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리치 커먼
Woolwich Common울리치 커먼 | |
---|---|
![]() Woolwich Common(슈터 힐에서) 보기 | |
![]() | |
유형 | 공유지, 도시공원 |
위치 | 런던 울리치 |
좌표 | 51°28′35″N 0°03′14″E / 51.4765°N 0.0539°E좌표: 51°28′35″N 0°03′14″E / 51.4765°N 0.0539°E/ |
면적 | 60헥타르(150에이커)[1] |
상태 | 군사 지형(영역), 보존 지역 |
대중교통접근 | 울리치 아스널 역 |
울위치 커먼(Woolwich Common)은 영국 런던 남동부의 울위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말이다. 군사용지(40%[2] 이하),[3] 도시공원으로도 일부 사용된다. 울리치 커먼은 보존 지역이다. 그것은 런던 남동부 그린 체인의 일부다. 그리니치 왕립 자치구의 선거구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동쪽에 있는 거리의 이름이기도 하다. 2011년 인구조사에서 이 병동의 인구는 1만7,499명이었다.[4]
위치
울리치 커먼은 울리치 도심에서 남서쪽으로 몇 백 미터 밖에 떨어지지 않은 그리니치 로얄 보로에 있는 132미터 높이의 슈터 힐 북쪽 비탈에 있다. 옥슬라스 우드와 엘담 커먼에서는 이 도로의 남쪽으로 공터가 계속되지만, A207 슈터즈 힐 로드에 의해 남쪽으로 경계를 이루고 있다. 아카데미 로드(A205 South Circular Road의 일부)와 구 왕립 육군사관학교가 공통의 동쪽 경계를 이루고 있다. 리포지토리 로드와 퀸 엘리자베스 병원이 서쪽 경계를 이룬다. 북쪽으로는 하하로가 왕립포병영 주변 군사구간과 공용구간을 구분하고 있다. 한때 울리치 커먼의 일부였지만 지금은 본체와 분리되어 있는 그린힐과 서쪽에 있는 리포지토리 우즈, 북쪽의 멀그레이브 연못 주변, 동쪽의 이글스필드 공원에 남아있다.
역사
18세기 중반까지 울리치 커먼은 지금보다 훨씬 더 큰 열린 공간의 일부를 형성했다. 그것은 슈터즈 힐의 북쪽 비탈의 상당 부분을 덮었고, 찰턴까지 서쪽으로 뻗어 있었다(1855년 샬턴 묘지가 조성되었다) 그리고 현재 슈러즈베리 공원, 플럼스테드 커먼, 윈스 커먼이 있는 곳에서 동쪽으로 계속 이어졌다. 실제의 공동체는 약 80에이커에 불과했고, 소와 양을 방목하는 데 사용되었고, 송곳니를 파내고, 연료로 나무와 고랑을 모으는 데 사용되었다. 이때는 샬튼 커먼과 연속되었는데, 둘 사이의 경계를 표시하는 긴 생울타리였다(두 사람이 합병하고 '울리치 커먼'이라는 이름이 두 지역을 모두 덮었다).[5] 1812년까지 평민의 소유권은 왕위에 있었다(엘담의 왕실 관리인의 부속품인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1663년 엘담 궁전이 존 쇼 경에게 임대되었을 때 평민은 그 사유지에 포함되었다).[6] 대부분의 울리치와는 달리, 그것은 결코 보우터 저택의 일부가 되지 않았다.
침입 및 인클로저
울리치 도크야드와 로열 아스널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지역 주민들은 공동체에 대한 그들의 고대 권리를 잃는 것에 대해 점점 더 염려하고 있었다. 18세기에 집을 짓기 위해 공동체의 일부가 사유화되었을 때, 울리치 베스트리 호는 인클로저에 대항하여 그들의 관습적인 권리를 강력하게 옹호하였고, 1760년경 공동의 동쪽 가장자리에 두 채의 집을 짓는 것을 따라, 그들은 제4대 존 쇼 경에게 더 이상의 건물 임대를 허락하는 것을 막는 데 성공했다.[7]
1720년대까지 오르드난스 위원회는 박격포의 시험장으로서 코먼을 사용하고 있었고, 50년 후 포병 연습을 위한 사격장이 설치되었다.[6] 동시에, 그것은 여전히 가축 방목용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농작물을 위해 경작된 지역들과 도로 건설에 사용될 자갈을 채석하기 위해 다른 부분들은 채석되었다.
1774-6년에 평북에 왕립 포병 막사가 건설되면서 그 지역의 특성은 현저하게 그리고 마지막으로 바뀌었다. 보우터 일가가 소유한 사유지에 오르드난스 이사회가 건설했지만, 미래의 퍼레이드장으로서 그리고 지금의 바락 필드가 되는 공사장에도 공통의 한 부분이 추가되었다. 그 장소는 대부분 지어지지 않았다; 유일한 건물은 현재 제2보어 전쟁 기념관이 있는 근처에 있는 졸리 씨프라이트스 여관이었다.[8] 1777년에 그랜드 디포 로드가 형성되어 막사에 더 잘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9] 바락 필드와 일반 필드 사이에 하하가 건설되었다(1802년에 서쪽으로 확장되었다가 1806-08년에 남쪽으로 이동하여 더 많은 일반을 바락 필드로 가져왔다).
18세기 말까지 공통점은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 기동, 전시 등에 이용되고 있었다. 1796년과 1805년 사이에 왕립 육군사관학교(당시까지 아스널 내에 위치했던)가 울리치 커먼의 남동쪽 가장자리에 새로 지어졌고, 이후 세기에 걸쳐 점차 확장되었다. 이것은 오드넌스 이사회가 공동체에 대한 최초의 주요 건물 개발이었다. 1801년 9월, 바락필드 서쪽에 있는 추가 토지는 보우터 가문으로부터 오드넌스 이사회에 의해 임대되었는데, 주로 군사 훈련장으로 사용되었다(그린 힐과 리포지토리 우즈). 6개월 후, IASB는 의회법 때문에 이 (그리고 그들이 보우터 가문으로부터 임대했던 모든 토지)을 완전히 소유하게 되었다.[10]
그리고 나서, 1803년에,~1804년[11]에서 지방 위원회, 의회 법에 따라 그 문제에 회답을 해야 힘을 얻은 교구에 보상의 권리 상실 referenc(비록 없이 자갈을 추출하기 위해 £3,000을 수여했다 울리치 공통의 SirJohnShaw(이들의 고용 국왕으로부터, 1812년의 freehold을 획득하기 위해 갈 것)로부터 임대를 구입했다.e에 교구민들의 오랫동안 일반 대중을 목초지, 침출지, 터빈에 사용하였다. 같은 해, IASB는 또한 찰턴 하우스의 토마스 메리온 윌슨 경으로부터 찰턴 커먼을 매입하였다.[7] 그리고 나서, 모든 땅이 군사용으로 개간되기 시작했다; (1810년경에는 보통 서부의 많은 부분이 여전히 경작지로 이루어져 있었지만,[12] 1816년에 이것들은 평평하게 하고 풀에 뿌렸다.) 지역 주민과 군 사이의 관계는 1세기 이상 신랄하게 유지되었는데, 전자는 관습에 근거한 접근권을 계속 주장했고 후자는 완전한 소유권을 주장하였다.[11]
군 소유의 공통점
포병 연습

1803년 위원회는 포병 훈련을 위해 병영 바로 서쪽 그린힐에 모르타르 전지를 건설했다. 그것은 남쪽으로 발사되도록 방향이 잡혔고, 목표는 공통의 먼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깃대(약 850야드(780m)에서 1,250야드(1,140m) 사이)이다. 이로 인해 울리치 커먼과 찰튼 커먼 사이의 경계 헤지 중 상당 부분을 제거해야 했다.[13] 1847년, '매 월, 수, 금요일 아침 9시 반부터'라는 배터리에서 박격포와 하우처 연습이 이루어졌다. 배터리 뒤에는 드릴마당이 있었고, 하사관을 위한 보관과 사무실 공간과 숙소를 제공하는 페디멘티드 건물(1830년부터 식)이 있었다. 6개의 총에 대한 위치도 제공되었다; 이것들은 경례용 배터리로 사용되었다. 박격포 연습에 대한 일반적인 사용은 1873년경에 끝났고, 그 때 포병 훈련은 슈베리니스로 옮겨갔지만, 20세기에 경례용 배터리는 여전히 작동하고 있었다.[14]
말과 육군 수의대
초창기부터 군마를 양성하고 훈련시키는 데 사용되었는데, 그 중에는 왕마포병(포병병영에 근거지를 둔 말포병)도 있었다. 1804년에 이르러 '예비지립'이 평원의 서쪽 가장자리에 세워졌다. 후에 그 곳은 왕실 말 의무실로 확장되었다. 왕실 말 의무실은 1859년 창설된 이래 육군 수의과 본부가 되었고,[15] 수의학과 교장(PVS)은 이곳에 사열되었다(1876년 전쟁사무소로 이전할 때까지).[16]
왕실 말 의무실 바로 북쪽에 1850년대에 '허츠 영구 수용소'가 세워졌는데, 이 캠프는 포병대와 다른 군대가 세기의 후반까지 점령한 채로 남아 있었다.[17] 더 남쪽에는 몇 세트의 마구간들이 있었다. 1896년에는 파편 막사가 나란히 세워져 두 차례의 포병 야전을 위한 숙소를 마련하였다.[18][19][20]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병영들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제1의 기병대 기병대 역할을 하였으나,[21] 전쟁이 끝난 후 다시 한 번 돌아와 포병대의 야전여단을 수용하였다.[22]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이후에도 포병 부대를 계속 수용하였고, 이후 여성 왕립 육군 군단에 숙소를 제공하였다. 파편 막사는 1960년대 말에 철거되었다(여왕 엘리자베스 병원이 현재 그 자리에 서 있다).[23]
병영 바로 북쪽에 리마운트 디포가 세워진 해인 1887년에 리마운트 디포가 세워졌다(이전에는 개별 기병 연대가 직접 말을 구입하고 훈련시키는 일을 담당했었다).[16] 이전에, 그 부대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작은 '왕립 포병 및 왕립 공병 재마운트 설치소'가 근처에 설치되었다; 새로운 창고는 포병과 공병대를 위한 말들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또한 주요 말 수송 기지를 가지고 있던 육군 군단을 위한 재마운트도 제공했다.열차) 일반의 반대편에 있는 코너트 막사의 울리치에서.[16]
제2차 보어전쟁에서 심각한 실패 후, 육군은 동물병원의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1903년에 조사 위원회는 울리치가 새로운 육군 수의대 부대로 지정된 두 개의 새 스테이션 수의병원(울리치 병원, 다른 하나는 알더쇼트 병원)을 설립할 것을 권고했다. 새로운 수의병원은 리마운트 디포였던 곳에 설치되었다. 리마운트 디포는 그 동안 옛 말 의무실로 옮겨졌다.[23] 울리치는 또한 육군 수의점의 주요 지정지로서, 1907년에 대규모 동원과 예비 상점이 건설되었다(로툰다 바로 남쪽).[24] RAVC 창고는 1939년까지 울리치에 남아 있었다.
주택 및 병원
1730년대에는 20채의 평범한 집들만이 공동체의 동쪽을 따라 서 있었다(1763년에는 약 30채의 집들 중 7채가 비어 있었다). 그러나 1780년대부터는 군 장교를 위한 큰 집들이 이 오두막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가장 큰 큐브 하우스 중 하나인 큐브 하우스는 1792년 왕립 육군사관학교 수학 교수인 찰스 허튼에 의해 지어졌다. 그는 투기적인 모험으로 남쪽 끝에 있는 한 소포의 땅을 샀고, 그 부지에 많은 큰 집을 지었다.[25] 1804–5년, 도로 바로 맞은편에 새로 지어진 왕립 사관학교가, 왕관은 허튼의 땅을 매입했고, 큐브 하우스는 생도들을 위한 병원으로 개조되었다(이후 RMA 총독을 수용하기 위해 재건되었다), 그리고 다른 몇몇 집들은 사관학교의 다른 고위 장교들에 의해 사용되도록 개조되었다. 공동의 이쪽에 있는 다른 웅장한 개발로는 빌라 벨몬트 플레이스(1840년 화재 후에 지어짐), 클라렌스 플레이스(1840년), 애들레이드 플레이스와 벨 부에를 비롯하여 퀸즈 테라스(1830년), 켐프 테라스(1832년/1850년) 등이 있다. 고든 장군은 1833년 울리치 커먼 29번지 커먼 테라스에서 태어났다. 1972년과 1975년 사이에 이 모든 것은 사회주택(울리치 커먼 에스테이트)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길고 쓰라린 보존 투쟁 끝에 철거되었다.[26]
다소 다른 종류의 주택은 19세기 초에 유부남 군인들에 의해 가족을 위해 지어졌던 '무드 오두막'의 긴 줄들이 서쪽에서 발견될 예정이었다; 이것들은 포병 훈련을 방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1812년에 위원회는 그들을 찰튼으로 가는 길 남쪽의 새로운 기혼 숙소로 대체했다. 그들은 were50쌍으로 앞뒤로 지은 싱글 룸 후에 요크 공작의 이름을 '코타지 공작'(그러나 여전히 동시대 사람들에 의해 '후츠'라고 비하하는 말을 가리킴)이라고 지었는데,[5] 그것들은 디프테리아가 발발한 후 1870년대 후반에 철거되었다.[27] 리마운트 디포는 그 사이트에 지어졌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1865년 로얄 허버트 병원, 1896년 브룩 피버 병원, 1909년 빅토리아 하우스(왕립군 의료단 시설 제공) 등 슈터 힐 로드 양쪽에 군·민간 병원과 관련 기관이 잇달아 세워졌다.9번, 1927년 울리치 전쟁 기념 병원. 1977년 왕립 허버트 병원은 퀸 엘리자베스 밀리터리 병원(이전에는 파편 막사가 서 있던 공동체의 남서쪽에 지어졌다)으로 대체되었고, 1995년에 문을 닫았다가 2006년에 (브룩 제너럴의 폐쇄에 따라) 민간 병원으로 재개원되었다.
대규모 이벤트
대규모 군사행사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었다. 일찍이 1788년, 조지 3세의 요청으로 공통으로 퍼레이드가 벌어졌다. 윌리엄 4세는 1830년 왕실 포병대와 왕실 공병대의 집결된 병력을 공통으로 점검한 뒤 5년 뒤 '관중의 거대한 집합체'[28]가 지켜보는 가운데 3000명의 병력이 집결해 다시 돌아왔다.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여러 다른 왕실 평론들이 일어났고, 외국의 고관들과 다른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군사 전시회가 열렸다. 1919년에는 베르사유 조약 체결을 기념하기 위해 공동체에 야외 예배가 열렸으며, 이듬해 공동체에 추모제에는 5만 명의 관중이 운집했다.[29] 이후 로열 포병 '앳홈(At Home)' 행사는 일반인들의 공통으로 이뤄졌으나 1970년대 IRA 테러 위협으로 중단됐다.[30]
후기 개발

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될 때 공통점은 전방으로 이동할 준비를 하는 자원부대의 임시 수용소, 포병열차의 집결 공간으로 활용되었다.[31]
1916년 신호 실험 기구는 공통으로 옮겨갔다(하하로드 바로 남쪽에 있는 오두막의 집합체에서 설립되었다). 이후 25세기에 걸쳐 시설이 확장되고 재건되었다가 1943년에 SEE가 도르셋으로 이전했다. 6년 후, 핵 무기 연구 기구가 이 부지를 인수했는데, 이 부지는 영국 최초의 핵무기의 부품을 개발, 시험, 제조하는 실험실이 되었다.[32] 1950년대 초반에 현장 인력은 155명에서 487명으로 빠르게 증가했고, 1964년에 그 시설이 폐쇄되었다. (그들의 생존 건물들은 킹스 부대 RHA가 도로를 가로지르는 그들의 새로운 막사에서 일반인에게로 나갈 수 있도록 2011년에 제거되었다.)[33]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그 지역은 군사 주둔과 공통의 대공 배터리의 존재 때문에 폭격을 받았다. 전쟁이 끝난 후, 20세기 후반까지, 이 공통점은 여전히 말 훈련, 사격 훈련, 그리고 다른 군사 활동에 사용되었지만,[34] 이 기간 동안 울리치 게리슨의 규모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1960년대에 군영지의 통폐합은 많은 철거를 겪었지만, 또한 건축(예: 공동체의 남쪽과 동쪽 가장자리에 새로운 기혼자 거주지)을 건설하였다.[35]
21세기 초까지 왕립 포병 막사에서 온 병사들이 공통으로 훈련하는 것을 여전히 가끔 볼 수 있었지만, 2012년 킹스 부대는 공통에 대한 말 포병 훈련이 재개되면서 네이피어 라인즈 부지에 있는 새로운 본부(왕 조지 6세 라인즈)로 이동했다.
2016년 국방부는 2028년까지 울리치에서 모든 군 병력을 철수시킬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2020년 네이피어 라인을 킹스 부대의 왕실 말 포병의 장기 보금자리로 유지할 목적으로 이 계획을 수정했다.[36][37]
자연과 여가
18세기 초 울위치 커먼(Woolwich Common) 이후,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Barrack Field(Barack Field)는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장교만 입학시킨 로열 포병 크리켓 클럽(Royal Farms Cricket Club)에 의해 처음에는 크리켓 필드로 사용되어 왔다.[38] 또한 19세기에는 울리치 커먼에서 경마가 열렸다. 이 공통점은 축구와 다른 스포츠에도 사용되었다. 1920년부터 1960년경까지 경기장은 공통적으로 존재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 바락 필드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했다. 런던 마라톤은 울리치 커먼을 통과한다.
요즘에도 여전히 스포츠용으로 쓰이는 배락필드를 제외하면 조깅과 개 산책에 주로 쓰인다. 9월에 울리치 커먼 펑페어(Woolwich Common Funfair)는 공통의 한 부분을 점유한다.
하하는 여전히 국방부 소유의 군사 부문인 바락 필드와 그리니치 런던 자치회가 감독하고 있는 나머지 공통 부문들을 구분하고 있다.[39]
문화유산
문화유산 건물, 북쪽 끝

로열 포병 막사(James Wyatt, 1776–1802)의 신고전파 파사드는 런던에서 가장 긴 파사드로, 공동의 북쪽 끝을 따라 뻗어 있다. 도로 건너편에는 1855년부터 1995년까지 주둔군 사령부의 숙소로 일반이 내려다보이는 유일한 대저택이 있다. 인근 세인트조지 근교 게리슨 교회 중에서는 1944년 폭격당한 뒤 포탄만 남아 있다. 신로마네스크 건축과 모자이크 잔재가 여전히 인상적이다. 평지의 북서쪽에 나피어 라인즈 막사(미상장), 그린힐 막사 및 사관학교, 로툰다 등이 자리 잡고 있다. 1814년 평화 기념행사가 열리는 동안 성 제임스 공원에서 전시공간으로 존 내쉬의 둥근 벽돌 건물은 "지난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 포병 모형,[40] 기타 군사적 호기심의 보존에 충당하기 위해" 1819년에서 1822년 사이에 다시 고쳐졌다. 2001년까지 왕립 포병 박물관을 수용했으며 현재는 인근 조지 6세 라인즈 막사에 있는 킹스 부대의 복싱 링 역할을 하고 있다.
유산 건물, 남쪽 끝
울위치 커먼의 남쪽 끝에 있는 왕립 사관학교는 북쪽 끝에 있는 왕립 포병 막사를 거의 반영하고 있다. 모크 튜더 스타일로 거의 똑같이 긴 파사드를 가지고 있으며, 건물의 가장 오래된 부분 또한 제임스 와이어트가 디자인했다. 이쪽에 살아남은 다른 군사 건물들은 모두 슈터 힐에 있는 로열 허버트 병원과 빅토리아 하우스다. 세 건물 모두 주거용으로 개조되었거나 현재 개조 중이다.
기념물
로열 포병 막사 퍼레이드장 남쪽 끝에 존 벨(1861년)의 크림 전쟁 기념관이 있다. 월계관을 나눠주는 한 여성의 청동상은 세바스토폴에서 포획된 러시아 대포에서 온전히 주조된 것이다. 공동의 동쪽, 울리치 신도로를 따라 오벨리스크 모양의 두 개의 기념비가 눈길을 끈다. 원래 식수대였던 소령 리틀 기념관은 1863년부터 시작되었다. 이 곳에는 19세기 말의 식수대가 딸려 있다. 제2차 보어 전쟁 기념관은 1902년경부터 시작되었다. 리포지토리 로드를 따라 여러 개의 역사적인 대포들이 전시되어 있지만, 2007년 로열 포병대가 울리치를 떠나면서 다른 대포들은 제거되었다.
참고 항목
참조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울리치 커먼과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
- Newsome, S, & A. Williams, Woolwich Common, Woolwich, Great London. 울리치 커먼과 그 주변환경의 평가 연구부 보고서 시리즈 #098-2009. 스윈던, 2009년 (온라인 텍스트)
- 세인트, A, & Guensor, P. (편집), 울리치 - 런던 조사, 48권, 예일 북스, 2012년 런던(온라인 텍스트)
- '울리치의 역사'에서: 이상적인 가정: 런던 남동부 교외의 역사. 그리니치 대학교, 2015년 (온라인 텍스트)
- ^ S.P.B. Mais(1939): L.C. 50년, 페이지 79 (일부 온라인 텍스트)
- ^ Newsome & Williams(2009년), 페이지 1.
- ^ "Woolwich Common and Royal Artillery Barracks". London Gardens Online. London Parks & Gardens Trust. Retrieved 14 November 2014.
- ^ "Woolwich ward population 2011". Neighbourhood Statistics.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Retrieved 14 October 2016.
- ^ Jump up to: a b Hewitt, J. (1870). "Old Woolwich". Minutes of Proceedings of the Royal Artillery Institution. VI: 273. Retrieved 24 August 2020.
- ^ Jump up to: a b 생&주조소(2012), 페이지 419.
- ^ Jump up to: a b Newsome & Williams(2009) 페이지 6.
- ^ 생&주조소 (2012), 페이지 328.
- ^ 생&주조소 (2012), 페이지 342-343.
- ^ 생&주조소 (2012), 페이지 350.
- ^ Jump up to: a b 생&주조소(2012), 페이지 420.
- ^ 1810년 3월 울리치에서 서드넌스 그라운드 및 인접 부품에 대한 계획 수립
- ^ Newsome & Williams(2009), 페이지 37-39.
- ^ Newsome & Williams(2009) 페이지 39.
- ^ Curson, H. H. (1936). Matters of Veterinary Interest, 1795-1881. South Africa: University of Pretoria.
- ^ Jump up to: a b c Winton, Graham (2013). Theirs Not To Reason Why': Horsing the British Army 1875-1925. Solihul, W. Midlands: Helion & Co. pp. 40–47.
- ^ Vincent, William Thomas (1885). Woolwich: Guide to the Royal Arsenal &c. London: Simpkin, Marshall & co. p. 69. Retrieved 6 August 2018.
- ^ "Woolwich: plans and section of Shrapnel Barracks". The National Archives. Retrieved 8 November 2017.
- ^ "Woolwich Barracks: Cavalry Depot, Shrapnel Barracks. Officers' mess and quarters. Record..." The National Archives. Retrieved 8 November 2017.
- ^ Baedekker, Karl (1905). London and its Environs. Leipzig: Karl Baedekker, Publisher. pp. 415–16.
- ^ Rinaldi, Richard (2008). Order of Battle of the British Army 1914. Tiger Lilly Books. p. 23. ISBN 0977607283.
- ^ Hughes, B. P. (1992). History of the Royal Regiment of Artillery: between the wars 1919-1939. Woolwich: Royal Artillery Institution. p. 45.
- ^ Jump up to: a b Newsome & Williams(2009) 페이지 10.
- ^ Winton, Graham (2013). Theirs Not To Reason Why': Horsing the British Army 1875-1925. Solihul, W. Midlands: Helion & Co. pp. 134–137.
- ^ 생&주조소(2012), 페이지 420-421.
- ^ 생&주조소(2012), 페이지 434-437.
- ^ 생&주조소 (2012), 페이지 439.
- ^ 더 타임즈, 1835년 7월 25일 뉴섬 & 윌리엄스(2009)에서 인용, 페이지 21
- ^ Newsome & Williams(2009년), 페이지 21-22.
- ^ 생&주조소 (2012), 페이지 441.
- ^ Newsome & Williams(2009) 페이지 11.
- ^ Newsome & Williams(2009년), 페이지 14-18.
- ^ 생&주조소 (2012), 페이지 442.
- ^ Newsome & Williams(2009) 페이지 9.
- ^ 생&주조소 (2012), 페이지 446.
- ^ "A Better Defence Estate" (PDF). Ministry of Defence. November 2016. Retrieved 8 November 2016.
- ^ MOD는 울리치 보병 양성소를 매각하고 킹스 부대는 잔류한다.
- ^ 생&주조소(2012), 343페이지.
- ^ Newsome & Williams(2009년), 페이지 3.
- ^ 생&주조소 (2012), 페이지 354-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