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코
Woolco![]() | |
유형 | F. W. 울워스사의 자회사 |
---|---|
NYSE | |
산업 | 할인백화점 |
설립됨 | 1962년(콜럼버스, 미국 오하이오 주) |
현존하지 않는 | 1983년(미국) 1986(영국) 1994년 (캐나다) |
운명 | 미국 및 영국에서 Woolworth로 브랜드 변경 나중에 월마트 캐나다에 인수된 캐나다 체인 |
후계자 | 울워스(미국 및 영국만 해당) 월마트 캐나다(캐나다만 해당) |
본부 | 미국 오하이오 콜럼버스 |
상품들 | 의류, 신발, 침구, 가구, 보석, 미용 제품, 전자제품, 장난감, 가정용품 |
부모 | F. W. 울워스 회사 |
울코는 미국에 본사를 둔 할인 소매 체인이었다. 1962년 F. W. 울워스 컴퍼니에 의해 오하이오 주 콜럼버스 시에 설립되었다. 당시 운영하던 5개짜리 울워스 매장과는 달리 풀라인 할인 백화점이었다. 전성기에 울코는 캐나다와 영국뿐만 아니라 미국에도 수백 개의 점포를 가지고 있었다. 1983년 미국 매장이 문을 닫는 동안 체인점은 캐나다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던 라이벌 월마트에 1994년 판매되기 전까지 캐나다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구 영국 울코 매장은 모두 영국 울워스 사업을 사들인 킹피셔가 이후 아스다에 매각한 게이트웨이에 매각했다.
역사
창조
울코의 창조는 교외지역의 확장과 동시에 일어났다. 울워스의 주력 점포는 여전히 선전하고 있었지만, 버라이어티 매장 사업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희석시키지 않고 성장하고 있는 할인 백화점 시장을 공략하고자 했다. 최초의 울코 상점은 오하이오 주 콜럼버스에 위치해 있었다.[1] 1966년까지 미국은 18명, 캐나다는 9명이었다. 연간 30개 점포가 추가될 계획이었다. 이는 1970년대 중반까지 북미 전역에 300개 이상의 울코 매장이 문을 열면서 엄청난 성장을 이끌었다. 아이오와주 웨스트버링턴 웨스트랜드몰 입점을 포함해 울워스 일반 매장에서 일부 매장이 전환됐다.[2]
이 회사는 1960년대 중반 울코와 워스마트라고 불리는 좀 더 저급한 판매 부문을 둘 다 실험했다. 울코는 결국 고객들과 함께 승자가 되었고, 워스마트 매장은 1970년대까지 울코의 매장 기지로 접었다.
애초 울코 매장은 제품군이 확장된 데다 이름뿐인 울워스 매장에선 찾아볼 수 없는 편의시설까지 갖춰 '홍보 백화점'으로 여겨졌다.
많은 장소들에는 카페테리아 스타일의 아울렛인 레드 그릴 레스토랑이 있었고, 음식 구역은 팝콘, 진짜 밀크쉐이크, 그리고 다른 음식들을 팔았다.
같은 기간 영국에도 울코 매장이 다수 문을 열었는데, 본머스에서도 그중 하나가 영국 내 한 층에서 가장 큰 매장이었다.[3]
소멸
전형적인 울코 매장은 10만 평방피트(9,300m2)가 훨씬 넘었는데, 당시 할인 매장으로서는 꽤 큰 규모였다. 많은 부서(예: 신발과 보석)가 제3자 사업자에게 임대되었는데, 이는 초기 할인점들 사이에서 흔한 관행이다.
울워스는 1970년대 후반부터 울코에 대한 비용절감 계획을 제정해 가장 큰 입지의 용적률 축소, 대부분의 임대부문의 폐지, 6만 평방피트(5600m2)의 소규모 점포의 소규모 시장 진출 등을 골자로 했다. 이 기간 동안 일부 대형 울코 매장의 초과 공간은 울워스 소유의 오프 프라이스 의류 소매점인 J. Brannam에게 돌아갔는데, 이것은 "Just Brand Names"의 줄임말이었다.
1979년경에는 이전의 비용절감 계획으로는 울코를 실패에서 구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 분명해지자 울워스는 할인점 운영단위와 버라이어티 매장을 결합하고 시카고 등 수익성이 없는 시장에서 점포를 폐쇄하기 시작했다.
폐쇄
1982년 9월 24일, 울코는 모든 미국 점포를 닫겠다고 발표했다.[4][5] 미국에서 그랜드 오픈을 할 최종 울코 매장은 1982년 9월 29일 루이지애나주 부테 매장이 론칭한 지 5일 만이다.[6] 1983년 1월까지 336개 점포가 모두 문을 닫았다.[4][5] 울코의 재고는 약 10억 달러로 평가되어 울코의 청산 규모는 당시 미국 역사상 가장 컸다. 그러나, 약 120개의 점포로 구성된 캐나다 지부는 여전히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
1982년 영국 울코 매장이 일반 울워스 매장으로 전환돼 같은 해 영국 울워스 체인과 함께 분사됐다. 이후 1986년 킹피셔 plc에 의해 게이트웨이에 판매되었고, 1988년 게이트웨이가 다시 Asda에 판매되었다. 영국에서는 1999년 당시 울워스의 모기업인 킹피셔(Kingfisher) plc가 빅W 체인으로 울코 스타일 회생을 시도했으나 성공했으나 2001년 울워스가 자회사로 분리되면서 어려움을 겪었고, 2004년에는 울워스 그룹 PLC가 빅W 체인을 폐기하고 일부 매장을 슈퍼마켓 체인에 다다와 테스코로 매각했다. 울워스는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던 빅 W 매장의 브랜드를 자신들의 이름으로 바꾸었고, 그들은 2008년 울워스 행정부 때까지 남아 있었다.
1990년 캐나다의 26개 울워스 매장이 더 큰 규모 때문에 울코로 전환되었다. 1994년 1월 14일, 울워스는 국제 전문점 확장에 따른 부채 17억 달러를 상환하기 위해 울코 캐나다 점포의 대부분을 월마트에 매각하였다.[7] 월마트는 울코 상점을 인수하지 않았다. 울코 상점은 노조를 이루거나 시내에 위치한다. 일부 울코 매장은 젤러 매장으로 팔렸다가 다시 문을 열었고, 젤러스가 청산하자 일부 매장은 이후 타겟캐나다에 팔렸다.
캐나다
규모가 작고 덜 붐비는 소매시장에서 울코는 미국보다 캐나다에서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캐나다에는 160개의 상점이 있었는데, 이 체인점은 미국이 문을 닫은 후 캐나다에서 또 다른 11년 동안 살아남았고, 월마트 캐나다에 인수되었다.[7] 그들은 캐나다 작사가 레온 두빈스키와 맥스 맥도날드가 "Working at the Woolco Manager Trainer Blues" (1977년)라는 인기곡까지 쓸 정도로 잘 알려져 있었다.[8]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캐나다 상점은 월간 '1.44일'로 잘 알려져 있었는데, 그 곳에서는 수많은 아이템이 1.44달러 CAD의 가격에 팔렸다. 경쟁사인 우드워드 & 이튼의 "1.49일"은 보통 매달 첫 번째 월요일을 뛰었다. 대부분의 가게에는 자동차와 타이어 서비스 부서도 있었다. 캐나다의 대부분의 가게에는 매장 내 식당 코너가 있었다. 이 식당들은 퀘벡 지방을 제외하고는 레드 그릴 또는 스트로베리 스트리트 카페테리아로 이름이 지어졌다.
참조
- ^ "Columbus to Get Woolco Store". The Milwaukee Journal. Milwaukee. September 28, 1961. p. 23, Part 2.
- ^ "Woolworth closing all Woolco stores". The Hawk Eye. September 26, 1982. p. 1.
- ^ Woolworths Virtual Museum [1] 2007년 8월 6일 회수
- ^ a b Kleinfield, N. r (September 25, 1982). "Woolworth Calls It Quits on Woolco" – via NYTimes.com.
- ^ a b "Woolco stores to close". The Press-Courier. 25 September 1982. Retrieved 8 October 2011.
- ^ "울코는 폐점 전에 대 개장을 준비한다." 알렉산드리아 데일리 타운 토크, 1982년 9월 30일 페이지 6.
- ^ a b "When Walmart set its sights on the Canadian market". CBC Archives. January 14, 1994. Retrieved January 14, 2020.
- ^ [cdnfolk] 노래와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