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소리
Voice of Korea![]() | |
유형 | 국제 방송 |
---|---|
나라 | |
소유권 | |
소유자 | 조선중앙방송위원회 |
역사 | |
출시일자 | 1945년 10월 14일 |
이전 이름 | 라디오 평양 |
커버리지 | |
유용성 | 국제 |
링크 | |
웹캐스트 | YouTube의 VOK |
웹사이트 | www![]() |
한국의 소리 | |
조선글 | 조선의 소리 |
---|---|
한차 | 朝鮮의 소리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조선의 소리 |
매쿠네-라이샤워 | 조선시 소리 |
한국의 소리(한국어: Choice of Korea, MR: Chosen-chei Sori)는 북한의 국제 방송 서비스다. 주로 중국어, 스페인어, 독일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일본어, 아랍어로 정보를 방송한다.[1] 2002년까지 평양 라디오로 알려져 있었다. 인터벌 신호는 조선중앙TV와 동일하다.
역사
한국 보이스의 기원은 1936년과 라디오 방송국 JBBK로 추적할 수 있다. 점령 일본군에 의해 운영되는 JBBK는 서울에서 한반도를 커버한 일본의 라디오 방송망의 일환으로 1, 2차 프로그램을 방송했다.[citation needed]
이 방송국은 1945년 10월 '라디오 평양'으로 설립됐으며,[2] 지난 14일 김일성이 2차 세계대전 말 평양으로 귀환할 당시 승리 연설을 생중계하는 등 프로그래밍을 공식 출범했다.[citation needed]
첫 해외 방송은 1947년 3월 16일 중국어로 진행되었다. 일본어 방송은 1950년에 시작되었고, 영어(1951년), 프랑스어와 러시아어(1963년), 스페인어(1965년), 아랍어(1970년), 독일어(1983년)가 그 뒤를 이었다.[3]
1960년까지 평양 라디오는 매주 159시간의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1970년 주간 방송시간은 총 330시간, 1980년 597시간이었다. 1990년 주간 방송시간은 주당 534시간,[4] 1994년 529시간, 1996년 364시간으로 떨어졌다.[3]
2002년에 이 방송국은 Voice of Korea로 개칭되었다.[2]
프로그래밍
대부분의 국제 방송사와는 달리 보이스 오브 코리아는 방송 개시 시점까지 이어지는 분 단위로 인터벌 시그널을 방송하지 않는다. 대신 시간대에 인터벌 신호(김일성 장군 노래의 첫 몇 음)를 방송하기 시작한다.[citation needed]
대표적인 프로그램 라인업은 인터벌 신호로 시작되며, 방송국 발표 "이것이 한국의 목소리"가 이어진다. 발표 후에는 애국가인 '김일성 장군 노래'와 '김정일 장군 노래'가 연주된다. 이어 조선중앙통신의 아이템으로 구성된 뉴스 방송으로 라디오를 위한 작은 조정이 이어진다.[5]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에 관한 내용이 있다면 이런 것들이 톱블라인이다.[citation needed]
뉴스 항목은 일반적으로 국내 서비스인 조선중앙방송의 뉴스보다 하루 늦는다. 이 소식은 음악과 함께 김일성의 '세기와 함께' 회고록에서 발췌한 내용이 이어진다. 회고록이 끝난 뒤에는 음악과 특집기사가 더 많이 나오고, 때로는 사설도 이어진다. 57분간의 방송은 주파수 정보와 사인 오프 메시지로 마무리된다.[5]
과거 방송국은 북한 간첩들에게 암호화된 메시지를 방송했다. 이 관행은 2000년 615남북공동선언으로 끝났다.[2] 2006년 보이스오브코리아는 구 링컨셔 푸아허 번호 방송국과 같은 주파수로 11555kHz에서 방송을 시작했다.[6][self-published source] 이것이 푸아허의 전파를 방해하려는 의도적인 노력이었는지, 아니면 사고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같은 주파수로 서로 다른 언어로 프로그램을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자체 신호를 방해한 것은 한국의 소리라는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방송
한국의 음성은 HF나 단파 라디오 주파수로 방송하고,[2] 주변국을 겨냥한 방송은 중파로 방송한다. 일부 주파수는 ITU가 할당한 단파 방송 대역에서 잘 벗어나 있어 간섭에 덜 취약하고 오래된 수신기에서 청취할 가능성이 적다.[citation needed] 최근에는 위성방송 비중을 늘리고 있다.[2]
방송의 대부분은 구장시에서 약 25km 떨어진 [7][3]구장 단파 송신지(200kW 송신기 5대)에서 송신된다. (40°04′42.1″N 126°06′42.44E / 40.078361°N 126.11778°E/ ) 강계의 송신지(또한 200 kW)도 사용한다. 평양의 한 부지(200kW의 송신기 10기)도 사용되고 있다.[3]
보이스 오브 코리아의 정기 서비스를 놓친 경우도 있다. 이 방해는 한국보이스가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송신기 현장의 엔지니어링 작업이나 장비 결함 또는 정전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2012년, 몇 년 만에 최악의 전력 부족에 직면했을 때 그들은 발생했다.[8] 공중파 기간은 희망의 메아리, 국민의 목소리, KBS 한민족 라디오 등 남한 방송국의 수신을 막기 위해 고안된 북한 자체 교란 신호에도 영향을 미친다.[9][10]
한국의 보이스 오브 코리아는 조선중앙방송, 조선중앙TV와 함께 중국 위성 12호를 통해 방송한다.[citation needed]
현재(2021년 3월 11일 현재) 여러 외국어 프로그램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보이며, 정확히 동일한 음악이 동시에 재생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구어와 번역된 부분만 각각의 프로그램 언어에 맞게 수정되었다. 이것은 6170kHz의 독일 저녁 프로그램에서 19:00 UTC의 7570kHz의 스페인 프로그램으로 19:00 UTC의 독일 저녁 프로그램에서 다시 7570kHz의 스페인 프로그램으로 전환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독일어 서비스에 쓰이는 단파 송신기도 변조가 다소 나쁜 것 같다. 그러나 스페인 프로그램의 송신기는 더 나은 상태로 보인다.[citation needed]
스케줄
2019년 8월 현재 언어별 음성 방송 목록이다. 모든 시간은 UTC에 있다.[11]
아랍어
모든 아랍어 방송은 구장에서 전송된다.
시작 | 끝 | 주파수(kHz) | 대상면적 |
---|---|---|---|
15:00 | 15:57 | 9890, 11645 | 중동과 북아프리카 |
17:00 | 17:57 | 9890, 11645 | 중동과 북아프리카 |
중국어
모든 중국 방송은 구장에서 전송된다.
시작 | 끝 | 주파수(kHz) | 대상면적 |
---|---|---|---|
21:00 | 21:57 | 9875, 11635 | 중국 |
22:00 | 23:57 | 9875, 11635 | 중국 |
05:00 | 05:57 | 7220, 9445, 9730 | 동북아시아 |
08:00 | 08:57 | 7220, 9445 | 동북아시아 |
11:00 | 11:57 | 7220, 9445 | 동북아시아 |
21:00 | 21:57 | 7235, 9445 | 동북아시아 |
22:00 | 21:57 | 7235, 9445 | 동북아시아 |
13:00 | 13:57 | 11735, 13650 | 동남아 |
03:30 | 04:27 | 13650, 15105 | 동남아 |
06:30 | 07:27 | 13650, 15105 | 동남아 |
영어
모든 영어 방송은 구장에서 전송된다.
시작 | 끝 | 주파수(kHz) | 대상면적 |
---|---|---|---|
04:00 | 04:57 | 11735, 13760, 15180 | 중남미 |
10:00 | 10:57 | 11710, 15180 | 중남미 |
13:00 | 13:57 | 13760, 15245 | 유럽 |
15:00 | 15:57 | 13760, 15245 | 유럽 |
18:00 | 18:57 | 13760, 15245 | 유럽 |
21:00 | 21:57 | 13760, 15245 | 유럽 |
16:00 | 16:57 | 9890, 11645 | 중동과 북아프리카 |
19:00 | 19:57 | 9875, 11635 | 중동과 북아프리카 |
13:00 | 13:57 | 9435, 11710 | 북아메리카 |
15:00 | 15:57 | 9435, 11710 | 북아메리카 |
04:00 | 04:57 | 7220, 9445, 9730 | 동북아시아 |
06:00 | 06:57 | 7220, 9445, 9730 | 동북아시아 |
19:00 | 19:57 | 7210, 1191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05:00 | 05:57 | 13650, 15105 | 동남아 |
10:00 | 10:57 | 11735, 13650 | 동남아 |
프랑스어
모든 프랑스 방송은 구장에서 전송된다.
시작 | 끝 | 주파수(kHz) | 대상면적 |
---|---|---|---|
06:00 | 06:57 | 11735, 13760, 15180 | 중남미 |
11:00 | 11:57 | 11710, 15180 | 중남미 |
14:00 | 14:57 | 13760, 15245 | 유럽 |
16:00 | 16:57 | 13760, 15245 | 유럽 |
20:00 | 20:57 | 13760, 15245 | 유럽 |
14:00 | 14:57 | 9435, 11710 | 북아메리카 |
16:00 | 16:57 | 9435, 11710 | 북아메리카 |
04:00 | 04:57 | 13650, 15105 | 동남아 |
11:00 | 11:57 | 11735, 13650 | 동남아 |
18:00 | 18:57 | 7210, 1191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8:00 | 18:57 | 9875, 11635 |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 |
독일어
모든 독일 방송은 쿠장으로부터 전송된다(주파수 업데이트: 03/2021, 방송에 발표된 바와 같이, ADDX도 참조).
시작 | 끝 | 주파수(kHz) | 대상면적 |
---|---|---|---|
16:00 | 16:57 | 6170, 9425 | 유럽 |
18:00 | 18:57 | 6170, 9425 | 유럽 |
19:00 | 19:57 | 6170, 9425 | 유럽 |
일본인입니다
일본의 모든 방송은 621kHz와 6070kHz 방송을 제외한 구장에서 송신되며, 각각 청진라남과 강계에서 송신된다.[12]
시작 | 끝 | 주파수(kHz) | 대상면적 |
---|---|---|---|
07:00 | 07:57 | 621, 9650, 11865 | 일본. |
08:00 | 08:50 | 621, 9650, 11865 | 일본. |
09:00 | 09:57 | 621, 6070, 9650, 11865 | 일본. |
10:00 | 10:50 | 621, 6070, 9650, 11865 | 일본. |
11:00 | 11:57 | 621, 6070, 9650, 11865 | 일본. |
12:00 | 12:50 | 621, 6070, 9650, 11865 | 일본. |
21:00 | 21:50 | 621, 9650, 11865 | 일본. |
22:00 | 22:57 | 621, 9650, 11865 | 일본. |
23:00 | 23:50 | 621, 9650, 11865 | 일본. |
러시아어
모든 러시아 방송은 구장에서 전송된다.
시작 | 끝 | 주파수(kHz) | 대상면적 |
---|---|---|---|
07:00 | 07:57 | 13760, 15245 | 유럽 러시아 |
08:00 | 08:57 | 13760, 15245 | 유럽 러시아 |
14:00 | 14:57 | 9425, 12015 | 유럽 러시아 |
15:00 | 15:57 | 9425, 12015 | 유럽 러시아 |
17:00 | 17:57 | 9425, 12015 | 유럽 러시아 |
07:00 | 07:57 | 9875, 11735 | 극동 러시아 |
08:00 | 08:57 | 9875, 11735 | 극동 러시아 |
스페인어
모든 스페인 방송은 쿠장에서 전송된다(주파수 업데이트: 03/2021, 방송에서 공지한 바와 같이, ADDX도 참조).
시작 | 끝 | 주파수(kHz) | 대상면적 |
---|---|---|---|
03:00 | 03:57 | 11735, 13760, 15180 | 중남미 |
05:00 | 05:57 | 11735, 13760, 15180 | 중남미 |
19:00 | 19:57 | 7570, 12015 | 유럽 |
22:00 | 22:57 | 7570, 12015 | 유럽 |
참고 항목
참조
- ^ "Voice of Korea mid-2014 schedule". North Korea Tech. 27 March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October 2014. Retrieved October 18, 2014.
- ^ a b c d e Hoare, James E. (2012). "Voice of Korea". Historical Dictionary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London: Scarecrow Press. p. 395. ISBN 978-0-8108-7987-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1-27.
- ^ a b c d 우드 2000, 페이지 158.
- ^ 우드 2000, 페이지 20.
- ^ a b "Voice of Korea mid-2014 schedule". North Korea Tech. 27 March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October 2014. Retrieved October 18, 2014.
- ^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2010-06-20 충돌에 대한 정보. 2010년 10월 3일.
- ^ a b Martyn Williams (April 29, 2011). "Kujang shortwave transmitter site". North Korea Te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5, 2014. Retrieved October 18, 2014.
- ^ Martyn Williams (February 24, 2012). "DPRK radio disappears". North Korea Te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3, 2014. Retrieved October 18, 2014.
- ^ Martyn Williams (July 22, 2013). "Some North Korean external radio, jamming reportedly off air". North Korea Te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5, 2014. Retrieved October 18, 2014.
- ^ Martyn Williams (March 28, 2012). "Voice of Korea still having problems staying on-air". North Korea Te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5, 2014. Retrieved October 18, 2014.
- ^ "Bulgarian DX blog: Voice of Korea". Bulgarian DX blog. 2019-04-10. Retrieved 2019-08-12.
- ^ "Voice of Korea". okalab.hotcom-web.com (in Japanese). Retrieved 2019-08-12.
인용된 작품
- Wood, James (2000). History of International Broadcasting. IET. ISBN 978-0-85296-9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