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하친스키
Vladimir Hachinski![]() | 이 기사의 주요 기고자는 그 주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6년 7월) |
블라디미르 하친스키 CM OOnt FRSC FRCPC는 웨스턴 대학의 슐리히 의과대학에 기반을 둔 캐나다의 임상 신경과학자 겸 연구원이다.[1]그는 또한 런던 로바츠 연구소의 수석 과학자다.[2]그의 연구는 뇌졸중과 치매의 가장 큰 부분, 그들과 그들의 공동 예방에 관한 것이다.[3]그와 존 W. 노리스는 토론토에 있는 써니브룩 병원에 세계 최초의 성공적인 뇌졸중 부대를 설립하는 데 일조했으며,[4][5] 나아가 뇌졸중 환자의 치료 기준으로서 시멘트 뇌졸중 부대를 도왔다.[6][7]그는 뇌에 의한 심장의 조절이 비대칭이며, 우반구에 의해 조절되는 싸움/비행(공감)반응과 좌반구에 의해 조절되는 나머지 소화와 소화(공감)반응은 좌반구에 의해 조절되며, 하나의 핵심 성분(인슐라)에 대한 손상이 심장의 불규칙성과 급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이 발견은 어떻게 뇌가 심장과 혈압을 조절하고 갑작스러운 죽음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는 토대를 마련하는가에 근본적인 지식을 더했다.[8]null
하친스키는 스트로크 저널의 편집장, 세계 신경학 연맹 회장, 세계 뇌 연합의 창립자 등 세계 신경학계에서 쟁쟁한 자리를 많이 차지하고 있다.그는 캐나다 왕립학회(FRSC)와 캐나다 보건과학원(FCAHS)의 펠로우로, 캐나다와 온타리오 훈장 소속으로, 여러 국가 및 국제 상의 수상자와 그의 연구와 옹호 활동을 인정받았다.null
조기생활, 교육, 조기경력
하친스키는 우크라이나의 자이토미르에서 태어났으며, 세 자녀 중 장남이다.그는 어렸을 때 가족과 함께 베네수엘라 카리피토로 이사했다.그 가족은 그 후 캐나다 온타리오주 포트 페리로 이사했다.그는 1년 후 포트 페리 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다.[9]
하친스키는 1966년 토론토 대학에서 MD를 받았으며, 토론토와 몬트리올에서 내과와 신경과 레지던트를 마쳤고,[10][11] 이어서 토론토에서 신경생리학 펠로우십을 가졌다.그는 1972년 캐나다 왕립의학과외과의사협회(FRC)의 연구원으로서 신경학 분야에서 공식적인 인정을 받았다.[10]1973년부터 74년까지 온타리오 보건부와의 연구 펠로우쉽이 그를 영국 런던의 국립 신경병원의 뇌혈관 연구실로, 그 다음 덴마크 코펜하겐의 비스페브제르 병원 임상 생리학과로 데려왔다.[9]null
이에 뒤이어 토론토로 돌아와 써니브룩 메디컬 센터의 신경과학부 직원직을 맡았고, 존 W. 노리스 박사와 함께 캐나다 최초의 급성 뇌졸중 유닛인 맥라클란 뇌졸중 유닛을 설립했다.[4][11]Hachinski는 1980년까지 Sunnybrook에 머물렀고, 그 때 그는 주요 건강 센터의 신경학 컨설턴트로 활동하기 위해 온타리오 주 런던으로 이사했다.대학병원, 빅토리아병원, 세인트조셉병원, 런던정신병원.웨스턴 대학교(당시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라고 불림)[10]의 교수로 겸임했다.이 시기(그리고 1990년까지)에는 런던의 대학병원에서 수사대장을 겸직하기도 했다.null
1987년에는 온타리오 주 해밀턴에 있는 맥마스터 대학에서 과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여, 설계, 측정, 평가에 중점을 두고 역학 및 생물통계학 학부에서 공부하였다.런던 대학교에서 가장 많이 취득한 학위인 과학 박사(하친스키의 경우 의학의 경우)는 1988년 "편두통, 뇌졸중, 치매에 대한 기여"[10]로 그에게 수여되었다.null
리서치
혈관인지장애
하친스키의 경력 초기에는 대부분의 디멘티아가 경화된 뇌동맥(뇌동맥경화증을 통한 정신악화)에 의해 발생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하친스키는 1975년에 실제로 소수의 디멘티아만이 그렇게 원인이 되는 것을 보여주었고, 대부분의 디멘티아들은 "다중증성 디멘티아" 즉 다수의, 작은, 종종 감지할 수 없는 뇌졸중에 의해 야기되는 디멘티아라는 것을 보여주었다.[12]"혈관 치매"와 "혈관 인지 장애"라는 용어는 나중에 널리 채택되어 1차 퇴행성 치매(즉, 알츠하이머 질환과 노인성 치매)와 구별하고 예방 가능하고 치료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혈관성 치매"와 "혈관성 인지 장애"라는 용어를 모두 "혈관성 질환"으로 기술할 수 있을 것이다.경화증, 뇌졸중 등 경화증도 치료할 수 있다.[13]그는 자신의 양두뇌 개념을 통해 이러한 병변과 관련 증상의 기원에 대한 설명을 해왔다.그는 뇌가 두 가지의 보완적인 혈압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하나는 높고 하나는 낮고 다른 종류의 병변을 유발한다.[14]null
당시 동맥 경화로 뇌혈관이 서서히 교살되면서 치매에 따른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어서 뇌혈관 '바소딜레이터' 산업 전체가 생겨났다.그는 치매에 걸린 뇌혈관이 '강화'된 것이 아니라 '바소딜러'가 비싸고 쓸모가 없다는 것을 보여줬다.그는 또한 치매의 혈관(치료 가능 및 예방 가능) 성분을 확인하는 데 지속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허혈성 '허혈성 점수'를 개발했다.[15]두 가지를 성공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에 매우 중요한데, 이는 디멘티아의 혈관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그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이 척도는 다작용으로 인용된 도구로, 그 이후 임상 연구 환경 밖에서 사용하도록 검증되고 최적화되었다.[16]null
1986년 학술지 신경학 자료실은 하친스키, 해롤드 메르스키, 그리고 동료들의 노인들의 뇌에 있는 백질의 희귀한 작용에 관한 논문을 연재했다.이 논문들은 뇌졸중과 치매의 위험으로서 백질병변의 중요성을 가장 먼저 인정한 논문들이다.뇌에서 백질의 희소반응은 이미 다양한 건강 문제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러한 논문은 특히 두 가지 이유로 획기적인 것이었다.첫째, 그들은 하친스키, 폴 포터, 해롤드 메르스키가 희귀한 반응을 어원학적으로 히포크라시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파생한 단어인 "류코아라이시스"라는 용어를 도입했고, 둘째, 인지장애에 대한 혈관 위험인자 사이의 이전에 인식되지 않았던 관계를 구체적으로 강조했다.뇌졸중 및 다항성 치매)와 백혈병 모두에 대한 sk 요인.하친스키는 '유코아라시스'를 코칭해 작은 뇌졸중에 걸린 환자의 뇌에 있는 이러한 백색 물질 저혈압에 대한 의료인들의 관심을 끌었다.[17][18][19]null
하친스키는 치매에 대한 자신의 새로운 접근법을 계속해서 개발하고 홍보했는데, 치매는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혈관 문제의 산물로 보고, 그 자체도 예방, 지연, 완화에 순응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결국 1994년에 치매에 대한 "혈관 인지 장애 접근법"으로 규정했다.[20][21]이러한 능동적이고 예방적인 접근법은 단순히 소급적이고 치료 기반적인 접근법이 아니라 "위험에 처한 뇌"와 같은 다른 새로운 동전을 포함하며, 인지 장애는 없지만 위험 요인은 있는 환자를 기술했다.[22][23][24]null
이러한 발달에도 불구하고 치매로 이어지는 뇌병리학의 복잡하고 상호 작용적이며 적응적인 성격을 포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치매에 대한 이용 가능한 진단 기준은 계속해서 도전을 제시하였다.이 때문에 2006년 하친스키는 (가브리엘 르블랑과 함께) 인지장애의 임상, 신경정신학, 영상학, 유전학, 신경병리학적 특징을 기술하는 최소한의 공통기준의 개발을 주도하기로 했다.이 표준화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가진 진단 기준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서로 다른 연구의 결과를 비교하며, "빅데이터" 기법을 이용한 분석과 메타분석을 할 수 있었다.[25]null
급성 뇌졸중
캐나다 최초의 뇌졸중 단위(최초. 1975년)인 써니브룩의 맥라클란 뇌졸중 단위(MacLachlan Stroke Unit)는 그 시기를 거의 20년 앞당겼다; 뇌졸중 단위는 1990년대 이후에만 모든 연령, 중증도, 유형의 뇌졸중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여겨져 왔다.[26][27]하친스키와 노리스가 그 부대 등과의 초기 작업은 뇌졸중 환자 감시와 치료를 위한 전용 병동의 중요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향후 17년 동안의 그의 연구는 또한 그러한 치료법과 감시 방법이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구체화시켰다.null
1986년, 그는 런던의 대학병원에서 조사 뇌졸중 부장으로 재직하던 중, 캐나다 신경계 척도인 로버트 코테(Robert Coté)를 개발했다. 그는 간단하지만 체계적인 도구로, 급성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평가하고 감시하는데 비의학자들이 사용할 수 있다.[28]이후 1992년, 그는 (공동작업자인 데이비드 세셰토와 스티븐 오펜하이머와 함께) 카테콜아민, 심장 효소, 부정맥, 급성 뇌졸중에 따른 급사 등의 관찰된 증가를 위한 가능한 메커니즘을 탐구하기 시작했다.이것은 결국 뇌의 인슐라가 이러한 다양한 심장 합병증의 중재자라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3][29][30][31][32]이 사실을 안다면 의사들은 심장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급사를 예방할 수 있다.null
The scientific bases for preventing stroke and dementia together have been summarized by an international panel of experts. (Refs: Hachinski V, Einhäupl K, Ganten D, Alladi S, Brayne C, Stephan BCM, Sweeney MD, Zlokovic B, Iturria-Medina Y, Iadecola C, Nishimura N, Schaffer CB, Whitehead SN, Black SE, Østergaard L, Wardlaw J, Greenberg S, FribergL, Norrving B, Roewe B, Joanette Y, 해크 W, Kuller L, Dicgans M, Endres M, Khachaturian ZS.뇌졸중 예방에 의한 치매 예방:베를린 선언문 말이야알츠 & 디멘탈. 2019;15:962-984) (하친스키 V, 간텐 D, 부족랜드 D, 크뢰츠 R, 츠우피스 K, 세계심장연맹, 세계고혈압연맹, 유럽고혈압학회를 대표하여 해크 W.뇌졸중 및 잠재적으로 예방 가능한 치매의 포고 이행.스트로크의 인트 J.2018;13:780-786
뇌졸중, 심장병, 치매는 서로에게 위험을 나타내며 동일한 위험요소와 보호요인을 공유하기 때문에 이 '트리플 위협'(Ref: 뇌건강: 뇌졸중, 심장병, 치매 억제)을 함께 예방하자는 주장이다.신경과 2021년(언론중)
그는 뇌졸중, 심장병, 치매의 공동예방에 있어 환경, 사회경제적, 개인의 위험과 보호요소를 함께 연구하는 다학제 팀을 이끌고 있다.null
그는 두뇌 건강을 최우선 과제로 삼으려는 시책에 참여하고 있다.그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의 정의에 근거한 뇌 건강의 정의를 제시해 왔다." 뇌의 완전하고 균형 잡힌 지속적인 발전과 운동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이 완전한 상태를 제시해 왔다(하치키 5세, 아반 A, 길릴랜드 J, 오피스가란 S).뇌 건강에 대한 새로운 정의.란셋 뉴롤 2021년(보도중)
뇌졸중 예방
뇌졸중의 메커니즘과 치료의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에 대한 관심 외에도, 하친스키는 뇌졸중 예방에 대한 연구 관심도 뜨겁다.그는 캐나다계 미국인 티클로피딘 연구(1983–88)[33][34]와 체외/내외 동맥 우회술 시험(1983–87)을 시작으로, 여러 가지 정맥적, 다원적 연구에서 주요 신경학적 연구자 역할을 했다.전자는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아스피린에 비해 티클로피딘이라는 약물에 예방적 이점을 보였으며, 후자는 점점 인기를 얻고 매우 비용이 많이 드는 EC/IC 동맥 우회 시술이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을 크게 줄이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5]null
2003년에, 다른 몇몇 연구자들과 함께, 하친스키는 2차 뇌졸중 예방에 관한 캐나다 스트로크 네트워크를 통해 원칙 연구의 증거를 시작했다.이 연구는 환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및 처방전 준수에 있어 뇌졸중 위험요인 상담 및 모니터링의 효과와 더불어 효과적인 뇌졸중 위험요인 관리를 위한 장벽 탐색 및 가능한 해결책 테스트가 목적이었다.[36]예비 결과는 매우 유망했으며, 통상적인 뇌졸중 치료에 일반인을 추가하면 훨씬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위험 요인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그 초기 연구는 2009년 리처드 챈의 지시로 다중 중심 연구를 만들었다.[37]null
인구보건
하친스키의 고향인 캐나다 온타리오 주는 2000년에 공식적인 지방 뇌졸중 시스템을 도입했다.[38]당시 하친스키는 뇌졸중 치료에 대한 관심이 이처럼 높아지면 뇌졸중 발병률 감소뿐만 아니라 일부 치매 환자에서도 치료 가능한 위험 요인을 대부분 공유하기 때문에 뇌졸중 발생률이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citation needed]예측이 맞아 뇌졸중 예방을 통한 일부 치매 예방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39]루치아노 스포사토, 모이라 카프랄 등과 함께 그는 처음으로 전 인구 수준에서 뇌졸중과 치매 발병률 감소를 보였다.[40]null
주요 관리직 및 옹호
하친스키는 재임 기간 동안 의료계에서 수많은 고위 행정직을 맡아왔다.null
- 2015년은 뇌졸중과 치매의 공동 예방에 관한 선언의 개발을 주도했으며, 이 선언문을 이 두 가지를 다루는 모든 주요 국제기구가 지지했다.[41]그 이후로 세계 뇌졸중 기구를 대신하여 포고문을 시행하려는 노력을 주도하였다.
- 2011-2013: 창립 의장, World Brain Alliance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전제하에 설립된 뇌/정신 건강을 증진하고 뇌/정신 질환을 감소시키는 가장 중요한 국제 기구의 모음입니다.[3][42][43][44]
- 뇌 건강 없이는 건강이 없다.
- 뇌 건강은 엄마와 아이의 교육에서 시작된다.
- 우리의 뇌는 우리의 미래다.
- 지식은 단편적으로 발생하지만 패턴으로 이해된다.
- 하나님은 우리의 죄를 용서하실지 모르지만, 우리의 몸은 원한을 품고 있다.
- 우리는 더 적은 수의 감시견과 더 많은 사냥개가 필요하다.
- 우리는 떠오르는 별들만이 아니라 북극성들도 필요하다.
- 2010-13 : 세계신경과학연맹(WFN, 세계신경과학을 대표하는 국제기구) 회장, 60년 역사상[3][45] 최초의 캐나다인
- 2006-10: 부통령(북미), WFN[46]
- 2000-10: 편집장[3][11] 스트로크 헤는 9개의 국제판과 개발도상국 작가들을 위한 독특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 2008-12 : 세계 뇌졸중 기구[3][47] 부회장
- 2004-06: 세계 뇌졸중 의제(2004년, 밴쿠버)와 세계 뇌졸중의 날 선언(2006년, 케이프타운)을 개발하기 위한 주도적 실무그룹으로, 매년 10월 29일에 준수한다.[48][49]
비과학적 출판물
![]() |
인기(의약품)
하친스키의 주요 인기 의학 기고는 아들 블라디미르와 딸 라리사와 협력하여 출판한 것이다.블라디미르와 함께 1994년 8월 캐나다 의학협회 저널에 '음악과 뇌'라는 기사를 실었다.[50]라리사와 함께 2003년 스트로크: 포괄적인 뇌 공격 가이드라는 책을 출간했다.'뇌졸중 공격'이라는 용어를 공동 사용하고 있는 이 책은 적절한 뇌졸중 치료와 조기 개입의 중요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쓰여졌다.[3][11][51]null
의학사
하친스키는 의학의 역사에 대한 관심이 그의 경력에 걸쳐 이 주제에 관한 여러 기사를 발표하게 되었다.
- Hachinski, V (March 1999). "Stalin's last years: delusions or dementia?".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6 (2): 129–132. doi:10.1111/j.1468-1331.1999.tb00004.x. PMID 10053223. S2CID 44833937.
- Hachinski, Vladimir (1997). "Kos (A poem about Hippocrates)". The Lancet. 349 (9064): 1561. doi:10.1016/S0140-6736(05)62150-2. S2CID 208790603.
- Gasecki, Andrew P.; Hachinski, Vladimir (1996). "On the names of Babinski". Canadian Journal of Neurological Sciences. 23 (1): 76–79. doi:10.1017/s0317167100039226. PMID 8673967.
- Hachinski, Vladimir (1993). "Neurology in Islamic Spain: a call for further research". Journal of the History of the Neurosciences. 2 (1): 45–51. doi:10.1080/09647049309525551. PMID 11618443.
- "Cajal: crossroads to greatness". Annals of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25: 290–292. 1992.
- Hachinski, Vladimir (1986). "H.J.M Barnett: a biographical sketch". Surgical Neurology. 26 (6): 529–531. doi:10.1016/0090-3019(86)90334-4. PMID 3535140.
- 「H.J.M 바넷: 전기적 스케치」 「모던 신경외과적 거인」 에드:부시 PC.1986년 뉴욕주 엘스비에 35–38페이지.
- "투명 뇌허혈: 역사적 스케치"In: 신경과학의 역사적 측면. (Eds) Rose FC, Bynum WF.1982년 뉴욕주 레이븐 프레스 185~193페이지.
예술과 인문
하친스키는 의학 연구 외에도 시, 음악, 역사(의학사 포함)에서도 존경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그는 영국 런던 대학에서 역사학적으로 명예 학위를 소지하고 있으며, 북아메리카 스페인어 아카데미(왕립 스페인어 아카데미)[52]의 대응 회원이며, 알레한드로 아란다라는 필명으로 스페인어로 시집 《레망시아스》[53]를 출간했다.[11]또한 하친스키가 작곡하고 제이슨 스탠포드(서부대 이론·구성학 교수)가 주창한 '드림 왈츠'는 2013년 9월 24일 브르노 필하모니커(Brno Philhamoniker)가 오스트리아 빈의 무식베린에서 초연했다.[54][55]마지막으로 그는 다음과 같은 슬로건과 격언들을 붙이는 것을 좋아한다.
- "건강한 미래로 가는 다리 건설" (캐나다, 런던, 런던 건강과학센터 재단에서 모금에 사용)
- 그가 설립한 세계뇌동맹의 첫 전제는 "뇌건강 없이는 건강이 없다"고 했다.
- "정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지식은 더 느리고 지혜는 전혀 없다."
명예와 인정
수상/인정
그의 경력 동안, 하친스키는 그의 분야에서 많은 상과 인정을 받았다.가장 주목할 만하고 중요한 것은 아래에 요약되어 있다.null
- 2020: 캐나다 의학 협회의 F.N.G. Starr상 중 하나를 수여함.[56]
- 2018: 보건과학 킬람상 수상
- 2018년: 캐나다 의학 명예의 전당에 입성.https://www.youtube.com/watch?v=8x3vm-5BUmw
- 2017년: 공중보건 분야의 마히돌 왕자상,[57]
- 2016: 캐나다 왕립 협회의 맥러플린 훈장 "의학의 지속적인 우수성에 대한 연구"
- 2015년: 로슨 건강[58] 연구소 과학자 경력상
- 2014년: 캐나다[59] 왕립 협회 펠로우십
- 2014년: 카롤린스카 뇌졸중 연구[60] 우수상
- 2013: 루이지애나[3] 대학교 신경과학 및 신경과학 분야의 총장상 강연
- 2013년: 엘리자베스 2세 다이아몬드 주빌리 메달[3]
- 2012년: 온타리오[61][62] 훈장
- 2010: 온타리오 프리미어 생명과학 및 의학[63] 분야 디스커버리상
- 2010: 생물 의학 과학 대사상, 연구[64] 파트너상
- 2010년: 국제[65] 바이알 의학상
- 2010년: 세계 뇌졸중 조직[66] 뇌졸중 의학상 리더십
- 2008: 캐나다[67] 기사단 회원
- 2006: 웨스턴 대학교[68] 저명 대학교수
- 2005: 캐나다 보건 과학[69] 아카데미 펠로우십
- 2005: 토머스 윌리스상, 미국 스트로크 협회[70]
- 2000: 뇌혈관 질환 연구 부문[71] 미하라상
- 1990: 온타리오 트릴리움 임상과학자상[11][72]
- 1989년: 캐나다 Who's Who에[10] 출연
명예 학위
하친스키는 네 명의 명예 박사학위를 보유하고 있다.첫 번째, 스페인 살라망카 대학의 의학 박사 명예 인과가 2000년에 수여되었다.[73]이어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대 교수(2005년),[74][75] 아르헨티나 코르도바대 의대 교수(2007년),[76] 러시아 의학아카데미 박사(2012년)가 그 뒤를 이었다.[3][77]null
참조
- ^ "Dr. Vladimir Hachinski - Western University Faculty Profile". www.schulich.uwo.ca. Retrieved 2016-05-31.
- ^ "Vladimir Hachinski, CM, MD, DSc, FRCPC, Doctor honoris causaX4". www.schulich.uwo.ca. Retrieved 2016-07-18.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a b c d e f g h i j "Department of Clinical Neurological Sciences at Western University - Vladimir Hachinski Faculty Profile". www.cnsuwo.ca. Retrieved 2016-05-31.
- ^ a b "Order of Canada Citation". Retrieved 2016-05-31.
- ^ "A stroke of genius" (PDF). Dementia Action Alliance. researchmedia.eu. Retrieved 2016-06-13.
- ^ Donnan, Geoffrey A; Fisher, Marc; Macleod, Malcolm; Davis, Stephen M (May 2008). "Stroke". The Lancet. 371 (9624): 1612–1623. doi:10.1016/S0140-6736(08)60694-7. PMID 18468545. S2CID 208787942.
- ^ Langhorne, Peter; Ramachandra, Samantha; Stroke Unit Trialists' Collaboration (23 April 2020). "Organised inpatient (stroke unit) care for stroke: network meta-analysi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4: CD000197. doi:10.1002/14651858.CD000197.pub4. ISSN 1469-493X. PMC 7197653. PMID 32324916.
- ^ Sörös P, Hachinski V (2012). "Cardiovascular and neurological causes of sudden death after ischaemic stroke". Lancet Neurol. 11 (2): 179–88. doi:10.1016/S1474-4422(11)70291-5. PMID 22265213. S2CID 661118.
- ^ a b Arculus, Paul. "Former PPHS graduate now heads World Federation of Neurology". Port Perry and Scugog Township Heritage Gallery (scugogheritage.com). Retrieved 2016-05-31.
- ^ a b c d e 캐나다 사람 누구야.제 XXIV, 1989년, 심슨, 키에란 (편집); 토론토 대학 출판부, 1988년
- ^ a b c d e f "Dr. Vladimir Hachinski, CM, MD, FRCPC, DSc". Canadians for Health Research (chrcrm.org). Retrieved 2016-05-31.
- ^ Hachinski, VC; Lassen, NA; Marshall, J (27 July 1974). "Multi-infarct dementia. A cause of mental deterioration in the elderly". Lancet. 2 (7874): 207–10. doi:10.1016/s0140-6736(74)91496-2. PMID 4135618.
- ^ Alagiakrishnan, Kannayiram; Memon, Mohammed A. "Vascular Dementia". MedScape. Background. Retrieved 2016-05-31.
- ^ Hachinski, Vladimir; Østergaard, Leif (June 2021). "The Ambibaric Brain: Pathophysiolog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Stroke. 52 (6): e259–e262. doi:10.1161/STROKEAHA.120.033492. PMID 33940956. S2CID 233719602.
- ^ Hachinski, V. C.; Iliff, L. D.; Zilhka, E.; Du Boulay, G. H.; McAllister, V. L.; Marshall, J.; Russell, R. W. R.; Symon, L. (1 September 1975). "Cerebral Blood Flow in Dementia". Archives of Neurology. 32 (9): 632–637. doi:10.1001/archneur.1975.00490510088009. PMID 1164215.
- ^ Hachinski, Vladimir; Oveisgharan, S; Romney, AK; Shankle, WR (1 February 2012). "Optimizing the Hachinski Ischemic Scale". Archives of Neurology. 69 (2): 169–75. doi:10.1001/archneurol.2011.1698. PMID 21987392.
- ^ Steingart, A.; Hachinski, V. C.; Lau, C.; Fox, A. J.; Diaz, F.; Cape, R.; Lee, D.; Inzitari, D.; Merskey, H. (1 January 1987). "Cognitive and Neurologic Findings in Subjects With Diffuse White Matter Lucencies on Computed Tomographic Scan (Leuko-Araiosis)". Archives of Neurology. 44 (1): 32–35. doi:10.1001/archneur.1987.00520130024012. PMID 3800719.
- ^ Aminoff, Michael Jeffrey (2008-01-01). Neurology and General Medicine. Elsevier Health Sciences. p. 128. ISBN 978-0443067075.
- ^ Hachinski, V. C.; Potter, P.; Merskey, H. (1 January 1987). "Leuko-Araiosis". Archives of Neurology. 44 (1): 21–23. doi:10.1001/archneur.1987.00520130013009. PMID 3800716.
- ^ Hachinski, Vladimir (1994). "Vascular Dementia: A Radical Redefinition".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5 (3–4): 130–132. doi:10.1159/000106709. PMID 8087166.
- ^ Bowler, JV; Hachinski, V (August 1995).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a new approach to vascular dementia". Bailliere's Clinical Neurology. 4 (2): 357–76. PMID 7496625.
- ^ Cappa, S. F. (2008). Cognitive Neurology: A Clinical Textbook. Oxford University Press. p. 258. ISBN 9780198569275.
- ^ Hachinski, V (12 September 1992). "Preventable senility: a call for action against the vascular dementias". Lancet. 340 (8820): 645–8. doi:10.1016/0140-6736(92)92177-h. PMID 1355217. S2CID 30957302.
- ^ Hachinski, V. C.; Bowler, J. V.; Loeb, C. (1 October 1993). "Vascular dementia". Neurology. 43 (10): 2159–60, author reply 2160–1. doi:10.1212/wnl.43.10.2159-a. PMID 8414002. S2CID 40803369.
- ^ Hachinski, Vladimir; Iadecola, Costantino; Petersen, Ron C.; Breteler, Monique M.; Nyenhuis, David L.; Black, Sandra E.; Powers, William J.; DeCarli, Charles; Merino, Jose G.; Kalaria, Raj N.; Vinters, Harry V.; Holtzman, David M.; Rosenberg, Gary A.; Wallin, Anders; Dichgans, Martin; Marler, John R.; Leblanc, Gabrielle G. (September 2006).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Canadian Stroke Network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Harmonization Standards". Stroke. 37 (9): 2220–2241. doi:10.1161/01.STR.0000237236.88823.47. PMID 16917086.
- ^ Langhorne, P.; Williams, B.O.; Gilchrist, W.; Howie, K. (August 1993). "Do stroke units save lives?". The Lancet. 342 (8868): 395–398. doi:10.1016/0140-6736(93)92813-9. PMID 8101901. S2CID 1756294.
- ^ Sinha, S.; Warburton, E.A. (September 2000). "The evolution of stroke units—towards a more intensive approach?". QJM. 93 (9): 633–638. doi:10.1093/qjmed/93.9.633. PMID 10984558.
- ^ Côté, R; Hachinski, V C; Shurvell, B L; Norris, J W; Wolfson, C (July 1986). "The Canadian Neurological Scale: a preliminary study in acute stroke". Stroke. 17 (4): 731–737. doi:10.1161/01.str.17.4.731. PMID 3738958.
- ^ Oppenheimer, SM; Hachinski, VC (February 1992). "The cardiac consequences of stroke". Neurologic Clinics. 10 (1): 167–76. doi:10.1016/S0733-8619(18)30239-1. PMID 1557001.
- ^ Oppenheimer, Stephen M.; Cechetto, DF; Hachinski, VC (1 May 1990). "Cerebrogenic Cardiac Arrhythmias". Archives of Neurology. 47 (5): 513–9. doi:10.1001/archneur.1990.00530050029008. PMID 2185720.
- ^ Oppenheimer, S. M.; Gelb, A.; Girvin, J. P.; Hachinski, V. C. (1 September 1992). "Cardiovascular effects of human insular cortex stimulation". Neurology. 42 (9): 1727–32. doi:10.1212/wnl.42.9.1727. PMID 1513461. S2CID 32371468.
- ^ "A stroke of genius" (PDF). Understanding vascular mechanisms > Stroke Related Research > par. 3. Retrieved 2016-05-31.
- ^ Gent, M; Blakely, J A; Easton, J D; Ellis, D J; Hachinski, V C; Harbison, J W; Panak, E; Roberts, R S; Sicurella, J; Turpie, A G (October 1988). "The Canadian American Ticlopidine Study (CATS) in thromboembolic stroke. Design, organization, and baseline results". Stroke. 19 (10): 1203–1210. doi:10.1161/01.str.19.10.1203. PMID 3051529.
- ^ Gent, Michael; Donald Easton, J.; Hachinski, VladimirC.; Panak, Edouard; Sicurella, Jane; Blakely, JohnA.; Ellis, DavidJ.; Harbison, JohnW.; Roberts, RobinS.; Turpie, AlexanderG.G. (June 1989). "The Canadian American Ticlopidine Study (Cats) in Thromboembolic Stroke". The Lancet. 333 (8649): 1215–1220. doi:10.1016/s0140-6736(89)92327-1. PMID 2566778. S2CID 22484643.
- ^ EC/IC Bypass Study, Group. (7 November 1985). "Failure of Extracranial–Intracranial Arterial Bypass to Reduce the Risk of Ischemic Strok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3 (19): 1191–1200. doi:10.1056/NEJM198511073131904. PMID 2865674.
- ^ "Canadian Stroke Network Annual Report 2002-2003" (PDF). p. 7. Retrieved 2016-05-31.
- ^ Chan, Richard. "Promoting Adherence to a Regimen of risk factor modification by Trained Non-medical personnel Evaluated against Regular practice Study". International Standard Randomised Controlled Trial Number (ISRCTN) Registry. doi:10.1186/isrctn07607027.
- ^ "Ontario Stroke System Overview" (PDF). Ontario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cfp.on.ca). 2011-04-18. Retrieved 2016-05-31.
- ^ "Advocating for global stroke and dementia strategy". London Health Sciences Centre. 2016-02-22. Retrieved 2016-06-01.
- ^ Sposato, Luciano A.; Kapral, Moira K.; Fang, Jiming; Gill, Sudeep S.; Hackam, Daniel G.; Cipriano, Lauren E.; Hachinski, Vladimir (1 December 2015). "Declining Incidence of Stroke and Dementia: Coincidence or Prevention Opportunity?". JAMA Neurology. 72 (12): 1529–31. doi:10.1001/jamaneurol.2015.2816. PMID 26658969.
- ^ Hachinski, Vladimir (2015). "Stroke and potentially preventable dementias proclamation: updated World Stroke Day proclamation". Stroke. 46 (11): 3039–3040. doi:10.1161/strokeaha.115.011237. PMID 26504189.
- ^ Neuropenews. "Interview with Vladimir Hachinski". eanpages - News Blog of the European Academy of Neurology. Retrieved 2016-06-06.
- ^ "World Brain Alliance". www.wfneurology.org. Retrieved 2016-06-06.
- ^ Hachinski, V. (10 June 2013). "Neurology in a globalizing world: World Congress of Neurology, Vienna, 2013". Neurology. 80 (24): 2248–2249. doi:10.1212/WNL.0b013e318296ea48. PMID 23751918.
- ^ "Officers — Past Presidents". www.wfneurology.org. Retrieved 2016-06-06.
- ^ Aarli, Johan A. (2014-05-08). The History of the World Federation of Neurology: The First 50 Years. OUP Oxford. p. 99. ISBN 9780191022111.
- ^ "World Stroke Organization - Elections Results - WSO Board of Directors". www.world-stroke.org. Retrieved 2016-06-06.
- ^ Hachinski, Vladimir (September 2008). "World Stroke Day Proclamation". Stroke. 39 (9): 2409–2420. doi:10.1161/STROKEAHA.107.000009.
- ^ Hachinski, Vladimir (September 2008). "World Stroke Day 2008". Stroke. 39 (9): 2407–2408. doi:10.1161/STROKEAHA.108.531681. PMID 18723419.
- ^ Hachinski, K V; Hachinski, V (1 August 1994). "Music and the brain". CMAJ. 151 (3): 293–296. PMC 1336919. PMID 8039082.
- ^ Hachinski, Vladimir; Hachinski, Larissa (2003-01-01). Stroke: A Comprehensive Guide to "brain Attacks"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Firefly Books. p. ix. ISBN 9781552096420.
- ^ "Académicos correspondientes — ANLE". Academia Norteamericana de la Lengua Española (ANLE) (in Spanish). Retrieved 2016-06-08.
- ^ Aranda, Alejandro (1990). Resonancias. Madrid: Editorial Pliegos. ISBN 9788486214647.
- ^ Wallace, Janice (2013-06-20). "Western News - Partnership captures a beautiful 'Dream' for professors". Western News. Retrieved 2016-06-08.
- ^ Hachinski, Vladimir (2016). "Undreamt dreams can happen". Hektoen International. 8 (2). ISSN 2155-3017. Retrieved 2016-06-08.
- ^ "Change agents in health care: CMA presents recipients of 2020 CMA Award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10 August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August 2020. Retrieved 10 August 2020.
- ^ "Announcement of the Prince Mahidol Award 2016". www.princemahidolaward.org. Retrieved 2017-06-13.
- ^ "Celebrating research excellence and innovation St. Joseph's Health Care London". www.sjhc.london.on.ca. Retrieved 2016-06-13.
- ^ "Search Fellows The Royal Society of Canada". www.rsc-src.ca. Retrieved 2016-06-14.
- ^ "Two researchers share the Karolinska Stroke Award". Karolinska Institutet. Retrieved 2016-06-13.
- ^ "25 Appointees Named to Ontario's Highest Honour". news.ontario.ca. Retrieved 2016-06-13.
- ^ "Order of Ontario Appointees by year of Appointment". www.citizenship.gov.on.ca. Retrieved 2016-06-13.
- ^ "Premier's Discovery Awards (download required)". Ontario.ca. 2013-06-06. Retrieved 2016-06-13.
- ^ "Biomedical Science Ambassador Award - Partners In Research". Partners In Research. Retrieved 2016-06-13.
- ^ "BIAL Award 2010". www.bial.com. Retrieved 2016-06-13.
- ^ "WSO 2010 Awards". www2.kenes.com. Retrieved 2016-06-13.
- ^ "The Governor General of Canada, Honours, Order of Canada, Recipients". gg.ca. Retrieved 2016-06-13.
- ^ "Distinguished University Professor Awards - Office of the President - Western University". president.uwo.ca. Retrieved 2016-06-13.
- ^ "CAHS Fellows Directory – Canadian Academy of Health Sciences / Académie canadianne des sciences de la santé". cahs-acss.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5-23. Retrieved 2016-06-13.
- ^ "Canadian neurologist wins highest award as American Stroke Association honors five". EurekAlert!. Retrieved 2016-06-13.
- ^ "Charitable Trust, Mihara Cerebrovascular Disorder Research Promotion Fund, Mihara Award: Past Winners". www.mihara.umin.jp. Retrieved 2016-06-13.
- ^ "Port Perry / Scugog Township Heritage Gallery". www.scugogheritage.com. Retrieved 2016-06-13.
- ^ "Dr. Vladimir Hachinski's brush with royalty - Schulich School of Medicine & Dentistry - Western University". www.schulich.uwo.ca. Retrieved 2016-06-13.
- ^ "Distinción para el neurólogo Vladimir Hachinski - Universidad de Buenos Aires". www.uba.ar (in Spanish). Retrieved 2016-06-13.
- ^ "La UBA comenzó a celebrar los primeros 190 años de historia". Días de Historia (in Spanish). Retrieved 2016-06-13.
- ^ "Honoris Causa para destacado neurólogo canadiense — Universidad Nacional de Córdoba". www.unc.edu.ar (in Spanish). Retrieved 2016-06-13.
- ^ CASAGIT. "CASAGIT - Prof. Vladimir Hachinski". www.casagit.it. Retrieved 2016-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