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야
Wilderness황무지 또는 황무지(일반적으로 복수)는 광범위한 농업 [1][2]재배가 이루어지지 않은 인간 활동이나 도시화되지 않은 땅에 의해 크게 변화되지 않은 지구의 자연 환경이다.이 용어는 전통적으로 육지 환경을 지칭해 왔지만 해양 자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최근[3] 황무지도를 보면 지구 지표면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지만 인간의 [4]활동에 의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바다에 남아 있는 황무지는 13.2%에 불과해 인간의 격렬한 [5]활동으로부터 자유롭다.
일부 정부는 이미 존재하는 것을 보존할 뿐만 아니라 자연의 표현과 개발을 촉진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법에 의해 황무지에 대한 보호를 확립한다.이것들은 보존, 보존 보존, 국유림, 국립공원, 그리고 심지어 강, 협곡 또는 다른 개발되지 않은 지역을 따라 도시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종종 이 지역들은 특정 종의 생존, 생물 다양성, 생태학적 연구, 보존, 고독과 [6]휴양을 위해 중요하게 여겨진다.그들은 또한 역사적인 유전적 특성을 보존하고 동물원, 수목원 또는 실험실에서 재현하기 어려울 수 있는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역사
고대와 중세
시각예술의 관점에서 자연과 야성은 세계사의 다양한 시대에 중요한 주제였다.풍경 미술의 초기 전통은 당나라 (618-907)에서 일어났다.자연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전통은 중국 회화의 목적 중 하나가 되었고 아시아 미술에 큰 영향을 끼쳤다.산수(山水)의 전통에 속하는 예술가들은 "자연의 전체와 자연의 법칙에 대한 이해의 기초 위에서 새의 눈을 통해 보는 것처럼" 산과 강을 묘사하는 법을 배웠다.13세기, 스얼지는 [7]"자연에 의해 접근할 수 없는 장소가 결여된 풍경"을 그리는 것을 피하라고 권고했다.
인류 역사의 대부분에서, 지구 지형의 대부분은 황야였고, 인간의 관심은 정착된 지역에 집중되었다.자연의 일부를 보호하기 위한 최초의 법은 바빌로니아 제국과 중국 제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마우리아 대왕 아쇼카는 기원전 3세기 경 아쇼카 칙령에서 동식물을 보호하는 세계 최초의 법을 정의했다.중세 시대에, 영국의 왕들은 자연 지역을 보호하기 위한 세계 최초의 의식적인 노력 중 하나를 시작했다.그들은 황무지를 보호하려는 욕망보다는 개인 사냥터에서 야생동물을 사냥할 수 있는 욕망에 의해 동기부여가 되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냥할 동물을 가지기 위해서는 그들은 생계형 사냥으로부터 야생동물을 보호해야 하고, [8]땔감을 모으는 마을 사람들로부터 땅을 보호해야 할 것이다.유사한 조치가 다른 유럽 국가에도 도입되었다.
하지만, 중세 내내, 유럽 문화에서, 황무지는 일반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고 오히려 위험한 장소로서 그리고 문화와 경건한 [9]삶의 영역에 대한 도덕적 반대 세계로서 강하게 부정적으로 판단되었다."고대 자연 종교가 자연을 지향하는 반면, 중세 기독교에서는 이 방향이 신법을 지향하는 것으로 대체되었습니다.신은 자연에서 더 이상 찾아볼 수 없었다; 대신 교양 없는 자연은 사악한 것과 악마의 장소가 되었다.가을(자연의 랩사)에 의해 타락한 것으로 여겨져, 인간이 존속할 운명에 처하게 된 눈물의 계곡이 되었다.따라서 예를 들어, 산은[10] 홍수로 파괴된 한 때 평평한 땅의 폐허로 해석되었고, 바다는 [9]홍수의 잔해로 해석되었다." "만약 낙원이 초기 인류의 가장 큰 선이었다면, 황무지는 그것의 [11]대척점이었다."
15세기에서 19세기
황무지는 식민지 주민들에 의해 지배에 [12][13]대한 저항으로 악으로 여겨졌다.황무지에 대한 청교도적인 견해는 식민지 개척자들이 북미에서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문명화된'[12][13] 사회를 위해 황무지를 파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황무지는 식민지 개척자들의 문제의 근원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문제를 없애기 위해서는 황무지가 [12]파괴되어야 했다.이것을 하는 첫 단계 중 하나는 땅을 [12]개간하기 위해 나무를 제거하는 것이다.황무지를 "적"으로 묘사하는 군사적 은유들이 사용되었고, 정착민들의 팽창은 [12]"황무지를 정복"하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황무지와 관련하여,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14]야만인으로 간주되었다.이러한 비인간화는 식민지 개척자들에게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14]공격하고 죽일 때 자비를 느끼지 않을 수 있는 빌미를 주었다.아메리카 원주민과 그 땅의 관계는 식민지 개척자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15]이해하려 하지도 않는 것이었다.이 상호 유익한 관계는 식민지 주민들이 땅과 다른 생물들을 [12]굴복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을 벌임으로써 그들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만 땅을 보는 것과는 달랐다.식민지 개척자들이 그 땅을 사용해야만 한다는 믿음은 기독교 [12]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만약 땅과 동식물이 기독교 신에 의해 인간의 사용을 위해 창조되었다면,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한 재배는 그들의 신이 주신 [14]목표였다.
하지만,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이 북미에 도착했을 때 본 것이 순수하고 인간이 없다는 생각은 아메리카 [16]원주민들의 존재 때문에 사실이 아니다.그 땅은 [17]화재와 같은 관행을 통해 아메리카 원주민들에 의해 형성되었다.소각은 빈번하고 통제된 방식으로 [16]일어났다.오늘날 미국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은 식민지 개척자들이 [16]오기 전의 모습과는 매우 다르다.불은 음식, 줄, [16]바구니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잦은 화재의 주요 역할 중 하나는 점점 더 [16]흔해지고 있는 통제 불능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었다.
황무지가 본질적인 가치를 갖는다는 생각은 19세기에 서구세계에서 나타났다.영국의 예술가 존 컨스터블과 J. M. W. 터너는 그들의 그림에 자연계의 아름다움을 담는 데 관심을 돌렸다.그 이전에는 주로 종교적인 장면이나 인간에 대한 그림이었다.윌리엄 워즈워스의 시는 이전에는 위협적인 곳으로 여겨졌던 자연계의 경이로움을 묘사했다.자연에 대한 가치는 점점 서구 문화의 [8]한 측면이 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 독일에서 "과학 보존"은 소위 "과학 기술의 응용을 통한 천연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제창했다.독일의 접근법에 기초한 산림 관리의 개념은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도 적용되었지만,[18] 성공 정도는 다양했습니다.19세기 동안 황무지는 두려움의 장소가 아니라 즐기고 보호하는 장소로 여겨졌고, 그래서 19세기 후반에 자연보호운동이 일어났다.하천은 뗏목을 타고 산을 오르는 것은 단지 휴식을 위한 것이지 지리적 맥락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1861년 예술가들의 강도 높은 로비에 이어 프랑스 워터스 앤 포레스트 군사청은 퐁텐블로 국유림에 "예술가 보호구역"을 설정했습니다.총 1,097 헥타르로 세계 최초의 [citation needed]자연보호구역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 보존
1940년대 후반 대영제국이 아프리카에서 해체될 당시 지구 보존은 이슈가 되었다.영국은 그곳에 거대한 야생동물 보호지역을 세웠다.이전과 같이, 보존에 대한 관심은 경제적인 동기가 있었습니다: 이 경우, 큰 사냥감입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전세계적으로 야생동물 보존을 위한 넓은 공간을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을 증가시켰다.1961년에 설립된 세계야생생물기금(WWF)은 세계에서 [8]가장 큰 자연보호단체 중 하나로 성장했다.
초기 자연보호론자들은 미래 세대의 즐거움과 사용을 위해 자연적이고 독특한 땅을 보존하기 위해 인간 활동에 경계를 설정할 수 있는 법적 메커니즘의 창설을 지지했다.이 야생 사상의 심오한 변화는 1964년 야생보호법이 통과되면서 미국에서 정점에 도달했다. 이 법은 미국 국유림의 일부를 "야생보호구역"으로 지정하도록 허용했다.1975년 동부 자연보호구역법과 같은 유사한 법률이 뒤따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 보호를 위한 이니셔티브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환경보전 이니셔티브를 통해 열대우림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다.캐나다의 한대 산림 보존 프레임워크와 같은 야생 지역을 보존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도 있다.프레임워크는 캐나다 북부의 [19]6백만 평방 킬로미터의 한대 숲의 50%를 보존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세계야생동물기금 외에도 야생동물보호협회, WILD 재단, 자연보호단체, 국제자연보호단체, 야생동물협회(미국) 등 많은 단체들이 이러한 보존 노력에 적극적이다.
21세기는 야생의 사상과 이론의 또 다른 작은 변화를 목격했다.단순히 땅 주위에 선을 긋고 그것을 황무지로 선언하는 것이 반드시 황무지로 만드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제 이해되고 있다.모든 풍경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고, 황무지 밖에서 일어나는 일은 확실히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일에 영향을 미친다.예를 들어, LA와 캘리포니아 센트럴 밸리에서 발생하는 대기 오염은 컨 캐니언과 세쿼이아 국립공원에 영향을 미칩니다.국립공원은 수 마일에 걸친 "황무지"를 가지고 있지만, 공기는 계곡에서 나오는 오염으로 가득 차 있다.이것은 21세기 야생 사상의 핵심 쟁점인 황무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역설을 불러일으킨다.
국립공원
19세기부터 시작된 국립공원의 조성으로 특히 매력적이고 주목할 만한 지역들이 보존되었지만, 상업, 라이프스타일, 레크리에이션의 추구와 인구 증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손길이 닿지 않은 지역들에 대한 인간의 수정이 계속되어 왔다.그러한 인간의 활동은 종종 토종 동식물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이와 같이, 중요한 서식지를 더 잘 보호하고 영향이 적은 레크리에이션 기회를 보존하기 위해, 미국을 시작으로 많은 국가에서 "야생"의 법적 개념이 확립되었다(아래 참조).
최초의 국립공원은 1872년 [20]3월 1일 미국 대통령 율리시스 S. 그랜트에 의해 법으로 서명된 옐로스톤이었다.헌납법은 옐로스톤을 "미국의 법에 따라 정착, 점거 또는 판매에서 유보 및 철수하고,[21] 국민의 이익과 즐거움을 위해 전용 또는 쾌적한 장소로 지정"한 땅이라고 선언했다.
국립공원이 한 지역에 세워졌을 때, 그곳에 살고 있던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강제 퇴거당했고, 그래서 공원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22]사람이 없어도 자연을 볼 수 있었다.국립공원은 인간이 손대지 않은 지역으로 보여집니다. 실제로는 인간이 존재했을 때, 정착민들이 들어와 국립공원을 [22]만들기 위해 그들의 땅에서 쫓겨나기 전까지 말입니다.그 개념은 정착민들이 오기 전에 미국은 사람이 살지 않는 [22]풍경이었다는 생각을 미화한다.이것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현실과 그들의 땅과의 관계,[22] 그리고 그들이 지형을 형성하는데 있어 가졌던 역할을 지웁니다.이러한 삭제는 역사적으로 점령되지 않은 미국 지역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하며, 다시 한번 아메리카 원주민의 존재와 [22]그 땅에 대한 그들의 관계를 지웁니다.옐로스톤, 그랜드캐니언, 요세미티의 경우 미국 정부의 '보존'이 이 지역에 살던 원주민들을 체계적으로 [22]이주시킨 원인이었다.
역사학자 마크 데이비드 스펜스는 글레이셔 국립공원과 그곳에 사는 블랙피트 사람들의 사례가 그러한 [22]삭제의 완벽한 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Blackfeet 사람들은 이 지역에 대한 권리를 구체적으로 지정했지만 1910년 Glacier National Park 법으로 그러한 권리를 [22][17]무효화했다.땅을 '보존'하는 행위는 특히 [22]블랙피트 사람들의 배척과 관련이 있다.Blackfeet 사람들의 지속적인 저항은 많은 다른 [17][22]부족들에게 그 지역의 중요성에 대한 문서를 제공해 왔다.그 지역은 Blackfeet [22]사람들의 고향이다.
세계에서 두 번째 국립공원인 로열 국립공원은 [23]호주 시드니에서 남쪽으로 32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1879년에 설립되었습니다.
미국의 국립공원 개념은 1885년 캐나다 태평양 횡단 철도가 건설되는 동시에 밴프 국립공원을 만든 캐나다에서 곧 인기를 끌었다.이 공원들과 다른 공원들의 조성은 야생 자연에 대한 점차적인 감상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현실도 보여주었다.그 철도는 사람들이 서쪽으로 여행하도록 유인하고 싶었다.밴프와 옐로스톤과 같은 공원은 철도가 북미의 "위대한 야생 공간"으로 여행한다고 광고하면서 인기를 얻었다.야외활동가 테디 루즈벨트가 미국의 대통령이 되었을 때, 그는 미국 국립공원 제도를 확대하기 시작했고, 국립 숲 [8]제도를 확립했다.
1920년대까지, "황무지"를 경험하기 위해 기차를 타고 북미를 횡단하는 것은 매우 인기 있게 되었다.이것은 밴프 스프링스 호텔과 샤토 레이크 루이스와 같은 훌륭한 호텔들을 건설하면서 캐나다의 몇몇 국립공원의 상업화를 이끌었다.
비슷한 이름에도 불구하고,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국립공원은 다른 많은 나라의 국립공원과 상당히 다르다.대부분의 다른 나라들과 달리, 잉글랜드와 웨일즈에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는 것은 종종 경관의 필수적인 부분인 상당한 정착지와 인간의 토지 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국립공원 내 토지는 대부분 개인 소유로 남아 있다.각 공원은 자체 국립공원 당국에 의해 운영된다.
미국의 국립공원을 통한 자연보호에 [24]관한 철학은 다른 나라에서도 시도되고 있다.그러나, 그 나라에 사는 사람들은 미국 사람들과는 다른 황무지를 둘러싼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24] 미국의 황무지의 개념은 세계의 다른 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다.인도는 더 인구밀도가 높고 오랫동안 [24]정착되어 왔다.농업 사회와 [24]황무지 사이에는 복잡한 관계가 있다.이것의 한 [24]예는 인도의 Project Tiger 공원이다.인간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지역을 주장함으로써, 땅은 가난한 사람들의 손에서 [24]부자로 옮겨간다.호랑이 보호구역 지정은 그 [24]지역의 계획에 관여하지 않은 가난한 사람들을 대체함으로써만 가능하다.이러한 상황은 사람과 그들이 [24]살고 있는 땅 사이의 이미 존재하는 관계보다 황야의 이상을 우선시한다.제국주의적 자연이상을 다른 나라에 두는 것으로써,[24] 땅을 일구어 사는 사람들의 삶보다 황무지를 재건하려는 열망이 우선시되고 있다.
20세기 미국의 보존 및 보존
19세기 후반까지, 많은 나라에서 야생 지역이 사라졌거나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이러한 깨달음은 부분적으로 존 버로스, 알도 레오폴드, 존 뮤어 같은 작가와 활동가들과 미국 대통령 테디 루즈벨트와 같은 정치인들의 노력으로 미국에서 환경보호 운동을 일으켰다.
자연을 위해 자연을 보호한다는 생각은 1930년대에 알도 레오폴드와 같은 미국 작가들과 함께 "토지 윤리"를 요구하며 야생 보호를 촉구하면서 더 많은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야생 공간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 점점 분명해졌고 그들을 구하기 위한 결정적인 조치가 필요했다.자연 보호는 깊은 생태학의 중심이다; 인간의 [25]필요에 대한 도구적 효용에 관계없이 모든 생물의 고유한 가치를 믿는 철학이다.
20세기 초까지 미국 환경운동 내에 두 개의 다른 집단, 즉 환경보호론자들과 환경보호론자들이 생겨났다.자연보호론자들 사이의 초기 합의는 나중에 자연보호론자로 불리게 되는 "유틸리티적 자연보호론자"와 "미적 자연보호론자" 또는 자연보호론자로 불리게 되었다.전자의 주요 대표자는 미국 산림청의 초대 서장인 기포드 핀콧으로, 그들은 자연을 적절히 이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반면, 자연 보호론자들은 자연을 사용하지 [18]않는 것을 추구했다.다른 말로 하자면, 보존은 인간의 사용을 규제하는 반면 보존은 인간의 영향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추구했다.1960~70년대 미국의 공공용지 관리는 산림청을 중심으로 한 자연보호주의자와 공원보호주의자로[26] 이루어진 이중적 비전을 반영하였다
정식 야생 지정
국제
세계자연보전연맹은 황무지를 1a와 1b의 [27]두 단계로 분류한다.
최근 세계유산협약이 자연유산을[28] 보다 잘 보호하고 자연유산 선정기준에 자연유산이라는 단어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48개국은 IUCN 보호지역 관리 카테고리 1b 사이트로서 다른 IUCN 지정과 중복되지 않는 법률 지정에 의해 설정된 야생지역을 가지고 있다.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호주, 오스트리아, 바하마, 방글라데시, 버뮤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츠와나, 캐나다, 케이맨 제도,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쿠바, 체코, 콩고민주공화국, 덴마크, 도미니카공화국, 적도기니,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령 기아나, 그린란드, 인도,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마셜 제도, 멕시코, 몽골, 네팔, 뉴질랜드, 노르웨이, 북마리아나 제도, 포르투갈, 세이셸, 세르비아, 싱가포르,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리랑카, 스웨덴, 탄자니아, 미국, 짐바브웨.국제자연보호연맹(IUCN)에 등록된 해양 및 육지 야생지역은 2,992곳이다.[29]
22개의 다른 나라들이 황무지를 가지고 있다.이들 황무지는 보호구역 내의 황무지 구역 또는 행정지정을 통해 설정된다.상기 목록에는 카테고리 1b 사이트 전용으로 지정된 황무지가 있는 국가가 포함되어 있지만, 아래 목록에는 카테고리 1b를 포함한 복수의 관리 카테고리가 있는 보호지역이 포함되어 있는 나라도 있다.아르헨티나, 부탄, 브라질, 칠레, 온두라스, 독일, 이탈리아, 케냐, 말레이시아, 나미비아, 네팔, 파키스탄, 파나마, 페루, 필리핀, 러시아 연방, 남아프리카, 스위스, 우간다, 우크라이나, 영국, 그리고 북아일랜드, 베네수엘라, [29]잠비아가 그것이다.
독일.
생물 다양성에 관한 독일 국가 전략은 2020년까지 지상 영토의 2%에2 황무지역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그러나 독일의 보호 야생 지역은 현재 전체 지상 면적의 0.6%에 불과하다.독일은 자연 그대로의 경관이 없다면 국립공원(IUCN Category II)을 자연보호구역으로 [30]간주한다.정부는 16개 국립공원의 전 지역을 황무지로 간주하고 있다.즉, 관리 대상 부품도 "기존" 0.6%에 포함됩니다.독일이 시간 의존적인 양적 목표를 놓칠 것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나쁜 지정 관행을 지적하는 일부 비판론도 있다.프로세스 기반 자연보호와 2% 목표가 보다 표적화된 지역 지정, 전처리 및 초식동물의 도입에 의해 더욱 검증될 수 있는 교란 생태학 연구 결과는 널리 [31]무시되고 있다.정부는 2019년부터 10미오에 의해 황무지로 지정되는 토지 헐값 매입을 지원한다.연간 유로화.[32]독일의 황무지 후보지의 최소 크기는 보통 10km이다2.경우에 따라(예: 늪) 최소 크기는 5km이다2.[33]
핀란드
핀란드 북부 라플란드에 있는 사미 원주민 지역에는 12개의 황무지가 있습니다.그들은 그 지역의 황야성을 보존하고 사미족의 전통적인 생계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이는 예를 들어 가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순록의 사육, 사냥 및 목재를 가져가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개체수가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이것은 일반적으로 자연에 큰 위협이 되지 않습니다.대규모 순록 사육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만, 황무지에 대한 법으로 인한 변화는 없다.WCPA(World Commission on Protected Area)는 이 지역을 "자연자원의 지속 가능한 사용이 가능한 VI 보호 지역"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1861년 이후, 프랑스 수상 및 산림 군사청은 퐁텐블로 국유림의 예술적 보호구역이라고 불리는 곳에 강력한 보호를 가했다.총 1,097 헥타르로 세계 최초의 자연보호구역으로 알려져 있다.
그 [34]후 1950년대에 통합 생물 보호구역(Réserves Biological Reserves Intégrales, RBD)은 취약한 종이나 위협받는 서식지를 보존하기 위해 특정 관리가 적용되는 관리 생물 보호구역(Réserves Biologiques Dirigées, RBD)과 달리 인간이 없는 생태계 진화에 전념한다.
통합 생물 보호 구역은 프랑스 국유림 또는 도시 숲에서 발생하므로 국립 산림 사무소에 의해 관리된다.이러한 보호구역에서는 외래종 제거 또는 방문객의 쓰러진 나무 위험을 피하기 위한 선로 안전 작업을 제외하고 모든 수확 쿠페가 금지된다(보호구역 내 또는 가장자리에 이미 존재하는 선로).
2014년 [35]말 프랑스 국유림에는 총 면적 111,082ha, 도시림에는 총 2,835ha의 통합 생물 매장량이 있다.
그리스
그리스에는 그리스 정부의 보호를 받는 "에트니키 드리모이"라고 불리는 공원이 있다.이러한 공원에는 올림푸스, 파르나소스, 파르니타 국립공원이 포함된다.
뉴질랜드
1980년 국립공원법과 1987년 자연보호법에 의해 정의된 뉴질랜드에는 IUCN의 정의에 잘 부합하는 7개의 자연보호구역이 있다.자연보호지역은 인간의 개입이 불가능하고 보존관리전략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토종을 다시 유입시킬 수 있다.
뉴질랜드의 황무지는 자연성이 [36]높은 외딴 땅덩어리이다.1987년 보존법은 차량과 가축의 접근, 선로와 건물의 건설, 모든 토착 천연자원의 [37]보호를 금지하고 있다.그것들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38]400킬로미터가2 넘는다.
현재 서해안에는 아담스 황야 지역, 후커/랜즈버러 황야 지역, 파파로아 황야 지역 [39]등 3개의 황야 지역이 있습니다.
미국
미국에서 황야지역은 의회의 법률에 의해 지정된 연방 토지 지역입니다.이것의 [40]크기는 보통 최소 5,000에이커(약2 8mi 또는2 20km)이다.야생 지역에서의 인간 활동은 과학적 연구와 비기계적 레크리에이션으로 제한된다. 말은 허용되지만 자동차와 자전거와 같은 기계화된 차량과 장비는 허용되지 않는다.
미국은 1964년 야생화법을 통해 토지를 공식적으로 "야생"으로 지정한 첫 번째 국가 중 하나였다.자연보호법은 자연보호의 법적 정의를 만들고 국가자연보호제도를 확립했기 때문에 자연보호의 중요한 부분이다.야생화법은 황무지를 "지구와 그 삶의 공동체가 인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41] 인간 자신이 남아있지 않은 방문객인 지역"으로 정의한다.
자연보호 지정은 개발을 금지하고 비기계적 휴양만을 제공함으로써 토지의 자연 상태를 보존하고 동식물을 보호한다.
미국에서 행정적으로 보호되는 첫 번째 야생 지역은 길라 국립 숲이었다.1922년 당시 미국 산림청의 고위 멤버였던 알도 레오폴드는 길라 국유림을 위한 새로운 경영 전략을 제안했다.그의 제안은 1924년에 채택되었고, 75만 에이커의 길라 국유림이 길라 [42]황무지가 되었다.
뉴저지에 있는 그레이트 스웜프는 미국에서 공식적으로 지정된 최초의 야생보호구역이었다.1960년 11월 3일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선포되었다.1966년에는 국립자연기념물로 선포되었고 1968년에는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늪에 있는 부동산은 이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소그룹에 의해 취득되었으며, 그들은 영구적인 보호를 위해 연방 정부에 공원으로서 조립된 부동산을 기증했다.현재 대피소는 [43]맨해튼에서 30마일 이내에 있는 7,600에이커(31km2)에 이른다.
원래 야생지정은 "원시적 특성"을 유지하는 연방 토지에 대해 부여되었지만, 1975년 동부 야생지법은 NWPS의 보호를 처음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던 동부 주에 있는 지역으로 확대했다.야생동물 보호법에서요이 법은 크기, 도로 없음, 인간의 영향 등의 제약을 충족하지 못하는 토지를 [44]보존을 통해 원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는 믿음 아래 황무지로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미국에서는 약 107,500,000에이커(435,000km2)가 황무지로 지정되어 있습니다.이는 미국 전체 국토 면적의 4.82%를 차지한다. 그러나 알래스카에서 발견된 양은 54%(알래스카 황무지의 재생과 개발은 종종 덜 제한적임)인 반면, 미국 하부의 2.58%만이 황무지로 지정되어 있다.2019년 현재 미국에는 5에이커(20,000m2)의 플로리다 펠리컨 섬에서 907만8675에이커(36,740.09km2)의 알래스카 주 랭겔-세인트 엘리아스까지 크기가 803개의 지정된 야생 지역이 있다.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서호주에서 [45]황무지는 황무지의 품질 등급이 12 이상인 지역으로 온대지역에서는 80km2, 건조지역과 열대지역에서는 200km의2 최소 크기 임계값을 충족한다.자연보호구역은 1984년 「보존 및 토지관리법」 제62조 (1)(a)에 따라 장관이 호주 서부의 보전위원회에 귀속된 토지에 관보한다.
국제 운동
국제 자연보호운동의 선두에는 WILD Foundation, 설립자 Ian Player 및 전 세계 자매 및 파트너 단체 네트워크가 있습니다.1977년 세계야생회의(World Wildreness Congress)는 황무지 개념을 국제적인 중요 이슈로 소개하면서 생물학적, 사회적 맥락에서 이 용어를 정의하는 과정을 시작했다.오늘날, 이 작업은 여전히 World Wildness Congress를 야생의 국제적인 장소로, The WILD Foundation 네트워크를 야생의 도구와 행동을 위한 것으로 보는 많은 국제 단체들에 의해 지속되고 있습니다.WILD Foundation은 또한 야생 전문가 및 이 문제에 관련된 다른 사람들을 위한 표준 참고 자료를 발행합니다.야생 환경 관리: 자원과 가치의 책임과 보호, 국제 황야 저널, 국제 황야법과 자연보호 정책에 관한 핸드북은 국제 황야 문제에 대한 정보와 관리 도구의 중추입니다.
국제자연보호연합(IUCN)의 세계보호구역위원회(WTF/WCPA) 내 야생 전문가 그룹은 국제 수준에서 야생에 대한 법적 및 관리 지침을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한 [46]야생 문제에 대한 정보 수집소이기도 합니다.IUCN 보호지역 분류시스템은 황무지를 "영구적이거나 중대한 거주 없이 자연적 특성과 영향을 유지하는 넓은 지역"으로 정의하며, 자연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 보호되고 관리된다(카테고리 1b).WILD Foundation은 2002년에 WTF/WCPA를 설립해, 공동 의장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도
황무지를 지도화하기[47] 위한 가장 최근의 노력은 현재 세계 황무지의 1/4 미만이 남아 있으며, 지난 20년 동안 황무지가[48] 재앙적으로 감소했음을 보여준다.300만 평방 킬로미터 (10%) 이상의 황무지가 인간의 토지 이용으로 전환되었다.아마존과 콩고의 열대우림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인간의 압력이 지구의 [49]거의 구석구석까지 뻗치고 있다.야생의 손실은 생물 다양성 보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onservation International이 실시한 이전 연구인 Wildness: Earth's Last Wild Places에 따르면, 세계 육지의 46%가 황무지다.이 보고서의 목적을 위해, "야생"은 "원래 식생의 70% 이상이 온전하고, 최소 10,000 평방 킬로미터(3,900 평방 미터)를 덮고 있고, 평방 킬로미터 [50]당 5명 미만이 있어야 하는" 지역으로 정의되었다.그러나 2003년에 발표된 IUCN/UNEP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세계 육지의 10.9%만이 1등급 보호구역, 즉 엄격한 자연보호구역(5.5%) 또는 보호 야생지역(5.4%)[51]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그러한 지역은 비교적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물론 국립공원과 다른 보호지역에는 황무지가 될만한 넓은 지역이 있다.하지만, 많은 보호 구역들은 어느 정도 인간의 변화나 활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황무지에 대한 확실한 추정은 어렵습니다.
야생동물보호협회는 많은 지표들을 사용하여 인간의 발자국을 만들어 냈는데, 이 지표들의 부재는 야생성을 나타낸다: 인구 밀도, 도로와 강을 통한 인간의 접근, 농업과 정착을 위한 인간 인프라, 그리고 산업 동력(우주에서 보이는 빛)의 존재.이 학회는 지구 육지의 26%가 "마지막 야생"의 범주에 속한다고 추정한다.세계에서 가장 야생인 지역은 북극 툰드라, 시베리아 타이가, 아마존 열대우림, 티베트 고원, 호주 내륙과 사하라 사막, 고비 [52]사막입니다.하지만 1970년대부터 아마존 열대우림의 삼림 파괴된 땅에서 수많은 지구 그림들이 발견되어 콜럼버스 이전 [53][54]문명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BBC의 Natural Histories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자연 그대로의 황무지가 아니라 숲의 정원 가꾸기와 테라 프레타 [55]같은 관행을 통해 최소 1만1000년 동안 인간이 만들어 왔다고 주장했다.
지정된 황무지의 비율이 반드시 생물 다양성의 척도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마지막 자연 황야 지역 중, 대부분이 황야인 타이가 지역은 [56]북반구 전체 국토 면적의 11%를 차지한다.열대우림은 세계 육상기지의 [57]7%를 차지한다.지구의 남은 황무지에 대한 추정치는 이러한 땅이 개발되는 속도를 강조하며, 그 결과 생물 다양성의 급격한 감소로 이어집니다.
비평
미국의 야생에 대한 개념은 일부 자연 작가들에 의해 비판을 받아왔다.예를 들어, 윌리엄 크로논은 그가 야생 윤리나 컬트라고 부르는 것이 "우리가 그런 초라한 장소와 경험을 무시하거나 심지어 경멸하도록 가르칠 수 있다"며 "황무지는 "초라한 [58]늪보다 더 영감을 주는 거대한 협곡"을 예로 들며 자연의 일부에 특권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고 쓰고 있다.이것은 거의 모든 미국 국립 공원이 화려한 협곡과 산을 보존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그리고 1940년대에 이르러서야 늪이 국립공원이 되었습니다. 에버글레이즈입니다.20세기 중반 국립공원은 단순히 매력적인 경치가 아닌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시작했다.
크로논은 또한 황무지를 구하는 열정이 "책임감 있는 환경주의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으며, 그것은 사람들이 "도시 산업 문명에 살고 있는 한에서 우리가 실제로 이끄는 삶에 대한 책임을 회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쓰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의 진짜가 우리 스스로에게 말하는 것처럼.집은 황무지에 있다.[58]
마이클 폴란은 야생 윤리가 사람들로 하여금 야생성이 절대적이지 않은 지역을 무시하게 만든다고 주장해왔다.폴란은 그의 저서 '제2의 자연'에서 "일단 풍경이 더 이상 '처녀'가 되지 않게 되면 그것은 전형적으로 타락하고 자연에 빼앗기고 구제할 [59]수 없는 것으로 치부된다"고 쓰고 있다.전통적인 황무지에 대한 또 다른 도전은 로버트 윙클러의 저서 "Going Wild: Adventures with the Birds in the Nurban Wilderness"에서 비롯되었다."근교의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을 산책하면서, 나는 우리가 진정한 [60]황무지를 연상시키는 것과 같은 야생 생물, 생존을 위한 투쟁, 그리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목격했다"고 윙클러는 쓰고 있다."야생"과 인간의 다양한 영향 수준을 구별하려는 시도가 펜실베니아 풍경 강 법에서와 같이 행해지고 있다. 법에서 "야생 강"은 "저수되지 않음", "보통 오솔길 이외에는 접근할 수 없음", 그리고 그 분수령과 해안선은 "본질적으로 [61]원시적"이다.
자연보호구역 지정 기준이 모호하고 해석의 여지가 있다는 점도 비판의 대상이다.예를 들어, 황무지법은 황무지에는 도로가 없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도로 없는 도로의 정의는 "비교적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62]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기계적 수단으로 개선되고 유지된 도로의 부재"이다.그러나, 본질적으로 이 표준을 불명확하게 만들고 해석의 여지가 있는 하위 정의가 추가되었으며, 일부는 기존 도로를 좁게 제외하려고 한다.
다른 방향에서 나온 심층 생태학 운동의 비난을"황무지 예약"을 갖춘 일부에게 모순 어법으로 느껴지후항을 보는"황무지"을 융합을 반대한 인간의 생각 법이, 불가피하게 인간 통제의 황무지를 정의하는 바로 자유와 독립 voids 본질은 정의할 수 있도록 하여.[63]진정한 황무지는 인간의 간섭이 [64]적은 생명체의 능력을 필요로 한다.인류학자이자 황무지에 대한 학자인 라일라 압델 라힘은 황무지의 상호 원조와 다양화의 경제를 지배하는 원리를 비인류 중심적인 [65]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다른 사람들은 자연환경에 대한 원주민들의 관점을 무시하고 환경과의 인간 상호작용에 대한 이야기에서 유색인종을 배제하면서, 미국의 황무지의 개념이 백인 우월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비판해왔다.매디슨 그랜트와 같은 많은 초기 환경보호론자들 또한 우생학 운동에 깊이 관여했다.브롱크스 동물원을 만들기 위해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과 함께 일했던 그랜트는 나중에 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칭송된 우생학에 관한 책인 The Passing of the Great Race도 썼다.그랜트는 또한 중앙아프리카 출신의 음부티 남성인 오타 벤가를 브롱크스 동물원 원숭이 [66]집 전시회에 출연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초기 자연보호운동의 또 다른 중요한 인물인 존 뮤어는 흑인들을 "큰 소음을 내고 일을 거의 하지 않는다"고 언급했고,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67]황무지에 속하지 않은 불결한 동물들에 비유했다.환경사 교수 마일즈 A.난양공과대학의 파월은 초기 보존운동의 대부분이 북유럽 [68]인종을 보존하려는 열망과 깊이 연관되어 있고 영감을 받았다고 주장했다.환경 정책과 환경 정의를 전문으로 하는 코네티컷 대학의 정치학 교수인 프라카쉬 카슈완은 많은 초기 환경 보호론자들의 인종주의적 생각이 미국 원주민들을 그들의 땅에서 몰아낸 "보위" 정책으로 이어진 황무지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냈다고 주장한다.카슈완은 원주민들이 요새 [69]보존에 대한 보다 공정하고 효과적인 대안으로 이 땅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존 관행을 제안했다.자연계가 주로 외딴 황무지로 이루어져 있다는 생각은 또한 계급주의적이라고 비판받아 왔는데, 환경 사회학자 도세타 테일러는 이것이 노동자 계층이 종종 황무지로 가는 교통비를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황무지를 경험하는 것이 특권이 된다고 주장했다.그녀는 또한 가난과 시스템적 인종차별에 의한 교통수단의 부족으로 인해 이러한 인식은 [70]인종차별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과 자연의 이분법
황무지에 대한 또 다른 비판은 그것이 인간 본성의 이분법을 지속시킨다는 것이다.자연과 인간은 별개의 존재라는 생각은 유럽의 식민지 관점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유럽 정착민들에게 토지는 상속된 권리였고 이윤을 [71]얻기 위해 사용되어야 했다.원주민 집단은 토지와의 관계를 보다 총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지만, 결국 그들은 유럽의 재산 [72]시스템에 종속되었다.유럽에서 온 식민지 주민들은 미국의 풍경을 야생, 야만, 어둠 등으로 보고, 안전하고 거주할 수 있도록 길들여질 필요가 있었다.일단 개간되고 정착되면, 이 지역들은 "에덴 그 자체"[73]로 묘사되었다.그러나 그 땅의 원주민들은 "황무지"를 인간과 자연의 연결이 [74]끊어졌을 때 그렇게 보았다.원주민들에게 인간의 개입은 생태학적 관행의 일부였다.
황무지는 보호되기 위해 길들여져야 할 뿐만 아니라 인간도 [75]황무지의 바깥쪽에 있어야 한다는 역사적 믿음이 있다.국립공원과 같은 보존을 위해 특정 지역을 청소하기 위해 그들의 [73]땅에서 원주민 공동체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했다.몇몇 작가들은 이러한 종류의 보존을 인간과 자연이 분리되는 보존으로 묘사하게 되었다.보존 스펙트럼의 다른 한쪽 끝은 [75]자연보호에 통합된 인간의 토착 생태학적 관행을 모방하는 보존에 가까울 것이다.
대부분의 과학자들과 자연보호론자들은 지구상의 어떤 장소도 원주민들의 과거 점령이나 기후 변화나 오염과 같은 세계적인 과정 때문에 완전히 인류의 손길이 닿지 않았다는 것에 동의한다.화재 진압과 동물 이동의 중단과 같은 특정 황무지의 경계에서의 활동도 황무지의 내부에 영향을 미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알도 레오폴드
- 모험 여행
- 바이오매스
- 바이오매스(생태학)
- 바이오프로덕트
- 캠핑
- 보존 운동
- 삼림 벌채
- 생태 풋프린트
- 환경 교육
- 숲
- 지질학
- 지구 온난화
- 하이킹.
- 온전한 숲 풍경
- 존 뮤어 평생 공로상
- 토지 이용
- 라스트 오브 더 와일드
- 흔적을 남기지 않다
- 미국의 황무지 목록
- 환경 보호론자 목록
- 밥 마셜
- 국립 야외 리더십 스쿨
- 국립 자연 보전 제도
- 미국 야생동물 잡지
- 아메리카 원주민의 화기 사용
- 자연경관
- 노생림
- 야외교육
- 영구림
- 행성 거주 가능성
- 보호 구역
- 야생어업
- 와일드 크래프트
- 야생화법(1964년)
- 야생 요법
- 자연보호구역(보호구역 관리분류)
- Terra nullius – 주권국가의 대상이 된 적이 없는 영토를 뜻하는 국제법 용어
레퍼런스
- ^ {title web title = National Weather Service url = https://w1.weather.gov/glossary/index.php?letter=w}
- ^ "What is a Wilderness Area". The WILD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December 2012. Retrieved 20 February 2009.
- ^ Allan, James R.; Venter, Oscar; Watson, James E.M. (12 December 2017). "Temporally inter-comparable maps of terrestrial wilderness and the Last of the Wild". Scientific Data. 4 (1): 170187. Bibcode:2017NatSD...470187A. doi:10.1038/sdata.2017.187. PMC 5726312. PMID 29231923.
- ^ Watson, James E.M.; Shanahan, Danielle F.; Di Marco, Moreno; Allan, James; Laurance, William F.; Sanderson, Eric W.; Mackey, Brendan; Venter, Oscar (November 2016). "Catastrophic Declines in Wilderness Areas Undermine Global Environment Targets". Current Biology. 26 (21): 2929–2934. doi:10.1016/j.cub.2016.08.049. PMID 27618267.
- ^ Jones, Kendall R.; Klein, Carissa J.; Halpern, Benjamin S.; Venter, Oscar; Grantham, Hedley; Kuempel, Caitlin D.; Shumway, Nicole; Friedlander, Alan M.; Possingham, Hugh P.; Watson, James E.M. (August 2018). "The Location and Protection Status of Earth's Diminishing Marine Wilderness". Current Biology. 28 (15): 2506–2512.e3. doi:10.1016/j.cub.2018.06.010. PMID 30057308.
- ^ Daniel B의 No Man's Garden.봇킨 p155-157
- ^ 중국 브러시 페인팅 2006년 5월 26일 Wayback Machine Asia-art.net에서 아카이브: 2006년 5월 20일 취득.
- ^ a b c d 자연을 위한 BC 공간 보존의 역사.취득일 : 2006년 5월 20일
- ^ a b Kirchhoff, Thomas/Vicenzotti, Vera 2014: 유럽의 자연에 대한 인식에 대한 역사적, 체계적인 조사.환경 가치 23(4): 페이지 443~464, 페이지 446, doi: (10.3197/096327114X13947900181590)
- ^ 버넷, 토마스 [1681]1719:'지구의 신성한 이론'입니다.모든 것이 소멸될 때까지 이미 겪었거나 겪어야 할 지구의 원초와 모든 일반적인 변화에 대한 설명을 포함합니다.포스 에디션런던, 후크. https://archive.org/details/sacredtheoryofea01burn.
- ^ Nash, Roderick Frazier [1967] 2014: Wildness and the American Mind.제5판뉴헤이븐&런던, 예일대학교 출판부/예일 노트베네, 페이지 9
- ^ a b c d e f g Roderick, Nash (1973). Wilderness and the American mind. Yale University Press. OCLC 873974940.
- ^ a b 호건, L. (1994년)내무부입니다.P. Foster (Ed.)에서 몸을 돌본다.
- ^ a b c 던바 오르티즈, R. (2014년)미국 원주민의 역사.비콘 프레스
- ^ 심슨, L. B. (2017).교육학으로서의 토지.지금까지와 같이:급진적 저항을 통한 원주민의 자유 (145-174쪽).미네소타 대학 출판부https://doi.org/10.5749/j.ctt1pwt77c.12
- ^ a b c d e 스튜어트, O.C., 루이스, H.T. 및 앤더슨, K. (2002)잊혀진 화재: 아메리카 원주민과 일시적인 황무지다.Norman:오클라호마 대학 출판부
- ^ a b c 칸토르, I. (2007)인종청소와 미국의 국립공원 조성.공공토지 및 자원법 검토, 28, 41-64.
- ^ a b 아카마니 K. (nd)"야생지 아이디어: 비판적 리뷰"2016년 8월 30일 Wayback Machine A Better Earth.org에서 보관.취득일 : 2006년6월 1일
- ^ Canadian Boreal Initiative Boreal Forest Conservation Framework 2007년 12월 8일 Wayback Machine에 보관.www.borealcanada.ca 취득일: 2007년 12월 1일.
- ^ 망간, E. 옐로스톤, 제1국립공원도서관, 국립공원 지도 제작취득일 : 2010-08-12.
- ^ "The Magic of Yellowstone". Congressional Acts Pertaining to Yellowstone. Retrieved 7 December 2011.
- ^ a b c d e f g h i j k Spence, Mark David (July 1996). "Crown of the Continent, Backbone of the World: The American Wilderness Ideal and Blackfeet Exclusion from Glacier National Park". Environmental History. 1 (3): 29–49. doi:10.2307/3985155. JSTOR 3985155. S2CID 143232340.
- ^ 뉴사우스웨일스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관리국, "공원 및 보호구역: 로열 국립공원"은 2006년 8월 20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되었습니다.2011년 12월 6일에 액세스.
- ^ a b c d e f g h i 구하, 라마찬드라.'과격한 미국 환경보호와 야생보호: 제3세계 비평'(1997년).자연의 미래뉴헤이븐: 예일대, 2017년. 409-32.웹.
- ^ John Barry; E. Gene Frankland (2002).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Politics. Routledge. p. 161. ISBN 9780415202855.
- ^ Young, Raymond A. (1982). Introduction to Forest Science. John Wiley & Sons. pp. 20–21. ISBN 978-0-471-06438--1.
- ^ Locke, H.; Ghosh, S.; Carver, S.; McDonald, T.; Sloan, S.S.; Merculieff, I.; Hendee, J.; Dawson, C.; Moore, S.; Newsome, D.; McCool, S.; Semler, R.; Martin, S.; Dvorak, R.; Armatas, C.; Swain, R.; Barr, B.; Krause, D.; Whittington-Evans, N.; Hamilton, L.S.; Holtrop, J.; Tricker, J.; Landres, P.; Mejicano, E.; Gilbert, T.; MacKey, B.; Aykroyd, T.; Zimmerman, B.; Thomas, J. (2016). Wilderness protected areas: Management guidelines for IUCN category 1b protected areas. doi:10.2305/IUCN.CH.2016.PAG.25.en. ISBN 9782831718170.
- ^ Allan, James R.; Kormos, Cyril; Jaeger, Tilman; Venter, Oscar; Bertzky, Bastian; Shi, Yichuan; Mackey, Brendan; van Merm, Remco; Osipova, Elena; Watson, James E.M. (February 2018). "Gaps and opportunities for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to contribute to global wilderness conservation". Conservation Biology. 32 (1): 116–126. doi:10.1111/cobi.12976. PMID 28664996. S2CID 28944427.
- ^ a b "The World Database on Protected Areas (WDPA)". IUCN and UNEP-WCMC. 2016.
- ^ Brackhane, Sebastian; Schoof, Nicolas; Reif, Albert; Schmitt, Christine B. (2019). "A new wilderness for Central Europe? — the potential for large strictly protected forest reserves in Germany". Biological Conservation. 237: 373–382. doi:10.1016/j.biocon.2019.06.026. S2CID 199641237.
- ^ Schoof, Nicolas; Luick, Rainer; Nickel, Herbert; Reif, Albert; Förschler, Marc; Westrich, Paul; Reisinger, Edgar (2018). "Biodiversität fördern mit Wilden Weiden in der Vision "Wildnisgebiete" der Nationalen Strategie zur biologischen Vielfalt". Natur und Landschaft. 93 (7): 314–322.
- ^ "Deutschland wird wilder: Neues Förderinstrument Wildnisfonds startet - BMU-Pressemitteilung". bmu.de (in German). Retrieved 19 August 2019.
- ^ Opitz, Stefaie; Reppin, Nicole; Schoof, Nicolas; Drobnik, Juliane; Riecken, Uwe; Mengel, Andreas; Reif, Albert; Rosenthal, Gert; Finck, Peter (2015). "Wildnis in Deutschland: Nationale Ziele, Status Quo und Potenziale". Natur und Landschaft. 90: 406–412.
- ^ 1995년과 1998년 프랑스 산림법 제212조의2의 마지막 단락의 적용에 관한 국유림국 내부 지침
- ^ "L'ONF". 30 October 2018.
- ^ "Wilderness Areas". New Zealand Tramper. Retrieved 28 November 2018.
- ^ New Zealand Government (1987). "Conservation Act 1987 Part 4, Section 20". New Zealand Government. Retrieved 2 October 2008.
- ^ Molloy, Les. "Specially protected areas". Te Ara -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 ^ "NZGB Gazette". linz.govt.nz. Land Information New Zealand.
- ^ 미국 국립공원관리국 - 와일드니스 - 포트 풀라스키 국립기념물 https://www.nps.gov/fopu/learn/nature/wilderness.htm
- ^ "Wilderness Act of 1964". Wilderness.net. Retrieved 7 December 2011.
- ^ "Aldo Leopold". Prominent Figures in Wilderness History. Retrieved 7 December 2011.
- ^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국대습지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입니다.취득일 : 2008년6월 7일
- ^ 1964년 황야법.서부 노스캐롤라이나 산의 보물입니다.2010년 6월 16일에 취득.
- ^ 보존 및 토지 관리 정책 성명 제62호, 황무지 및 주변 지역의 식별 및 관리
- ^ "Wilderness". IUCN. 8 February 2016. Retrieved 22 March 2017.
- ^ Allan, James R.; Venter, Oscar; Watson, James E. M. (12 December 2017). "Temporally inter-comparable maps of terrestrial wilderness and the Last of the Wild". Scientific Data. 4 (1): 170187. Bibcode:2017NatSD...470187A. doi:10.1038/sdata.2017.187. ISSN 2052-4463. PMC 5726312. PMID 29231923.
- ^ Watson, James E. M.; Shanahan, Danielle F.; Di Marco, Moreno; Allan, James; Laurance, William F.; Sanderson, Eric W.; Mackey, Brendan; Venter, Oscar (7 November 2016). "Catastrophic Declines in Wilderness Areas Undermine Global Environment Targets". Current Biology. 26 (21): 2929–2934. doi:10.1016/j.cub.2016.08.049. ISSN 0960-9822. PMID 27618267.
- ^ Venter, Oscar; Sanderson, Eric W.; Magrach, Ainhoa; Allan, James R.; Beher, Jutta; Jones, Kendall R.; Possingham, Hugh P.; Laurance, William F.; Wood, Peter; Fekete, Balázs M.; Levy, Marc A. (23 August 2016). "Sixteen years of change in the global terrestrial human footprint and implication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Nature Communications. 7 (1): 12558. Bibcode:2016NatCo...712558V. doi:10.1038/ncomms12558. ISSN 2041-1723. PMC 4996975. PMID 27552116.
- ^ 국제 자연 보호 기구(2002)의 글로벌 분석 결과 지구의 거의 절반이 여전히 황무지로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17년 11월 6일 취득.
- ^ Chape, S., S. Blyth, L. Fish, P. Fox 및 M. Spalding (컴파일러) (2003)2003년 국제 연합 보호 구역 목록IUCN(스위스, 글랜드, 캠브리지, 영국) 및 UNEP-WCMC(캠브리지, 영국) PDF.
- ^ 야생동물 보호 협회2005. State of the Wild 2006: 야생동물, 야생동물, 해양의 글로벌 초상화.워싱턴 D.C. 아일랜드 프레스, 페이지 16 & 17
- ^ Simon Romero (14 January 2012). "Once Hidden by Forest, Carvings in Land Attest to Amazon's Lost World". The New York Times.
- ^ Martti Pärssinen; Denise Schaan & Alceu Ranzi (2009). "Pre-Columbian geometric earthworks in the upper Purús: a complex society in western Amazonia". Antiquity. 83 (322): 1084–1095. doi:10.1017/S0003598X00099373. S2CID 55741813.
- ^ "Unnatural Histories - Amazon". BBC Four.
- ^ 매니토바 대학 생물역.2004년, 자주 묻는 질문들.취득일 : 2006-07-04.
- ^ 미국 열대우림 재단, 2006.자주 묻는 질문취득일 : 2006-07-04.
- ^ a b The Trouble with Wildness 2011년 9월 27일 Wayback Machine University of 위스콘신-매디슨에서 아카이브되었습니다.취득일 : 2007년1월 28일
- ^ 폴란, 마이클(2003).제2의 자연: 정원사 교육 페이지 188. 그로브 프레스.ISBN 978-0-8021-4011-1.
- ^ 윙클러, 로버트(2003).Going Wildness: 교외의 황야에서 새와 함께하는 모험 ISBN 978-0-7922-6168-1.
- ^ 펜실베니아 경치강법(P.L. 1277, 법률 제283호, 법률 110, 1982년 5월 7일 개정)
- ^ Durrant, Jeffrey O. (2007). Struggle over Utah's San Rafael Swell: Wilderness, National Conservation Areas, and National Monument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p. 43. ISBN 978-0-8165-2669-7.
- ^ Thomas Birch (1995). George Sessions (ed.). Deep Ecology for the 21st Century. Boston: Shambhala. pp. 345, 339–355. ISBN 978-1-57062-049-2.
- ^ George Sessions (1995). Deep Ecology for the 21st Century. Boston: Shambhala. pp. 323, 323–330. ISBN 978-1-57062-049-2.
- ^ Layla AbdelRahim (2015). Children's Literature, Domestication, and Social Foundation: Narratives of Civilization and Wilderness. New York: Routledge. ISBN 978-0-415-66110-2.
- ^ Jonathan Spiro (2009). Defending the Master Race : Conservation, Eugenics, and the Legacy of Madison Grant. Burlington: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ISBN 978-1-584-65715-6.
- ^ "Shades of Darkness: Race and Environmental History". 11 April 2005. Retrieved 7 February 2021.
- ^ Miles A. Powell (2016). Vanishing America : Species Extinction, Racial Peril, and the Origins of Conserva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7156-1.
- ^ "American environmentalism's racist roots have shaped global thinking about conservation". Retrieved 7 February 2021.
- ^ Dorceta E. Taylor (2016). The Rise of the American Conservation Movement: Power, Privileg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ISBN 978-0-8223-7397-1.
- ^ 21720., Opello, Walter C. (2004). The nation-state and global order :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politics. Lynne Rienner. ISBN 1-58826-289-8. OCLC 760384471.
{{cite book}}
: CS1 maint: 숫자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Park, K-Sue (2016). "Money, Mortgages, and the Conquest of America". Law & Social Inquiry. 41 (4): 1006–1035. doi:10.1111/lsi.12222. ISSN 0897-6546. S2CID 157705999.
- ^ a b William., Cronon (1996). Uncommon ground : rethinking the human place in nature. W.W. Norton & Co. ISBN 0-393-31511-8. OCLC 36306399.
- ^ Anderson, M. Kat (14 June 2005). Tending the Wil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doi:10.1525/9780520933101. ISBN 978-0-520-93310-1.
- ^ a b Claus, C. Anne (3 November 2020). Drawing the Sea Nea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doi:10.5749/j.ctv1bkc3t6. ISBN 978-1-4529-5946-7. S2CID 230646912.
추가 정보
- 브라이슨, B. (1998년)숲속을 산책하다.ISBN 0-7679-0251-3
- 카슨, S. 등 (Ed.s.(2016).자연보호구역: IUCN 카테고리 1b(자연보호구역) ISBN 978-2-8317-1817-0 관리지침
- Gutkind, L (Ed.) (2002).자연에 대하여: 위대한 야외 작가들.ISBN 1-58542-173-1
- Kirchhoff, Thomas/Vicenzotti, Vera 2014: 유럽의 자연에 대한 인식에 대한 역사적, 체계적인 조사.Environmental Values 23 (4) : 443 ~464 。
- Nash, Roderick Frazier [1967] 2014: Wildness and the American Mind.제5판뉴헤이븐&런던, 예일대 출판부/예일 노트베네.
- Oelschlaeger, Max 1991:황야의 아이디어선사시대부터 생태시대까지.뉴헤이븐 & 런던, 예일대 출판부
외부 링크


정의들
- 미국 야생지정의 상세 지도
- 황무지가 무엇인가? - 황무지의 정의와 인간 구조로서의 논의
- 야생과 아메리칸 마인드 - 로데릭 내쉬 지음
- '황야와의 트러블' 또는 윌리엄 크로논의 'Getting Back to the Wrong Nature'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