앰비그램
Ambigram
앰비그램은 관찰 방향에 따라 다른 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다른 모양의 서예적 구성입니다.[2][3]대부분의 앰비그램은 일종의 대칭에 의존하는 시각적 회맹이며, 종종 시각적 말장난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4]
이 용어는 더글러스 호프스태터(Douglas Hofstadter)가 1983-1984년에 만들었습니다.[2][5]대부분의 경우, 앰비그램은 시각적으로 대칭적인 단어로 나타납니다.뒤집힐 때, 그들은 변하지 않거나 다른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변형됩니다.'반회전' 앰비그램은 점반사(180도 회전대칭)를 거쳐 거꾸로 읽을 수 있고, 거울 앰비그램은 축대칭이 있어 거울처럼 반사면을 통해 읽을 수 있습니다.많은 다른 종류의 앰비그램이 존재합니다.[6]
앰비그램은 다양한 언어와 알파벳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개념은 종종 숫자와 다른 기호로 확장됩니다.그것은 예술, 문학, 수학, 인지, 그리고 착시를 결합한 최근 학제간 개념입니다.대칭적인 단어들을 그리는 것은 아마추어들을 위한 여가활동이 되기도 합니다.수많은 앰비그램 로고가 유명하며, 앰비그램 문신은 점점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일부 예술가들이 전문가가 된 분야인 앰비그램을 디자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어원
앰비그램이라는 단어는 1983년에 Gödel, Esher, Bach라는 책의 퓰리처상을 수상한 작가로 가장 잘 알려진 미국 인지과학 학자인 더글러스 호프스태터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7][4][5]라틴어 접두사 ambi-(둘 다)와 그리스어 접미사 -gram(그리기, 쓰기)으로 구성된 신조어입니다.[2]
호프스태터는 앰비그램을 "두 개의 다른 판독치를 짜넣는 서예 디자인"이라고 설명합니다.[8] "본질은 모호함이 있는 하나의 서면 양식에 담그는 것입니다."[9][10]
앰비그램은 특별한 종류의 시각적 농담입니다: 두 개 이상의 (명확한) 해석을 문자 단어로 가진 서예 디자인.일반적으로 물리적 관점을 전환함으로써(어떤 식으로든 디자인을 이동함으로써), 때로는 디자인을 향한 지각적 편향을 변경함으로써(말하자면, 내부 정신 스위치를 클릭함으로써) 자발적으로 라이벌 판독 사이를 왔다 갔다 할 수 있습니다.때로는 판독치가 동일한 것을 말하고 때로는 다른 것을 말합니다.[11][4]
Hofstadter는 앰비그램이라는 단어의 기원을 1983년에 소수의 친구들 사이의 대화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12]
호프스태터의 용어가 사용되기 전에는 앰비그램을 가리키는 다른 이름들이 사용되었습니다.그 중에서 드미트리 보그만[13](1965)과 조르주 페렉의 "수직적 고뇌", [14][15]"디자인"(1979),[16] 스콧 킴의 "역전"(1980),[17][18] 또는 단순히 존 랭던과 로버트 페트릭의 "거꾸로 된 단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19]
앰비그램은 2011년 3월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추가되었고,[6][20] 2020년 9월 메리엄-웹스터 사전에 추가되었습니다.[2][21]스크랩블은 2022년 11월 데이터베이스에 이 단어를 포함시켰습니다.[22][3][23]
역사




많은 앰비그램은 그래픽 회맹점으로 묘사될 수 있습니다.
최초의 사토르 광장 회랑은 폼페이 유적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서기 79년 베수비오산의 폭발 이전에 만들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로마제국과 중세 사이 오페드(프랑스)의 돌담에 S와 N자를 표현하는 거울글씨를 사용한 사토르 광장을 조각하여 [25]25개의 문자와 8개의 문자, 3개의 자연대칭(A, T, O), 3개의 다른 문자(R, P, E), 2개의 다른 문자로 이루어진 작품을 만들었습니다s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S, N).따라서 이 판화는 네 가지 방향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26]
비록 이 용어는 최근의 것이지만, 거울 앰비그램의 존재는 적어도 1천년 이래로 증명되어 왔습니다.그들은 일반적으로 시각적으로 대칭되도록 스타일화된 회랑입니다.
고대 그리스어로 "ν ψ ο ν α ν ο μ η μ α τ μ η α ο ψ ι"(얼굴뿐만 아니라 죄를 씻는다)라는 문구는 터키의 하기아 소피아 교회 부지를 포함한 여러 곳에서 발견된 회충입니다.대문자로 쓸 때는 띄어쓰기를 하고 글자의 모양을 바꾸는 경우도 있습니다.­ ν
보스트로페돈은 양방향 텍스트의 한 종류로, 주로 고대 필사본과 다른 비문에서 볼 수 있습니다.모든 다른 한 줄의 글은 거꾸로 쓰이거나 거꾸로 쓰입니다.현대 유럽 언어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랍어와 히브리어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기 보다는, 부스트로폰의 대체 줄을 반대 방향으로 읽어야 합니다.또한 개별 문자가 반전되거나 미러링됩니다.이 양방향 쓰기 시스템은 현대의 앰비그램이 일부 마음 속에 직관적인 요소와 함께 꽤 오래된 기원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슬람 서예의 거울 쓰기는 근대 초기에 번성했지만, 그 기원은 헤자즈의 이슬람 이전의 거울상 바위 비문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28]
알려진 최초의 비자연적 회전 앰비그램은 화가 피터 뉴웰에 의해 1893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29]마크 트웨인(Mark Twain)과 루이스 캐럴(Lewis Carroll)의 어린이용 책과 삽화로 더 잘 알려져 있지만, 그는 뒤집으면 그림이 완전히 다른 이미지로 바뀌는 가역 일러스트레이션 책을 두 권 출판했습니다.그의 책 "Topsys & Turvys"의 마지막 페이지에는 "The end"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문구는 뒤집히면 "Puzzle"이라고 쓰여 있습니다.Topsys & Turvys Number 2 (1902)에서 Newell은 끝이 퍼즐 2로 바뀌는 앰비그램의 변형으로 끝이 났습니다.[30]
1904년 3월 네덜란드계 미국인 만화가 구스타브 베어벡은 노인 머파루와 작은 부인 러브킨스의 '거꾸로 된 것들'의 세 편의 연속적인 연재물에 앰비그램을 사용했습니다.[31]그의 만화는 애매모호한 이미지로, 6폭짜리 만화를 읽고 책을 뒤집고 계속 읽을 수 있는 방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1908년 6월부터 9월까지 영국 월간지 스트랜드 매거진은 "호기심" 칼럼에 다양한 사람들의 앰비그램 시리즈를 실었습니다.[32]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앰비그램을 제출한 4명 모두가 특정 단어의 희귀한 속성이라고 믿었다는 사실입니다.6월에 "chump"가 출판된 미첼 T. 라빈은 "영어에서 이 특이성을 가진 유일한 단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썼고, 클라렌스 윌리엄스는 그의 "Bet" 앰비그램에 대해 "아마도 B는 그러한 흥미로운 이상을 만들어낼 알파벳의 유일한 문자입니다."[32][33]라고 썼습니다.
특성.
자연앰비그램


라틴 알파벳에서 많은 글자들은 대칭적인 문자입니다.대문자 B, C, D, E, H, I, K, O, X는 수평 대칭축을 갖습니다.이 글자들만 사용해서 쓸 수 있는 단어들이 모두 자연 호수반사 앰비그램이라는 뜻입니다.예를 들어 BOOK, CHOICE 또는 DECE.
소문자 l, o, s, x, z는 회전 대칭이고, b/q, d/p, m/w, n/u와 같은 쌍과 일부 서체에서 h/y와 a/e는 서로의 회전입니다.따라서 "sos", "pod", "suns", "yeah", "swims", "dollop" 또는 "passed"라는 단어는 자연적인 회전 앰비그램을 형성합니다.
일반적으로, "자연 앰비그램"은 타이포그래픽 스타일을 요구하지 않고 자연 상태로 쓰여질 때 하나 이상의 대칭을 갖는 단어입니다.단어 "bud", "bid", "mom"은 아랍어로 리비아의 이름인 "ليبيا"와 마찬가지로 수직 축에 반사될 때 자연 거울 앰비그램을 형성합니다.모든 대문자로 된 "HIM", "TOY", "TOOTH" 또는 "MAXIMUM"이라는 단어는 글자가 수직으로 쌓이고 수직 축 위에 반사될 때 자연 거울 앰비그램을 형성합니다.대문자 "OHIO"는 serif 스타일("I" 위와 아래에 큰 "발"이 있음)로 쓰여질 때 1/4을 뒤집어서 90° 회전 앰비그램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모든 스트로보그램 수와 마찬가지로 69는 자연 회전 앰비그램입니다.
자연의 패턴은 자연계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의 눈에 보이는 규칙성입니다.[34]마찬가지로, 앰비그램의 패턴은 자소에서 발견되는 규칙성입니다.이러한 "자연적인" 특성의 결과로, 어떤 모양들은 디자이너에게 다루기에 어느 정도 적절해 보입니다.앰비그램 후보자들은 한 개 또는 두 개를 제외한 모든 문자가 대칭적으로 협력할 때 "거의 자연스러운"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멋진"이라는 단어는 5개의 호환되는 문자(자신의 주위를 뒤집는 중심과 a/e 및 w/m 커플)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 단어 또는 여러 단어
대칭 앰비그램은 반사 후에도 변하지 않을 때는 호모그램(homogram, 호모 앰비그램의 수축), 변형될 때는 헤테로그램(heterogram)[11][35]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가장 일반적인 앰비그램 유형에서는 이미지가 서로에 대해 180도 회전할 때 두 가지 해석이 발생합니다(즉, 시트를 단순히 회전함으로써 첫 번째로부터 두 번째 판독값을 얻습니다).
단단어 앰비그램
더글라스 호프스태터(Douglas Hofstadter)는 동일한 글자로 앰비그램을 정의하기 위해 "호모그램(homogram)"이라는 단어를 만들었습니다.[11][35]이 경우, 단어의 전반부는 후반부로 바뀝니다.[36]
-
"캔디", 180° 대칭 앰비그램.
-
앰비그램 개념의 "아버지"인 더글러스 호프스태터의 저코리즘인 "더그".
몇마디

대칭적인 앰비그램은 다른 단어를 줄 때 "헤테로그램"[11][35] ("헤테로 앰비그램"의 축약)이라고 불립니다.시각적으로, 헤테로그램 앰비그램은 쌍의 두 버전이 함께 표시될 때만 대칭됩니다.대칭성이 일반적으로 우아함을 강화하기 때문에, 변화하는 앰비그램이 한 가지 방법으로만, 대안적으로 또는 별개로 드러나는 것을 목표로 할 때, 미학적인 모습은 설계하기가 더 어렵습니다.엄밀히 말하면 호모 앰비그램보다 헤테로 앰비그램에 포함된 글자 조합이 두 배 더 많습니다.예를 들어 180° 회전 앰비그램 "yeah"는 y/h와 e/a의 두 쌍의 문자만 포함하고, 헤테로그램 "yeah/good"는 y/d, e/o, a/o, h/g의 네 가지 문자를 포함합니다.
한 단어의 앰비그램은 hetero-일 수 없지만, 여러 단어의 앰비그램은 예를 들어 첨부된 "upside down"에서와 같이 문자가 겹치면 homo-type이 될 수 있습니다.한쪽으로는 "위쪽으로", 다른 쪽으로는 "위쪽으로"라는 앰비그램은 두 단어의 호모그램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하지만 회전 후에 "위쪽"과 "아래쪽"이라는 앰비그램은 두 단어의 헤테로그램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잠재적으로 연관될 수 있는 단어의 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전체 앰비그램 문장이 출판되기도 했습니다.[14][36]
-
"True flag", 자기 참조 플래그, 가로축 미러 헤테로 타입
-
"여기 있어"라는 두 단어의 앰비그램.
종류들
앰비그램(Ambigram)은 그래픽 디자인의 운동으로, 착시, 대칭, 시각적 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어떤 앰비그램은 그들의 형태와 내용물 사이의 관계를 특징으로 합니다.앰비그램은 보통 여러 범주 중 하나에 속합니다.
180° 회전 앰비그램

흔히 "거꾸로 된 단어"라고 불리는 "반회전" 앰비그램 또는 점반사 앰비그램은 180° 회전 대칭 캘리그라피입니다.[7]우리는 그것들을 오른쪽 위로 읽을 수도 있고, 거꾸로 읽을 수도 있고, 둘 다 읽을 수도 있습니다.
회전 앰비그램은 타당한 이유로 가장 일반적인 앰비그램 유형입니다.한 단어가 뒤집히면, 글자의 위 반이 아래 반으로 바뀝니다.그리고 우리의 눈은 읽을 때 주로 글자의 윗부분에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에, 단어의 윗부분을 잘라내고, 뒤집어서 그 위에 접착제를 붙여서 앰비그램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9]
거울 앰비그램
거울 앰비그램 또는 반사 앰비그램은 거울에 수직, 수평 또는 45도로 반사되어 [40]같은 단어 또는 다른 단어 또는 구를 제공할 때 읽을 수 있는 디자인입니다.
수직축 반사 앰비그램




반사면이 수직인 경우(예를 들어 거울과 같이), 캘리그라피 디자인은 수직축 미러 앰비그램입니다.
"박물관" 앰비그램은 거울 대칭과 함께 거의 자연스러운데, 처음 두 글자는 마지막 두 글자와 쉽게 교환되고, 소문자 e는 꽤 명백한 인쇄술 곡예에 의해 s로 변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41]
수직축 거울 앰비그램은 거울 쓰기 (혹은 거울 쓰기)에서 영리한 응용을 발견하는데, 이것은 주어진 언어의 자연적인 방식의 반대 방향인 글을 써서 그 결과가 정상적인 글의 거울 이미지가 되는 것입니다: 거울에 반사될 때 그것은 정상적으로 보입니다.예를 들어, "앰뷸런스"라는 단어는 수직 축 반사 앰뷸런스에서 앞뒤로 읽을 수 있습니다.이 아이디어를 따라 프랑스 예술가 파트리스 하멜은 파리 가르 뒤 노르드의 거대한 유리 정면에 전시된 거울 앰비그램을 한쪽으로는 "엔트리"(프랑스어로 입구), 다른 쪽으로는 "소르티"(출구)를 만들어 들어오는 여행자들은 입구를 읽고 떠나는 여행자들은 밖을 읽습니다.[42]
가로축 반사 앰비그램


반사면이 수평인 경우(예를 들어 거울 호수와 같이), 캘리그라피 디자인은 수평축 미러 앰비그램입니다.
책 앰비그램 공개는 이런 유형의 몇몇 창작물들을 특징으로 하는데, 예를 들어 "실패"라는 단어가 연못의 물에서 미러링되어 "성공"을 가져다 주거나, "사랑"이 "러스트"로 바뀌는 것을 말합니다.[43]
그림-지상 앰비그램


그림/지상 앰비그램에서, 글자들은 서로 어울려서 한 단어 주변과 단어 사이의 음의 공간이 다른 단어의 철자를 씁니다.[40]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인물-배경 지각은 배경으로부터 인물을 식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예를 들어, 인쇄된 종이의 검은색 단어는 "그림"으로 표시되고 흰색 시트는 "배경"으로 표시됩니다.앰비그램에서 배경의 타이포그래픽 공간은 새로운 글자와 새로운 단어를 형성하는 음의 공간으로 사용됩니다.예를 들어, 대문자 H 안에 소문자 i를 쉽게 삽입할 수 있습니다.
John Langdon(1996)의 유화 You & Me(미국)가 이 범주에 속합니다.'나'라는 단어는 '너'라는 글자 사이의 공간을 채웁니다.[44]
앰비그램 테셀레이션

단어 패턴과 연관된 에셔 같은 테셀레이션으로, 앰비그램은 프랑스 예술가 알랭 니콜라스가 만든 것과 [45]같은 120°, 90°, 60°의 회전 대칭을 통해 세 방향, 네 방향, 그리고 여섯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습니다.[46]어떤 단어들은 음의 공간에서 변형될 수도 있지만 제약 조건의 곱셈은 종종 설계된 단어의 가독성이나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앰비그램 테셀레이션은 기하학이 규칙을 정하는 일종의 단어 퍼즐입니다.[46]
-
테셀레이션은 "Yeah"라는 자연스러운 앰비그램으로 만들어집니다.
Wikimedia Commons의 Ambigram 테셀레이션 관련 매체.
연쇄앰비그램


연쇄 앰비그램(chain ambigram)은 단어(또는 때로는 단어)가 서로 연결되어 반복 체인을 형성하는 디자인입니다.[40]글자들은 보통 겹쳐집니다: 어떤 단어는 다른 단어와 중간에 시작합니다.때때로 연쇄 앰비그램은 원의 형태로 나타납니다.예를 들면, 사슬 "...sun sun sun sun sun..." 거꾸로 뒤집을 수는 있지만, 가로로 쓰여진 "태양"이라는 단어만은 그렇지 않습니다.연쇄 앰비그램은 1개에서 몇 개의 요소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단일 원소 앰비그램 체인은 뱀이 자신의 꼬리를 먹는 것과 같습니다.2원소 앰비그램 체인은 뱀이 이웃의 꼬리를 먹고, 이웃이 첫 번째 뱀을 먹는 것과 같습니다.
스콧 킴의 '인피니티'[47] 작품과 존 랭던의 '체인 반응' 작품 역시 첫 번째 작품은 단어의 문자적 의미에서 무한한 것이고, 두 번째 작품 모두 180°에서 가역적이고 문자 O를 중심으로 간섭하는 것은 연쇄 반응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스피노네임
스피노네임 [ 은 다른방향으로 반복되는 동일한 글리프를 사용하여 단어를 쓰는 앰비그램의 한 종류입니다.[36]WEB는 쉽게 스피노네임으로 만들 수 있는 단어의 예입니다.
지각변동 앰비그램


"오실레이션" 앰비그램이라고도 불리는 지각변동 앰비그램은 대칭성이 없는 디자인이지만 글자의 곡선이 어떻게 해석되는지에 따라 두 개의 다른 단어로 읽을 수 있습니다.[40]이러한 앰비그램은 토끼 오리 스타일의 모호한 이미지의 원리로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더글러스 호프스태터는 물리학에서 밝혀진 빛의 이중성을 지각 이동 앰비그램 파동/입자로 표현합니다.
90° 회전 앰비그램


"쿼터턴" 앰비그램 또는 90° 회전 앰비그램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다양한 의미를 표현합니다.[4]예를 들어, 문자 U는 C로, 그리고 호혜적으로, 문자 M 또는 W는 E로 바뀔 수 있습니다.[36]
토템 앰비그램

토템 앰비그램은 글자들이 토템처럼 쌓여 있는 앰비그램으로, 대부분 수직축 미러 대칭을 제공합니다.이 유형은 여러 글자가 잘 맞을 때 도움이 되지만 전체 단어는 거의 없습니다.예를 들어, 마리아 모노그램 [ 에서 문자 M, A, I는 개별적으로 대칭이며, 페어링 R/A는 거의 자연스럽게 미러링됩니다.적절하게 쌓이면, 5개의 글자가 좋은 토템 엠비그램을 만들어내는 반면, "마리아"라는 이름 전체는 같은 협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앰비그램 아티스트 존 랭던은 대칭 문자 M, 섹션 ETR, 그리고 O 아래의 문장으로 구성된 단어 "METRO"와 같은 여러 토템 어셈블리를 디자인했습니다.감사합니다", "T, H, A의 수직 결합체, 그리고 대칭 NK 커플, 그리고 마지막으로 Y, O, U.[48]
프랙탈 앰비그램
수학에서 프랙탈(fractal)은 기하학적인 모양으로, 스케일링 하에서 불변성을 나타냅니다.전체의 조각은 확대되면 전체 물체 자체와 같은 기하학적 특징을 갖습니다.프랙탈 앰비그램(fractal ambigram)은 일종의 공간 채우기 앰비그램으로, 타일로 된 단어가 자신으로부터 갈라진 다음 자기 유사한 방식으로 축소되어 프랙탈을 형성합니다.[49]일반적으로 프랙탈 앰비그램에서는 몇 글자만 제한됩니다.다른 글자들은 다른 글자들처럼 보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모양을 만들 수 있습니다.
삼차원 앰비그램


3D 앰비그램은 다른 각도에서 볼 때 여러 글자나 단어를 읽는 것처럼 보이는 물체가 나타나는 디자인입니다.이러한 설계는 솔리드 모델링에 사용되는 기술인 건설적 솔리드 지오메트리를 사용하여 생성한 다음, 신속한 프로토타이핑 방법으로 물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3차원 앰비그램 조형물은 플라스틱 예술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그것들은 볼륨 앰비그램입니다.
1979년에 나온 호프슈타터의 괴델, 에셔의 오리지널 판, 바흐는 표지에 두 개의 3-Dambigram을 실었습니다.[50]
복합 앰비그램
복합 앰비그램은 하나 이상의 대칭을 포함하거나 여러 종류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앰비그램입니다.예를 들어, 복잡한 앰비그램은 4배의 이면체 대칭을 가진 회전 및 거울일 수 있습니다.또는 거꾸로 읽는 스피노문 또한 복잡한 앰비그램입니다.
기호
타국어

앰비그램은 많은 언어로 존재합니다.라틴 알파벳에서는 일반적으로 소문자와 대문자를 혼용합니다.하지만 단어들은 아랍어, 벵골어, 키릴어, 그리스어 그리고 심지어 한자와 일본 한자 같은 다른 알파벳에서도 대칭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어에서 곰(곰)과 문(문), 공(공)과 운(운) 또는 물(물)과 롬(ROM)은 자연스러운 회전 앰비그램을 형성합니다.응 (예), 표 (티켓/사인) 또는 를 (물체 입자)와 같은 일부 음절과 "허리피라우" (등을 곧게 펴는)와 같은 단어도 완전한 앰비그램을 만듭니다.
"100"이라는 뜻의 한자는 百로 쓰여지는데, 글리프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자연스러운 90° 회전 앰비그램을 만들어 "100"을 볼 수 있습니다.
위키미디어 커먼즈 언어별 앰비그램 관련 매체
수

숫자의 앰비그램이나 숫자 앰비그램은 숫자 숫자를 포함합니다. 1, 2, 3...[36]
수학에서 역각수( pal角數, )는 수직축을 통해 숫자가 뒤바뀌었을 때(반드시 시각적으로는 그렇지 않지만) 그대로 유지되는 수를 말합니다.1, 8, 0만을 포함하는 회맹점 수는 자연스러운 숫자 앰비그램(거울을 통해 시각적으로 대칭됨)을 구성합니다.또한 글리프 2가 5의 거울상이기 때문에 205 또는 85128과 같은 숫자는 자연수 거울 앰비그램임을 의미합니다.수학적인 의미에서 회문법은 아니지만, 그들은 진짜 앰비그램처럼 앞뒤로 읽습니다.
스트로보그램 숫자는 숫자가 회전 대칭이므로 180도 회전해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숫자입니다.숫자는 오른쪽 위와 아래로 똑같이 보입니다(예:[52][53][54] 69, 96, 1001).
어떤 날짜들은 자연스러운 숫자의 앰비그램입니다.[55]1961년 3월, 예술가 Norman Mingo는 올해의 앰비그램을 특징으로 하는 Mad 잡지의 거꾸로 된 표지를 만들었습니다.제목은 "당신이 어떻게 보든 간에...1961년, 1881년 이후 처음으로 반전의 해가 될 것입니다."[56]2022년 2월 22일 화요일은 회문일이자 앰비그램 날짜로 "Twosday"라고 불리는데, 이는 가역적인 2(2)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57][58][59]
숫자의 앰비그램은 레크리에이션 수학의 영역에서 가장 주목을 받습니다.[4][60]
숫자와 함께 앰비그램은 때때로 문자와 숫자를 결합합니다.숫자 5는 대략 S자, 숫자 6은 소문자 b자, 숫자 9는 g자를 닮았기 때문에, 이러한 유사성을 이용하여 앰비그램을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합니다.2014년에 포함된 네 개의 글리프가 각각 S, o, i, h 네 글자의 정확한 대칭인 소치 2014(올림픽) 로고가 좋은 예입니다.[61]
기타기호

알파벳 문자는 문자 체계에서 언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자이기 때문에, 모스 부호의 프로사인이나 음악의 음표와 같은 다른 분야를 코드화하기 위해 다른 기호들도 세계에서 사용됩니다.
문자의 앰비그램과 유사하게, 다른 기호를 가진 앰비그램은 일반적으로 점 반사 또는 축을 통한 반사로 시각적으로 대칭입니다.
국제 모스 부호 조난 신호 SOS 는 점과 대시로 구성된 자연 앰비그램입니다.그것은 뒤집히거나 거울을 통해 뒤집힙니다.
모스 부호에서, 문자 P 부호화된 와 문자 R 부호화된 은 다른 많은 문자와 숫자처럼 개별적으로 대칭입니다.또한, 문자 G 부호화된 는 문자 W 부호화된 의 정역이므로, 페어링 G/W를 부호화하는 조합 / 는 자연스러운 앰비그램을 구성합니다.결과적으로, "wog" , "Dou" 또는 "mom" 와 같은 morse 코드로 쓰여진 의미 있는 자연 앰비그램이 확실히 존재합니다.
음악에서, 알반 베르크의 오페라 룰루의 막간은 회문이고, 따라서 음악적인 음들로 이루어진 악보들은 수직의 축을 통해 거의 대칭입니다.[64]
생물학에서 연구원들은 대칭적인 서열의 시각적 표현을 사용하여 나르나바이러스의 양문학적 특성을 연구합니다.[34][1][65]
필드
예체능
서예와 타이포그래피

앰비그램 레터링은 단순히 쓰는 것이 아니라 글자를 그리는 기술을 포괄합니다.앰비그램 캘리그라피에서 각각의 글자는 삽화로 작용하고, 각각의 글자는 세부사항에 주의를 기울여 만들어지며 구성 안에서 독특한 역할을 합니다.문자 앰비그램은 특정 후보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지기 때문에 서체처럼 사용할 수 있는 알파벳 문자의 조합으로 번역되지 않습니다.
서예가이자 그래피티 작가이자 그래픽 디자이너인 닐스 슈 멀먼은 숫자 "50",[67] "신발/파타",[68] 그리고 반대파 "사랑/공포"와 같은 회전 앰비그램을 여러 개 만들었습니다.[69]
타이피즘 7권 표지는 니키타 프로호로프가 그린 앰비그램.[70]
미국의 타이프 디자이너 마크 사이먼슨(Mark Simonson)은 시적이고 유머러스한 앰비그램(시적이고 유머러스한 앰비그램)을 디자인했는데, 예를 들어 "Revelation", "Typophile", "Drink / Drunk"라는 단어와 공생하는 "Drink / Drunk"라는 단어가 있습니다.[71]마지막 것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샷 글라스에 인쇄하면 시각적인 말장난이 됩니다.[72]
로고스
앰비그램 단어들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기 때문에 때로는 놀라운 것들이기 때문에 많은 조직, 상표 및 브랜드의 시각적 정체성을 설정하면서 기업 로고 및 워드마크에서 큰 응용을 찾을 수 있습니다.[73]
Raymond Lowey는 1968년[74] 또는 1969년에 회전식 뉴맨 fr] 앰비그램 를 디자인했습니다.[75][76][77]
필 깁본이 디자인한 거울 앰비그램 들로렌 자동차 로고는 1975년에 처음 사용되었습니다.[78][79][80]
로버트 페트릭은 1976년에 뒤집을 수 있는 엔젤 로고를[81] 디자인했습니다.
1982년 본 프랫(Vaughan Pratt[82]) 교수가 디자인한 로고 썬(Microsystems)은 체인 앰비그램(chain ambigram), 스피노몬(spinonym), 90° 및 180° 회전 대칭 등 여러 유형의 기준을 충족합니다.
스웨덴의 팝 그룹 ABBA는 1976년에 Rune Söderqvist [ 가 디자인한 A ᗺBA 스타일의 미러 앰비그램 로고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에 있는 Ventura & Convention Bureau 이사회의 Ventura 로고는 미화 25,000 달러이며, 2014년 DuPuis 그룹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180° 회전 대칭을 사용합니다.[85][86]
다른 유명한 앰비그램 로고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보험 회사 아비바,[87]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의 두문자 CRD (Capital Regional District),[88] 미국 다국적 기업 DXC Technology, 주거 청소를 위한 양면 시장 핸디,[89][90] 프랑스 프리미엄 고속 열차 서비스 InOui의 브랜드 이름,[91] 프랑스 회사모든 발권 및 승객 정보 시스템 전문업체 IXXI, 제과 제조업체 하리보의 100년 된 브랜드 마오암, 미국의 산업 록 밴드 NI ͷ, 일본 식품 회사 Nissin, 1997년 설립된 생명공학 회사 Noxon Pharma, 2001년 온라인 여행사 Opodo, 출생한 식품 브랜드 OXO1899년, 비디오 게임 포드(Pod), 오디오 제품 소노스(Sonos)의 미국 개발 및 제조사, 미국 프로 농구팀 피닉스 선스([95]Phoenix Suns),[96][97] 접착 제품의 독일 제조사 UHU, 미국 의류 브랜드 언더아머(Under Armor)의 4중 대칭 로고 UA, 캐나다 법인은 시외 여객 철도 운영을 의무화했습니다.1978년 [98]서비스 VIA, 1942년생 미국 국제방송 VOA, 말레이시아 모바일 가상 네트워크 운영자 XOX.테스코 클럽 카드의 학생판은 180° 회전 대칭을 사용했습니다.[99]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앰비그램은 시각적인 말장난이기 때문에 [4]일반적으로 관심을 끌기 때문에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서 마케팅이나 정치적인 메시지를 방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가로축을 통해 읽을 수 있는 거울 앰비그램 "페넬로페/베네볼"이 위키미디어 커먼즈에서 확산된 후 웹상에서 밈이 되었습니다.[100]프랑스 정치인이자 전 총리인 프랑수아 필롱의 부인 페넬로페 필롱이 가상의 직업에 대한 임금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아이러니하게도, 거울을 통해 그녀의 이름은 무료 봉사를 위한 헌신을 암시하는 베네볼레(프랑스어로 자발적인)가 됩니다.소셜 네트워크에 수만 번 공유되는 이 유머러스한 앰비그램은 여러 프랑스[102][103],[101] 벨기에, 스위스[100] 언론을 통해 화제가 되었습니다.
앰비그램은 퍼블리시스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기관에서 양방향 메시지를 통해 독자 또는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정기적으로 사용됩니다.[104]따라서 2021년에는 성 평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스위스 광고 캠페인에 여성 이름으로 변경된 남성 이름이 포함됩니다.흥미로운 캐치프레이즈 타이포그래피(catchphrase typography)가 거꾸로 독자를 불러 잡지를 회전하게 하고, 이 잡지에서 이름 "마이클" 또는 "피터"는 "나탈리" 또는 "앨리스"로 바뀝니다.[105][106]
2015년 여행용 충전기 중 하나에 있는 iSmart의 로고는 브랜드 이름이 "+Jews!"라고 쓰인 자연스러운 앰비그램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입소문이 났습니다." 거꾸로회사측은 "...우리는 로고를 만들 때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강력한 교훈을 배웠습니다.
영화 포스터는 때때로 중앙 대칭에 의해 크리스토퍼 놀란의 테넷과 같은 앰비그램 제목으로 관찰자들을 유혹합니다.[26]또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한 뤽 베송의 안나,[108][109]
코믹스

미국의 예술가이자 작가인 피터 뉴웰은 1893년에 "퍼즐 / 끝"이라는 회전 앰비그램을 책에 실었는데, 이 책에는 가역적인 삽화인 Topsys & Turvys가 포함되어 있습니다.[29]
1904년 3월 네덜란드계 미국인 만화가 구스타브 베어벡은 노인 머파루와 작은 부인 러브킨스의 '거꾸로 된 것들'의 세 편의 연속적인 연재물에 앰비그램을 사용했습니다.[31]그의 만화는 애매모호한 이미지로, 6폭짜리 만화를 읽고 책을 뒤집고 계속 읽을 수 있는 방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The Wonderful Cure of the Waterfall (1904년 3월 13일)에서 한 인도 의학자가 '큰 물이 그녀를 매우 건강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하는 반면, 뒤집었을 때 그 의학자는 '벌칙, 눈을 부릅뜨고, 세렘 빅'이라고 말하는 인도 여자로 변합니다.이것은 그녀가 '세렘 빅'을 부르겠다는 뜻의 여러 외래어를 '불쌍한 사랑'이라고 설명합니다.다음 만화인 글 쓰는 돼지의 집에서 (1904년 3월 20일)에서는 앰비그램 단어 풍선 두 개가 등장합니다.첫 번째는 화가 난 돼지가 주인공을 떠나게 하려고 하는 장면으로, '큰 소년은 가라, 돼지 아저씨의 집을 망친다'라는 문구를 보여주며, 아래로는 '보이 유는 가라'라고 쓰여 있습니다.홀짝홀짝.돼지의 고향.'주인공은 돼지에게 큰 번을 먹냐고 물었고, 돼지는 '왜 큰 번을 먹습니까?'라고 대답합니다.Am madu!'는 'Inpew we song big hym'으로 넘어갑니다.마침내 나쁜 뱀과 착한 마법사 (1904년 3월 27일)에는 두 개의 앰비그램이 더 있습니다.첫 번째는 'How do you do'를 'Opnohop Moy'라는 마법사의 이름으로 바꾸고, 두 번째는 다람쥐가 주인공에게 'Yes fore on'이라고 말하고 돌아오는 길에 '여기 뱀이 없다'는 것을 알리는 것입니다.2012년 스웨덴에서 리메이크된 책에서 예술가 마커스 아이바르손은 나쁜 뱀과 착한 마법사를 자신만의 스타일로 다시 그립니다.[110]그는 다람쥐는 제거하지만 다른 앰비그램은 유지합니다.'How do you do'는 'Nejnej' (스웨덴어로 '아니오')로 대체되어 현재 그 마법사는 'Laulau'로 불립니다.
위키미디어 커먼즈의 구스타브 베어벡의 앰비그램 관련 미디어.
잠재적인 만화 예술의 작업장인 오우바포는 형식적인 제약을 사용하여 매체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고 믿는 만화 운동입니다.만화가인 에티엔 레크로아트는 오우바포 협회의 창립자이자 주요 회원이며 수평, 수직, 대각선으로 읽을 수 있는 만화를 작곡했으며 때로는 적절한 앰비그램을 포함하기도 합니다.[111]
도면 및 그림

영국의 화가이자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인 렉스 휘슬러는 1946년 가역적인 그림을 모은 책의 표지를 위해 "OHO!"라는 회전 앰비그램을 출판했습니다.[112]
앰비그램 전문가인 예술가 John Langdon은 도형-배경, 회전, 거울 또는 토템과 같은 모든 종류의 앰비그램을 특징으로 하는 많은 색상의 그림을 디자인했습니다.[73]다른 영향 중에서도 특히 M. C. 에셔의 그림을 존경합니다.[113]
캐나다의 예술가인 Kelly Klages는 캔버스에 서드 걸(Third Girl), 템페스트(The Tempest), 장례식 후(After the Fairnal), 할로우(The Hollow), 종교개혁(Reformation), 셜록 홈즈(Sherlock Holmes), 코끼리는 기억할 수 있습니다(Elephants Can's Remember)와 같은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나 아가사 크리스티(Agatha Christie)가 쓴 유명한 작가의 소설을 언급하는 앰비그램 단어와 문장으로 여러 개의 아크릴을 그렸습니다.[114]
조각품

독일의 개념 예술가 Mia Florentine Weiss는 평화와 관점의 변화의 상징으로서 유럽을 여행해 온 조각적인 앰비그램 Love Hate [[115]를 만들었습니다.[116]보는 사람이 어느 쪽을 보느냐에 따라 조각은 "사랑" 또는 "미움"이라고 말합니다.비슷한 개념이 베를린의 라이히슈타그 빌딩 앞에 설치되어 "지금 / 원"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습니다.두 조각 모두 수직 축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거울 형태의 앰비그램입니다.[117]
스위스 조각가 Markus Raetz는 일반적으로 프랑스어의 YES-NO (2003),[118] ME-WE (2004, 2010),[119] OUI-NON (2000–2002),[120][121] SI-NO (1996),[122] 스페인어의[123][124] TODO-NADA (1998)와 같은 연관된 의미를 가진 단어들을 특징으로 하는 몇 가지 3차원 앰비그램 작품들을 만들었습니다. 이것들은 관찰자의 시야각에 따라 모양이 바뀌는 아나모픽 작품들입니다.OUI-NON 앰비그램은 금속 기둥의 꼭대기에 있는 스위스 제네바의 론 광장에 설치되어 있습니다.물리적으로 글자들은 쇠꼬챙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이 작품은 현실성이 모호할 수 있음을 시각으로 보여줍니다.[121]
프랑스의 마술사 Francis Tabary [ 의 몇몇 앰비그램 조각들은 반회전 회전에 의해 뒤집힐 수 있으므로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지지대에 전시될 수 있습니다.[125][126]
문학.
페일린드롬스


앰비그램은 일종의 시각적 회맹증입니다.[127]어떤 단어들은 뒤집히고, 어떤 단어들은 거울을 통해서 대칭을 이룹니다."와", "말라얄람"([128]드라비디아어), 또는 회전 앰비그램 로고와 연관된 회문 이름을 가진 생명공학 회사 녹슨(Noxxon)과 같은 자연 앰비그램 회문이 존재합니다.하지만 어떤 단어들은 자연스러운 앰비그램이지만 문학적인 수용에서는 창백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bud"와 d는 다른 글자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결과적으로 일부 단어와 문장은 앰비그램리스트에게는 좋은 후보이지만 회문주의자에게는 좋은 후보가 되지 않으며, 반대로 제약 조건이 약간 다르기 때문입니다.앰비그램의 저자들은 또한 시각적 회맹부의 판독에 영향을 주기 위해 서체와 그래픽 조정을 함으로써 특정한 유연성으로부터 이익을 얻습니다.
잠재 문학의 워크숍인 오울리포는 제한된 글쓰기 기법을 사용하여 작품을 만들고자 합니다.프랑스 소설가이자 울리포 그룹의 일원인 조르주 페레크는 그가 "수직 회문"이라고 부르는 회전 앰비그램을 디자인했습니다.[14]시빌라인, 프랑스어로 "Andin Basnoda a une épuse qui pué"라는 문장은 "Andin Basnoda에게 냄새 나는 아내가 있다"라는 의미입니다.페렉은 구두점에 신경 쓰지 않았지만, 그의 창작물은 Arial과 같은 고전적인 글꼴로 쉽게 뒤집힙니다.
시각적 회향극은 때때로 문학적인 내용을 완벽하게 묘사합니다.미국 작가 댄 브라운은 존 랭던의 디자인을 그의 베스트셀러인 엔젤스 앤 데몬스의 줄거리에 포함시켰고, 그의 허구적인 캐릭터인 로버트 랭던의 성은 앰비그램 아티스트에 대한 오마주였습니다.[129]
Clive Barker가 쓰고 삽화를 그린 판타지 소설 Abarat는 표지에 제목의 앰비그램을 특징으로 합니다.[130]
캘리그람스

캘리그람은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열된 텍스트입니다.그것은 시, 구절, 경전의 일부분, 또는 한 단어가 될 수 있습니다.시각적 배열은 서체, 캘리그라피 또는 필체의 특정 용도에 의존할 수 있습니다.단어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는 텍스트가 무엇을 말하는지 또는 밀접하게 연관된 것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텍스트를 보여줍니다.
이슬람 서예에서 대칭적인 캘리그라그램은 고대와 현대 시대에 나타나 아랍어로 거울 앰비그램을 형성합니다.[28]
"OK"라는 단어는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여 사람의 아이콘을 연상시킵니다. O라는 글자는 머리를, K라는 글자는 팔과 다리를 형성합니다.노르웨이 클라이밍 클럽 오슬로 클라트레클루브 [ (성어 "OK")는 공식 로고를 위해 이 자연스러운 캘리그람의 개념을 차용했습니다.[131]
의미론


더글라스 호프스태터(Douglas Hofstadter)가 설명한 것처럼, 앰비그램(ambigram)[4]은 두 개 이상의 (명확한) 해석을 문자 단어로 하는 시각적 말장난입니다.
다국어 앰비그램은 한 언어로 한 가지 방법으로 읽을 수 있고, 다른 언어나 알파벳으로 다른 방법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40]다언어 앰비그램은 다양한 종류의 앰비그램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다언어 지각 이동 앰비그램은 특히 눈에 띕니다.
"듣다 / 침묵하다" 또는 "눈이 / 그들이 본다"와 같은 주의적인 의미를 가진 특정한 아나그램처럼, 앰비그램 또한 때때로 시의적절한 의미를 갖는데, 예를 들어 "위"는 "dn"이라는 약자가 되며, 매우 자연스럽게 180°[132] 회전에 의해 됩니다.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글자의 운이 나쁜 상황을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이상한 애너그램 '산타 / 사탄'이 그렇다, 그것이 표현하는 역설적이고 의도치 않은 메시지 때문에 입소문이 난 회전 앰비그램이 그렇다.2015년 나쁜 의도 없이 판매된 금속 메달에서 발견된 "희망"이라는 글자는 낙관론의 대척점에 위치한 나치 지도자의 이름인 "아돌프"라고 꽤 명백하게 쓰여 있습니다.한 인터넷 사용자가 찍은 이 우연은 여러 매체에 의해 중계되어 모호한 이미지를 구성합니다.[133][134]
수학

레크리에이션 수학은 엄격한 연구와 응용에 기반을 둔 전문적인 활동이라기 보다는 오락을 위해 수행됩니다.[60]각 행, 각 열 및 두 주 대각선의 숫자의 합이 같은 오른쪽을 위로 또는 위로(180° 회전 설계) 나타나는 앰비그램 매직 스퀘어가 존재합니다.숫자 앰비그램은 알파벳 문자와도 연관이 있습니다."원"이라는 단어의 각 조각이 완벽한 정사각형 안에 들어맞는 퍼즐에서 "원"의 "절개" 앰비그램이 달성되었습니다.[4]
멜버른의[135] 수학 교수인 Burkard Polster는 앰비그램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고, Eye Twisters, Ambigrams & Other Visual Puzzle to Amaze와 Entertainment를 포함하여, 그 주제를 다루는 여러 책을 출판했습니다.[136]추상적인 수학 앰비그램에서 폴스터는 자신의 영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여러 앰비그램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대수", "기하학", "수학", "수학", "수학" 등이 있습니다.[4]
![]() ![]() ![]() ![]() ![]() |
"07734" 숫자를 거꾸로 쓴 메시지. |
계산기 철자법은 계산기가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7개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의도하지 않은 특성으로, 거꾸로 읽었을 때 숫자가 라틴 알파벳의 문자와 유사합니다.또한, 회음계 숫자와 스트로보그램 숫자는 때때로 수학자 앰비그램리스트들의 관심을 끕니다.[53][52]
앰비그램 테셀레이션과 3D 앰비그램은 기하학 수학자에게 특히 재미있는 두 가지 유형입니다.테셀레이션의 단어 패턴은 마름모꼴, 이등변 직각 삼각형 또는 평행사변형과 같은 35개의 기본 다각형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45]
단어 퍼즐은 오락의 원천으로 사용되지만, 추가적으로 교육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미국의 퍼즐 디자이너 스콧 킴(Scott Kim)은 마틴 가드너(Martin Gardner)의 '수학 게임(Mathematical Games)' 칼럼에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의 여러 앰비그램(ambig그램)을 실었는데, 그 중 '마틴 가드너의 마음 축하' 같은 긴 문장이 '물리, 패턴, 그리고 사전 소화'로 바뀝니다.[137]
철학과 인지
이중성과 유추


"ambigram"이라는 단어에서 어근 앰비-는 "둘 다"를 의미하며 낮/밤, 왼쪽/오른쪽, 출생/죽음, 선/악과 같은 이중성의 세계에서 인기 있는 접두사입니다.[138]Wordplay에서: 존 랭던([139]John Langdon)은 암비그램의 철학, 예술, 그리고 과학에서 음양 기호를 거꾸로 단어를 만드는 데 주요한 영향 중 하나로 언급합니다.
앰비그램은 1980년대 초 더글러스 호프스태터가 인기 있는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을 위해 쓴 다양한 기사 모음집인 메타매직 테마에 언급되어 있습니다.[9]
비유의 균형점을 찾는 것은 앰비그램을 하는 것의 미적으로 즐거운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미적 운동인데, 두 해석 사이의 중간에 정확히 배치된 모양들이 만들어져야 합니다.그러나 균형점을 찾는 것은 단순히 미적 놀이 이상의 것입니다. 그것은 사람들이 추상화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핵심을 탐구하고, 그것은 그들도 모르는 사이에 그렇게 합니다.그것은 카피캣 연구의 중요한 측면입니다.[9]
인지와 심리

가독성은 성공적인 앰비그램에서 중요한 측면입니다.그것은 독자가 기호를 쉽게 해독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메시지가 손실되거나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 앰비그램이 작동하지 않습니다.[8]가독성은 지각, 혹은 우리의 뇌가 우리의 눈을 통해 보는 형태를 어떻게 해석하는지와 관련이 있습니다.[140]
앰비그램의 대칭성은 일반적으로 서예 단어의 시각적인 외관을 향상시킵니다.[36]로르샤흐 테스트의 발명가인 헤르만 로르샤흐는 비대칭적인 수치는 많은 피실험자들에 의해 거부된다는 것을 알아차렸습니다.대칭성은 필요한 예술적 구성의 일부를 제공합니다.[141]
많은 아마추어들에게 앰비그램을 디자인하는 것은 작가가 계획하지 않은 행운의 발견을 했을 때 세렌디피티가 비옥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나타냅니다.[4][32]
마술

마법에서, 앰비그램은 시각적 환상처럼 작용하여, 특정한 쓰여진 단어로부터 예상치 못한 새로운 메시지를 드러냅니다.[143]
영국 쇼 트릭 오어 트릿의 첫 번째 시리즈에서 쇼의 진행자이자 창작자인 데렌 브라운(Derren Brown)은 회전 앰비그램이 있는 카드를 사용합니다.[144][145]이 카드들은 'Trick' 또는 'Treat'를 읽을 수 있습니다.
앰비그램이 포함된 모호한 이미지는 다른 방식으로 모호함을 야기합니다.예를 들어, Giuseppe Arcimboldo (1570)의 Illusion of the Cook (요리사의 환상)에서와 같이 회전 대칭에 의해서,[146] 때로는 루빈 꽃병에서와 같은 도형-배경 양면성에 의해서, 토끼-오리 착시에서와 같은 지각 이동에 의해서, 또는 파레이돌리아를 통해서, 또는 다시, 네커 큐브 또는 펜로즈 삼각형과 같은 불가능한 물체의 표현에 의해서.이러한 모든 유형의 이미지에는 특정 앰비그램이 존재하며 동일 유형의 비주얼과 결합할 수 있습니다.
존 랭던(John Langdon)은 "광학적"과 "일루전"이라는 두 단어를 가진 도형-배경 앰비그램 "광학적 착시"를 디자인했습니다."광학적"은 처음에는 더 쉽게 볼 수 있지만, "환상"은 더 오랜 관찰과 함께 나타납니다.[147]
문신
앰비그램을 담고 있는 가장 역동적인 분야 중 하나가 문신입니다.그들은 두 가지 방식의 독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부에 새겨진 앰비그램 문신은 "마음을 울리는" 효과로부터 이익을 얻습니다.팔에는 소매 문신이 거꾸로 뒤집히거나 등이나 두 손목에는 거울 대칭으로 더 눈에 띕니다.다양한 스크립트와 글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경험이 풍부한 앰비그램 아티스트들은 복잡한 시각적 디자인으로 착시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148]
2015년, 앰비그램 문신은 2년 전 퍼블리시스 그룹이 개발한 광고 캠페인에 이어 입소문이 났습니다.자살 예방에 적극적인 싱가포르 조직의 사마리아 인들은 180° 가역적인 "SOS" 앰비그램 로고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이름의 약자이자 유명한 SOS 조난 신호의 동음이입니다.2013년 이 센터는 잡지에 삽입할 수 있는 광고를 주문해 젊은 층의 우울증 문제를 독자들이 알 수 있도록 하고, 통신사는 로고의 대칭적인 면을 주목합니다.이에 따라 '난 괜찮아', '환상을 느껴', '인생은 훌륭해' 등의 문장이 '살려줘', '나는 무너져가고 있어', '나는 내 자신이 싫어' 등으로 바뀌는 사진적 맥락을 무대로 여러 편의 앰비그램 비주얼을 연출하기 시작합니다.페이지의 왼쪽 상단 모서리에 거꾸로 인쇄된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배치된 이 로고를 본 독자는 신문을 회전하고 SOS와 함께 호출되는 이중 캘리그라피 메시지를 시각화합니다.[104][149]이 광고들은 매우 영향력이 커서 심각한 우울증을 극복하고 나온 미국 학생인 베카 마일스는 허벅지에 문신을 하기 위해 "I'm fine / Save me"라는 앰비그램을 사용하기로 결정합니다.페이스북에 게시된 양면 사진은 이 어려움에 감명을 받았거나 민감한 많은 젊은이들에게 즉각적으로 어필합니다.[150][151]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미국의 George Fox University는 공식 저널에 착시 현상을 총 300만 건 이상의 조회수를[152] 기록한 비디오를 통해 전달하고, 그 정보는 여러 지역 언론과 국제 기관에서도 재현되어 이 유명한 양방향 문신의 대중화에 도움을 줍니다.[153][154]불행하게도, 16살의 또 다른 십대 소녀가 자살을 했는데, 이 앰비그램은 그녀의 방에서 발견되었는데,[155] 오늘 교육적인 목적으로 배지와 팔찌에 인쇄된, 뒤집을 수 있는 캘리그라피입니다.
제조업
의류와 패션

아디다스는 신발 안에 앰비그램 타이포그래피가 인쇄된 "바운스"라고 불리는 운동화 라인을 판매했습니다.
HH(Helly Hansen), UA(Under Armor), 또는 New Man [ ]과 같은 여러 의류 브랜드는 앰비그램 로고를 시각적 정체성으로 사용합니다[77]
거울 앰비그램은 또한 때때로 티셔츠, 수건, 모자에 놓여지는 반면 양말은 회전 앰비그램에 더 잘 적응합니다.개념 예술가 Mia Florentine Weiss는 거울 앰비그램 Love Hate [ 로 티셔츠와 다른 제품들을 홍보했습니다[156][116]마찬가지로, 캘리포니아의 Ventura 시는 맨투맨, 모자, 재킷 그리고 회전 앰비그램 로고가 인쇄된 다른 패션 액세서리를 판매합니다.[157]
-
티셔츠에 인쇄된 회전 및 반사 앰비그램 "Ideal"
-
노르웨이의 의류 및 스포츠 용품 제조업체이자 소매업체인 Helli Hansen은 앰비그램 로고를 가지고 있습니다.
악세사리

미국 래퍼 릴 웨인(Lil Wayne)의 13번째 정규 앨범인 Funeral의 CD 커버에는 "Funeral / Lil Wayne"이라고 쓰인 180° 회전 앰비그램이 있습니다.[158]
폴 매카트니의 솔로 앨범 '혼돈과 뒷마당의 창조'의 특별판 종이 슬리브(CD with DVD)는 가수 이름의 앰비그램을 특징으로 합니다.[159]
그레이트풀 데드는 그들의 앨범 Aoxomoxoa와 American Beauty를 포함하여 여러 차례 앰비그램을 사용했습니다.[citation needed]
대부분의 앰비그램에 의해 철자가 쓰인 단어들은 비교적 짧은 길이이지만, 프린세스 브라이드 영화의 한 DVD 표지는 오른쪽으로 보거나 거꾸로 볼 때 "프린세스 브라이드"라는 두 단어로 회전 앰비그램을 만들어냅니다.
록 밴드 굿나잇, 선라이즈의 스튜디오 앨범 Create/Destroy/Create by Goodnight,[161] Sunrise는 폴란드 아티스트 다니엘 도스탈이 디자인한 "create"와 "destroy"라는 불변의 두 단어로 구성된 앰비그램 구성입니다.
타이포그래퍼 마크 사이먼슨(Mark Simson)이 만든 변화하는 메시지 'Drink / Drunk'가 담긴 리버서블 샷 글라스를 제조해 시장에 판매했습니다.[72]
일부 상인들이 가게가 "열려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창문을 통해 사용하는 가역적인 간판의 개념은 2000년대 초 데이비드 홀스트가 개발한 회전 앰비그램 "열려 있다/닫혀있다"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41]
앰비그램 만들기

때때로 앰비그램 아티스트라고 불리는 다른 앰비그램 아티스트들은 스타일과 형태 모두에서 다른, 같은 단어로부터 독특한 앰비그램을 창조할 수 있습니다.[9][162]
핸드메이드 디자인
앰비그램을 만들기 위한 보편적인 지침은 없고, 문제에 접근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공존합니다.WordPlay, Eye Twisters,[73][136] Ambigrams Revelened를 포함한 많은 책들이 영어로 [36]창작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앰비그램 생성기
자동으로 앰비그램을 생성하는 컴퓨터화된 방법들이 개발되었습니다.대부분은 한 글자를 다른 한 글자에 매핑하는 단순화된 원리로 작동합니다.이러한 약점 때문에, 그들 대부분은 단어를 자신이나 길이가 같은 다른 단어에만 매핑할 수 있고 글자들을 결합하지 못합니다.따라서, 생성된 앰비그램은 일반적으로 손으로 만든 앰비그램과 비교할 때 품질이 좋지 않습니다.보다 정교한 기술은 복잡한 앰비그램을 만들기 위해 수천 개의 곡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합니다.[citation needed]일부 앰비그램 생성기는 무료인 반면 일부는 결제가 필요합니다.
아티스트
존 랭던과 스콧 킴은 각각 1970년대에 앰비그램을 발명했다고 믿었습니다.[163]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더글라스 호프스태터(Douglas Hofstadter)가 그 용어를 만들었습니다.[4]
호프스태터는 다양한 종류의 가능한 앰비그램을 시각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제약 조건과 대칭을 가진 많은 작품을 만들었습니다.[164]호프스태터는 여러 대학 갤러리에서 자신의 작품을 여러 차례 전시했습니다.[165][166]
스콧 킴에 따르면 호프스태터는 미국의 모든 주 이름에 대해 50개의 앰비그램 시리즈를 만든 적이 있다고 합니다.[167]
1987년에 그의 또다른 자아인 에그버트 G. 게브스태터와의 앰비그램과 창조성에 대한 긴 대화와 함께 그의 200개의 앰비그램 책이 이탈리아에서 출판되었습니다.[5][168]
존 랭던
존 랭던(John Langdon)은 독학한 예술가이자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화가로, 1960년대 후반과 70년대 초반에 앰비그램을 디자인하기 시작했습니다.레터링 전문가인 Langdon은 필라델피아에 있는 Drexel University의 타이포그래피 및 기업 정체성 교수입니다.[169]
존 랭던은 1972-1973년에 거울 이미지 로고 "스타쉽"을 제작했고,[170][171] 그것은 록 밴드 제퍼슨 스타쉽에 팔렸습니다.
랭던의 앰비그램 책 워드플레이는 1992년에 출판되었습니다.약 60개의 앰비그램이 들어있습니다.각각의 디자인에는 단어의 정의, 어원, 철학 및 과학과의 관계, 일상생활에서의 사용 등을 탐구하는 간단한 에세이가 첨부되어 있습니다.[73]
앰비그램스는 댄 브라운이 존 랭던의 디자인을 그의 베스트셀러인 '엔젤스 앤 데몬스'의 줄거리에 접목시킨 결과로 더욱 인기를 끌게 되었고, '엔젤스 앤 데몬스' 영화의 DVD 발매에는 '디스 이즈 앰비그램'이라는 보너스 챕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Langdon은 또한 책 표지의 일부 버전에 사용된 앰비그램을 만들었습니다.[163]브라운은 존 랭던에 대한 경의의 표시로 소설 속 영웅을 위해 로버트 랭던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129][172]
음악 매니지먼트 회사이자 음반사인 블랙스미스 레코드는 존 랭던이 디자인한 회전 앰비그램 로고를[173] 가지고 있습니다.[174]
스캇 킴
스콧 킴은 앰비그램 기술의 가장 잘 알려진 거장 중 한 명입니다.[76]그는 1981년에 다양한 종류의 앰비그램을 가진 반전이라는 책을 출판한 미국의 퍼즐 디자이너이자 예술가입니다.[17][172]
타 아티스트
Nikita Prokhorov는 그래픽 아티스트, 타이포그래퍼, 전문 앰비그램리스트입니다.그의 책 Ambigrams Revealed는 전세계에서 온 모든 종류의 앰비그램 디자인을 보여줍니다.[36][175]
1946년에 태어난 알랭 니콜라스는 비유 테셀레이션과 앰비그램 테셀레이션 전문가입니다.그의 책에서, 그는 많은 방향에서 읽을 수 있는 "무한", "아인슈타인" 또는 "역전"과 같은 다양한 단어들로 많은 타일링을 수행했습니다.[45]가디언지에 따르면, 니콜라스는 "에셔 스타일 타일링의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예술가"로 불렸습니다.[176]
참고문헌
- ^ a b Cepelewicz, Jordana (2020-02-12). "New Clues About 'Ambigram' Viruses With Strange Reversible Genes". Quanta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17. Retrieved 17 November 2021.
- ^ a b c d "Definition of ambigram". Merriam-Webs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9-15. Retrieved 2021-09-20..
- ^ a b Mouriquand, David (2022-11-18). "Scrabble adds 500 new words to its official dictionary". Euronews. Ly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11-24. Retrieved 2022-12-06.
- ^ a b c d e f g h i j k Polster, Burkard. "Mathemagical Ambigrams"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3-07-05. Retrieved 2020-03-29.
- ^ a b c "Douglas R. Hofstadter". Indiana University. 2007-03-21. Retrieved 2021-08-07.
- ^ a b "Ambigram". Oxford English Diction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3-07-25. Retrieved 2023-07-25.
- ^ a b c Witherellspecial, Jim (2022-02-27). "In a word: Wow, the many ways words are symmetrical". Sun Journal. Ma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5-04. Retrieved 2022-12-06.
- ^ a b "Deciphering the art of ambigrams". Adobe. Retrieved 2021-08-08.
- ^ a b c d Hofstadter, Douglas (2008). Metamagical Themas: Questing For The Essence Of Mind And Pattern. Basic Books. p. 880. ISBN 978-0-7867-2386-7.
- ^ Hofstadter, Douglas (2008). Metamagical Themas: Questing For The Essence Of Mind And Pattern. Basic Books. p. 880. ISBN 978-0-7867-2386-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3-09-05.
- ^ a b c d 호프스태터 1987년.
- ^ Polster 2007, p. 198.
- ^ Borgmann, Dmitri (1965). Language on Vacation: An Olio of Orthographical Oddities. Scribner. p. 27. ASIN B0007FH4IE.
- ^ a b c "L'écrit touareg du sable au papier. Un typographe français a retranscrit l'alphabet des hommes du désert". Liberation (in French). 1996-07-27. Retrieved 2021-08-10.
- ^ "Ce repère, Perec" (PDF). APMEP (Association des Professeurs de Mathématiques de l'Enseignement Public) (in French). Retrieved 2021-08-07.
- ^ OMNI 매거진 1979년 9월 143페이지 스캇킴의 작품
- ^ a b 김 1986.
- ^ 프로호로프 2013, 페이지 25.
- ^ 프로호로프 2013, 페이지 18.
- ^ "Latest update March 2011 (List of new words)". Oxford English Diction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4-10. Retrieved 2021-08-28.
- ^ "Words We're Watching: 'Ambigram'". Merriam-Webs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23. Retrieved 2021-09-20..
- ^ Scottie, Andrew (2022-11-16). "Scrabble adds 500 new playable words, like 'vax,' 'deepfake' and 'Jedi'". CNN. Atlan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11-20. Retrieved 2022-12-06.
- ^ "Words Added to the Scrabble Dictionary". Merriam-Webster. Springfield, Massachusetts. 2022-11-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12-05. Retrieved 2022-12-06.
- ^ a b R. Langford-James, 동방정교회 사전, Ayer Publishing, ISBN 978-0-8337-5047-1, p. 61
- ^ "Menerbes". Lydie's House (in French). Retrieved 2021-08-07.
- ^ a b "The ancient palindrome that explains Christopher Nolan's Tenet". Vox. 2020-09-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8-29. Retrieved 2021-09-20..
- ^ 배리 J. 블레이크(Barry J. Blake), 비밀 언어: 코드, 트릭, 스파이, 도둑, 그리고 기호,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10, ISBN 978-0-19-957928-0, 페이지 15
- ^ a b "Islamic Calligraphy and Visions" (PDF). Crosbi. Retrieved 2021-08-07.
- ^ a b "Topsys & turvys".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2021-08-07.
- ^ 폴스터 2007, 페이지 6.
- ^ a b Verbeek, Gustave (2009). The Upside-Down World of Gustave Verbeek. Sunday Press. ISBN 978-0-9768885-7-4.
- ^ a b c Newnes, George (1908). "Curiosities". The Strand Magazine. No. 36. p. 359. Retrieved 6 November 2016.
- ^ Ambigrams Chump, honey, M. H. H. H. Hill, Bet 외 다섯 단어 – Strand Magazine 1908
- ^ a b DeRisi, Joseph L.; Huber, Greg; Kistler, Amy; Retallack, Hanna; Wilkinson, Michael; Yllanes, David (2019-11-29). "An exploration of ambigrammatic sequences in narnaviruses". Nature. 9 (1) 17982: 17982. Bibcode:2019NatSR...917982D. doi:10.1038/s41598-019-54181-3. PMC 6884476. PMID 31784609. S2CID 202854658.
- ^ a b c de Gruyter, Walter (2004). Semiotik Semiotics. Herbert Ernst Wiegand. p. 3588. ISBN 978-3-11-017962-0.
- ^ a b c d e f g h 프로호로프 2013.
- ^ Cloez, Bertrand (2022-03-22). Recueil de curiosités mathématiques (in French). Éditions Ellipses. p. 51. ISBN 978-2-340-06713-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11-16. Retrieved 17 November 2022.
- ^ a b Koetz, Matt (2017). "Our Renowned Newsletter - The Renowned Brown" (PDF). Nazareth College (New Y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2-11-16. Retrieved 2022-11-10.
- ^ Prokhorov 2013, p.
- ^ a b c d e Prokhorov 2013, p.
- ^ a b Jean-Paul Delahaye (2004-09-01). "Ambigrammes". Pour la Science (in French). Retrieved 2021-10-06..
- ^ "Patrice Hamel, magicien des lettres". Le Monde (in French). 26 May 2006. Retrieved 2021-08-07.
- ^ Prokhorov 2013, p. 131, 141.
- ^ "US, painting". John Lang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2-27. Retrieved 2021-08-28..
- ^ a b c Nicolas, Alain (2018-04-06). Parcelles d'infini – promenade au jardin d'Escher (in French).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ISBN 978-2-84245-075-5. Retrieved 2021-08-07.
- ^ a b Prokhorov 2013, p. 33, Ambigrams에서 "Alain Nicolas" 공개.
- ^ Prokhorov 2013, 페이지 37.
- ^ "Ambigrams, Logos and word art – Category Totem". John Lang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10-24. Retrieved 2021-08-28..
- ^ "Fractals, ambigrams, and more…". Punya Mishra's web. Retrieved 2021-08-07.
- ^ "Godel, Escher, Bach: An Eternal Golden Braid". National Book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7-28. Retrieved 2021-08-07.
- ^ Moser, David. Chinese-English Ambigrams.
- ^ a b "Strobogrammatic number".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2021-09-19.
- ^ a b Schaaf, William L. (1 March 2016) [1999]. "Number game".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2 January 2017.
- ^ Herman, Judith B. (2015-01-09). "Palindromes, anagrams, and 9 other names for alphabetical antics". The Wee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2-17. Retrieved 2022-02-17.
- ^ Scott Duke Kominers (2021-12-31). "2021 Was a Mess, Unless You Count the Palindrome Days". The Washington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2-23. Retrieved 2022-02-23.
- ^ "Mad 61 March 1961". Mad Cover 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11-07. Retrieved 2021-08-15.
- ^ Marples, Megan (2022-02-22). "Happy Twosday! Don't miss out celebrating the coolest date of the decade". CN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2-22. Retrieved 2022-02-17.
- ^ Hall, Rachel (2022-02-22). "22.02.2022: social media gets excited over palindrome 'Twosday'".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2-22. Retrieved 2022-02-23.
- ^ Curtis, Charles (2022-02-22). "Happy Twosday! Everyone's celebrating the fact that it's 2/22/22 with memes". USA Tod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2-22. Retrieved 2022-02-23.
- ^ a b Suri, Manil (12 October 2015). "The Importance of Recreational Math".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21-08-07.
- ^ "SOCHI 2014 The brand". Olympics.com. 4 January 2021. Retrieved 2021-08-07.
- ^ "Morse code palindromes". JohndCoo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06. Retrieved 2021-08-07.
- ^ "Morse Palindromes". Scruss. 12 Octo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8-04. Retrieved 2021-08-07.
- ^ "Lulu". British Library. Retrieved 2021-08-07.
- ^ Dudas, Gytis; Huber, Greg; Wilkinson, Michael; Yllanes, David (2021). "Polymorphism of genetic ambigrams". Virus Evolution. 7 (1): veab038. bioRxiv 10.1101/2021.02.16.431493. doi:10.1093/ve/veab038. PMC 8155312. PMID 34055388.
- ^ Prokhorov 2013, 페이지 122.
- ^ Prokhorov 2013, 페이지 139
- ^ Prokhorov 2013, 페이지 146.
- ^ "Fear less Love More (intense) / Niels Shoe Meulman". Unruly Gallery. Retrieved 2021-08-07.
- ^ "Sneak peek at Book Logo 7". Typism Community. Retrieved 2021-08-07.
- ^ Prokhorov 2013, p. 145.
- ^ a b "Drink / Drunk Ambigram Shot Glasses". Oddity Mall. 10 March 2015. Retrieved 2021-08-07.
- ^ a b c d 랭던 2005.
- ^ "New Man". Logobook. Retrieved 2021-08-10.
- ^ "Raymond Loewy Biographie". Raymond-loewy.un-jour.org (in Fren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ne 2009. Retrieved 6 November 2016.
- ^ a b Pierce, Scott (20 May 2009). "Typography Two Ways: Calligraphy With a Twist". Wired. Retrieved 6 November 2016.
- ^ a b "New Man, à l'envers, à l'endroit". Le Journal du Net (in French). 16 Decem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23. Retrieved 2021-09-20..
- ^ "DMC LOGO". LogosMarcas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0-06. Retrieved 2021-08-28.
- ^ "1975 Prototype Logo". Car and Driver. July 1977. Retrieved 6 November 2016. 1977년에는 1975년 원형 하나만 존재했습니다.프론트 엔드의 설계를 포함하여 프로토타입 차량과 이후의 생산 모델 간에는 여러 가지 가시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 ^ "Motor City eyebrows were raised when DeLorean married model Cristina Ferrare". US Magazine. 1 November 1977. Retrieved 6 November 2016.
- ^ Prokhorov 2013, 페이지 133.
- ^ "Designers: Vaughan Pratt". Logoboo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8-09. Retrieved 2021-08-07.
- ^ "Creator of Abba logo dies". Sveriges Radio. September 2014. Retrieved 2021-09-20.
- ^ "Rune Söderqvist". ABBA. 13 April 2018. Retrieved 2021-08-07.
- ^ "Marketing Ventura: City moves to refine its image with new brand and logo". Ventura County St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2-25. Retrieved 2021-09-27.
- ^ "Home page". VisitVenturaC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2-01. Retrieved 2021-09-27.
- ^ "Aviva Canada". Glassdo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1-02. Retrieved 2021-08-07.
- ^ "Summer Newsletter 2016" (PDF). Capital Regional District.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1-09-21. Retrieved 2021-08-07.
- ^ "Logo". Hand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21. Retrieved 2021-09-20..
- ^ "Handybook Rebrands as Handy". Biz Journal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21. Retrieved 2021-09-20..
- ^ "Paris-Marseille, voyage au bout de l'appli". Libération (in French). 2019-06-21. Retrieved 2021-09-20..
- ^ "MAOAM". Harib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9-25. Retrieved 2022-02-17.
- ^ "Interview Nicolás de Santis, Directeur marketing Opodo". Le Journal du Net (in Fren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3-02. Retrieved 2021-09-20..
- ^ Fabi, Rachel (2021-12-30). "Sudden Inspirations".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1-01. Retrieved 2022-02-23.
- ^ "New Sonos logo design pulses like a speaker when scrolled". The Verge. 23 January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07. Retrieved 2021-08-07.
- ^ "New Logos, Same Memories". NBA. 2013-06-2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1-28. Retrieved 2021-09-27..
- ^ "Phoenix Suns Unveil New Logos". NBA. 2013-06-2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6-27. Retrieved 2021-09-27..
- ^ "Via Rail Canada". Logoboo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1-20. Retrieved 2021-09-20..
- ^ "Simon Beer: Graphic Designer". beerbubbles.com.
- ^ a b "Penelopegate le reflet qui fait rigoler". Le Matin (Switzerland) (in French). 6 Februar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8-05. Retrieved 2021-08-15.
- ^ "Penelope Gate: la photo qui fait le buzz sur les réseaux sociaux depuis ce weekend". Telestar (in French). 6 February 2017. Retrieved 2021-08-07.
- ^ "Avec un miroir, Penelope devient «benevole". Le Soir (in French). 2017-02-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5-31. Retrieved 2021-08-07.
- ^ "PenelopeGate: voici la photo qui fait le buzz sur les réseaux sociaux". Sudinfo (in French). 2017-02-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7-14. Retrieved 2021-08-15.
- ^ a b "Ad Campaign Finds A Surprising Way To Talk About Depressio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3-06-2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23. Retrieved 2021-08-07.
- ^ "Serviceplan Suisse stellt die Gleichberechtigung auf den Kopf". Horizont (magazine) (in German). 2021-07-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23. Retrieved 2021-08-07.
- ^ "Serviceplan Suisse turns ads upside down for SKO Swiss Leaders". Werbewoche. 8 July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23. Retrieved 2021-09-20..
- ^ Hoffman, Jenn (9 May 2015). "This Charger that Says 'Jews' Is Today's Tech Fail". motherboard.com. Vice. Retrieved 6 November 2016.
- ^ ""Anna": le dernier Luc Besson dévoile une bande-annonce musclée". La Dépêche du Midi (in French). 2019-06-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7-01. Retrieved 2021-09-20..
- ^ ""Anna"". L'Obs (in French). 2019-07-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8-01. Retrieved 2021-09-20..
- ^ Ivarsson, Marcus (2012). Uppåner med lilla Lisen & gamle Muppen. Epix. ISBN 978-91-7089-524-1.
- ^ "Étienne Lécroart". Larousse (in French). Retrieved 2021-08-07.
- ^ "Two illustrated by Rex Whistler". PBA Galleries. Retrieved 2021-08-07.
- ^ Prokhorov 2013, p. 11.
- ^ "Ambigrams". Winklerarts. Retrieved 2021-08-07.
- ^ "German Artist Mia Florentine Weiss On Why Art Is Still The Barometer of Culture". Artnet. 2 June 2020. Retrieved 2021-08-07.
- ^ a b "The Two-Word Poem – Mia Florentine Weiss – Love/Hate". Google Arts & Culture. Retrieved 2021-08-07.
- ^ ""Europe — I love you"". Medium. 18 March 2019. Retrieved 2021-08-07.
- ^ "Markus Raetz (Swiss, 1941–2020)". Art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2-10. Retrieved 2021-09-07.
- ^ "Markus Raets – Prints – Sculptures" (PDF). Museum of Fine Arts Bern.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0-02-10. Retrieved 2021-08-28..
- ^ "Raetz, Markus". SIKART. Retrieved 2021-08-28..
- ^ a b "Œuvre OUI-NON". Geneve.ch (in Fren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18. Retrieved 2021-08-28.
- ^ "Raetz, Markus, SI – NO". SIKA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18. Retrieved 2021-08-28..
- ^ "Todo-Nada". Christ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18. Retrieved 2021-08-28..
- ^ "Raetz, Markus TODO-NADA". SIKA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18. Retrieved 2021-08-28..
- ^ "Sculptures ambigrammes". Francis Tabary (in Fren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3-15. Retrieved 2021-09-20..
- ^ "Les sculptures impossibles de Francis Tabary". 100% Vosges (in French). 4 Septem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2-09. Retrieved 2021-08-28..
- ^ Polster, Burkard (2003). Les Ambigrammes l'art de symétriser les mots (in French). Ecritextes.
- ^ "What Is The Longest Palindrome In English?". Dictionary. 31 January 2020. Retrieved 2021-08-07.
- ^ a b Lattman, Peter (14 March 2006). ""The Da Vinci Code" Trial: Dan Brown's Witness Statement Is a Great Read". The Wall Street Journal. Retrieved 2021-08-10.
- ^ "Candy and Carrion". The Guardian. 2002-10-19. Retrieved 2021-08-07.
- ^ a b "Oslo Klatreklubb". OsloKlatreklubb (in Norwegian). Retrieved 2021-08-07.
- ^ Gardner, Martin (2001). The Colossal Book of Mathematics: Classic Puzzles, Paradoxes, and Problems (1st ed.). W. W. Norton & Company. p. 736. ISBN 978-0-393-02023-6.
- ^ "Can you spot what's wrong with this badge?". The Daily Mirror. 2015-08-2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8-28. Retrieved 2021-09-20..
- ^ "Can YOU see the shocking secret this 'Hope' badge is hiding?". Daily Express. 2015-08-2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11-01. Retrieved 2021-09-20..
- ^ "Burkard Polster", Faculty profiles, Monash University, retrieved 23 January 2018
- ^ a b 2007년 폴스터.
- ^ Prokhorov 2013, 페이지 34.
- ^ Prokhorov 2013, p. 40.
- ^ Langdon 2005, pp. 6-16.
- ^ "Ambigram. How to design it?". Graphical art news. 2012-03-12. Retrieved 2021-08-07.
- ^ Rorschach, Hermann (2015). Psychodiagnostics A Diagnostic Test Based On Perception. Andesite Press. p. 274. ISBN 978-1-297-49635-6.
- ^ Costa, Luisa (2022-02-22). "Palíndromos e ambigramas: por que a data 22/02/2022 é tão especial?". Superinteressante (in Portugu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7-23. Retrieved 2022-11-10.
- ^ Seckel, Al (2017). Masters of Deception: Escher, Dalí & the Artists of Optical Illusion. Sterling. p. 320. ISBN 978-1-4027-0577-9.
- ^ "TV Series – Derren Brown: Trick or Treat". Derren Brown info. Retrieved 2021-08-07.
- ^ "Johnlangdon.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5, 2008.
- ^ "Composite and reversible heads by Giuseppe ARCIMBOLDO". Web Gallery of A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8-28. Retrieved 2021-08-28..
- ^ Wade, Nicholas (2016). Art and Illusionists. Springer. p. 398. ISBN 978-3-319-25229-2.
- ^ Hemingson, Vince (2010). Alphabets & Scripts Tattoo Design Directory: The Essential Reference for Body Art. Chartwell Books. p. 192. ISBN 978-0-7858-2578-4.
- ^ "World suicide prevention day 2014 - The hidden pain". Samaritans of Singapo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26. Retrieved 2021-09-20..
- ^ "Student Bekah Miles Gets Hidden Message 'I'm Fine Save Me' Tattoo To Force Herself To Talk About Her Depression". HuffPost. 2015-09-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7-10. Retrieved 2021-08-07.
- ^ "Student's 'I'm Fine/Save Me' Tattoo Brings Depression Conversation to Light". People. 2015-09-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5-23. Retrieved 2021-08-07.
- ^ "I'm Fine... Save Me". George Fox University. 2015-09-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7-13. Retrieved 2021-08-07.
- ^ "This Oregon student's tattoo is going viral because it helps explain depression". The Oregonian. 9 September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06. Retrieved 2021-08-07.
- ^ "Tattoo brilliantly shows the battle people with depression face every day". Metro. 2015-08-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4-27. Retrieved 2021-08-07.
- ^ "Mental health: Girl's 'help me' note before death inspires mum". BBC. 2019-09-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5-11. Retrieved 2021-08-07.
- ^ "Love Hate". Love Ha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8-13. Retrieved 2021-08-07.
- ^ "Farewell Summer, Hello Fall". VisitVenturaC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27. Retrieved 2021-09-27..
- ^ "Lil Wayne releases his 13th album, Funeral". Entertainment Week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9, 2020. Retrieved April 16, 2020.
- ^ @PaulMcCartney (2018-05-25). "Did you know the album artwork for 'Chaos and Creation in the Backyard' features Paul's name styled as an ambigram. Is it Paul McCartney or ʎǝuʇɹɐƆɔW lnɐԀ?" (Twe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8-15 – via Twitter.
- ^ "Princess Bride Ambigram". Wired. 2009-01-14. Retrieved 2021-08-10.
- ^ "Create / Destroy / Create – ambigram". Signum et imago. 2013-03-13. Retrieved 2021-08-15.
- ^ Prokhorov 2013, p. vi.
- ^ a b Bearn, Emily (4 December 2005). "The Doodle Bug". The Telegrap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1-12. Retrieved 6 November 2016.
- ^ 호프스태터 1986년
- ^ "Douglas Hofstadter - "A Tale of Luck and of Pluck: The Fortuitous Discovery, Forty-two Years Ago, of the Hofstadter Butterfly"". Williams Colle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3-09-03. Retrieved 2023-09-06.
- ^ "How to create an ambigram". Indiana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3-09-06. Retrieved 2023-09-06.
- ^ Prokhorov 2013, 페이지 34.
- ^ Polster 2007, p. 198.
- ^ "Wordsmith John Langdon and the art of the ambigram". Citypap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7-24. Retrieved 2021-08-07.
- ^ Langdon, John. "Starship". johnlangdon.net. John Langdon. Retrieved 6 November 2016.
- ^ 폴스터 2007, 페이지 10.
- ^ a b "Wow, Mom: It's an Ambigram!". The New York Times. 2011-04-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12-22. Retrieved 2021-08-07.
- ^ "Blacksmith home page". blacksmithnyc. Retrieved 2021-08-07.
- ^ "Blacksmith John Langdon". John Lang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1-21. Retrieved 2021-08-16.
- ^ "Center Stage: Nikita Prokhorov". Logolounge. Retrieved 2021-08-07.
- ^ "Can you solve it?". The Guardian. 11 February 2019. Retrieved 2021-08-07.
서지학
- Hofstadter, Douglas (1986). Les Ambigrammes: Ambiguïté, Perception, et Balance Esthétique (in French). Castella. pp. 157–187.
- Hofstadter, Douglas (1987). Ambigrammi. Un microcosmo ideale per lo studio della creatività (in Italian). Hopefulmonster. ISBN 978-88-7757-006-2.
- Kim, Scott (1986) [1981]. Inversions: A Catalog of Calligraphic Cartwheels. Byte Books. ISBN 978-0-07-034546-1.
- Langdon, John (2005) [1992-03-03]. Wordplay: The Philosophy, Art, and Science of Ambigrams. Bantam Press. ISBN 978-0-593-05569-4.
- Prokhorov, Nikita (2013). Ambigrams Revealed: A Graphic Designer's Guide To Creating Typographic Art Using Optical Illusions, Symmetry, and Visual Perception. New Riders. ISBN 978-0-13-308646-1.
- Polster, Burkard (2007). Eye Twisters. Constable. ISBN 978-1-4027-5798-3.
추가열람
- 호프스태터, 더글러스 R. "메타폰트, 메타수학, 형이상학:Donald Knuth의 기사 '메타 폰트의 개념'에 대한 논평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982년 8월, 사후 스크립트와 함께 책 메타매직 테마 ISBN 978-0-553-34683-1에서 13장으로 재발행)
- Langdon, John (2006). La philosophie, l'art et la science des ambigrammes (in French). Éditions Jean-Claude Lattès. ISBN 978-2-709-62855-6.
- Polster, Burkard (2003). Les Ambigrammes l'art de symétriser les mots (in French). Ecritextes. ISBN 978-2-9156-33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