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야스이 대 미국 사건

Yasui v. United States
야스이 대 미국 사건
1943년 5월 10일-11일 논쟁
1943년 6월 21일 결정
전체 케이스 이름미노루 야스이 대 미국 사건
인용구 320 U.S.115 (이상)
63 S. Ct. 1392, 87 L. Ed. 1793, 1943 미국 LEXIS 461
사례 이력
이전 미국 대 미노루 야스이 사건, 48 F. Supp.40 (D) 또는. 1942)
제9회 회선상소법원서 증서
후속미국 대 미노루 야스이 사건, 51 F. Supp. 234 (D. 또는 1943년
홀딩
법원은 시민들에 대한 야간 통행금지 적용이 합헌이라고 주장했다.
법원회원권
대법원장
할란 F.
준법률관
오언 로버츠 · 휴고 블랙
스탠리 F.리드 · 펠릭스 프랑크푸르터
윌리엄 O.더글러스 · 프랭크 머피
로버트 H. 잭슨 · 와일리 B.러트리지
사례의견
다수스톤, 만장일치로 합류
적용되는 법률
18 U.S.C.A 97a
행정 명령 9066
미국 콘스탄트

야스이 대 미국 사건, 320 U.S. 115 (1943년)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시민들에게 적용되었을 때 사용된 야간 통행금지법의 합헌성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사건이었다.[1]이 사건은 미군이 미국 서부 해안에 배타구역을 조성하기 위한 행정명령 9066을 이행하면서 발생했는데, 그 곳에서 일본계 미국인들은 통행금지령을 받고 결국 이전 센터로 옮겨졌다.대통령의 명령은 미국을 제2차 세계대전에 끌어들인 진주만 공격에 이은 것이며 미국의 기존 반일 감정을 자극했다.

이들의 결정에서 대법원은 시민에 대한 야간 통행금지 적용은 합헌이라고 판결했다.1943년 6월 21일, 두 사람 모두 미국 출신의 히라바야시조의 사건으로서, 법원은 미국 태생인 미노루 야스이의 유죄를 단언했다.법원은 하급심 재판부가 통행금지가 시민들에게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했지만 야스이는 일본 영사관에서 근무하면서 시민권을 박탈당했다며 지방법원으로 사건을 돌려보냈다.야스이히라바야시의 결정, 후기파르테 엔도, 코레마츠 대전과 함께. 미국의 결정은 전쟁 중 야간 통행금지 재배치의 합법성을 결정했다.1980년대에는 야스이의 유죄판결을 파기하기 위해 새로운 정보가 사용되었다.

배경

1939년 9월 1일 나치 독일이 이웃 폴란드를 침공하여 제2차 세계대전을 시작하였다.2년간의 전투중립 끝에 미국은 1941년 12월 7일 일본진주만 공격 이후 적극적인 참가국으로서 전쟁에 말려들었다.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즈벨트는 1942년 2월 19일 행정명령 9066호를 발표함으로써 일본계 미국인들로 구성된 다섯 번째 칼럼의 공포에 대응했다.[2]행정명령은 군에게 배타구역을 만들도록 허가했고, 그 구역은 주로 서해안에서 내륙의 수용소로 일본 문화유산을 이전하는 데 사용되었다.1942년 3월 23일, 서부방위사령부 사령관 존 L. 드위트 장군은 오후 8시부터 오전 6시까지 통행금지를 포함한 외계인과 일본계 미국인들에 대한 제한을 두었다.[3][4]

미노루 야스이는 1916년 오리건 후드 리버에서 태어나 1933년 고등학교를 졸업했다.[5] 후 그는 1937년에 오리건 대학교를 졸업했고, 1939년에는 그 대학의 로스쿨을 졸업했다.[5]이후 미군 예비역인 야스이는 1940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있는 일본 영사관에서 근무하기 시작해 1941년 12월 8일까지 그곳에 남아 있다가 사임하고 후드 강으로 돌아왔다.[6][5]1942년 3월 28일, 그는 통행금지의 합헌성을 시험하기 위해 오레곤주 포틀랜드에서 일부러 시내를 돌아다니고 오후 11시 이후 경찰서에 출두하는 등 군대의 통행금지를 어겼다.[4][7]

1942년 6월 12일, 미국 오레곤 지방 법원의 제임스 알제리 수수료 판사가 야수이의 무배상 재판을 주재하기 시작했는데, 이 사건은 법정 출두를 위한 통행금지에 이의를 제기하는 첫 번째 사건이다.[7]재판은 포틀랜드의 연방법원에서 열렸다.[8]1942년 11월 16일 발표된 그의 판결에서, 정부는 계엄령을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통행금지는 외국인들에게만 적용될 수 있다고 결정했다.[8][9]그러나, 그는 또한 야스이가 일본 정부를 위해 일했기 때문에 시민권을 박탈당했다고 판결하여, 통행금지가 그에게 적용되었다.[6][7][9]프루즈는 야스이에게 멀티노마 카운티 감옥에서 복역한 징역 1년과 벌금 5,000달러를 선고했다.[10]헌법과 전권력 문제가 담긴 연방법원의 이번 결정은 전국적으로 뉴스가 되었다.[11]

야스이는 이어 미국 제9 순회 항소법원에 자신의 유죄를 항소했다.[10]이 사건의 변론이 제기된 후, 법원은 미국 대법원에 두 개의 질문을 승인했다.[10]그 후 대법원은 제9 순회재판소의 추가 검토에서 사건을 배제하고 사건 전체를 그 법원이 결정할 것을 명령했다.[10]

결정

일본계 미국인에 대한 제외 명령 포스터

대법원은 1943년 5월 10일과 5월 11일 찰스 파히가 법무장관으로 미국을 위해 소송을 제기한 사건에서 변론을 들었다.[1]민씨의 변호인단에는 포틀랜드 출신의 E. F.버나드, 로스앤젤레스의 A. L. 위린이 포함됐다.[1]1943년 6월 21일, 법원은 히라바야시 대 미국 사건과 함께 이 사건의 판결을 내렸다.[1]

스톤 대법원장히라바야시를 인용하여, 법원의 의견을 썼으며, 미국 시민들에게 적용되는 것과 같이 통행금지령과 배제의 명령이 유효하다고 판단했다.[1]스톤의 의견은 3페이지로, 의견의 일치나 반대가 전혀 없는 반면, 히라바야시 결정은 34페이지에 2개의 의견이 일치했다.[1]야스이에서 법원은 경범죄에 대한 유죄를 확인했으나 하급법원이 통행금지가 유효하지 않으며 야스이가 시민권을 박탈당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재심을 명령했다.[1]대법원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형을 [1][7][12]정하기 위해 사건을 지방법원으로 돌려보냈다

여파

일단 이 사건이 페이 판사에게 돌아가자, 그는 야스이가 더 이상 미국 시민이 아니라는 판결을 없애기 위해 이전의 의견을 수정했다.[12]수수료도 벌금형을 없애고 형량을 15일로 줄여 이미 복역한 상태다.[13]야스이는 석방되어 일본 수용소로 옮겨졌다.[14]

코레마츠 대 사건 미국은 다음해에 결정되어 야스이히라바야시 사건 모두에 그늘을 드리웠다.그 결정들은 전쟁이 끝나기도 전에 법률학자들의 심문을 받았다.[15]비판에는 이 사건들의 인종차별적 측면과 나중에 미국 법무부 관리들이 재판 당시 법원에 거짓말을 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

1983년 2월 1일, 야스이는 법무부에서 공포한 허위사실이 발견되어 오리건 연방지방법원에 오류 코람 노비스 영장을 청원했다.[13][17]이 영장은 이미 수감생활을 마친 사람에게만 사용 가능하며, 이 사건에서 발생한 사실상의 오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데에만 사용할 수 있다.[17]야스이 장관은 영장에서 일본 본토 공격 위협과 관련해 정부가 원심에서 증거를 원천봉쇄했다고 주장했다.[13]법원은 야스이에 대한 기소와 유죄 판결 원심과 함께 정부의 요청에 따른 영장 청구를 기각했다.[13]이어 야스이 의원은 헌법소원 기각 결정에 항소했으나 제9 순회상고법원은 절차상 이유로 항소를 기각했다.[13]그러나 제9서킷은 결국 히라바야시의 유죄판결을 무효로 했고, 따라서 야수이 역시 묵시적으로 정당성을 입증했다.2011년 미국 법무장관실은 대법원에서 1943년 법무부의 윤리적 과실을 공개적으로 자백했다.[18]미노루 야스이는 1986년 11월 12일에 사망하였다.[5]

군 통금 및 배제 명령 위반에 대한 유죄판결을 무효화하기 위한 하급 연방법원의 노력에 있어 프레드 코레마츠, 고든 히라바야시, 미노루 야스이 변호사를 대리했던 변호사들은 2014년 1월 13일자 서한을 도널드 베릴리 주니어 법무장관에게 보냈다.[19]변호사들은 헤지스 오바마 미국 대통령 사건 이전 항소 절차에 비춰볼 때 베릴리 대통령에게 코레마츠(1943년), 히라바야시(1943년), 야스이(1943년) 대법원의 판결에 대해 대법원에 재결정을 요청할 것을 요청했다.법무장관이 요청을 하지 않을 경우, 변호사들은 연방정부가 연방정부에 "합법적인 절차 없이 개인이나 집단을 정부 또는 군사적으로 구금할 수 있는 유효한 선례로 간주하지 않는다[...][20]는 것을 명확히 해 줄 것을 요청했다.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야스이 미국, 320 U.S. 115 (1943년)
  2. ^ "Transcript of Executive Order 9066: Resulting in the Relocation of Japanese (1942)". Our Documen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5-20. Retrieved 2007-11-19.
  3. ^ "New Curfew for Japanese Starts Friday". Oakland Tribune. March 24, 1942. p. 1.
  4. ^ a b "Chronology of World War II Incarceration". Japanese American National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9-27. Retrieved 2007-11-19.
  5. ^ a b c d "Japanese American Internment Curriculum: Minoru Yasui".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1-26. Retrieved 2007-11-19.
  6. ^ a b Daniels, Roger (2004). "The Japanese American Cases, 1942-2004: A Social History". Law & Contemporary Problems. 68: 15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7-12. Retrieved 2007-11-19.
  7. ^ a b c d Irons, Peter H. (1983). Justice At Wa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3273-X.
  8. ^ a b Tateishi, John (1984). And Justice for all: An Oral History of the Japanese American Detention Camps. New York: Random House. pp. 78–80. ISBN 0-394-53982-6.
  9. ^ a b United States v. Yasui, 48 F. Supp. 40, 44 (D. 또는 1942년).
  10. ^ a b c d 야스이 미국, 1943년 WL 54783, 미국 연방대법원1943년 4월 30일 항소심 브리핑.
  11. ^ "Medal for Moving". Time. November 30, 19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4, 2010. Retrieved November 19, 2007.
  12. ^ a b 미국 대 미노루 야스이 사건 2007년 11월 26일 웨이백 머신보관했다.234, D.광석(1943)
  13. ^ a b c d e 야스이 대 미국, 772 F.2d 1496 (C.A. 9)
  14. ^ Kessler, Lauren (2006). Stubborn Twig. Seattle: Oregon Historical Society Press. pp. 171–197. ISBN 0-87595-296-8.
  15. ^ Rostow, Eugene V. (1945). "The Japanese American Cases—A Disaster". Yale Law Journal. The Yale Law Journal, Vol. 54, No. 3. 54 (3): 489–533. doi:10.2307/792783. JSTOR 79278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1-26. Retrieved 2021-02-03.
  16. ^ Russell, Margaret M. (2003). "Cleansing Moments and Retrospective Justice". Michigan Law Review. Michigan Law Review, Vol. 101, No. 5. 101 (5): 1225–1268 [p. 1249]. doi:10.2307/3595375. JSTOR 359537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8-24. Retrieved 2021-02-03.
  17. ^ a b Kim, Hyung-chan (1992). Asian Americans and the Supreme Court: A Documentary History. Documentary reference collections. New York: Greenwood Press. pp. 778. ISBN 0-313-27234-4.
  18. ^ Savage, David G. (May 24, 2011), "U.S. official cites misconduct in Japanese American internment cases", The Los Angeles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9, 2011, retrieved February 3, 2021
  19. ^ Dale Minami, Lorraine Bannai, Donald Tomaki, Peter Irons, Eric Yamamoto, Leigh Ann Miyasato, Pegy Nagae, Rod Kawakami, Karen Kai, Kathryn A. Bannai and Robert Rusky (13 January 2014). "Re: Hedges v. Obama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Docket No. 17- 758" (PDF). SCOUSblog.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9 April 2014. Retrieved 29 April 2014.{{cite web}}: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20. ^ Denniston, Lyle (16 January 2014). "A plea to cast aside Korematsu". SCOTUSblo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March 2014. Retrieved 29 April 201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