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체리(밴드)

Wild Cherry (band)
야생 체리
Wild Cherry.jpg
배경 정보
기원.밍고 분기점, 오하이오, 미국
장르펑크 록,[1] 파란 [2] 영혼
액티브 년수1970–1979
라벨에픽, 브라운백
과거 멤버롭 패리시
벤 디파비오
루이 오소
래리 브라운
래리 메이더
쿠기 스토다트
조 부크멜터
버키 러스크
론 베이틀
브라이언 바셋
앨런 웬츠
도니 아이리스
쿡 마이클치크
마크 에이브세크
론 발레라

와일드 체리는 1970년 오하이오주 밍고 정션에서 결성된 미국의 펑크 록 밴드이며, "Play That Funky Music은 "Play That Funky Music"이라는 곡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역사

초기 라인업(1970~1974년)

패리시(리드 보컬과 기타)는 오하이오밍고 정션의 제철소에서 자랐다.1968년 밍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0년 오하이오주 [3]슈토이벤빌에서 밴드 와일드체리를 결성했다.이 밴드의 이름인 '와일드 체리'는 기침약이 [4]든 상자에서 따왔다.이 밴드는 오하이오 밸리 지역, 북웨스트 버지니아,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를 연주했다.오리지널 라인업은 슈토이벤빌의 벤 디파비오(드럼과 보컬)와 루이 오소(기타, 리드, 백그라운드 보컬), 웨스트버지니아 위튼의 래리 브라운(베이스, 리드, 백그라운드 보컬), 이스트 스프링필드, 오하이오 발리타의 래리 메이더(키보드, 리드, 백그라운드 보컬)가 포함됐다.(오하이오 주)시간이 흐르면서 밴드 멤버는 바뀌었다; 오소, 브라운, 메이더, 발레라는 밴드를 떠나 파리의 사촌 쿠기 스토다트와 조 부크멜터(베이스)로 대체되었다.Buckmelter는 곧 버키 러스크에 의해 대체되었다.

1970년대 초, 1971년 "You Can Be High (But Lay Low)"와 "Something Special On Your Mind"를 포함한 여러 음반들이 자체 레이블로 발매되었다.이 스테이지의 음악은 순수한 록 음악이었다.와일드 체리는 결국 고 테리 [3]나이트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브라운 백 레코드와 음반 계약을 맺었다.브라운백은 "Get Down"(1973년)과 "Show Me Your Badge"(1973년)를 포함하여 에 유나이티드 아티스트에 의해 배포된 여러 데모와 싱글을 제작했다.

밴드는 해체되었고, Parissi는 일시적으로 음악계를 떠났다.그는 1975년에 [3]그 밴드를 개편했다.

이후 라인업(1975~1979)

새로운 라인업은 브라이언 바셋(기타/보컬), 앨런 웬츠(베이스 기타/싱크사이저/보컬), 로널드 베이틀(드럼), 그리고 파리시로 [3]구성되었다.이 그룹이 피츠버그 지역에서 팔로워를 키우기 시작하면서 디스코는 점점 더 인기를 끌었고, 그들은 계속해서 더 많은 [3]댄스 음악을 연주해 달라는 청취자들의 요청을 받았다.새로운 노래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하는 동안, Beitle은 "너희 백인 소년들이 펑키한 음악을 연주할 거니?"라는 팬들의 고함을 들은 것을 회상했다.Parissi는 이 구절을 바탕으로 곡을 쓰는 것에 영감을 받아 바텐더로부터 빌린 펜으로 음료 주문서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밴드가 이 노래를 녹음한 후 스튜디오 엔지니어 켄 하만은 [4]이 밴드를 에픽/CBS가 배포한 스위트 시티 레코드의 주목을 받게 했다.Parissi는 이 노래를 코모도르의 "I Feel Sanctized"의 커버 버전에 B면으로 녹음할 생각이었지만, 음반사는 대신 [5]A면으로 제안했습니다.

"Play That Funky Music"은 1976년에 발매되었을 빌보드 [3]R&B와 팝 차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싱글과 와일드 체리의 셀프 타이틀 데뷔 앨범은 모두 [3]플래티넘을 기록했다.이 밴드는 빌보드에 의해 올해의 최우수 팝 그룹으로 선정되었고 올해의 최고 R&B 싱글상뿐만 아니라 그룹 또는 [3]듀오에 의해 최우수 신인 보컬 그룹과 최우수 R&B 퍼포먼스상 두 개의 그래미 후보에 올랐다.

비록 "Hot to Trot"이 미국 이외의 일부 시장에서는 마이너 후속 히트곡이었지만, "Play That Funky Music"은 앨범에서 유일한 히트곡이었다.이 앨범에는 키보드 연주자 마크 에이브섹이 기고했고, 그는 곧 밴드의 정식 멤버가 되었다.와일드 체리의 세 앨범 중 어느 것도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Electricized Funk(1977년)와 I Love My Music(1978년) 모두 40위 안에 들지 못했고, Only the Wild Survive(1979년)도 100위권 안에 들지 못했다.그 밴드는 1979년 [5]말에 해체되었다.

쿠기 스토다트는 Electricized Funk를 지원하는 투어를 시작으로 와일드 체리와 함께 공연을 하기 위해 돌아왔고 밴드와 함께 I Love My Music을 녹음했다.스토다트는 I Love My Music을 지지하기 위해 이 그룹과 함께 순회공연을 했지만 Only the Wild Survive가 녹음되기 전에 떠났다.

해체 후(1980년~현재)

  • Mark Avsec은 1980년대 초 Donnie Iris(재거즈의)와 제휴하여 Donnie Iris and the Cruisers를 결성했습니다.아이리스는 그들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앨범에서 와일드 체리와 함께 연주했다.그들의 히트 싱글곡에는 "아! 레아!"[3]가 포함되어 있었다.Avsec은 1985년 동료 크루저 케빈 발렌타인과 팀을 이루어 "Celler of Noise"라는 별명으로 녹음했고, 이 프로젝트와 함께 두 개의 앨범을 발매했다.Avsec의 또 다른 곡인 "She Don't Know Me"는 원래 밴드 La Flavor (나중에 "Fair Warning"으로 발전)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당시 신생 밴드인 Bon Jovi의 [6]첫 히트곡 중 하나가 되었다."아! 레아!"와 관련된 소송은 에이브섹이 저작권 [7]변호사가 되도록 영감을 주었다.
  • 앨런 웬츠는 뉴욕으로 건너가 세션 신시사이저 전문가가 되어 많은 음반과 징글을 연주했다.그는 루터 반드로스로베르타 플랙부터 신디 [citation needed]라우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가들과 함께 일해왔다.
  • 브라이언 배셋은 플로리다 주 샌포드에 있는 킹 스네이크 스튜디오에서 프로듀서 겸 엔지니어가 되었다.포갓과 몰리 [8]해쳇과 함께 뛰었으며, NARAS 플로리다 지부의 이사도 역임했습니다.
  • 패리시는 1979년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로 이사하여 바비 콜드웰[5]투어 밴드를 결성하였다.1980년 파리시는 뉴욕으로 건너가 빌리 스퀴어의 밴드 멤버들을 만나 그들과 녹음 세션을 가졌다.동시에,[5] 그는 1980/81년에 엘리 그리니치, 제프 켄트와 함께 공동 작곡을 했고 게리 본즈, 브루스 스프링스틴함께 앨범 'Dedition'을 공동 제작했다.이 앨범은 히트곡 "This Little Girl (Is Mine)"을 제작하여 50만 장 이상이 팔렸고, 이로 인해 롭은 또 다른 골드 앨범을 받았다.2010년대 현재, Parissi는 플로리다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의 전 보컬 [5]앨범인 CD "The Real Deal"에서와 같이 성인 컨템포러리하고 부드러운 재즈 장르에서 작곡과 녹음을 하고 있다.
2013년 8월 11일, 오하이오주 밍고 정션에 있는 패리시의 고향 사람들은 그곳에서 가장 긴 거리를 롭 패리시 대로로 개명하고 8월 11일을 롭 패리시의 [9]날로 선포했습니다.그와 그의 아내 일로나는 그의 예전 통합 고등학교인 지금은 인디안 크릭 고등학교로 명명된 장학기금을 설립했고 그는 매년 그 장학기금을 위한 자선기금 모금 행사를 하기 위해 돌아옵니다.
  • 론 베이틀(1954–2017)은 펜실베니아 [10]로렌스빌에 있는 니즈 호텔 밴드를 포함한 여러 록 밴드들과 공연을 했다.그는 [11]2017년에 죽었다.

밴드 멤버

최종 라인업

  • Rob Parissi – 보컬, 기타 (1970-1979)
  • 도니 아이리스 – 기타, 보컬 (1978년-1979
  • Cooke Michalchick – 베이스, 보컬 (1978-1979)
  • 로널드 베이틀 – 드럼, 타악기 (1975-1979)
  • Mark Avsec – 키보드 (1975~1979)

이전 멤버

  • Ben Difabbio – 드럼, 보컬 (1970~1975)
  • Louie Osso – 기타, 보컬 (1970~1973년)
  • 래리 브라운 – 베이스, 보컬 (1970-1973)
  • 쿠기 스토다트 – 기타, 보컬 (1973년-1975년, 1977년-78년)
  • Joe Buchmelter – 베이스 (1973년)
  • 버키 러스크 – 베이스 (1973~1975)
  • Allen Wentz – 베이스, 신시사이저, 보컬 (1975~1978)
  • 브라이언 바셋 – 기타 (1975년-1978년)

타임라인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선택한 차트 위치가 있는 스튜디오 앨범 목록
연도 앨범 미국
[12]
미국
R&B

[13]
NLD
[14]
도 아니다
[15]
인정.
1976 야생 체리 5 1 12 17
1977 일렉트릭 펑크 51 33
1978 아이 러브 마이 뮤직 84 54
1979 야생만이 살아남는다

컴필레이션 앨범

싱글

선택한 차트 위치가 있는 싱글 목록
연도 앨범 미국
[17]
미국
R&B

[18]

(FL)

[19]
GER
[20]
NLD
[14]
NZ
[21]
영국
[22]
인증
1970 "You Can Be High (But Lay Low) / 내일 아침"
1971 '특별한 생각 / 태양을 빼앗았다'
1972 "Get Down / 당신을 위해 이 곡을 썼습니다"
1973 "Get Down / Livin ' & Lovin '" (재발행)
1973 "배지를 보여주십시오/불길을 되살려주세요"
1975 '부두인형 / 당신의 사랑은 내 것이니까'
1976 "성스러운 기분'
'그 펑키한 음악 틀어줘' 1 1 6 42 4 4 7
1977 'Baby Don't You Know' 43 41
'핫 투 트로트' 95 62 17
"Hold On(문자열 포함)" 61
1978 '123 사랑의 종류'
'I Love My Music' 69 49
'이 오래된 내 마음'
1979 "Try a Piece of My Love"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메모들

  1. ^ "Hottest music album covers". India TV. March 11, 2015. Retrieved April 24, 2015. funk rock band from Steubenville, Ohio
  2. ^ "Wild Cherry, Named For Cough Drops, Eyes Gold". Billboard. Nielsen Business Media. 88 (43): 54. October 23, 1976. ISSN 0006-2510.
  3. ^ a b c d e f g h i 보그다노프 2003, 페이지 746
  4. ^ a b Harrison, Ed (October 23, 1976). "Wild Cherry, named for cough drops, eyes gold". Billboard. Nielsen Business Media. 88 (43): 54. ISSN 0006-2510.
  5. ^ a b c d e Arena, James (March 30, 2016). Legends of Disco: Forty Stars Discuss Their Careers. McFarland. pp. 175–182. ISBN 978-1-4766-6496-5.
  6. ^ Michaels, Randolph (September 2005). Flashbacks to Happiness: Eighties Music Revisited. iUniverse. pp. 117–118. ISBN 978-0-595-37007-8.
  7. ^ Segall, Grant (March 10, 2013). "Mark Avsec is a leading rocker and lawyer: My Cleveland". cleveland.com. The Plain Dealer. Retrieved September 20, 2017.
  8. ^ "Bryan Bassett".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20, 2017.
  9. ^ Limnios, Michalis (June 18, 2014). "Interview with fabulous musician Rob Parissi of Wild Cherry - with an amazing career in the music industry". blues.gr. Retrieved September 20, 2017.
  10. ^ "ABOUT – Nied's Hotel Band". NiedsHotelBand.com. Retrieved September 20, 2017.
  11. ^ "RONALD BEITLE Obituary (2017) - Sharpsburg, PA - Pittsburgh Post-Gazette". Legacy.com. Retrieved October 18, 2021.
  12. ^ "Wild Cherry Chart History: Billboard 200". Billboard. Retrieved April 22, 2021.
  13. ^ "Wild Cherry Chart History: Top R&B/Hip-Hop Albums". Billboard. Retrieved April 22, 2021.
  14. ^ a b 디스코그라피 와일드 체리(네덜란드어).dutchcharts.nl 를 참조해 주세요.2014년 2월 1일 취득.
  15. ^ 디스코그래피 와일드 체리norwegiancharts.com 를 참조해 주세요.2014년 2월 1일 취득.
  16. ^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Wild Cherry – Wild Cherry".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Retrieved April 22, 2021.
  17. ^ "Wild Cherry Chart History: Hot 100". Billboard. Retrieved April 22, 2021.
  18. ^ "Wild Cherry Chart History: Hot R&B/Hip-Hop Songs". Billboard. Retrieved April 22, 2021.
  19. ^ 디스코그라피 와일드 체리(네덜란드어).ultratop.be/nl 를 참조해 주세요.2014년 2월 1일 취득.
  20. ^ 수체 나흐 와일드 체리(독일어).charts.de 를 참조해 주세요.2014년 [dead link]2월 1일 취득.
  21. ^ 디스코그래피 와일드체리.charts.org.nz2014년 2월 1일 취득.
  22. ^ "Wild Cherry full Official Chart History". Official Charts Company. Retrieved April 22, 2021.
  23. ^ "British certifications – Wild Cherry".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Retrieved July 10, 2022. "Search BPI Awards" 필드에 Wild Cherry 라고 입력한 Enter 키를 누릅니다.

원천

  • Bogdanov, Vladimir (2003). All Music Guide to Soul: The Definitive Guide to R&B and Soul. Backbeat Books. p. 746. ISBN 978-0-87930-744-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