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어트 크리치

Wyatt Creech
와이어트 크리치
Wyatt Creech.jpg
뉴질랜드 제14대 부총리
재직중
1998년 8월 14일 – 1999년 12월 10일
수상제니 시플리
선행자윈스턴 피터스
성공자짐 앤더턴
제11대 국민당 부대표
재직중
1997년 12월 8일 – 2001년 2월 7일
리더제니 시플리
선행자돈 맥키넌
성공자빌 잉글리시
뉴질랜드 하원 의원
재직중
1988년 7월 12일 – 2002년 7월 27일
선거구 와이라파(1988-1999)
국민당 목록(1999-2000)
선행자레지 부먼
개인내역
태어난 (1946-10-13) 1946년 10월 13일 (75세)
오션사이드, 캘리포니아
정당내셔널
배우자다이애나 마리

와이어트 비탐 크리흐 CNZM PC(Wyatt Beetham Criech CNZM PC, 1946년 10월 13일 출생)는 미국에서 태어난 은퇴한 뉴질랜드 정치인이다. 1998년 8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제니 시플리 국민당 정부에서 뉴질랜드 제14대 부총리를 지냈다.

초년기

크리치는 미국 캘리포니아 오션사이드에서 태어났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온 그의 아버지(제스 와이어트 크리치)는 1939년 미 해병대에 입대했다. 1941년 12월 7일 진주만, 1942년 6월 미드웨이섬 전투, 1942년 8월 7일부터 1943년 초까지 과달카날 전역전투 등을 통해 활동한 제3방위대대에서 복무했다.

뉴질랜드 교포 출신인 그의 어머니는 제3방위대대가 과달카날 캠페인의 성공적 마무리에 따라 휴식과 회복을 위해 뉴질랜드의 마스터톤에 배치되자 아버지를 만났다. 크리크가 생후 몇 달이 되었을 때, 그 가족은 뉴질랜드로 돌아가 그의 아버지가 양과 소고기 농부가 된 와이라파에 정착했다. 크리크는 마스터톤에서 초등교육을, 왕가누이 대학에서는 왕가누이에서 중등교육을 받았다. 처음에 크리치는 매시 대학에서 농업 자격증을 따기 전에 그의 가족 농장에서 농사를 지었다.

그 코스의 수료 후, 크리치는 인도에서 영국까지 육로 드라이브를 포함하여 해외를 광범위하게 여행했다. (인도, 네팔,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이란, 터키, 그리스,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스위스, 프랑스도 통과).

추가 여행으로 그는 동유럽(러시아 포함)을 광범위하게 여행했다. 뉴질랜드로 돌아오면서 그는 웰링턴 빅토리아 대학에서 정치학과 국제정치학을 전공하는 학위를 받았다.[1] 학위를 마친 크리치는 이번에도 북미에 집중한 채 해외여행을 떠났다. 이후 와이라파로 돌아와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마르틴버러 지역의 포도주 재배 지역에 포도밭을 세웠다.[citation needed]

정치 입문

뉴질랜드 의회
몇 해 용어 유권자 리스트 파티
1988–1990 제42회 와이라파 내셔널
1990–1993 제43길 와이라파 내셔널
1993–1996 제44길 와이라파 내셔널
1996–1999 45일 와이라파 12 내셔널
1999–2002 46일 리스트 2 내셔널

1987년 선거에서 크리슈는 와이라파 의석을 놓고 국민당 경쟁을 벌였다. 선거 당일, 크리치는 잠정 투표 수에서 65표 차로 승리했고, 제1회 전국대회에 참석했다. 공식 개표(2주 후 완료)는 선거일 임시 개표 결과를 뒤집었고, 선거구는 현직 노동당 하원의원레그 부먼이 7표 차로 승리했다. Ross Meurant의 책에 따르면, Criech의 설명에 따르면, Criech는 선거법의 조항에 따른 청원서를 가지고 그 결과에 도전했다; 처음에는 당의 위계질서가 아니라 Roger McClayWinston Peters (Taupo와 Hunua에서 재검표하는 일에 관여했지만)의 지지를 받았다. 첫 단계인 '사법 재검표'에서는 부먼의 선두가 한 표로 줄어들었다.

그리고 나서 크리치는 두 가지 사항에 대해 완전한 선거 청원을 시작했다. 첫째, 선거에서 투표한 숫자가 여러 가지 이유로 와이라파 선거구에서 투표할 자격이 없다는 것(거주규칙에 따른 자격 미달 포함), 둘째, 보먼이 후보별 선거비용에 제한을 두는 법률을 위반했다는 점이다. 부먼은 역도전에 나서 여러 가지 이유로 다수의 표에 도전하기도 했다. 모두 200여 표는 선거법원에서 심사한 것이다. 그 과정은 완료하는데 11개월이 걸렸다. 1988년 7월 12일, 선거법원은 와이라파 선거 청원 판결에서 크리크가 두 가지 계수 모두 찬성하는 것을 발견했고, 그는 34표(9994표~9960표)의 과반수로 즉시 그의 자리에 앉았다.[2] 와이라파 하원의원으로서의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그의 다수는 이 근소한 초반 승리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내각 장관

1990년 선거에서 국민당이 승리했을 때, 크리치는 제4대 국가 정부 내각에 가장 후배가 많은 내각으로 임명되었다. 처음에 그의 두 가지 주요 역할은 세입부 장관과 세관부 장관이었다. 국가(그리고 1996년 선거 이후)의 3개 임기에 걸쳐 그는 교육부 장관, 보건부 장관, 국영기업부 장관, 법원 장관, 고용부 장관, 재무부 차관 등 다수의 다른 내각 포트폴리오를 보유했다.

크라이흐는 퇴직연금 협정과 고용협정을 발전시킨 하원의원들 간의 당협위원장직을 맡았다. 크리치는 짐 볼거 수상을 상대로 1997년 12월 제니 시플리의 파티룸 쿠데타를 지지했고, 크리크는 1997년 12월 8일 국민당의 부대표가 되었다.[3]

부총리

1998년 8월, 국민당과 뉴질랜드 제일주의 연대가 결렬되어 뉴질랜드 제일주의 윈스턴 피터스가 부총리로 해임되었다. 쉬플리는 그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크리크를 임명했다.[4] 그러나 불과 1년 후 시플리 정부는 노동당에 크게 패했다. 크리슈는 이번 선거에 앞서 와이라파 유권자를 국민당 후보로 낙점해 리스트 하원의원이 됐다.반대에 부닥쳐 선거 직전에 추밀원 의원으로 임명되었다.[5]

크리슈는 2001년 2월까지 당의 부대표직을 유지했고, 그 때 그는 사임했다. 는 빌 잉글리쉬로 대체되었다. 크리치는 2002년 선거에서 재선을 지지하지 않았다.

포스트 정치 경력

크리치는 정계 은퇴에 이어 와이카토 마타마타 인근에 위치한 오픈컨트리치즈컴퍼니(Open Country Chize Company)를 설립해 낙농산업 규제 완화에 따른 기회를 활용한 소그룹을 이끌었다. 이것은 이제 와하로아(마타마타 인근), 와이카토, 아와루아(인버카길 인근), 왕아누이 등에 분유와 치즈 생산 시설을 모두 갖춘 오픈 컨트리 유제품 주식회사로 성장했다. 원조 치즈 회사는 2001년 11월 28일(낙농산업구조조정법 2001이 로열 어센트를 받은 날)에 설립되었다. 제조는 2004년 10월에 시작되었다.[6]

그는 2008년에 이 회사의 이사회에서 물러났다. 2007년 크리흐와 그의 동료들은 상품 제조 사업인 오픈 컨트리(Open Country)의 오프슈트로 출범하였고, 새로운 전문 치즈 생산은 카이마이 치즈(현지 산맥의 이름을 딴 이름)에 초점을 맞추고 회장직을 역임했다.[7]

그는 2013년 새 생산자에게 자산이 매각됐을 때 이 회사의 이사회에서 물러났다. 2009년에 그는 NZ 윈드팜즈 이사회에 가입했다.[8] 2013년 12월 이사직에서 물러나는 것. 크리치는 뉴질랜드의 교육 연구를 지원하는 신탁사인 와이카토 소재 주식사료 제조회사인 Ceales Limited의 이사회에서도 2년간 재직했다. 그리고 나서 그는 헬스케어 홀딩스 유한회사 이사회에 가입했다.[citation needed]

2009년 9월 크리치는 뉴질랜드 소방위원회에 부의장으로 가입했다. 2014년 중반 현재 그는 뉴질랜드 소방위원회 위원장 및 헤리티지 뉴질랜드 푸에르 타옹가(뉴질랜드 역사적 장소 신탁의 교체 왕관 법인)와 헬스케어 홀딩스 유한회사 부대표를 맡고 있다.[citation needed]

2009~2010년, 크리치는 환경부장관과 지방자치단체장관으로부터 환경캔터베리 성과에 대한 검토를 총괄하도록 위임받았다.[9] 그들의 보고서는 그 기관의 성과와 능력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으며, 권고안은 논란이 있었지만, 정부에 의해 완전히 이행되었다.[10]

크리치는 2001년 총선에서 솔로몬 제도 국제선거감시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2010년 8월 솔로몬 제도에서 열린 총선거에서도 뉴질랜드 선거 옵서버팀을 이끌었다. 그는 또한 2013년 포클랜드 제도 주민투표의 국제선거감시단에서도 활동했다.[citation needed]

크리치는 2004년 12월부터 2006년 6월까지 투자부동산회사 블루칩의 이사로 재직했다. 그는 2006년 6월에 사임했다. 이 회사는 2008년 11월에 실패하였다. 전 감독으로선 투자자에 대한 배임 혐의를 받는 두 소송(2012년)에 크리치와 존 룩스턴(2006년 10월 사임)이 포함됐다.[11] 이 주장과 관련한 법정 내 소송절차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2014년 전 이사들에 대한 모든 법적 청구는 포기되었다.[citation needed]

2014년 크리스 핀레이슨 문화유산부 장관으로부터 뉴질랜드 푸에르 타옹가 이사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12]

명예 및 상

1990년에 크리치는 뉴질랜드 1990 기념 메달을 받았다.[13] 2003년 새해 영예로운 그는 국회의원으로서 봉사활동으로 뉴질랜드 공로훈장 동행자로 임명되었다.[14]

참조

  1. ^ "Government biography". Executive.govt.nz. Retrieved 19 March 2017.
  2. ^ 뮤란트, 로스비트 투 더 비라이브 (1989, 할렌 북스, 오클랜드) ISBN 978-0-908757-05-3 페이지 181–198
  3. ^ "PM announces appointments to APEC council". Executive.govt.nz. Retrieved 19 March 2017.
  4. ^ "장관 임명" (1998년 8월 27일) 131 The New Zealand Gazette 3189 at 3190.
  5. ^ "The Privy Council". dpmc.govt.nz. Department of Prime Minister and Cabinet. Retrieved 2 March 2021.
  6. ^ "Open Country Cheese Company » News & Investor Information » The Board of Directors". 23 Septem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06.{{cite web}}: CS1 maint : bot : 원본 URL 상태 미상(링크)
  7. ^ Malcolm Burgess (29 April 2007). "Big cheese sees bright future for dairy". The New Zealand Herald. Retrieved 11 September 2011.
  8. ^ "Creech to join NZ Windfarms board". The Press. 20 April 2009. Retrieved 11 September 2011.
  9. ^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Environment Canterbury under the Resource Management Act & Local Government Act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Mfe.govt.nz. Retrieved 19 March 2017.
  10. ^ "Environment Canterbury faces the axe". The Press. 20 February 2010.
  11. ^ "Blue Chip investors seeking justice". The Sunday Star-Times. 29 January 2012. Retrieved 3 June 2017.
  12. ^ "Heritage New Zealand Pouhere Taonga Board members appointed". Mch.govt.nz. Retrieved 19 March 2017.
  13. ^ Taylor, Alister; Coddington, Deborah (1994). Honoured by the Queen – New Zealand. Auckland: New Zealand Who's Who Aotearoa. p. 111. ISBN 0-908578-34-2.
  14. ^ "New Year honours list 2003". Department of the Prime Minister and Cabinet. 31 December 2002. Retrieved 20 July 2019.
뉴질랜드 의회
선행자 와이라파 의원
1988–1999
성공자
정치국
선행자 교육부 장관
1996–1999
성공자
선행자 뉴질랜드 부총리
1998–1999
성공자
선행자 보건부 장관
1999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