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에임스

William Ames
윌리엄 에임스, 신학자 (1576–1633)

윌리엄 에임스(/eɪmz/; 라틴어: 길리엘무스 아메시우스; 1576년 – 1633년[1] 11월 14일)는 영국의 청교도 목사, 철학자, 논쟁주의자였다. 그는 네덜란드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으며, 칼뱅주의자들아르미니아인들 사이의 논쟁에 관여한 것으로 유명하다.

조기생활과 교육

아메스는 입스위치에서 태어났으며, 박스포드의 외삼촌 로버트 스넬링에 의해 길러졌다. 그는 지역 문법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1594년부터는 캠브리지의 크라이스트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2] 그는 크리스트교 지도자인 윌리엄 퍼킨스와 그의 후임자인 폴 베인으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아메스는 1598년 BA, 1601년 MA를 졸업했으며, 그리스도 대학에서 펠로우쉽에 선발되었다.[3][4]

그는 대학에서, 그리고 자신의 대학에서 인기가 있었다. 에메스의 설교 중 하나가 청교도 논쟁에서 역사적으로 되었다. 1609년 12월 21일 케임브리지의 세인트 메리 대교회에서 전해졌고, 그 속에서 그는 12일 동안의 성탄절 동안 학생들의 "루소리 롯츠"와 "열혈성 방탕"을 날카롭게 질책했다.[4]

그러나 당파 선거는 그리스도가 발렌타인 캐리로 가는 마스터쉽으로 이어졌다. 는 덧문과 다른 외형적인 상징들을 못마땅하게 여겨 에메스와 싸웠다. 에메스는 격분하여 부총장 앞에 소환되었고, 부총장은 그를 "의 교회적 기능의 행사로부터, 그리고 모든 학위로부터, 또는 취학당하게 되었다"[5][6][4]고 정직시켰다.

네덜란드의 정부

그는 케임브리지에서 떠나 콜체스터에서 강사직을 제의받았지만, 런던 주교조지 애벗은 현지 법인의 뜻에 반하여 기관과 인덕션의 허가를 거절했다.[7] 비슷한 거절이 다른 곳에서 그를 기다리고 있었고, 그는 영국 상인들의 도움으로 Robert Parker와 함께 네덜란드로 여행했다. 그는 Leiden에 있는 영국 교회의 지지자들을 통제하기를 바랐다. 로테르담에서 그는 "우리 안에서 의지와 실천을 병행하는 것이 하나님"이라는 필리피안 2세의 논리로 아르미니아 당의 장관 그레빈초비우스(니콜라 그레빈코벤, 1632년 사망)와 논쟁을 벌였다. 이 분쟁으로 그는 네덜란드에서 유명해졌다.[4]

그 후, 아메스는 그레빈초비우스와 함께 보편적인 구원과 선거, 그리고 동일인 문제에 대해 출판되어 논쟁에 들어갔다. 그는 자신의 코로니스 애드 콜리메이션 하겐셈(A Finishing Touch to the Hague Conference)[8]에서 유지했던 모든 것을 모았다.—그의 주요 저서 레이든에서 에메스는 그곳의 영국 교회의 목사굿이어와 친해졌다. 그는 브릴의 영국 총독 호라티오 베레 경의해 헤이그로 파견되었는데, 그는 그를 총독부 군대의 장관으로 임명하고, 영국 군인들을 섬겼다. 그는 베레의 목회자였던 존 버지의 딸과 결혼했고, 시아버지가 영국으로 돌아오자 그의 자리를 이어받았다.[4]

이 때 그는 시몬 에피스코피우스와 논쟁을 시작했는데, 그는 코로니스를 공격하면서 저자를 "고국의 공공 평화를 방해하는 자로서 영국 치안판사들이 그를 추방했다"고 비난했고, 지금은 그의 고인이 인쇄된 코로니스로 인해 평화로운 네덜란드에서 새로운 소요를 일으키고 있었다.s." 에피스코피우스는 레몽스트란트에 대항하여 아메스의 변호인이 된 굿이어에 의해 반박을 받았고,[4] 후에 네테누스에게 아메스의 전기의 자료를 제공했다.[9]

코로니스는 주로 1618년 11월 13일부터 1619년 5월 9일까지 앉아 있던 공방전을 위해 준비되었다. 이 시노드에서 아메스의 위치는 변칙적이었다. 영국의 고등교회당은 베레에게 교회에서 그를 해임하도록 권유했지만, 그는 여전히 존경의 대상이었다. 그가 시노드에 참석하도록 주선되었고, 그는 칼뱅파 일당에게 하루 4개의 플로린스에 유임되어 의사 진행을 지켜보았다.[4] 그는 요하네스 보거만 회교회의 회장의 고문을 맡았다.[10]

학문적

그를 라이덴의 신학대학의 교장으로 만들자는 제안은 아보트 대주교에 의해 좌절되었고, 후에 프라이스랜드 주로부터 프래네커의 교수로 초청받았을 때, 반대는 새로워졌지만, 이번에는 무산되었다. 그는 1622년 5월 7일 프래네커에 설치되었고 우림과 툼밈에 대한 강연회를 가졌다. 그는 프래네커에게 교수, 전도사, 목사, 신학 작가로서 명성을 가져다 주었다.[11] 아메스의 영향을 받은 그 시대의 한 학생은 요하네스 코체우스였다.[12] 또 다른 학생은 하버드 대학나다니엘 이튼이었다.[13]

그는 제자들을 위해 칼뱅주의 교리의 매뉴얼인 메둘라 신학대(신학의 골수)를 준비했다. 아메스는 방법론 에서 라미즘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잔존 가르침에 반대했다.[14] 기독교 윤리를 특정한 행동 사례와 양심의 분명한 관계로 끌어들이려는 시도인 그의 드 브레니시아, ejus Jure et Casibus (1632년)는 개신교에서 새로운 것이었다.[15]

로테르담으로 이동

프래네커에서 12년을 보낸 후(1626년 감독으로 있던 곳) 건강이 악화되어 뉴잉글랜드로의 이적을 고려했다. 그러나 로테르담 초대장과 함께 그를 위해 또 다른 문이 열렸다. 그곳에서 그는 리차드 백스터비적합성주의자로 만든 책인 의식에 반대하는 그의 신선한 수트를 준비했다. 청교도 학교와 리차드 후커의 학교 사이의 문제를 요약하여, 사후에 출판되었다.[15]

홍수로 집이 침수되어 감기에 걸린 그는 1633년 11월 57세의 나이로 사망했는데, 보아하니 형편이 어려운 것 같다.[15] 그는 두 번째 부인인 조안 플레처(Joan Fletcher)에 의해 2남 1녀로 1637년 매사추세츠로 이민을 갔고, 그 아들들은 나중에 영국으로 돌아왔으며, 딸 루스는 메사추세츠주 캠브리지에서 결혼했고, 아들 새뮤얼 앤지어는 1680년 우리안 오케스[16]딸 한나 오케스와 결혼했다.[17]

영향

바이오그래피아 브리타니카(1778)가 [18]증언한 그의 작품은 암스테르담에서 5권으로 수집됐다. 극히 일부만이 영어로 번역되었다.[15] 에메스의 생각은 뉴잉글랜드에서 특히 영향력이 있었다.

메모들

  1.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윌리엄 에임스
  2. ^ "Ames, William (AMS593W)". A Cambridge Alumni Database. University of Cambridge.
  3. ^ Kelly M. Kapic, Randall C. 글리슨, 헌신적인 삶: 청교도 고전 초대장(2004), 페이지 53.
  4. ^ a b c d e f g 치솔름 1911, 페이지 850.
  5. ^ "The colleges and halls: Christ's British History Online".
  6. ^ Early Stuart Cambridge의 Margo Todd, Providence, Chance and the New Science in Early Stuart Cambridge, The History Journal, 29권, No. 3권 (1986년 9월), 697–711페이지.
  7. ^ "Tudor and Stuart Colchester: Religious life British History Online".
  8. ^ http://www.apuritansmind.com/William%20Ames/WilliamAmes.htm
  9. ^ 키스 L. 스프링거, 네덜란드 청교도: 16세기와 17세기 네덜란드의 영어와 스코틀랜드 교회의 역사 (1982년), 페이지 133.
  10. ^ W. B. 패터슨, 킹 제임스 6세와 그리고 크리스텐덤의 재결합(1997) 페이지 279.
  11. ^ 치솔름 1911, 페이지 850–851.
  12. ^ 얀 로울스, 리폼드 고백: 취리히에서 바르멘까지의 신학(1998년 번역), 페이지 25.
  13. ^ 유럽과 미국의 프랜시스 J. 브레머, 톰 웹스터, 청교도 청교도: 종합 백과사전(2006), 페이지 83.
  14. ^ Willem Frijhoff, Marijke Spisks, Dutch Culture in a European Perspective(2004) 페이지 286-7.
  15. ^ a b c d 치솔름 1911, 페이지 851.
  16. ^ Paige, Lucius R. (1877). History of Cambridge, Massachusetts, 1630–1877. Boston: H. O. Houghton and Company. pp. 479, 481–2.
  17. ^ Doyle, John Andrew (1895). "Oakes, Urian" . In Lee, Sidney (e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41. London: Smith, Elder & Co.
  18. ^ Andrew Kippis (1778). Biographia Britannica: or, The lives of the most eminent persons who have flourished in Great Britain and Ireland, from the earliest ages, down to the present times. Printed by W. and A. Strahan, for C. Bathurst, W. Strahan, J. Rivington and sons. pp. 171–.

귀인:

  •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

원천

  • Keith L. Springer, The Learned Doctor William Ames (1972)
  • 참고 항목:
    • 존 퀵의 원고인 아이코네스 사크레이 성공회(Icones Sacrae Huccessae)는 어부가 참석한 사람의 개인적 권위에 관한 일화를 제공한다.
    • 라틴어 작품의 수집판(5권, 암스테르담, 1658년) 앞에 붙은 마티아스 네테누스생애
    • 윈우드 메모리얼, 제3권 346–347;
    • 대니얼 닐청교도들, i. 532;
    • 토마스 풀러캠브리지 (크리스트 칼리지);
    • Hanbury's Hist. 기념관, I. 533;
    • 매사추세츠 역사 학회의 소장품, vol. vi, 4번째 시리즈, 1863, 페이지 576–577.
  • Sprunger, Keith L. "Ames, William (1576–1633)".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440.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추가 읽기

  • Webster, Charles (1970). "Ames, William".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1.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pp. 133–135. ISBN 0-684-10114-9.
  • Keith L. Bruster, The Learned Doctor William Ames, Urbana: 1972년 일리노이 대학 출판부
  • 자멜라 라레스, "윌리엄 아메스", 문학 전기 사전, 제281권: 영국 수사학자로직사, 1500–1660, Second Series, Detroit: Gale, 2003, 페이지 3–13.
  • Mullinger, James Bass (1885). "Ames, William (1576-1633)" . In Stephen, Leslie (e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 London: Smith, Elder & Co.
  • Ceri Sullivan, The Rischer of the Penice in Donne, Herbert and Vaughan,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8, ch. 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