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X-6
VX-6항공 개발 6중대 | |
---|---|
![]() | |
활동적인 | 1955년 1월 17일 ~ 1999년 3월 31일 |
나라 | ![]() |
분점 | ![]() |
유형 | 테스트 및 평가 |
역할. | 물류 지원 |
일부 | 해군 항공 시스템 사령부 |
게리슨/본사 | 해군 항공 기지 퀸셋 기점 |
닉네임 | "펭귄" |
색상 | 테일 코드 XD(1955-1957) 테일코드 JD(1957-1969) |
지휘관 | |
지휘관 | CDR 에드워드 M 워드, 1955-57[1] CDR 버논 J. 콜리, 1957년[2] |
겨울 파견 담당관 | CDR Gordon K. Evbe, 1955년 6월 ~ 1956년 6월[9] LCDR 찰스 J. 매카시, 엘스워스 역 분견대, 1957-58[10] |
항공기 운항 | |
정찰 | P2V-2 넵튠, DHC-3 수달 |
운송 | R4D 다코타, R5D 스카이마스터, LC-130 허큘리스 |
에어 디벨롭먼트 6(Air Development Six, VX-6 또는 AIRDEVRON SIX)은 남극 맥머도 기지에 위치한 미국 해군 항공 개발 비행대대이다.1955년 1월 17일 메릴랜드주 해군 항공기지 패턱센트 리버에서 창설된 이 비행대의 임무는 미국 남극 프로그램의 작전 구성요소인 딥 프리즈 작전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꼬리 코드 XD를 사용하여, 비행대는 존재 과정에서 수많은 고정익 항공기와 헬리콥터를 날렸고, 그 중 대부분은 선구적인 시도였다.예를 들어, 남극 대륙과 뉴질랜드 사이의 최초의 항공 연결은 1955년에 VX-6의 남성과 항공기에 의해 확립되었다.이듬해 스키 장비 R4D 다코타 VX-6가 남극에 착륙한 최초의 항공기가 되었다.1961년, 첫 번째 긴급 한겨울 의료 대피 비행이 Byrd Station에서 크라이스트처치로 실시되었습니다.1963년, VX-6의 LC-130F 헤라클레스기는 남극 역사상 가장 긴 비행을 했다.1967년, 미 해군 LC-130F의 VX-6가 윌리엄스필드에 착륙하면서 남극으로 가는 첫 번째 예정된 겨울 비행을 마쳤다.
VX-6은 1957년 항공기의 꼬리 코드를 JD로 변경하였고 1969년 1월 1일 남극 개발 비행대 6(VXE-6)으로 재지정되었다.그것이 VX-6로 명명된 첫 14년 동안, 17명의 해군과 해병대원들이 딥 프리즈 작전 기간 동안 남극에서 사망했다.
역사
VX-6는 그 뿌리를 리처드 에블린 버드 미 해군 소장이 지휘한 네 번째 남극 탐험인 하이점프 작전(1946–1947)에 두고 있다.그것은 원정 12월 1946년에 더글러스 에어 크래프트 전송 Aircraft,[16]의 약어"DACoTA"는 명칭이 미국 해군이 나중에 나타낼 때 사용하는에서 남극 대륙의 광범위한 공중 조사, 마틴은 이메일로 노는 것 매리너스는 로스 해의 유빙에 이용하여, 뿐만 아니라 지상파 R4D Dakotas(다코다 주,를 실시하기 시작했다.uglC-47 Skytrain).1947년 2월 말 하이점프 작전이 종료될 때까지, 그 팀은 해안선의 약 5,500 마일 (8900 km)과 대륙 [17]내륙의 1,500,000 평방 마일 (3900,0002 km)의 지도를 작성했다.
VX-6는 1946년부터 항공기의 전술과 기술을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해 미 해군이 창설한 6개 공중 개발 비행대대 중 하나였다.이 중대는 1959년 5월 운영시험평가부대(OPTEVFOR)로 재지정된 운영개발부대에 의해 처음 지휘되었다.이들 6개 중대는 처음에 VX-1(테일 코드 XA), VX-2(테일 코드 XB), VX-3(테일 코드 XC), VX-4(테일 코드 XF), VX-5(테일 코드 XE) 및 VX-6(테일 코드 XD)로 지정되었다.1969년 1월 1일, 생존한 항공 개발 비행대대(VX-1, VX-4, VX-5 및 VX-6)는 항공 시험 및 평가 비행대가 되었다.명칭이 VXE-1, VXE-4, VXE-5 및 VXE-6으로 변경되었습니다.이들 중대의 꼬리 코드는 각각 [18]JA, JF, JE, JD로 바뀌었다.
완전 동결 I 및 II 작전
항공개발 6중대(VX-6)는 1955년 1월 17일 [19]메릴랜드주 해군 항공기지 패턱센트에 정식으로 창설되었다.이 비행대의 임무는 미국 남극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미 국방부의 책임을 지지하기 위해 항공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었다.2월 1일 태스크포스 43은 조지 듀펙 대위가 지휘관으로 활동하면서 딥 프리즈 작전(Operation Deep Freeze)이라는 암호명으로 가을에 시작될 남극 작전을 계획하기 위해 발족했다.Dufek는 1959년에 종결된 Deep Freeze IV 작전을 통해 지휘관으로 남게 된다.Task Force 43의 임무는 다가오는 국제 지구물리학적 해(1957-8년)에 미국이 성공적으로 참여하는데 필요한 모든 물류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었다.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이것은 태스크포스 43이 남극 [20]대륙에서 지구물리학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활주로와 얼음 공항의 건설과 기지의 건설에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11월 14일, 최근 진급된 RADM Dufek의 기함인 Commander Task Force 43은 남극으로 [20]향하는 항해를 위해 버지니아주 노퍽 해군기지에서 뉴질랜드로 향했습니다.
VX-6는 당시 태스크포스 43(딥 프리즈 작전 물류 부문)의 일환으로 첫 실전 배치되었다.VX-6는 그 첫 시즌에 9번의 장거리 탐사 비행을 완료했다.이 비행대는 또한 리틀 아메리카 베이스 캠프, 허트 포인트 반도(로스 아일랜드) 해군 항공 작전 시설, 제1 남극 기지(현재는 올드 폴) 건설에 필요한 인력과 물자를 수송하고 대륙에 다른 4개 기지를 건설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955년 12월 20일, 2대의 록히드 P2V-2 넵튠스와 2대의 R5D 스카이마스터(R5D는 미 해군이 더글러스 C-54 스카이마스터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 명칭)가 크라이스트처치에서 [19][21]맥머드 기지까지의 비행으로 남극과 뉴질랜드 사이에 최초의 항공 연결을 확립했다.
1956년 2월 제1차 딥 프리즈 작전 이후 VX-6는 로드아일랜드의 [22]Naval Air Station Quonset Point로 재배치되었다.첫 번째 Quonset 오두막의 생산지인 해군 건설 대대 센터 데이비스빌도 Quonset Point에 위치해 있었다.NCBC Davisville은 미국 남극 [22]프로그램에 필요한 모든 시설의 건설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해군 건설 대대 200의 본거지였다.그 해 9월, LCDR 레이 E[23]. 홀은 후에 [24]VX-6의 비공식 마스코트가 된 만화 캐릭터인 "Puckered Pete"의 첫 번째 공연을 그렸다.
1956년 10월 31일, 완전 동결 II 작전 중, LCDR Conrad S가 조종한 스키 장비 R4D Dakota의 Qué Sera Sera. Sinn은 [19][26][27][28][29][30]남극에 착륙한 최초의 비행기가 되었다.[25]7명의 미 해군 남자(RADM 조지 J. 듀펙,[28] 더글러스 L. 코디너,[31] 윌리엄 M. 대위) 호크스,[32] LCDR 콘래드 S입니다 신 [25]중위 존 R 사데너 AD2 [33]존 P 스트라이더와 [34]AT2 윌리엄 A. 그 항공기에 탑승한 컴비 주니어)[35]는 로버트 팔콘 스콧의 1912년 [19][26][27][36][37][38]1월 불운한 테라 노바 탐험대가 마지막으로 44년 만에 이 지점에 서게 되었다.RADM Dufek는 착륙을 시도하기 위해 LCDR Sinn과 그의 비행 승무원을 선택했는데, 이는 남극이 거의 해발 10,000피트(3,000m)에 위치하여 항공기 엔진이 최적의 출력 수준보다 상당히 낮게 작동할 것이기 때문에 놀라운 일이었다.또한 [39]지표면에는 매우 추운 날씨가 예상되었다.착륙대는 남극에 49분 동안 머물며 과학 관측소 건설을 위한 자재와 장비의 미래 전달을 돕기 위한 항법 보조 기구를 [19][37]설치했다.또한 1956년 R4D 다코타는 텐트 및 기타 장비와 함께 11대의 Seabee와 11대의 개 썰매로 구성된 첫 번째 그룹을 남극에 전달하여 첫 번째 남극 [22]기지의 건설을 시작했습니다.
1957–1969
1957년 VX-6를 포함한 모든 동해안 VX 비행대의 첫 글자가 X에서 [18]J로 바뀌었다. 1958년 1월, VX-6 UC-1 Otter는 남극에 최초로 바퀴와 흙을 맞대고 착륙했다.[22]1959년 10월 1일, RADM David M. 타이리(미국 해군지원군 남극사령관 1959년 4월 14일 ~ 1962년 [40]11월 26일)는 LCDR J. A.가 조종한 R5D 스카이마스터를 타고 크라이스트처치에서 맥머도 기지에 도착했다.VX-6의 헤닝이번 시즌 첫 비행은 딥 프리즈 [20]V 작전의 운용 실행을 의미했다.
1961년 4월 9-10일, 중병에 걸린 소련 과학자 레오니드 쿠페로프를 버드 역에서 구출하기 위해 첫 한겨울 의료 대피 비행이 실시되었다.쿠온셋 포인트에서 출발한 VX-6 C-130BL 헤라클레스 2대가 에서 크라이스트처치로 날아갔다.1개(CDR Lloyd E 파일럿) 신참)[41]은 쿠페로프를 태우기 위해 버드 역으로 날아갔고, 다른 한 명은 크라이스트처치에서 대기했다.이 구조 임무 동안 비행한 총 거리는 13000마일 [20]미만이었다.
1963년 2월 22일, VX-6의 LC-130F 헤라클레스 항공기가 인류에 의해 목격되지 않은 영역을 커버하며 남극 역사상 가장 긴 비행을 했다.비행기(CDR William H에 의해 조종됨). Everett과[42] RADM James R을 운반하고 있습니다.승객 중Reedy(사령관, 미국 해군 지원 포스 남극은 11월 1962–April는 1965년부터)[43], 이 여행의 기간 10시간 맥머도 기지, 남극을 초월한 섀클턴 산맥에 가고, 그 다음은 남동쪽으로 불편의 맥머도 기지로 돌아오기 전에 장대까지3,470-mile(5,580 km)비행을 했다.그리고.40분.[44]1963년 2월, VX-6는 록히드 LC-130 [22]허큘리스에 의한 최초의 대량 연료 공급을 완료했다.
1964년 6월 26일, 로버트 5세가 지휘하는 LC-130F 헤라클레스. VX-6의[45] 메이어는 추락으로 중상을 입은 B. L. 맥멀런 하사관의 긴급 후송으로 크라이스트처치에서 남극까지 왕복 비행을 마쳤다.1961년의 이전 의료 대피 때와 마찬가지로, 의료 전문가 팀이 탑승한 두 대의 비행기가 NAS Quonset Point에서 크라이스트처치로 비행했으며, 한 대의 비행기는 대기하고 있었고, 다른 한 대의 비행기는 [44]위험한 비행을 수행했습니다.1964년 9월 30일, VX-6의 LC-130 허큘리스 항공기 3대가 멜버른, 크라이스트처치, 푼타 아레나스에서 각각 이륙했다.세 대의 항공기는 맥머도 기지에서 11km 떨어진 윌리엄스 필드에 착륙하며 남극으로 날아갔다.멜버른에서 남극으로 가는 사상 최초의 비행기는 월동 파티에 50파운드짜리 우편물을 보내기 위해 남극을 지나 버드 역에 착륙한 후 맥머도 기지로 향했다.이 비행에 RADM Reedy의 도착은 1965년 [44]딥 프리즈 작전의 공식 개시를 알렸다.또 1964년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맥머도 기지로의 첫 비행, 소련 보스토크 기지로의 미국 항공기 첫 비행, 남극 대륙 [22]지도를 위한 트라이메트로곤 항공사진 시연 등을 실시했다.
1966년 6월 7일, VX-6의 CDR 마리온[6] 모리스에 의해 조종된 C-130 헤라클레스는 UT-2 로버트 L을 대피시키기 위해 맥머도 기지로 비행한 후 크라이스트처치로 돌아왔다.넘어져 중상을 입은 메이필드.겨울 [44]밤 동안 남극에서 긴급히 대피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였다.
1967년 6월 18일, 크라이스트처치에서 비행하던 미 해군 LC-130F의 VX-6이 윌리엄스필드에 착륙하면서 남극으로 가는 첫 번째 예정된 겨울 비행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비록 의학적인 응급 상황의 결과로 일찍 남극으로 가는 겨울 비행이 이루어졌지만, 이것은 첫 [44]번째 계획된 비행이었다.1967년 12월 2일, LC-117D 스카이트루퍼가 할렛 역에서 맥머도 역에 착륙했다.이는 더글러스 C-47 스카이트레인 [46]기체에 의한 11년간의 VX-6 비행이 종료된 마지막 남극 대륙에서의 C-117 비행이었다.
1969년 1월 1일, VX-6은 남극 개발 비행대 6(VXE-6)[22]으로 재지정되었다.
항공기
딥 프리즈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그 비행대는 존재 과정 내내 다양한 항공기를 운용했다.고정익 항공기로는 그루먼 UF-1L 알바트로스, UC-1 오터, 더글러스 스카이트레인(R4D 다코타와 C-47 모델), 더글러스 스카이마스터(R5D와 C-54 모델), 록히드 넵튠(P2V-2와 P2V-7 모델), 록히드 7(R) 등이 있었다.장거리 및 중량 적재 능력이 유닛의 능력을 크게 높인 스키 장비 LC-130 헤라클레스는 1961년 [22]딥 프리즈 작전 때 도입되었다.헬리콥터에는 시코르스키 시호스(HUS-1A 및 HUS-1L 모델)와 시코르스키 [22]HO4S-3가 포함되었다.
항공사고 및 사고
남극에서는 딥 [47]프리즈 작전을 지지하기 위해 VX-6에 배치된 17명의 선원과 해병대원들이 사망했다.
1956년 10월 18일, P2V-2 넵튠이 화이트아웃 상태에서 착륙 도중 맥머도 기지에서 추락하여 데이비드 W.[48] 캐리와 레이번 A.가 사망했다. 허드먼,[49] 마리온 오 Marze,[50] 그리고 Charles S. 밀러.[51]
1957년 7월 12일, 호주 겨울 맥머도 역 근처에서 HO4S-3기가 추락하여 넬슨 R.가 사망했다. 콜.[52]
1959년 1월 4일, UC-1 수달이 마블 포인트에서 이륙 중 추락하여 하비 가드너와[53] 로렌스 J.[54] 패럴이 사망했다.
1961년 11월 9일, P2V-7이 윌크스 역을 이륙하던 중 추락하여 윌리엄 D.가 사망했다. 카운트,[55] Romuald P. 콤프턴,[56] 윌리엄 W. 채스테인,[57] 제임스 L. 그레이와 승객 지질학자 에드워드 C 박사입니다 티엘.[58]
1966년 2월 2일, LC-47J가 이륙 도중 로스 빙붕에 추락하여 로널드 로젠탈과 [59]해롤드 M. 모리스,[60] 윌리엄 D. 포델,[61] 리처드 S. 시몬스,[62] 웨인 M 섀턱과 [63]찰스 C. 켈리.[64][65]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Ward Tow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unt Coley".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unt Munson".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Kelly Plateau".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Gallup Glaci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a b "Morris Glaci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Balish Glaci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Schneider Glaci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Ebbe Glaci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cCarthy Inlet".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Allison Glacier (Antarctica)".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Helms Bluff".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rton Glaci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Shockley Bluff".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Eldridge Bluff".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역사: 더글러스 C-47 스카이트레인 군사 수송"2012-12-14 Wayback Machine Boeing에서 보관.취득일 : 2008년8월 7일
- ^ Wendy Leland (2003). "Naval Aviation 100 Years from Kitty Hawk" (PDF). Naval Aviation News. 86 (1): 10–19. ISSN 0028-1417. Retrieved 2011-05-19.
- ^ a b Tommy H. Thomason (2010). "U.S. Navy Aircraft History". blogspot.com. Retrieved 2011-05-19.
- ^ a b c d e Naval Historical Center (1997). "Naval Aviation Chronology 1954-1959: The New Navy" (PDF). Washington, DC: Naval Historical Center. Retrieved 2011-05-19.
- ^ a b c d Robert D. Wright, Earl D. Dryfoose, Harold Hereles. "History of Antarctic Development Squadron Six". Retrieved 2011-05-19.
{{cite web}}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Operation Deep Freeze" (PDF). Explorer's Gazette. 9 (2): 13.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9-21. Retrieved 2011-05-19.
- ^ a b c d e f g h i j Joe Hollern (1999). "History of Antarctic development Squadron Six". Webpage for United States Navy Squadron Antarctic Development Squadron Six. Retrieved 2011-05-19.
- ^ "Mount Hall".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ike Subritzky (2008). "Operation Deep Freeze: The New Zealand Story". Matamata, New Zealand: New Zealand Antarctic Veterans Association. Retrieved 2011-05-19.
- ^ a b "Mount Shinn".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a b Maurice Cutler (1996). "First Plane Lands At South Pole" (PDF). The Antarctic Sun. 1996 (December 1): 1–2. Retrieved 2011-05-19.
- ^ a b Guy G. Guthridge (1997). "Antarctica Prepares for Science" (PDF). The Antarctic Sun. 1997 (November 29): 14. Retrieved 2011-05-19.
- ^ a b "Dufek Coast".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U.S. Centennial of Flight (2003). "Aviation History Facts". Aviation History Facts: October. Washington, D.C.: U.S. Centennial of Flight Commis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0-04. Retrieved 2011-05-19.
- ^ Bill Spindler (2011). "Qué Será Será". Amundsen-Scott South Pole Station. Bill Spindler. Retrieved 2011-05-19.
- ^ "Cordiner Peaks".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unt Hawkes".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unt Swaden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Strider Rock".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Cumbie Glaci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EXPLORATION: Compelling Continent". Time Magazine. LXVIII (27). December 31, 1956. ISSN 0040-781X.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7, 2012. Retrieved 2011-05-19.
Dufek was the first out of the plane, the second man since Norway's great Roald Amundsen (1911) and the first since Britain's doughty Robert Falcon Scott (1912) to feel Pole snow crunch underfoot.
- ^ a b George John Dufek (1957). Operation Deepfreeze. New York: Harcourt, Brace. pp. 193–203. ISBN 1-112-16344-1. Retrieved 2011-05-19.
- ^ Patrick Swadener. ""Que Sera Sera": The South Pole Landing". Savequeserasera.org. Retrieved 2011-05-19.
- ^ James E. Waldron. "A Walk in the Sun". Retrieved 2011-05-19.
- ^ "Mount Tyree".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Newcomer Glaci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Everett Range".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Reedy Glaci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a b c d e Naval Historical Center (1997). "Naval Aviation Chronology 1960-1969: The Sixth Decade". Washington, DC: Naval Historical Center. Retrieved 2011-05-19.
- ^ "Mayer Crags".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Francillon, René J. McDonnell Douglas 항공기 1920년 이후, 페이지 466-7.런던: Putnam & Company Ltd, 1979.ISBN 0-370-00050-1.
- ^ Billy Ace Baker. "Operation Deep Freeze fatalities". Retrieved 2011-05-19.
- ^ "Carey Glaci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Hudman Glaci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arze Peak".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iller Peak".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unt Cole".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unt Gardne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unt Farrell".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Counts Icefall".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Compton Valley".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Chastain Peak".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Gray Spur".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unt Rosenthal".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rris Cliff".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unt Fordell".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unt Simmons".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Mount Shattuck".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Kelley Peak".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Retrieved 2011-05-19.
- ^ "CASA Final Report DF-61, Chaplain's MWR Input". Antarctic Journal of the United States. 1 (2). 1966. ISSN 0003-5335.
추가 정보
- Bill Gunston; Sharon Lucas, eds. (2001). Aviation Year By Year. New York: DK Publishing. ISBN 978-0-7894-7986-0.
- Paul Allen Siple (1959). 90° South. New York: G.P. Putnam's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