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프랫

Vaughan Pratt
본 프랫
VaughanPratt.JPG
태어난
본 로널드 프랫

(1944-04-12) 1944년 4월 12일 (77세)
교육스탠퍼드 대학교 (1972년)
시드니 대학교 (1970)
로 알려져 있다.크누스-모리스-프라트 알고리즘
Pratt
프랫 파서
과학 경력
필드컴퓨터 공학
기관스탠퍼드 대학교
MIT
어드바이저도널드 크누스
웹사이트boole.stanford.edu/pratt.html

본 프라트(Vaughan Pratt, 1944년 4월 12일 출생)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초기 개척자였던 스탠퍼드대 에미리투스 교수다.1969년부터 프랫은 검색 알고리즘, 정렬 알고리즘, 원시성 테스트 등의 기초 영역에 여러 가지 기여를 했다.보다 최근에 그의 연구는 동시 시스템과 추 공간의 공식적인 모델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력

호주에서 자랐고 1961년 2학년이던 녹스 문법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프랫은 시드니대학에 다녔고, 그곳에서 1970년에 석사논문을 완성했으며, 현재 자연어 처리로 알려진 것과 관련이 있다.그 후 그는 미국으로 건너가 도널드 크누스 고문의 감독 아래 단 20개월 만에 스탠포드 대학에서 박사학위 논문을 완성했다.그의 논문은 쉘포트 분류 알고리즘과 분류 네트워크 분석에 초점을 맞췄다.[1]

프랫은 MIT의 조교수(1972년 ~ 1976년)를 거쳐 부교수(1976년 ~ 1982년)를 지냈다.1974년 크누스, 모리스와 협력하여 Pratt는 버클리 대학원생으로서 1970년에 시작했던 작업을 완성하고 공식화했다. 공동의 결과는 Knuth-Morris-Pratt 패턴 매칭 알고리즘이었다.1976년, 그는 구조화된 행동의 모달 논리동적 논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MIT에서 스탠포드까지 안식년(1980년~1981년)을 거쳐 1981년 스탠퍼드대 전임교수로 임용됐다.

Pratt는 1980년부터 1982년까지 스탠포드에서 SUN 워크스테이션 프로젝트를 지휘했다.그는 선마이크로시스템스의 설립과 조기 운영에 다각도로 기여했고, 그 후 첫해 컨설턴트 역할을 맡았으며, 이후 2년간 스탠포드 대학에서 휴직하여 연구부장이 되었고, 마침내 선 사의 컨설턴트로서의 역할을 재개하여 1985년 스탠포드 대학으로 복귀하였다.

는 또한 "태양"이라는 단어의 4개의 인터리브 카피를 특징으로 하는 "[2]Sun Microsystems" 로고를 디자인했다.

프랫은 2000년에 스탠포드 대학의 명예교수가 되었다.

주요기부금

많은 잘 알려진 알고리즘들이 Pratt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숫자의 원시성에 대한 짧은 증거인 Pratt 인증서는 원시성이 효율적으로 검증될 수 있다는 것을 실용적인 방법으로 증명하여 복잡도 등급 NP원시성 시험 문제를 배치하고 문제가 공동 NP-완전성이 아니라는 최초의 강력한 증거를 제공하였다.[3]프랫이 1970년대 초 도널드 크누스 스탠퍼드 대학교수와 함께 모리스와는 독립적으로 디자인한 크누스-모리스-프라트 알고리즘은 오늘날까지 알려진 가장 효율적인 일반 문자열 검색 알고리즘이다.[4]블럼, 플로이드, 리베스트, 타르잔과 함께 최초의 최악의 경우 최적 선택 알고리즘중위수를 기술했다.[5]

유용한 공구건물

프랫은 몇 가지 유용한 도구를 만들었다.1976년에는 Top down 연산자 우선 구문 분석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설계하고 구현한 MACLISP의 대체 구문인 CGOL에 대한 MIT AI Lab 작업 논문을 작성했다.[6]그의 파서는 때때로 "Pratt 파서"[7]라고 불리며 MACSYMA와 같은 후기 시스템에서도 사용되었다.더글러스 크록포드는 또한 그것을 JSLint의 기본 파서로서 사용했다.[8]Pratt는 또한 "DOC"라는 이름의 TECO 기반 텍스트 편집기를 구현했고, 나중에 "ZED"[9]로 이름이 바뀌었다.

1999년에 Pratt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당시) 웹 서버를 만들었다. 그것은 성냥갑 크기였다.[10][11]

기타기여금

프랫은 1995년 바이트 매거진 기사에서 펜티엄 FDIV 버그가 당시 인텔이나 IBM이 예측했던 것보다 더 나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제안한 것으로 인정받았다.[12][13]

오늘날 프랫은 넓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스탠퍼드대 교수직 외에 최소 7개 전문기관에 소속돼 있다.컴퓨터기계협회 소속으로 3대 수학저널 편집위원이다.TIQ의 창립자, 회장, CTO도 역임하였다.2010년 문을 닫기 전 10년간 IT컴퓨터 주식회사.

참조

  1. ^ 본 로널드 프랫:쉘포트정렬 네트워크.1979년 뉴욕 & 런던, 갈랜드 출판사 ISBN0-8240-4406-1
  2. ^ "Designers: Vaughan Pratt". Logoboo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 Retrieved 2021-08-07.
  3. ^ 본 프랫모든 프라임은 간결한 증명서를 가지고 있다.SIAM 컴퓨팅 저널, vol.4, pp.214–220. 1975.인용문, 전체 텍스트(유료 로그인 필요)
  4. ^ 도날드 크누스, 제임스 H. 모리스 주니어, 본 프랫.문자열에서 빠른 패턴 일치.SIAM 컴퓨팅 저널 6:323–350. 1977.인용구
  5. ^ Blum, M.; Floyd, R. W.; Pratt, V. R.; Rivest, R. L.; Tarjan, R. E. (August 1973). "Time bounds for selection" (PDF). Journal of Computer and System Sciences. 7 (4): 448–461. doi:10.1016/S0022-0000(73)80033-9.
  6. ^ Pratt, V.R., Top Down Operator Priority.프로그래밍 언어의 원리에 관한 ACM 심포지엄의 진행.1973. 페이지41-51.
  7. ^ 조지 J. 카레트 SIOD. 1990의 단순한 프랫 파서.
  8. ^ https://github.com/douglascrockford/JSLint/blob/40e3f73127b56f24a12e5cb091a86d9a24130926/fulljslint.js jslint 소스 코드 라인 2224
  9. ^ 에릭 피셔.Emacs and Other Editors. alt.follor.computers.2000년 11월 15일.
  10. ^ BBC 뉴스성냥갑에서 서핑하기. 1999.
  11. ^ CNN 뉴스.가장 작은서버가 셔츠 주머니에 들어맞는다.1999.
  12. ^ "정수를 멍들게 하는 방법" 1995년 3월 웨이백 머신, 바이트에 2008-10-07 보관.
  13. ^ 1994년 본 프라트, "연쇄 반응펜티엄"1995년 1월 22일 wdv-notes334에서.기사 형식은 뉴스 그룹 게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