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디알쿠라
Wadi al-Qura와디 알 쿠라(아랍어: واييي لي,,, light. '마을의 발레리')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메디나 북쪽에 있는 와디(Wadi)로, 초기 이슬람 소식통에서 언급되었다.[1] 헤자즈와 시리아 사이의 주요 교역로에 위치해 있었다. 이 계곡은 이맘-에-무베엔(개방형) 쿠란(알-히자르)이라고도 불린다.
와디는 현대의 와디 알 툴라 지역과 잠정적으로 동일시된다. '마을의 발레리'라는 이름의 의미는 이 지역에 여러 마을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10세기 지리학자 이스타흐리는 아라비아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농업적으로 생산성이 높은 지역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9세기 역사학자 이븐 알칼비는 이 지역을 매우 비옥하고 곳곳에 마을이 산재해 있다고 묘사했다.[2]
그 와디는 많은 초기 이슬람 문헌에 언급되어 있다.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 시대에 여러 차례의 군사 탐험이 그곳에서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마호메트가 자이드 이븐 하리타(Wadi al-Qura)를 파견하여 이 지역을 조사하고 무함마드의 적들의 움직임을 감시하게 한 자이드 이븐 하리타 원정,[3]
- 무함마드가 복수를 위해 와디 알 쿠라 주민을 급습하라고 명령한 와디 알 쿠라 2차 원정대는 앞서 주민을 급습하려다 실패한 무슬림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4]
- 무함마드 시대 말기에 와디 알 쿠라의 유대인들을 공격하여 그들의 땅을[5] 정복할 목적으로 와디 알 쿠라 제3차 원정이 명령되었다.
최근 지오닉 응답자의 발견은 CE 11세기 후반까지 와디 알 쿠라에 유대인이 존재했으며, 랍비 셰리라 가온, 랍비 하이 가온과 교신관계를 유지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
참고 항목
참조
- ^ Wensinck, AJ, "Kaynuka, banu", Encyclopaedia of Islam.
- ^ Power, Timothy (2012). The Red Sea from Byzantium to the Caliphate: AD 500–1000. I.B.Tauris. p. 115.
- ^ 무바라크푸리, 밀봉된 넥타르, 페이지 206. (온라인)
- ^ 무바라크푸리, 밀폐된 넥타르, 페이지 211. (온라인)
- ^ 윌리엄 뮤어, The Life of Mahomet(2003), 페이지 394.
- ^ Mazuz, Haggai (2014). The Religious and Spiritual Life of the Jews of Medina. Koninklijke Brill. p. 100. ISBN 9789004266094. Retrieved 2016-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