2008년 6월 18일.
  3. ^ 미국 농무부, 시티코 크릭: 환경 영향 성명 초안황야 연구 보고서(1982년 6월 14일), 6.
  4. ^ 미국 농무부, 시티코 크릭: 환경 영향 성명 초안황야 연구 보고서(1982년 6월 14일), 3
  5. ^ 미국 농무부, 시티코 크릭: 환경 영향 성명 초안황야 연구 보고서(1982년 6월 14일), 3
  6. ^ 비키 로제마, 체로키 족의 발자국: 체로키 국가 동부 조국을 위한 안내서 (윈스턴-살렘: 존 F) 블레어, 126-127.
  7. ^ 제퍼슨 채프먼, 텔리코 고고학: 12,000년의 미국 원주민 역사 (Norris, Tenn). Tennessee Valley Authority, 1985).
  8. ^ 찰스 허드슨, 후안 파도 탐험: 캐롤리나스와 테네시 주의 탐험, 1566–1568 (Tuscaloosa, Ala. 앨라배마 대학 출판부, 2005), 36-40.
  9. ^ 새뮤얼 콜 윌리엄스, 1540–1800년 테네시 주의 얼리 트래블스 (Johnson City, Tenn.: 와타우가 프레스, 1928), 95-98.
  10. ^ 윌리엄스, 134-135
  11. ^ 코리 밀스, 2005년 "체로할라 스카이웨이 - 스트랫턴 메도우 히스토리 2009-05-03 웨이백 머신보관" 검색됨: 2008년 6월 20일.
  12. ^ 마샬 맥클룽 "존 덴튼 패밀리" 원래 1994년 5월 19일 그레이엄 스타에서 출판되었으며, 현재 톰 리빙스턴에 의해 웹상에서 유지되고 있다. 검색됨: 2008년 6월 20일.
  13. ^ "체로할라 스카이웨이 - 후퍼 볼드 히스토리," 2005년. 검색됨: 2008년 6월 20일.
  14. ^ Dowd, Katie (December 26, 2019). "One eccentric socialite is to blame for California's wild pig problem". San Francisco Chronicle. Retrieved 5 February 2021.
  15. ^ Scutro, Andrew (November 28, 2002). "Hog Heaven". Monterey County Weekly. Retrieved 7 February 2021.
  16. ^ 미국 농무부, 시티코 크릭: 환경 영향 성명 초안황야 연구 보고서(1982년 6월 14일), 3
  17. ^ 미국 농림부, Joyce Kilmer-Slickrock Wildlight 및 Citico Creek Wildlight 지도(후방의 정보), 1996년.
  18. ^ "체로할라 스카이웨이 - 스카이웨이의 역사," 2005년. 검색됨: 2008년 6월 20일.
  19. ^ 모건 시몬스, 텔리코오프로드 트레일 시스템 종료. 녹스빌 뉴스-센티넬, 2009년 10월 15일 검색됨: 2009년 10월 15일.

자원.

  • 던컨, 바바라 R. 그리고 릭스, 브렛 H. 체로키 문화 유적 가이드북.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출판부: 채플 힐(2003) ISBN 0-8078-5457-3

외부 링크

좌표: 35°14′32″N 84°5′13″w / 35.242°N 84.08694°W / 35.24222; -84.08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