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Yokohama DeNA BayStars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Yokohamabaystarslogo.png Yokohama DeNA BayStars insignia.png
팀 로고 캡 휘장
정보
리그일본 프로 야구
센트럴 리그 (1950년 ~ 현재)
위치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나카구
야구장요코하마 스타디움
창립년도1949
센트럴 리그2 (198년, 1998년)
일본 시리즈 챔피언십2 (198년, 1998년)
이전 이름
  • 요코하마 베이스타스(1993년 ~ 2011년)
  •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즈(1978~1992년)
  • 타이요 고래(1955년 ~ 1977년)
  • 요쇼 로빈스(1954년)
  • 다이요쇼치쿠 로빈스(1953)
  • 타이요 고래(1950~1952)
구 구장
색상파란색, 흰색
마스코트DB.Starman 및 DB.키라라
플레이오프 출전권3 (2016, 2017, 2019)
소유권난바 도모코
관리DeNA 주식회사
부장님미우라 다이스케
유니폼
Yokohama DeNA BayStars uniform.png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요코하마 DeNA BayStars)는 일본 센트럴 리그에 소속된 프로 야구 팀이다.홈구장은 요코하마 중심부에 위치한 요코하마 스타디움이다.이 팀은 1950년 프로팀이 된 이후 여러 이름으로 알려져 왔다.2011년 소프트웨어 회사인 DeNA에 인수되면서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마이너리그 팀은 모팀과 같은 이름과 유니폼을 입고 동부리그에서 뛴다.마이너리그 홈구장은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에 있는 요코스카 스타디움이다.

역사

기원(1930년대~1949년

이 팀은 현재 마루하 주식회사(현 마루하 니치로)에 소속된 아마추어 팀인 타이요 피싱 컴퍼니로 출발했다.1930년대부터 전국대회에 출전하기 시작해 1948년 전국체전에서 우승하며 국가적인 인정을 받았다.1949년 비수기에는 일본 프로야구가 크게 확대되면서 타이요 아마추어 팀에서 많은 선수가 영입됐다.타이요사의 사장은 1950년에 설립된 새롭게 확대된 센트럴 리그에 참가하기로 결정했다.그 팀의 첫 프로 화신은 마루하 팀이었다.프랜차이즈는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를 거점으로 하고 있었다.

타이요 고래(1950~1952)

1950년 시즌 시작 직후 팀명이 타이요 고래즈( hoe ( tai tai, 타이요 회에루즈)로 바뀌었다.웨일스는 선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요미우리 자이언츠로부터 베테랑 선수들을 몇 명 영입했지만, 매년 하위권에 머물렀다.

1951년, 심각한 재정난을 겪었던 히로시마 카프와의 합병에 관한 이야기가 있었지만, 히로시마 시민들의 대규모 항의로 합병은 일어나지 않았다.

다이요쇼치쿠 로빈스(1953년), 요쇼 로빈스(1954년)

1952년, 3할 이하의 승률로 시즌을 마감하는 팀들은 해체되거나 다른 팀들과 합병하기로 결정되었다.The Shochiku Robins fell into this category, and were merged with the Taiyo Whales to become the Taiyō-Shochiku Robins (大洋松竹ロビンス, Taiyō Shōchiku Robinsu) in January, 1953.그러나 1953년 시즌에 맞춰 팀 재편이 완료되지 않아 팀은 결국 시모노세키교토 양쪽에 사무실을 계속하게 되었다.Home games took place in Osaka for geographical reasons, and the team's finances were managed by both the Taiyo and Shochiku companies until the franchise was officially transferred to Osaka in 1954 to become the Yō-Shō Robins (洋松ロビンス, Yō-Shō Robinsu).

쇼치쿠 로빈스는 합병되기 전인 1950년 센트럴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타이요 고래(1955년 ~ 1977년)

쇼치쿠는 1954년 12월에 지원을 중단하고, 팀명은 타이요웨일즈로 돌아왔다.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로 연고지를 옮겨 전용 홈구장(가와사키구장)을 얻었지만 1954~1959년 6년 연속 꼴찌를 기록했다.

1960년, 팀은 전년도 니시테쓰 라이온스의 감독이었던 미하라 오사무 선수를 영입했다.미하라 선수는 1960년에 팀을 첫 페넌트로 이끌었고, 일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퍼시픽 리그 우승을 휩쓸었다.그 팀은 작년에 꼴찌였다.

하지만, 이 성공은 오래가지 못했고, 그 팀은 1961년에 다시 꼴찌로 떨어졌다.고래는 1962년에 복귀했지만 한신 타이거스에 4게임 뒤져 2위에 그쳤다.그들은 1964년 타이거즈에게 리그 우승을 다시 빼앗겼다. 단 한 경기 차이로 1위를 차지했다.

이 팀은 1970년대 동안 수많은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지만, 시즌을 500점 이상으로 끝내지는 못했다.작은 가와사키 스타디움은 고래를 일본 야구 역사상 가장 공격적인 팀 중 하나로 만들었지만, 투수진의 약화와 재정적인 지원 부족으로 인해 팀은 심각한 경쟁에서 벗어났다.

1976년까지 팀은 가와사키에서 요코하마로 이적을 계획하고 있었고 요코하마 시장의 지원으로 고쿠도 주식회사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팀 점유율의 55%는 타이요가, 나머지 45%는 코쿠도에 돌아갔다.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즈(1978~1992년)

1978년 팀은 요코하마 중심부에 새로 완공된 요코하마 스타디움으로 이전했다.The team name was changed to the Yokohama Taiyō Whales (横浜大洋ホエールズ, Yokohama Taiyō Hoeeruzu) to reflect the team's new home town.코쿠도는 팀 지분을 일본 방송TBS에 매각했다.일본방송이 30%의 지분을 취득해, TBS가 15%를 사들였고, 타이요는 55%를 유지했다.이 기간 동안 팀은 예년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인기를 누렸지만,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밀려 2위를 한 1979년은 최고의 성적을 거두는 등, 순위에서는 미미한 성적을 계속 올리고 있다.

요코하마 베이스타스(1993년 ~ 2011년)

In November, 1992, Taiyo changed its name to the Maruha Corporation, and renamed the team as the Yokohama BayStars (横浜ベイスターズ, Yokohama Beisutāzu).베이스타스는 모회사 이름을 팀 이름에 포함하지 않은 최초의 일본 프로야구 팀이었다.

원래, 그 팀은 단순히 요코하마 고래로 이름이 바뀔 예정이었지만, 일본에서 고래잡이에 대한 새로운 규제로 인해 그 회사는 원래의 이름을 포기하게 되었다.일부 미신 팬들은 죽은 고래가 에 저주를 걸어 고래가 우승하는 것을 방해한다고 믿었다.미야자와 기이치(宮澤 remarked一) 일본 총리는 미국 방문에서 당시 빌 클린턴(포경 국제 제한) 대통령에게 마루하사의 결정은 일본의 고래잡이에 대한 태도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스타스는 1990년대 초 비콘텐더로 남아있었지만 1998년 팀의 우승에 기여할 선수들을 점차 모았다.오야 아키히코는 1996년에 감독이 되어, 1997년에 야쿠르트 스왈로스를 거의 따라잡아 2위로 끝났다.1998년 곤도 히로시(전년도 투수 코치)가 감독이 됐고, 1998년 베이스타스가 세이부 라이온스를 꺾고 38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팀의 일관된 타격과 나무랄 데 없는 수비(1998년 베이스타스 출신 선수 5명)와 탄탄한 투수진(마지막 투수 사사키 가즈히로)이 1998년 대작의 시즌을 장식했다.98년 시즌 베이스타스의 공격은 요코하마 타자의 안타(대부분 1루타)가 빠르게 연속되어 최종 아웃이 기록될 때까지 경기가 종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머신 건 공격」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999년 일본 최고의 공격력과 타율 0.294의 리그 최고 기록에도 불구하고 3위로 떨어졌고 이후로는 우승 경쟁을 벌이지 않고 있다.2001년, 마루하 주식회사는 나머지 지분을 TBS에 매각해, TBS에 팀의 전권을 넘겼다.오야 아키히코 선수는 1997년에 팀을 떠난 후 2007년에 복귀했다.2009년에는 강타자 무라타 슈이치, 타격왕 우치카와 세이이치 등 젊은 스타를 몇 명 영입하고 미우라 다이스케의 피칭과 외국인 스타 라이언 글린의 계약에도 불구하고 리그 최하위를 기록했다.

2009년 5월 18일, 베이스타스의 경영진은 오야를 해고하고 타시로 토미오를 감독 대행으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12년 ~ 현재)

2011년, 이 프랜차이즈는 휴대 전화 게임 회사 DeNA에 인수되었습니다.이를 반영하여 이름이 바뀌었고, 그들은 그들의 마스코트를 Hosshey에서 새로운 유니폼을 입은 Starman으로 바꿨다.

2015년 10월, 전 베이스타스 선수이자 일본 야구에서 2000안타를 기록한 유일한 외국인 선수인 알렉스 라미레즈가 2016년 시즌 감독으로 지명되었다.그는 2015년 말 구단의 [1]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한 나카하타 기요시 감독을 대신했다.2016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는 리그 선두 히로시마 도요 카프(89-52-3)에 19.5게임 뒤진 3위(69-71-3)로 정규 시즌을 마쳤다.2위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클라이맥스 시리즈 1단계에서 2승 1패로 꺾고 베이스타스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결승에 진출했지만 5경기 만에 카프에 패했다.

2017년, 베이스타스는 리그 선두 히로시마 도요 카프(88승 51승 4패)에 이어 다시 3위(73승 65패)로 정규 시즌을 마쳤다.그들의 .252의 팀 타율과 134개의 홈런은 둘 다 센트럴 리그에서 두 번째로 최고였다.클라이맥스 시리즈 1라운드에서 베이스타스는 2위 한신 타이거스를 3경기에서 꺾고 클라이맥스 시리즈 결승에 진출했다.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첫 경기에서 패했지만, 베이스타스는 이후 4승을 거두어 19년 만에 2017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챔피언이 되었다.호세 로페스는 센트럴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우수선수(MVP)였다.베이스타스는 퍼시픽 리그 챔피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2]호크스를 상대로 2017년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다.호크스는 시리즈의 첫 세 경기를 이겼다.탈락 위기에 처한 베이스타스는 4차전과 5차전을 이겼다.6차전 홈에서 베이스타스가 3-2로 앞선 가운데 호크스의 우치카와 세이이치는 베이스타스의 마무리 투수 야마사키 야스아키에게 동점 솔로 홈런을 쳤다.가와시마 게이조는 11회에 소프트뱅크의 끝내기 타점 안타를 쳐 우승을 차지했다.호크스의 투수 데니스 사르페이트가 2세이브와 6차전 승리를 거두며 일본시리즈 최우수선수(MVP)에 뽑혔다.미야자키 토시로 선수가 패자 팀 최우수 선수에게 주어지는 투혼상을 수상했다.그것은 팀에 있어서 최초의 일본 시리즈 패전이었다.

시즌별 기록

연도 팀명 장소 부장님
1950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와타나베 타이리쿠(渡葉 ()
1951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나카지마 하루야스(中島u)
아리마 기이치(有島ichi一)
1952 타이요웨일스 넷째 코니시 도쿠로(小西uro)
1953 다이요쇼치쿠 로빈스 다섯 번째
1954 요쇼 로빈스 여섯 번째 나가사와 다케오(長澤太夫)
1955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후지이 이사무(藤井 이사무)
1956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사코하타 마사미(迫田正三)
1957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1958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1959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모리 시게오(모리 시게오)
1960 타이요웨일스 제1회 (원일본 시리즈) 미하라 오사무(三原amu)
1961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1962 타이요웨일스 두 번째
1963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1964 타이요웨일스 두 번째
1965 타이요웨일스 넷째
1966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1967 타이요웨일스 넷째
1968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카오루베토(別藤)
1969 타이요웨일스 세 번째
1970 타이요웨일스 세 번째
1971 타이요웨일스 세 번째
1972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1973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1974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1975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아키야마 노보루(秋山bor)
1976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1977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카오루베토(別藤)
1978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넷째
1979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두 번째
1980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넷째 도이 키요시(東井yoshi)
1981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1982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세키네 준조(関 (zo)
1983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세 번째
1984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1985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넷째 콘도 사다오(本藤ao)
1986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넷째
1987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코바 다케시(小 (hi)
1988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넷째
1989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여섯 번째
1990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세 번째 스도 유타카
1991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1992 요코하마 타이요웨일스 다섯 번째 스도 유타카
에지리 아키라(江尻ira)
1993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다섯 번째 곤도 아키히토(近藤明仁)
1994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1995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넷째
1996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다섯 번째 오야 아키히코(大野h oh)
1997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두 번째
1998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제1회(우승 일본 시리즈) 곤도 히로시 (権藤shi)
1999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세 번째
2000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세 번째
2001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세 번째 모리 마사아키(森祇 mori)
2002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2003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야마시타 다이스케(山下大 yam)
2004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2005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세 번째 우시지마 카즈히코(牛島 카즈히코)
2006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2007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넷째 오야 아키히코(大野h oh)
2008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2009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오야 아키히코(大野h oh)
타시로 토미오(田 ( tash)
2010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오바나 타카오(大 ( ob)
2011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2012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나카하타 키요시(中 ( nak)
2013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다섯 번째
2014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다섯 번째
2015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2016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세 번째 Alex Ramirez (アレックス・ラミレス)
2017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클라이맥스 시리즈 챔피언 3회
2018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넷째
2019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두 번째
2020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넷째
2021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여섯 번째 미우라 다이스케(三村大 mi)

[3]

명부

1군 2군단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부장님

코치

헤드코치
때리다
피칭
내야수비/출루
외야 수비/출루
배터리
불펜/배터리
순찰 타격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부장님

코치

헤드코치
때리다
피칭
방어/베이스 실행
배터리
개발 담당자
2021년 6월 22일 갱신 모든 NPB 로스터

전 선수

폐기된 번호

없음.

영광스러운 숫자

MLB 선수

이전:

마스코트

호시

그들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타 테마 캐릭터로 표현되어 왔다.

  • 호시(ホ () 1993년 ~ 2012년
  • 호시에나 1993-2012
  • Hossiso (ホッシーゾ) 1993-2012
  • DB.Starman(DB).スターマン) 2012~
  • DB.Kirara(DB).2012년) (DB스타맨의 딸)
  • DB.Rider 2012~2017

[4]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BayStars name Ramirez as new manager". 19 October 2015. Retrieved 20 October 2015.
  2. ^ "BayStars bash Carp, punch ticket to Japan Series: Yokohama reaches championship series for the first time in 19 years". The Japan Times. October 24, 2017. Retrieved October 24, 2017.
  3. ^ 一般社団法人日本野球機構.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年度別成績 (1950-2018)". npb.jp.
  4. ^ "Mascot Profiles". Retrieved 20 November 201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