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 큐브

White Cube
화이트 큐브, 버몬지

White Cube는 Jay Jopling이 소유한 현대 미술관으로, 런던에 두 개의 지점이 있다. 런던 중심부의 메이슨 야드와 남동부 런던의 버몬디, 그리고 홍콩섬센트럴에 있는 한 야드. 갤러리는 또한 파리의 마티뇽 10번가뉴욕 어퍼 이스트사이드의 매디슨 애비뉴 699번지에 사무실 위치와 관람실을 갖추고 있다. 런던 이스트엔드(East End)에 있는 홉스턴스퀘어 공간은 2012년[1] 말, 상파울루 갤러리는 2015년 폐쇄됐다.

역사

화이트 큐브는 미술품 딜러 제이 조플링(올드 이토니아인이자 보수당 하원의원의 아들)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갤러리로, 2008년 9월까지 미술가테일러 우드와 결혼했다. 1993년 5월 런던 웨스트엔드의 전통 예술품 거래 거리인 세인트 제임스의 듀크 스트리트(Duke Street)에 있는 작고 네모난 방에서 처음 문을 열었다. 그 장소에는 화가가 한 번만 전시할 수 있다는 갤러리 규칙이 있었다. 이 갤러리는 트레이시 에민, 개빈 터크[2] 포함한 많은 젊은 영국 예술가들(YBA)에게 한 사람씩 쇼를 한 최초의 사람이 됨으로써 명성을 얻었다.[citation needed]

지금은 없어진 홉스턴 광장의 화이트 큐브는 2012년에 문을 닫을 것이다.

2000년 4월 소규모 출판사 제럴드 덕워스앤코(Jerald Duckworth & Co.)가 입주했던 1920년대 건물인 홉스턴스퀘어로 이전했다. 2002년에는 기존 구조물 위에 조립식 유닛을 올려 2층(750m²)을 추가했다.[citation needed]

갤러리 앞 홉스턴 광장에 설치 중인 화이트 큐브 설치.

홉스턴/쇼어디치 지역은 1990년대부터 영국 청년예술가(YBA)들에게 인기를 끌었는데, 당시는 경공업의 쇠퇴 지역이었다. 최근에는 클럽, 식당, 미디어 사업과 함께 대대적인 재개발을 거쳤다. 헉스턴 광장은 잔디와 나무의 중심지로서 주변에 대부분 부족함이 많다.[citation needed]

화이트 큐브 시사회는 대중에게 공개되었고, 그러한 행사에서는 광장을 가득 메우곤 했다. 공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이 건물의 내부에는 작은 접수 구역이 있었는데, 이 구역은 아래층에는 높이가 2층인 250㎡의 전시 구역으로 이어진다. 위층의 또 다른 작은 전시 공간에서는 종종 다른 예술가를 보여주었다. 사무실과 회의실은 위층에 있다. 광장의 잔디에 전시회가 설치된 경우도 있는데, 한 예로 오래된 스파스틱 소사이어티의 모델을 바탕으로 한 허스트의 큰 조각(22피트, 6.7m)이 있는데, 이것은 다리 보호대를 착용한 소녀가 자선 모금 상자를 들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화이트 큐브 홉스턴 광장은 2012년 말에 문을 닫았다.[1]

화이트 큐브, 세인트 제임스, 런던

화이트 큐브는 아티스트들의 판도 제공한다.

2006년 9월, 그것은 원래의 화이트 큐브 갤러리의 본고장인 세인트 제임스의 Duke Street에서 25–26 Mason's Yard에 전기 서브 스테이션이 이전에 점유했던 플롯에 두 번째 부지를 열었다. MRJ 런델앤어소시에이츠가 설계한 이 갤러리는 세인트 제임스 지역에 30년 넘게 지어진 최초의 독립 건물이다.

2011년 10월, 화이트 큐브 버몬디가 버몬지 가에 개장하였다. 이 건물은 1970년대 창고였으며 58,000평방피트의 내부 공간으로 개조되어 유럽 최대의 상업 갤러리였다.[3]

화이트 큐브 홍콩은 2012년 3월 홍콩 센트럴 지구 중심부에 있는 코넛 로드 50번지에서 개장했다. 그것은 영국 밖에 위치한 최초의 화이트 큐브 갤러리였다. 길버트 & 조지, 안셀름 키퍼, 데미안 허스트, 세리스 에반스 등 많은 예술가들이 그곳에서 전시했다. 갤러리는 2층 이상에 천장 높이가 4.5m가 넘는 550㎡(6000평방피트)의 내부 전시공간을 선보인다. 이 공간은 런던에 본사를 둔 건축가 메이뱅크와 매튜스가 설계했다.

화이트 큐브 상파울루는 2012년 12월 도심에 있는 개조된 창고에서 3년 임대 방식으로 문을 열었다. 이 갤러리는 안토니우스 고믈리에 의해 우주공간에서의 일회성 프로젝트로, 2012년 여름 센트로 문화 방코 두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열린 이 영국 작가의 주요 전시회와 연계하여 기획되었다. 이 갤러리는 트레이시 에민, 데미안 허스트, 안셀름 키퍼, 래리 벨, 더스터 게이츠 등 작가들의 전시회를 열었다. 2015년에 문을 닫았다.[4]

2015년 여름, 화이트 큐브는 이스트 서섹스의 글린더본 페스티벌 오페라 - 글린더본의 화이트 큐브에서 안정적인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선보였다. 런던에 본사를 둔 건축 스튜디오 카모디 그로크(Carmody Groarke)가 새롭게 디자인한 공간에서 열린 이번 런칭 전시회에서는 독일 작가 게오르크 바젤리츠의 작품 선정이 돋보였다.[5]

2018년 화이트 큐브는 맨해튼에 지점을 열었다.[6] 2019년 제8회 파리 아롱디지션에 전시관을 꾸렸다.[7]

아티스트

White Cube는 다음을 포함한 여러 살아있는 예술가를 대표한다.

또한, 갤러리는 다음을 포함한 다양한 예술가의 소유지를 관리한다.

White Cube는 과거에 다음을 포함한 다른 예술가들을 대표했다.

비판

2002년 7월, 스쿠티스트 예술가들은 화이트 큐브 밖에서 시위를 벌였다. 층수를 더하기 위해 비계를 설치했다.

1999년, Stuckist 예술단은 "백벽 갤러리 시스템의 불임성에 반대한다"고 선언하고, 화이트 큐브에 인접한 거리에 그들만의 갤러리를 열었다. 2002년 또 다른 경우 광대 복장을 한 그들은 화이트 큐브의 문 밖에 "개념 예술의 죽음"이라고 표시된 관을 기증했다.[23][24]

2011년에 익명의 넷 아티스트 그룹이 도메인 이름인 whitecu.be으로 웹사이트를 개설했는데, 다른 아이디어들 중에서도 저작권과 상표권 관행에 대한 실험적인 제도적 비판이었다.[25] 2011년 말 이후 인기와 모멘텀이 커진 이 사이트는 화이트큐브의 변호사들로부터 취소 요청을 받고 DNS.be 당국에 의해 삭제됐다.[26][27][28] 그 예술가들은 이후의 법적 서신을 19개의 독립 예술 작품으로 변형시켰다.[29]

2015년 이 갤러리는 '여피족 아웃'과 '클래스 워'를 갤러리 인근 아파트 벽면에 그라피티한 반젠트리피케이션 활동가들이 표적으로 삼았다.[30]

참고 항목

메모들

  1. ^ a b "Evening Standard".
  2. ^ cube, White. "White Cube - Gallery Exhibitions - A Marvellous Force of Nature". whitecube.com. Retrieved 9 April 2021.
  3. ^ Jury, Louise (11 October 2011). "White Cubed third site for Jopling gallery". London Evening Standard. Retrieved 11 October 2011.
  4. ^ 3년간의 임대 계약으로 상파울루 갤러리를 폐쇄할 앤니 쇼 (2015년 7월 6일), 화이트 큐브 (White Cube.
  5. ^ 화이트 큐브는 2015년 5월 20일 오페라 아트 신문사간다.
  6. ^ Armstrong, Annie (2 May 2018). "White Cube Gallery Has Opened a New York Office at 699 Madison Avenue". ARTnews. Retrieved 25 November 2018.
  7. ^ 가레스 해리스(2019년 10월 2일), 화이트 큐브(White Cube) 파리 아트 신문 '오피스관람실'을 개설했다.
  8. ^ 클레어 셀빈(2018년 11월 30일), 화이트 큐브는 이제 데이비드 알트메이드 아트뉴스대표한다.
  9. ^ "Christine Ay Tjoe: Black, kcalB, Black, kcalB". Artnet. Retrieved 18 December 2018.
  10. ^ 재키 울슐라거(2016년 4월 29일), 독일 아티스트 게오르크 바젤리츠가 자신의 화이트 큐브 쇼 파이낸셜 타임즈출연해 논란이 되고 있다.
  11. ^ a b c d 샬롯 히긴스(2011년 9월 26일), 화이트 큐브 미술 제국화랑 공간 The Guardian을 위한 기록을 세웠다.
  12. ^ Maximliano Duron(2020년 2월 6일), 급부상하는 마켓 스타 줄리 커티스, 화이트 큐브 ART뉴스헤드스.
  13. ^ 샬롯 히긴스(2011년 9월 26일), 화이트 큐브 미술 제국은 갤러리 공간 WSJ기록을 세웠다.
  14. ^ 앤디 배타글리아(2018년 11월 28일)는 시카고 출신의 아티스트 Theaster Gates ART뉴스 대표 가고시안이다.
  15. ^ 앤드류 루셋(2011년 12월 22일), 테스터 게이츠가 화이트 큐브 뉴욕 옵서버합류한다.
  16. ^ 세라 메드포드(2018년 7월 17일)는 '가디언 보기'에서 손님을 초대하는 일드릭 예술가들의 퇴장이다.
  17. ^ Rachel Cooke (2016년 4월 17일), Mona Hatoum: ' 운이다. 일이 우연히 일어나는같아. 가디언.
  18. ^ a b 엠마 크라이튼 밀러 (Mema Cryton-Miller, 2018년 5월 17일) 중남미 예술파이낸셜 타임즈중심으로 무대에 오른다.
  19. ^ 알렉스 그린버거(2020년 1월 9일), 가장 비싼 옥션 여성 예술가 명인 비트리즈 밀하즈, 이제 페이스 갤러리 아트뉴스대표된다.
  20. ^ a b c d e 애니 쇼 (2018년 7월 5일), 프로젝트 공간에서 메가 딜러로: 제이 조플링은 화이트 큐브 The Art Newspaper25주년을 기념한다.
  21. ^ Andrew Russeth(2018년 6월 6일), White Cube Now의 Danh Vo ARTnews.
  22. ^ Alex Greenberger (2018년 9월 18일), Al Holded Estate Go to White Cube ARTnews.
  23. ^ "White Cube Demo 2002", stuckism.com. 2008년 4월 19일 검색됨
  24. ^ 불구자들, 샬롯. "시각 예술: "The Independent, The Independent, 2004년 9월 7일 니콜라스 경에게 속이는 말" 2008년 4월 7일 findarticles.com에서 검색됨.
  25. ^ Whitecu.be (December 2011). "I trolled Jay Jopling into paying the Kingdom of Belgium 1,620 EUR in chump change and all I got was this lousy legal correspondence from his high profile law firm". Retrieved 8 March 2012.
  26.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February 2012. Retrieved 4 March 2012.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27. ^ "DNS Belgium". DNS Belgium.
  28. ^ "DNS Belgium" (PDF). DNS Belgium.
  29.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February 2012. Retrieved 4 March 2012.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30. ^ De Peyer, Robin. "Vandals daub 'yuppies out' and 'class war' on south London art gallery". Evening Standard. Retrieved 30 December 2015.

외부 링크

Wikimedia Commons의 White Cube 관련 미디어

좌표: 51°29′59″N 0°04′55″w / 51.497°N 0.081864°W / 51.4997; -0.081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