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Saitama Seibu Lions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
---|---|---|---|---|---|
| |||||
정보 | |||||
리그 | 일본 프로 야구
| ||||
위치 | 일본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 | ||||
야구장 | 벨루나 돔 | ||||
창립년도 | 1950 | ||||
닉네임 | 시시() (, 사자) | ||||
퍼시픽 리그 | 23(1982, 1956, 1957, 1958, 1963, 1982, 1983, 1985, 1986, 1987, 1988, 1990, 1991, 1992, 1993, 1994, 1997, 1998, 2002, 2004, 2008, 2018, 2019) | ||||
일본 시리즈 챔피언십 | 13(1987, 1957, 1958, 1982, 1983, 1986, 1987, 1988, 1990, 1991, 1992, 2004, 2008) | ||||
이전 이름 |
| ||||
구 구장 |
| ||||
색상 | 파랑, 흰색, 빨강 | ||||
마스코트 | 리오와 리나 | ||||
플레이오프 출전권 | 12 (2012, 2004, 2005, 2006, 2008, 2010, 2011, 2012, 2013, 2017, 2018, 2019) | ||||
폐기된 번호 | |||||
소유권 | 고토 다카시 | ||||
관리 | 세이부 철도 | ||||
부장님 | 쓰지 하츠히코 | ||||
유니폼 |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는 일본 사이타마 현 도코로자와 시를 연고지로 하는 퍼시픽 리그 야구 팀이다.1979년 이전에는 규슈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거점을 두고 있었다.구단은 프린스호텔의 자회사가 소유하고 있으며, 프린스호텔은 세이부그룹이 소유하고 있다.구단은 최근 자금난에 시달렸지만 보스턴 레드삭스로부터 마쓰자카 다이스케와의 계약 협상권료로 60억엔(약 511만달러)이라는 기록적인 금액을 받게 되면서 상황이 밝아졌다.1978년과 2008년 사이에 팀의 로고와 마스코트는 테즈카 [a][b]오사무의 고전 일본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하얀 사자 김바의 성인 버전에 바탕을 두고 있다.2004년, 전 세이부 라이온스의 마쓰이 가즈오 선수는 메이저리그에 [1]진출한 최초의 일본인 내야수가 되었다.
프랜차이즈 이력
니시테쓰 클리퍼스(1950년)
1950년 퍼시픽 리그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그 후 후쿠오카에 거점을 둔 니시닛폰 철도가 소유했다.클리퍼스의 이름은 니시테쓰가 팬아메리칸 항공의 일본 운항을 담당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당시 팬암 제트기는 항공기로서 "클리퍼"로 알려져 있었다).[2] 그해 팀은 6위를 차지했고, 시즌 말 니시닛폰 파이러츠와 합병해 니시테쓰 라이온스가 탄생했다.그래서 라이온스라는 이름이 채택되어 오늘날까지 프랜차이즈 이름으로 유지되고 있다.
니시테쓰 라이온스(1951년 ~ 1972년)
니시테쓰 라이온스는 헤이와다이 구장을 평생의 홈으로 불렀다.1950년대 퍼시픽리그에서 우세한 팀 중 하나로 유명한 미하라 오사무 감독의 뒤를 이어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일본시리즈 3연패를 포함해 4개의 페넌트를 따냈다.그들의 마지막 우승은 1958년 후쿠오카에서 있었다.
그 팀은 그 후 10년 동안 고군분투했고 필드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1969년부터 1970년까지 팀은 악명 높은 블랙 미스트 승부 조작 스캔들에 휘말려 4명의 라이온즈 투수가 평생 NPB에서 제외되었고 다른 선수들은 적은 처벌을 받았다.이러한 패배로 1970년 시즌을 꼴찌로 마친 그 팀은 전멸했다.
3회 연속 꼴찌를 한 뒤 1972년 11월 니시닛폰 철도의 일부인 후쿠오카 야구공사에 매각됐다.매각 후, 팀은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로 개명했다.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1973년 ~ 1976년)
니시닛폰철도는 1973년 롯데와 오리온스의 나카무라 나가요시가 설립한 골프장·리조트 개발사인 다이헤이요 클럽에 구단 스폰서권을 매각했다.라이온스는 여전히 블랙 미스트 스캔들의 여파에 시달리고 있으며 1970년대 내내 3위를 넘지 못했다.
크라운 라이터 라이온스 (1977년 ~ 1978년)
1976년 시즌 말, 후쿠오카 야구공사는 팀의 새로운 스폰서가 크라운 가스 라이터라고 발표했다.이로써, 다가오는 시즌의 팀 이름은 크라운 라이터 라이온스로 바뀌었다.1978년 시즌 종료 후, 팀은 고쿠도 케이카쿠(현재의 고쿠도)에 매각되어 프린스 호텔에 합병되었다.
세이부 라이온스(1979년 ~ 2007년)
크라운 라이터 라이온스의 매각과 프린스 호텔로의 합병에 수반해, 팀은 세이부 라이온스로 개명해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의 새로운 야구장으로 이전했다.후쿠오카는 1989년까지 NPB 팀이 없었다.그때 난카이 호크스가 다이에에에에 인수되어 이 지역으로 이적했다.
골든 에이지(1982~1994년)
라이온스는 1979년 시즌에 이어 6위와 꼴찌를 기록했고 1980년과 1981년에는 4위를 차지했다.그러나 다음 시즌은 히로오카 다쓰로 신임 감독과 히가시오 오사무, 다부치 고이치 등의 스타 선수들에게 팀의 지속적인 성공 기간의 시작을 의미한다.히로오카 다쓰로 선수는 고기와 다른 동물성 식품이 선수들의 부상 감수성을 높이고 경기력을 떨어뜨린다고 선수들에게 말했다.그는 모든 선수들에게 엄격한 채식주의 [3]식단을 요구했습니다.구단은 1982년과 1983년 일본시리즈에서 연속 우승해 1985년 다시 우승했지만 팀 역사상 첫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한신 타이거스에 패했다.
1986년 시즌 이후 히로오카 대신 모리 마사아키를 영입해 팀의 장기적인 성공을 이어갔다.모리 감독은 1986~1988년부터 1990~1994년까지 8번의 리그 우승과 9년간의 감독 생활 동안 6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1986년, 1987년, 1988년, 1990년, 1991년, 1992년 일본 시리즈를 우승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계속된 리그 지배로 '무적 세이부'라는 별명을 얻었다.라이온스는 이 시기에 아키야마 고지, 키요하라 가즈히로, 데스트레이드 등 강타자들이 즐비한 강력한 라인업을 가지고 있었다.수비도 이시게 히로미치, 로미오 칼훈, 쓰지 하츠히코, 이토 쓰토 포수 등 실력파 선수의 서비스 덕을 봤다.이 시기에 라이온스에 고용된 투수 중에는 '오리엔탈 익스프레스' 타이겐 카쿠, 쿠도 기미야스, 와타나베 히사노부, 구원 투수 가토리 요시타카, 시오자키 데쓰야 등이 있었다.
골든 에이지의 저명 선수
이름. | 위치 | 직급과 업적 | 메모 |
---|---|---|---|
아키야마 코우지 | CF | 홈런 타이틀 1987, 도루 타이틀 1990, 골든 글러브 1987-1996, 1999 경력 437 HR 및 303 SB | 1994년부터 2002년까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소속.2009년부터 2015년까지 호크스의 감독. |
키요하라 카즈히로 | 1B | 1986년 신인왕, 골든글러브(1988년, 1990년, 1992년-1994년), 통산 525홈런, 1527타점 |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오릭스 버팔로스 소속.2008년에 퇴직. |
오레스테스 데스트레이드 | DH | 홈런 타이틀 1990-1992, 타점 타이틀 1990-1991 | MLB의 플로리다 말린스에서 1993-1994시즌을 뛰었다. |
이시게 히로미치 | SS | 신인왕, 골든글러브 1981~1983, 1985~1988, 1991~1993, MVP 1986 | 2002년부터 2003년까지 Orix BlueWave 매니저. |
쓰지 하츠히코 | 2B | 타격 타이틀 1993, 골든 글러브 1986, 1988~1994 | 1996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뛰다가 96년 시즌을 마치고 은퇴했어요현 라이온스 매니저. |
이토 쓰토무 | C | 골든 글러브 1985-1988, 1990-1992, 1994-1995, 1997-1998 | 2003년에 은퇴한 라이온스 감독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마린스 감독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입니다.현 주니치 드래곤스 감독. |
와타나베 히사노부 | P | 우승률 타이틀 1986, 1988, 1990, 방어율 타이틀 1986, 탈삼진 타이틀 1986, 골든 글러브 1990, 노히트 1996 | 1998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뛰다가 98년 시즌을 마치고 NPB에서 은퇴했다.2008~2013년 라이온스 매니저. |
히가시오 오사무 | P | 챔피언 1975, 1983년, 평균자책점 1983년, 탈삼진 1975년, MVP 1983년, 1987년, 골든글러브 1983년~1987년 우승 | 라이온스 멤버는 4명의 구단주(니시테츠, 타이헤요 클럽, 크라운 라이터, 세이부)를 통해.1995-2001년 라이온스 감독. |
테리 휘트필드 | 의 | 1981년 베스트 나인상, 1983년 | |
스티브 온티베로스 | 3B | OBP 1983, 1984년 베스트 나인상 1982, 1983 | |
타이겐카쿠 | P | MVP 1991, 골든 글러브 1991-1992, 노히트 1985 | 1996년에 퇴직.2007년 대만 대표팀 감독. |
쿠도 기미야스 | P | 평균자책점 타이틀 1985,1987,1993,1999,우승률 타이틀1987,1991,1993,2000,삼진아웃 타이틀1996,1999,골든글러브 1994~1995,2000,MVP 1999,선수로서의 최장 경력(28B 경력(28년) | 1994년부터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0년부터 요미우리 자이언츠,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2010년에 라이온스로 복귀했다.2010년 시즌 골든에이지에서 유일하게 활약한 선수.현 Hawks 매니저.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2008년 ~ )
라이온스는 팀과 연고지와의 제휴를 강화하기 위해 2008년 팀명에 '사이타마'라는 현명을 추가했다.그해 퍼시픽 리그 챔피언으로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팀의 로고와 유니폼은 2009년 시즌에 맞추어 한층 더 수정되어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니시테쓰 라이온스 시대에 채용되었던 것과 같은 짙은 파란색 디자인으로 교환되었다.라이온스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 스테이지(2010, 2011, 2012, 2013, 2017)에 5번 진출했지만 2010년과 2013년 지바 롯데 마린스, 2017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1년과 2012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패했다.2018년과 2019년 두 차례 연속 파이널 스테이지에 올랐지만 두 번 모두 호크스에 패했다.2020년에는 3위를 차지했지만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COVID-19의 대유행으로 퍼시픽 리그는 플레이오프 1단계를 없애고, 퍼시픽 리그 상위 2개 팀만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센트럴 리그는 정규 시즌 챔피언(요미우리 자이언츠)을 일본 시리즈로 직행하는 것을 선택했다.2021년, 라이온스는 55승 70패 18패로 1979년 이후 처음으로 6위와 꼴찌를 했다.
시즌별 기록
연도 | 팀명 | 끝내라. | 플레이오프. |
---|---|---|---|
1950 | 니시테쓰 클리퍼스 | 5일, 태평양 | 자격 미달 |
1951 | 니시테쓰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자격 미달 |
1952 | 니시테쓰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1953 | 니시테쓰 라이온스 | 제4호, 태평양 | 자격 미달 |
1954 | 니시테쓰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로스트 일본 시리즈 (3-4, 드래곤즈) |
1955 | 니시테쓰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자격 미달 |
1956 | 니시테쓰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일본 시리즈 우승(4승 2, 자이언츠) |
1957 | 니시테쓰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일본 시리즈 우승 (4-0, 자이언츠) |
1958 | 니시테쓰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우승 일본 시리즈 (4-3, 자이언츠) |
1959 | 니시테쓰 라이온스 | 제4호, 태평양 | 자격 미달 |
1960 | 니시테쓰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1961 | 니시테쓰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1962 | 니시테쓰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1963 | 니시테쓰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로스트 일본 시리즈(3-4, 자이언츠) |
1964 | 니시테쓰 라이온스 | 5일, 태평양 | 자격 미달 |
1965 | 니시테쓰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1966 | 니시테쓰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자격 미달 |
1967 | 니시테쓰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자격 미달 |
1968 | 니시테쓰 라이온스 | 5일, 태평양 | 자격 미달 |
1969 | 니시테쓰 라이온스 | 5일, 태평양 | 자격 미달 |
1970 | 니시테쓰 라이온스 | 제6회, 태평양 | 자격 미달 |
1971 | 니시테쓰 라이온스 | 제6회, 태평양 | 자격 미달 |
1972 | 니시테쓰 라이온스 | 제6회, 태평양 | 자격 미달 |
1973 |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 제4호, 태평양 | 자격 미달 |
1974 |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 제4호, 태평양 | 자격 미달 |
1975 |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1976 |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 제6회, 태평양 | 자격 미달 |
1977 | 크라운 라이터 라이온스 | 제6회, 태평양 | 자격 미달 |
1978 | 크라운 라이터 라이온스 | 5일, 태평양 | 자격 미달 |
1979 | 세이부 라이온스 | 제6회, 태평양 | 자격 미달 |
1980 | 세이부 라이온스 | 제4호, 태평양 | 자격 미달 |
1981 | 세이부 라이온스 | 제4호, 태평양 | 자격 미달 |
1982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우승 일본 시리즈 (4-2, 드래곤즈) |
1983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우승 일본 시리즈 (4-3, 자이언츠) |
1984 | 세이부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1985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로스트 일본 시리즈 (2-4, 타이거즈) |
1986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우승 일본 시리즈 (4-3, 카프) |
1987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일본 시리즈 우승(4승 2, 자이언츠) |
1988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우승 일본 시리즈 (4-1, 드래곤즈) |
1989 | 세이부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1990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일본 시리즈 우승 (4-0, 자이언츠) |
1991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우승 일본 시리즈 (4-3, 카프) |
1992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우승 일본 시리즈 (4-3, 스왈로스) |
1993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로스트 재팬 시리즈(3-4, 스왈로스) |
1994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로스트 일본 시리즈 (2-4, 자이언츠) |
1995 | 세이부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1996 | 세이부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1997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로스트 재팬 시리즈 (1-4, 스왈로스) |
1998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로스트 일본 시리즈 (2-4, 베이스타스) |
1999 | 세이부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자격 미달 |
2000 | 세이부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자격 미달 |
2001 | 세이부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2002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로스트 일본 시리즈(0-4, 자이언츠) |
2003 | 세이부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자격 미달 |
2004 |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우승 일본 시리즈 (4-3, 드래곤즈) |
2005 | 세이부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분실 CS 퍼스트 스테이지(0-2, 해병) |
2006 | 세이부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분실 CS 퍼스트 스테이지(1-2, Hawks) |
2007 | 세이부 라이온스 | 5일, 태평양 | 자격 미달 |
2008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우승 일본 시리즈 (4-3, 자이언츠) |
2009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제4호, 태평양 | 자격 미달 |
2010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분실 CS 퍼스트 스테이지(0-2, 해병) |
2011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잃어버린 CS 파이널 스테이지(0-4, Hawks) |
2012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분실 CS 퍼스트 스테이지(1-2, Hawks) |
2013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분실 CS 퍼스트 스테이지(1-2, 해병) |
2014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5일, 태평양 | 자격 미달 |
2015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제4호, 태평양 | 자격 미달 |
2016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제4호, 태평양 | 자격 미달 |
2017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두 번째, 태평양 | 분실 CS 퍼스트 스테이지(1-2, 골든 이글스) |
2018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잃어버린 CS 파이널 스테이지 (2-4, Hawks) |
2019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1번지, 태평양 | 잃어버린 CS 파이널 스테이지 (1-4, Hawks) |
2020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태평양 3차 | 자격 미달 |
2021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제6회, 태평양 | 자격 미달 |
현재 명부
1군 | 2군단 | ||||||
투수 포수 | 내야수 외야수
부장님
코치
| 투수
포수 | 내야수 외야수
부장님
코치
| ||||
개발 담당자 | |||||||
2021년 8월 13일 갱신 | → 모든 NPB 로스터 |
매니저
No. | 몇 해 재직 중 | YR | 매니저 | G | W | L | T | Win% | 퍼시픽 리그 선수권 대회 | 일본 시리즈 선수권 대회 | 플레이오프 침대 |
---|---|---|---|---|---|---|---|---|---|---|---|
1 | 1950 | 1 | 미야자키 카나메 | 120 | 51 | 67 | 2 | .432 | |||
2 | 1951-1991년 | 9 | 미하라 오사무 | 1,189 | 680 | 458 | 51 | .598 | 4회 (스위치, 스윗치, 스윗치, 스윗치, 1957,196년) | 3회 (스위치, 스윗치, 스윗치) | |
3 | 1960-1996년 | 2 | 카와사키 도쿠지 | 276 | 151 | 116 | 9 | .566 | |||
4 | 1962년-1992년 | 8 | 나카니시 후토시 | 1,117 | 531 | 541 | 45 | .495 | 1 (표준) | ||
5 | 1970-1997년 | 5 | 이나오 카즈히사 | 650 | 246 | 370 | 34 | .399 | |||
6 | 1975 | 1 | 에토 신이치 | 130 | 58 | 62 | 10 | .483 | |||
7 | 1976 | 0 | 레오 듀로처 | — | — | — | — | — | |||
8 | 1976-1996년 | 2 | 키토 마사이치 | 260 | 93 | 149 | 18 | .384 | |||
9 | 1978년-1988년 | 4 | 네모토 리쿠오 | 520 | 219 | 265 | 36 | .452 | |||
10 | 1982년-1982년 | 4 | 히로오카 다쓰로 | 520 | 295 | 204 | 21 | .591 | 3회 (스위치, 스윗치, 스윗치) | 2 (표준, 표준) | 1 (표준) |
11 | 1986-1996년 | 9 | 모리 마사아키 | 1,170 | 673 | 438 | 59 | .606 | 8회 (예, 예, 예, 예, 예, 예, 예, 예, 예) 1990년, 1991년, 1992년 1993,196년) | 6회 (예, 예, 예, 예, 예, 예, 예, 예, 예) 1990년, 1991년, 1992년 | |
12 | 1995-2001년 | 7 | 히가시오 오사무 | 937 | 489 | 425 | 23 | .535 | 2(1997, 1998) | ||
13 | 2002-2003년 | 2 | 이하라 하루키(1위) | 280 | 167 | 110 | 3 | .603 | 1(2002년) | ||
14 | 2004-2007년 | 4 | 쓰토무이호 | 549 | 287 | 257 | 5 | .528 | 1 (2004) | 1 (2004) | 3회 (2004, 2005, 2006) |
15 | 2008-2013년 | 6 | 와타나베 히사노부 | 864 | 438 | 395 | 31 | .526 | 1 (2008) | 1 (2008) | 5회 (2008년, 2010년, 2011년) 2012, 2013) |
16 | 2014 | 1 | 이하라 하루키(2위) | 144 | 63 | 77 | 4 | .450 | |||
17 | 2015-2016년 | 2 | 타나베 노리오 | 286 | 133 | 145 | 8 | .478 | |||
18 | 2017–현재 | 4 | 쓰지 하츠히코 | 549 | 305 | 234 | 10 | .566 | 2(2018,2019) | 2(2018,2019) | |
합계 | 71계절 | 매니저 17명 | 9,564 | 4,882 | 4,313 | 369 | .531 | 23회 | 13회 | 12회 |
전 유명 선수
- 오시타 히로시(大下shi) 1952년 ~ 1959년
- 필 페인 1953
- 마테오 알루 1974년-1976년
- 테리 휘트필드(Terry Whitfield, 1981~1983년)
- 다부치 고이치 1979년 ~ 1984년
- 스티브 온티베로스(Steve Ontiveros, 1980~1985년)
- 조지 부코비치(George Vukovich, 1986년 ~ 1987년)
- 히가시오 오사무 1969년-1988년
- 타이 반 부르클레오(Ty Van Burkleo, 1987~1990)
- 다치바나 요시이에(田 ( tach) 1977년 ~ 1991년
- 아키야마 고우지(秋山光司) 1981년 ~ 1993년
- 이시게 히로미치(石 (博一) 1981년~1994년
- Orestes Destrade (オレステス・デストラーデ) 1989–1995
- 로미오 칼훈 1993-1998
- 키요하라 가즈히로(清原 (弘) 1986년 ~ 1996년
- 대런 잭슨(大 jacksonジジジジジジジジ191919191919 d d d)
- 타이겐카쿠 1985년 ~ 1997년
- 제임스 L. 바이어스(Byers)1998~2000
- 토니 페르난데스 (Tony Fernandez) 2000
- 코리 폴(Corey Paul) 1999-2001
- 마쓰이 가즈오(松井uo夫) 1994년 ~ 2003년, 2018년
- 시오자키 테츠야(潮 ( sh) 1990년 ~ 2004년
- 모리 신지(모리 신지) 1997년 ~ 2005년
- 마쓰자카 다이스케 1999년 ~ 2006년, 2020년 ~ 현재
- 장지자(張h家) 2002년 ~ 2006년
- 알렉스 카브레라 (A · カ)))))2001 ~ 2007
- 나카지마 히로유키 (中島y n) 2001년 ~ 2012년
- 알렉스 그라만 2006-2011
- 이시이 카즈히사(石井 카즈히사) 2008년 ~ 2013년
- 기쿠치 유세이 (기쿠치 유세이) 2010년 ~ 2018년
폐기번호
구단은 2012년 5월 1일, 이나오 카즈히사의 24번이 라이온스의 첫 번째 영구 결번이라고 발표했다.
|
MLB 선수
- 기쿠치 유세이(2019-)
MLB에서 은퇴:
추가 정보
- 화이트팅, 로버트."황제팀", You Got Have Wa(빈티지 출발, 1989), 페이지 220-238.
메모들
- ^ 비록 많은 팬, 팀 관계자, 그리고 언론인들은 마스코트가 김바의 변형이라고 생각하지만, 테즈카는 마스코트가 [citation needed]김바의 아버지인 판자(Caesar)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 ^ 라이온스는 2009년 [citation needed]시즌을 위해 새로운 마스코트를 채택했다.
레퍼런스
- ^ "Rockies acquire infielder Kazuo Matsui and cash considerations from New York Mets in exchange for outfielder Eli Marrero Colorado Rockies". Newyork.mets.mlb.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08. Retrieved 2016-08-01.
- ^ How Every NPB Team got its Name (feat. The Yakyu Cosmopolitan), retrieved 2022-02-08
- ^ '베지 야구단', 퍼레이드 매거진(1984년 4월 15일).
- ^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埼玉西武ライオンズ 年度別成績 (1950-2021)". NPB.jp (in Japanese). Retrieved August 20,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