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저우 방언

Xuzhou dialect
쉬저우 방언
徐州話
네이티브:중국
지역장쑤성 쉬저우시
언어 코드
ISO 639-3
글로톨로지없음

쉬저우 방언(간체 중국어: 徐州话; 전통 중국어: 徐州話; 핀인: 슈쇼우후아)은 중국 장쑤쉬저우 시에서 사용하는 만다린 방언이다.

장쑤성에는 두 가지 기본 사투리 유형이 있는데, 남쪽 사투리는 우성 사투리와 북쪽 사투리의 영향을 받았다. 대략 창저우에서 단양까지 이어지는 지역에서 시작하여 사용되는 방언의 변화가 있다. 양저우 북쪽에서부터 사투리가 북장쑤 방언의 본질적 형태를 띠기 시작한다. 쉬저우 방언은 장쑤성 북쪽 방언과 산둥 방언이 만나는 지점이다.

쉬저우 방언도 수나라산시성에서 쉬저우로 이주해 온 이주민들이 사투리를 수입한 산시성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쉬저우 시의 후원을 받는 지역인 페이시안의 방언은 산시성 출신 이주자 대다수가 목적지였다. 산시 영향의 결과를 보여주는 쉬저우와 페이시안의 방언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쉬저우 방언은 표준 만다린어에 비해 / initials/와 /w̃/라는 두 개의 추가 이니셜이 있다. /t͡ʃ/가 부족하고 "원형 샤프"의 구별이 사라지는 것도 그 특성이다.[1]

쉬저우 방언은 독특한 용어의 풍부한 어휘를 주장하고 있으며, 표준 만다린어와 중요한 톤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시에서 흔히 쓰이는 쉬저우 방언의 형태는 흔히 (普(수퍼, 쉬저우 만다린)으로 일컬어지며, 현지 방언에 지배적인 만다린의 영향을 반영한다. 그러나 표준 중국어의 톤급 문자와 쉬저우 방언 사이에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두 학자 리셴과 수샤오칭은 음색 윤곽의 데이터가 다르다.[2][3]

톤즈 píng 3上shǎng 4去
1阴yīn 2阳yáng
쉬저우(리씨 자료) ˨˩˧ (213) ˦˥ (45) ˧˥ (35) ˦˨ (42)
쉬저우 (수씨의 자료) ˨˩˧ (213) ˥ (55) ˨˦ (24) ˥˩ (51)
뤄양 시 ˧˦ (34) ˦˨ (42) ˥˦ (54) ˧˩ (31)
베이징 ˥ (55) ˧˥ (35) ˨˩˦ (214) ˥˩ (51)


참조

  1. ^ ""Jiangsu Provincial Chorographies: Dialects Chorography" (in Chinese)" (PDF).
  2. ^ "Dialect Chorography of Xuzhou" (in Chinese). 1985: Beijing:Language&Culture Press.CS1 maint: 위치(링크)
  3. ^ Xuzhou Dialect Dictionary. Nanjing:Jiangsu Education Press.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