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맥스 시리즈
Climax Series클라이맥스 시리즈(Climaces Series, Kurimakusu Shirīzu)는 일본프로야구(NPB)가 시행하는 현 연도별 플레이오프 제도다.센트럴리그(CL)와 퍼시픽리그(PL)의 어느 팀이 진출해 일본시리즈 우승 경쟁에 나설지 결정한다.1950년 NPB의 2부 체제가 만들어진 후, PL은 3개의 다른 플레이오프 시스템을 실험했다.2004년에는 클라이맥스 시리즈가 기반이 되는 포스트시즌 구조를 구현했다.3시즌 후 CL은 2007년 같은 시스템을 채택해 현재의 통합 플레이오프 형식을 만들었다.
두 리그는 정규시즌을 치르고, 이후 각 리그의 상위 3개 팀이 2단계 플레이오프에서 맞붙는다.퍼스트 스테이지에서는 정규 시즌을 2, 3위로 마친 팀들이 3전 3선승제로 맞붙는다.이들 3연전 우승자는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해 각 리그의 정규 시즌 챔피언과 6연전에서 맞붙게 되는데, 정규 시즌 챔피언은 1게임 우위로 출발한다.각 리그의 파이널 스테이지 시리즈의 우승자들은 그 해의 일본 시리즈에서 서로 경쟁한다.
역사
일본 프로페셔널 야구(NPB)의 2부제가 생긴 이래, 센트럴 리그(CL)의 정규 시즌 우승자는 언제나 퍼시픽 리그(PL) 챔피언과 경쟁하던 일본 시리즈에 진출해 있었다.PL은 리그가 2004년 이전(일본시리즈 제외) NPB의 유일한 포스트시즌 플레이를 만든 1973년까지 같은 시스템을 사용했다.이 새로운 시스템은 그 팀을 상대로 한 시즌 최고의 전반기 기록과 후반전 최고 기록과 일치시켰다.이 5전 4선승제의 우승자는 CL 챔피언과 경기했던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다.[1][2]한큐 브레이브스가 1976년과 1978년 시즌 전반기와 후반기를 모두 승리로 장식하면서 플레이오프 시리즈가 필요 없게 되자 이 시스템은 문제가 있음을 증명했다.1982년 시즌 이후 탈락했고,[2] 대신 PL은 다음 시즌에 5경기 이하가 두 팀을 갈라놓으면 1위와 2위가 130경기 정규시즌 이후 5전 4선승제로 승부를 겨룬다고 발표했다.대부분의 야구 매체와 팬들에게 인기가 없는, 이 아이디어는 세 시즌 후에 폐기되었고, 시리즈는 절대로 재생될 필요가 없었다.[2]두 리그는 챔피언결정전에서 서로 경쟁하기 위해 각각의 리그에서 최고의 정규 시즌 기록을 가진 팀을 보내는 것으로 돌아왔다.[3]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
다른 리그가 다른 체제로 운영된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내년에 C.L. 페넌트를 이기면 [일본] 시리즈를 보이콧할 것이다.
—Tsuneo Watanabe, the owner of the Yomiuri Giants[2]
2003년 2월 퍼시픽 리그 이사회는 2004 NPB 시즌에 사용할 플레이오프 시스템을 다시 도입하기로 합의했다.[4]정규시즌 막바지에 접어든 1위 팀이 순위에서 상당한 우위를 점했다면 리그 챔피언이 결정됐을 것이고 일본 시리즈가 시작되기 전까지는 별다른 흥분이 없었다.[3]PL 플레이오프 추가 결정은 이 문제를 바로잡고 리그의 인기를 높이기 위한 시도였다.[4]새로운 포스트시즌 계획은 상위 3개 PL팀이 경쟁하는 2단계 플레이오프를 시작했다.퍼스트 스테이지에서는 2위와 3위 기록으로 새롭게 단축된 135경기 정규시즌을 마친 팀들이 3전 3선승제로 맞붙었다.이 시리즈의 우승자는 2단계 결승전에서 리그 최고의 결승 진출자와 맞붙었다.세컨드 스테이지 우승자는 일본 시리즈에 진출하여 CL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챔피언 팀과 경쟁했다.
원래 시즌 말 리그 1위는 2단계 내내 홈필드 우위만 받도록 돼 있었지만, 2003년 8월 PL 관계자들은 1위 팀이 정규시즌 말 5경기 이상 2위 팀을 이끌면 그 팀도 1승 1패를 거두게 된다고 발표했다.두 번째 스테이지의 다섯 가지 중 가장 좋은 시리즈에서 유리하다.[5]2006년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PL 관계자들은 1위 팀에게 1승 우위를 자동으로 부여하는 것을 위해 5경기 리드 요건을 없앴다.이런 변화와 맞물려 1위 팀은 더 이상 2단계 전체에서 홈필드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그 대신 나머지 4경기를 양 팀 구장으로 골고루 나눠 치르게 됐다.[6]결국 1위를 차지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2경기 연속 일본 시리즈 출전권을 획득한 후 이러한 규칙 변경은 비요인이 되었다.
PL의 플레이오프 체제 3년 동안 PL의 포스트시즌 토너먼트 우승자는 정규 시즌을 마친 CL팀과 최고의 기록으로 승부를 겨뤘다.[7]두 리그의 포스트시즌 진출의 불균형은 야구 분석가들과 내부자들로부터 약간의 비판을 불러일으켰다.2005년 일본 시리즈 때 일본일보의 스티븐 엘세서는 NPB의 불균형한 포스트시즌을 '나쁜 시스템'이라고 평가하며 CL이 스스로 플레이오프 제도를 시행하지 않기로 한 것은 '바보 같은' 결정이라고 믿었다.[8]그는 한신 타이거즈의 저조한 일본시리즈 성적을 거론하며 CL의 포스트시즌 플레이가 부진한 것이 단점이라고 추측했다.엘세서는 그들의 마지막 정규시즌 경기와 첫 일본시리즈 경기 사이의 17일 동안 타이거즈가 계속해서 경기했던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최종 우승 시리즈를 준비하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믿었다.[8]엘세서처럼 2004년 PL 플레이오프에서 야기된 '흥분'을 본 뒤 당시 마린스 감독이었던 바비 발렌타인은 "중앙리그가 따르지 않은 것이 잘못"이라며 그들만의 플레이오프 시리즈를 만들었다.[9]
클라이맥스 시리즈 생성
센트럴리그는 순위에서 동점이거나 승리가 많은 팀이 상위 팀보다 낮은 승률로 마무리해야 하는 상황별 플레이오프 시나리오가 내규에 적혀 있었지만 영구적인 플레이오프 계획은 만들어지지 않았다.[8]2006년 3월 PL의 플레이오프 시리즈 성공에 고무된 CL 관계자들은 2007 시즌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 도입 의사를 밝혀 관중 감소를 도왔다.[1]그해 말 열린 회의에서 PL과 CL 관계자들은 새로운 플레이오프 제도를 상세히 설명하는 계획안을 놓고 의견이 엇갈렸다.2004년 PL 플레이오프 창설 이후 리그는 정규시즌을 최고 기록으로 마친 팀보다는 플레이오프 우승팀에게 페넌트 타이틀을 수여했다.[10]PL은 일본 시리즈에서 어떤 팀이 경쟁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플레이오프를 사용하는 동안 정규시즌 1위 마무리 투수에게 계속해서 리그 타이틀을 수여하려는 CL의 의도를 못마땅하게 여겼다.[11]
오랫동안 플레이오프를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고수했지만, 퍼시픽리그 플레이오프가 긍정적인 효과를 낸 것은 사실이다.포스트시즌에 스릴과 흥분을 더하기로 했다.
—Hajime Toyokura, Central League President[1]
2006년 9월 양 리그는 포스트시즌 통합체제에 합의했다.[10]CL은 PL과 동일한 플레이오프제를 실시했고, 플레이오프 시리즈 전체가 '클리맥스 시리즈'[3]로 불렸다.PL은 정규시즌을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한 팀보다는 정규시즌 1위 리그 우승팀으로 지정하기로 합의했는데 이는 이전 3시즌보다 역전된 것이다.[10]양 리그가 정규시즌 144경기를 치르기로 결정됐는데, 양 리그가 같은 경기수를 치르게 된 것은 2004년 PL이 플레이오프 제도를 도입한 이후 처음이다.[12]양 리그는 또 클라이맥스 시리즈의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정규시즌 챔피언이 1경기 우위를 점해서는 안 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며 사업적 관점에서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13]요미우리 자이언츠는 2002년 이후 정규시즌 1위를 차지하지 못했고 플레이오프 컨셉트로 인해 자이언츠의 일본시리즈 우승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2006년 플레이오프 아이디어를 승인할 것을 제안했었다.그러나 이 계획은 그들에게 역효과를 가져왔다.클라이맥스 시리즈의 창단 시즌에서 자이언츠는 마침내 CL 페넌트를 따냈지만 2007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의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2위 주니치 드래곤즈에게 3전 전승으로 패하면서 일본 시리즈 출전권을 박탈당했다.[3]다음 시즌, 리그는 Final Stage 우위에 대한 결정을 뒤집고 2008년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시작으로 Final Stage에서 챔피언들에게 자동 1승 우위를 주기로 합의했다.동시에 파이널 스테이지가 5전 4선승제에서 탈바꿈해 7전 4선승제로 올라섰다.[14]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120경기로 단축된 2020시즌은 수정된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선보였다.PL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시즌 상위 2개 시드 팀이 5전 4선승제로 경기를 치렀고, 리그 챔피언은 여전히 자동 1승 우위가 주어졌다.CL은 플레이오프 시리즈를 완전히 포기했고 대신 리그 챔피언을 일본 시리즈로 직접 진출시켰다.CL이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없애기로 한 것은 리그 6개 팀 중 단 2개 팀만이 돔구장에서 정기적으로 경기했기 때문인데, 이는 우천 가능성으로 인해 시즌 말에 얼마나 많은 경기를 구성해야 할 지 불분명하게 되었다.[15]
현재 형식
두 리그 모두 같은 포스트시즌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각 리그의 상위 3개 팀이 각자의 2단계 플레이오프에 참가하고 있다.팀들은 정규 시즌 승률을 통해 순위가 매겨진다.팀이 같은 승률로 경기를 마치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사용하여 순위를 매긴다.[16]
센트럴 리그
- 1.승수가 많은 팀이 진출한다.
- 2. 정면승부 승률이 높은 팀이 진출한다.
- 3. 전 시즌보다 순위가 높은 팀이 진출한다.
퍼시픽 리그
- 1. 정면승부 승률이 높은 팀이 진출
- 2. 인터리그 경기를 제외한 정규시즌 경기에서 승률이 높은 팀이 진출한다.
- 3. 전 시즌보다 순위가 높은 팀이 진출한다.
더 퍼스트 스테이지는 정규시즌 2, 3위 마무리투수가 참여하는 베스트 3 시리즈로, 모든 경기가 2위 팀 홈 필드에서 진행된다.이 시리즈의 우승자는 결승 스테이지에서 리그 우승자와 대결한다.[a]이 시리즈는 6점 만점이다.리그 챔피언은 5경기 연속 플레이오프 시리즈가 2-2-1 또는 2-3으로 이어지는 대부분의 프로 리그나 상위 시드가 연장전을 받는 2-3-2로 달리는 7경기 플레이오프 시리즈와 달리 시리즈 전체에서 1승 우위는 물론 홈 필드 우위까지 주어진다.우승 팀은 일본 시리즈로 진출하고, 거기서 서로 경쟁한다.메이저리그와 달리 NPB 경기는 12이닝을 소화한 뒤 승자가 없으면 동점으로 끝날 수도 있다.클라이맥스 시리즈 경기가 동점을 만들면 승리는 어느 팀에게도 주어지지 않는다.이로 인해 시리즈가 동점으로 끝나면 시드가 높은 팀이 진출한다.[18]
퍼스트 스테이지 | 파이널 스테이지 | 일본 시리즈 | |||||||||||
센트럴 리그 | 1 | CL 1위 팀 | |||||||||||
2 | CL 2위 팀 | ? | CL 1단계 우승자 | ||||||||||
3 | CL 3위 팀 | ? | CL 파이널 스테이지 우승자 | ||||||||||
? | PL 파이널 스테이지 우승자 | ||||||||||||
퍼시픽 리그 | 1 | PL 1위 팀 | |||||||||||
2 | PL 2위 팀 | ? | PL 1단계 우승자 | ||||||||||
3 | PL 3위 팀 |
결과.
리그 챔피언들은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탈락했고 따라서 PL과 CL에서 각각 3번씩 총 6번 일본 시리즈에 진출하지 못했다.[19]
- * 팀이 승리했다.
- 볼드: 그 팀은 계속해서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했다.[26]
- a 창단 2007년 2단계는 리그 챔피언에게 1승 우위로 시상하지 않은 베스트 5 시리즈였다.[27]
- b 한신 타이거즈의 홈구장인 고시엔 스타디움에서 계속되는 비시즌 리노베이션으로 인해, 2008년 퍼스트 스테이지 경기는 대신에 교세라 돔 오사카에서 열렸다.[28]
- * 팀이 승리했다.
- 볼드: 그 팀은 계속해서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했다.[26]
- a 창단 2007년 2단계는 리그 챔피언에게 1승 우위로 시상하지 않은 베스트 5 시리즈였다.[27]
- b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홈구장인 세이부돔에서 2008년 2단계 1차전을 개최하는 대신, 사이타마 기반의 소규모 구장인 오미야 파크 야구장에서 개최하였다.[29]
- c COVID-19의 대유행으로 2020 파이널 스테이지가 5전 4선승제로 축소되어 리그 챔피언이 자동 1승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15]
수신 및 비판
2007년 시즌에 시행된 후,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NPB의 플레이오프 통합 시스템 시행은 일부로부터 환영을 받았다.로버트 휘팅은 창단이 "오래전에 기한이 지났지만" 일본 야구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킨다고 말했다.[30]일본 야구 작가 아사 사토시는 이 시스템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버려지는 죽은 고무 게임의 수를 줄이고 팬들과의 인기에 의해 그 필요성이 강화되었다고 설명한다.[31]그러나 사토시는 계속해서 클라이맥스 시리즈 챔피언 대신 우승률이 가장 높은 팀에게 리그 우승권을 주기로 한 결정에 의문을 제기한다.이번 결정으로 일본 시리즈 우승 후 일본 최고의 팀으로 선정될 수 있는 시나리오가 나오지만, 동시에 각 리그에서 최고의 팀으로 등극하지는 못했다.[32]게다가, 이 시스템은 5백 퍼센트 이하의 승률을 가진 팀들이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사토시는 정규시즌 경기의 50% 미만을 획득한 팀이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는 가상의 상황과 그 팀이 일본 최고의 팀으로 정당하게 선정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한다.[19]그러나 다른 이들은 클라이맥스 시리즈가 전적으로 불필요하다고 믿는다.NPB 출신이자 감독인 히로사와 가쓰미는 정규시즌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한 팀이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패배하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이다.그는 또 팀 절반의 플레이오프 진출과 일본시리즈 우승 가능성을 허용하는 제도가 긴 정규시즌의 취지를 훼손한다고 주장한다.[33]
이 제도가 어떻게 운영되는지에 대한 다양한 다른 세부 사항들도 논의되고 비판 받아왔다.두 팀이 같은 기록으로 정규 시즌을 마칠 경우 어느 팀이 클라이맥스 시리즈로 넘어갈지 결정하는 타이브레이커도 비판을 받았다.현재 전 시즌 리그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팀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이는 1경기 플레이오프(한 팀만 진출할 경우)를 채용하는 메이저리그(MLB)나 시즌 최다 경기 기록(그리고 비인터리그 플레이 기록, 후반 기록 등 추가 타이브레이커)을 활용할 수 있는 다른 프로리그와 대비된다.[34]제프 리비시 전 히로시마 카프 벤치 코치는 타이거스와 달리 카프가 동점일 경우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한신 타이거즈보다 한신 타이거즈에게 실제로 더 뒤진 풀게임이었다고 설명했다.스콧 매클레인 전 선수는 선수와 감독이 해마다 바뀌는 점을 지적하며 "[타이브레이커는] 지난해와 무관하지 않아야 한다"고 믿고 있다.재팬타임즈 칼럼니스트 웨인 그라지크는 MLB의 1경기 플레이오프에 유리하게 이 형식을 폐기할 것을 제안했다.[34]
클라이맥스 시리즈의 가장 면밀한 측면은 파이널 스테이지 정규 시즌 챔피언들에게 주어지는 1경기 우위다.2008년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위한 규정이 시행되었을 때, 많은 선수들이 이 규칙을 "불공정", "나쁘다", "불뚝하다"라고 설명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하지만 전 선수이자 현 감독인 알렉스 라미레스는 리그 챔피언이 유리하다고 생각했다.[3]Japan Times 칼럼니스트 Jason Coskrey는 "팬텀 승리"가 페넌트 우승자에게 너무 많은 이점을 준다고 믿는다.그에 따르면, 퍼스트 스테이지 바이에 결승 스테이지 동안 모든 홈 경기를 더하면 톱 시드의 팀에게 충분히 유리할 것이라고 한다.[35]그는 NPB가 플레이오프 제도의 혜택을 얻으려 애쓰는 동시에 일본 시리즈 우승자들의 전통적인 대결도 유지하려고 애쓰는 등 상황을 "그들의 케이크를 가지고 그것을 먹으려고 애쓴다"고 설명했다.[36]클라이맥스 시리즈의 첫 10년을 돌아보며 사토시는 그것이 이상적인 형태의 포스트시즌 예능이라고 믿었다.그 시간을 통해 리그 챔피언은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우승했고 거의 82%의 시간 동안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다.그는 이것이 정규 시즌의 중요성을 유지하면서 팬들을 흥분시키는 가끔의 놀라움도 허락했기 때문에 적절한 균형이라고 믿었다.[19]
2017년 이 제도는 다시 비판을 불러왔는데, 이번에는 날씨 때문에 경기를 일찍 소집할 수 있게 하고 공식 경기로 취급해 비난을 샀다(2009년 이후 북미 메이저리그 포스트시즌 경기는 9이닝 전으로 치러야 한다).코스크리는 요코하마 베이스타즈가 2017 센트럴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5이닝을 내준 뒤 플레이오프 경기가 결코 그런 식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고 썼다.그는 NPB가 경기를 쉽게 중단했다가 다음 날 중단한 곳에서 재개하거나 심지어 경기를 완전히 다음날로 연기할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37]마찬가지로 야후스포츠에 기고한 글에서 크레이그 캘카테라는 사건 이후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초불공평하다"고 표현하고 MLB 플레이오프에서 비슷한 가상의 상황을 상상하며 팬들이 '폭풍'[38]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참고 항목
참조
메모들
인용구
- ^ a b c "Central League to add playoffs". The Japan Times. March 8, 2006. Retrieved October 11, 2019.
- ^ a b c d Kuehnert, Marty (July 16, 2003). "Giants' owner should be more understanding of P.L." The Japan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5, 2012. Retrieved November 15, 2009.
{{cite news}}
: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 ^ a b c d e Graczyk, Wayne (October 26, 2008). "Taking a look at the one-game advantage in the Climax Series". The Japan Times. Retrieved November 11, 2009.
- ^ a b "PL plans to bring back playoffs". The Japan Times. Kyodo News. February 20,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7, 2012. Retrieved November 11, 2009.
{{cite news}}
: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 ^ "PL announces format change". The Japan Times. August 8, 2003. Retrieved November 11, 2009.
- ^ Graczyk, Wayne (October 1, 2006). "Clearing up any confusion about the Pa League playoffs". The Japan Times. Retrieved November 11, 2009.
- ^ Ellsesser, Stephen (October 21, 2005). "Lotte Marines ready to tackle some unfinished business in Japan Series". The Japan Times. Retrieved November 11, 2009.
- ^ a b c Ellsesser, Stephen (October 25, 2005). "Tigers learning a tough postseason lesson". The Japan Times. Retrieved November 11, 2009.
- ^ "Agreeing to disagree". The Japan Times. March 25, 2005. Retrieved October 4, 2017.
- ^ a b c "CL to follow PL playoff model". The Japan Times. September 5, 2006. Retrieved February 17, 2020.
- ^ "PL officials frown at CL's playoff plan". The Japan Times. May 10, 2006. Retrieved November 11, 2009.
- ^ "Interleague, playoff plans agreed". The Japan Times. August 25, 2006. Retrieved November 12, 2009.
- ^ "CL, PL scupper one-game edge". The Japan Times. Kyodo News. December 22, 2006. Retrieved November 12, 2009.
- ^ "Climax Series schedules announced". The Japan Times. Kyodo News. March 19, 2008. Retrieved November 13, 2009.
- ^ a b Nagatsuka, Kaz (June 15, 2020). "Central, Pacific Leagues announce schedules for remainder of season". The Japan Times. Retrieved June 16, 2020.
- ^ "順位表" [Ranking Table]. Sportsnavi (in Japanese). Retrieved October 20, 2020.
- ^ "プロ野球、開幕延期でCS中止へ…143試合維持を最優先「4月中目指す」" [Pro baseball postpones start of season, cancels CS...Maintaining 143 games is top priority: "We're aiming for the end of April."]. Sankei Sports (in Japanese). March 10, 2020. Retrieved March 25, 2021.
- ^ "Giants, Dragons play to stalemate". The Japan Times. Kyodo News. October 25, 2008. Retrieved November 17, 2009.
- ^ a b c Satoshi, Asa (October 5, 2018). "プロ野球におけるプレーオフの歴史。パ・リーグには幻の制度があった" [History of playoffs in professional baseball. There was a strange system in the Pa League.]. Sportiva (in Japanese). Shueisha. Retrieved June 10, 2020.
- ^ Odeven, Ed (October 16, 2007). "Woods: Dragons fire at perfect time". The Japan Times. Retrieved March 12, 2010.
- ^ Coskrey, Jason (October 21, 2007). "Dragons earn return trip to Japan Series". The Japan Times. Retrieved March 12, 2010.
- ^ Coskrey, Jason (October 21, 2008). "Late Woods homer gives Dragons win". The Japan Times. Retrieved March 12, 2010.
- ^ Coskrey, Jason (October 26, 2008). "Giants advance to Japan Series". The Japan Times. Retrieved March 12, 2010.
- ^ "Dragons advance to second stage". Kyodo News. The Japan Times. October 20, 2009. Retrieved March 12, 2010.
- ^ Coskrey, Jason (October 25, 2009). "Giants crush Dragons in series finale". The Japan Times. Retrieved March 12, 2010.
- ^ a b "年度別日本シリーズ結果" [Yearly Japan Series Results]. Nikkan Sports (in Japanese). Retrieved November 15, 2020.
- ^ a b Graczyk, Wayne (October 26, 2008). "Taking a look at the one-game advantage in the Climax Series". The Japan Times. Retrieved October 18, 2020.
- ^ Graczyk, Wayne (September 21, 2008). "Stairs still slugging away 15 years after Japan stint". The Japan Times. Retrieved November 16, 2009.
- ^ Nagatsuka, Kaz (October 18, 2008). "Hot-hitting Lions crush Fighters in series opener". The Japan Times. Retrieved October 18, 2020.
- ^ Whiting, Robert (April 13, 2007). "NPB needs major reform, vision to prosper like MLB". The Japan Times. Retrieved May 28, 2018.
- ^ Satoshi, Asa (October 5, 2018). "プロ野球におけるプレーオフの歴史。パ・リーグには幻の制度があった" [History of playoffs in professional baseball. There was a strange system in the Pa League.]. Sportiva (in Japanese). Shueisha. Retrieved June 10, 2020.
- ^ Satoshi, Asa (September 27, 2019). "プロ野球、ポストシーズンへ。毎年あり方が議論されるこの制度を考えるのに、他国事情を調べてみた (1)" [Professional baseball, to the postseason. To consider the yearly arguments about how things ought to be, I examine situations in other countries.] (in Japanese). Yahoo! Japan. Retrieved June 16, 2020.
- ^ Hirosawa, Katsumi (October 13, 2013). "理不尽CS、巨人が負けたら変わるのか" [Unreasonable CS, will it change if the Giants lose?]. The Nikkei (in Japanese). Retrieved November 9, 2020.
- ^ a b Graczyk, Wayne (October 18, 2009). "Time for NPB to get its act together on regular-season schedule". The Japan Times. Retrieved November 12, 2009.
- ^ Coskrey, Jason (October 15, 2015). "Time for NPB to rethink senseless playoff format". The Japan Times. Retrieved October 27, 2017.
- ^ Coskrey, Jason (October 21, 2013). "Lower seeds face stacked deck during NPB's Climax Series". The Japan Times. Retrieved October 27, 2017.
- ^ Coskrey, Jason (October 19, 2017). "Farcical finish in Hiroshima robs BayStars of fair chance to compete". The Japan Times. Retrieved October 27, 2017.
- ^ Calcaterra, Craig (October 19, 2017). "The Japanese playoffs are super unfair". Yahoo Spor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2, 2018. Retrieved October 11, 2018.
{{cite web}}
: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