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라이트

Zorite
조라이트
Zorite-99360.jpg
조라이트
일반
카테고리이노실리케이트
공식
(기존 단위)
나티2(Si,Al)O9·3nH2O
IMA 기호조르[1]
스트룬츠 분류9.DG.45
크리스털 시스템정형외과
크리스털 클래스디피라미달(mmm)
H-M 기호: (2/m 2/m 2/m)
스페이스 그룹Cmmm
단위세포a = 23.91 å, b = 7.23 å
c = 14.24 å; V=2,461.66 å3; Z = 1
식별
공식 질량1,538.53 g/190
로즈 레드
수정습관프리즘 고환 결정체, 때로는 복사
클라바주퍼펙트
모스 눈금 경도3~4
루스터유리성
스트릭흰색
발데인성투명
비중2.18
광학 특성비등방성, 이축성
굴절률n = 1.59
플레이오크로이즘x=로즈, y=로즈, z=파란색
기타 특성알칼리성 페그마타이트의 충치 및 골절에서 발견됨
참조[2][3][4][5]

조라이트는 NaTi2(Si,Al)3O9·nHO의2 화학식을 가진 규산염 광물이다.새벽 하늘의 장밋빛 빛깔을 가리키는 러시아어 '조리아(zoria)'의 이름을 따서 분홍색이라 이름 붙여졌다.[5]주로 러시아 코라 반도 로보제로 마시프카르나수르타 산에서 발견된다.[2]로보제로 마시프화성 산맥이 있는 지역으로, 유달리테, 로파라이트, 나트로실리타이트 등 다양한 종류의 광물이 서식하고 있다.

결정학적으로 조라이트는 직교합체군에 속하며, 서로 90°를 형성하는 길이(a hasb 90c)가 같지 않은 3개의 축, a, b, c를 가지고 있다.또한 점군 2/m2/m2/m에 속한다.조라이트의 집적 상태는 매우 높다.조라이트는 {010} 및 {001} 비행기를 따라 완전히 갈라진 반면 {110}[6] 비행기를 따라 갈라진 틈은 빈약하다.조라이트는 비등방성으로, 빛의 속도가 모든 방향에서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그것은 정형외과의 광물이기 때문에 양악군에 속한다.[5]평면 편광 조명 아래에서 조라이트는 빛이 광물과 부딪히는 각도에 따라 다른 색상을 나타낸다.이러한 품질을 플뢰크로이즘(plochroism)이라고 하며, x축을 따라 조라이트를 상승시키고, y축을 따라 무색하게 하며, z축을 따라 푸르스름하게 한다.[7]조라이트의 굴절지수는 1.59로 [8]조라이트를 통과하는 빛의 속도에 대한 진공을 통한 빛의 속도다.조라이트는 규산염 구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연구된다.

2003년에는 러시아에서 발견된 네나드케비치테, 라분트소바이트, 조라이트 등 3개 광물 계열의 대칭성과 위상 분석을 위해 조라이트를 조사하였다.[9]조라이트는 또한 원소를 교체할 때, 예를 들어 나트륨칼륨, 세슘[10], 으로 대체될 때 규산염 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연구되었다.[11]게다가, 희귀성 때문에, 조라이트는 규산염 토폴로지를 이해하는 귀중한 원천일 뿐만 아니라, 그 희소성을 갈망하는 수집가들의 품목 중 하나이다.

참조

  1.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3): 291–320. Bibcode:2021MinM...85..291W. doi:10.1180/mgm.2021.43. S2CID 235729616.
  2. ^ a b 웹미네랄 데이터
  3. ^ 아테나 광물
  4. ^ 광물학 편람
  5. ^ a b c Zorite: Zorite 광물 정보와 데이터.Mindat.org
  6. ^ 플라이셔, M. (1973) 새로운 광물 이름.미국 광물학자 58, 1113-1114.
  7. ^ 조라이트 광물 데이터
  8. ^ 광물 일반 정보 2011년 7월 14일 웨이백 머신보관
  9. ^ 벨로코네바.(2005) 크리스탈로그라피야, 50-1, 19-26 (러시아어)
  10. ^ N.V. Zubkova, D.Yu. 푸쉬차롭스키, G.지스터, I.V. 페코프, A.G. 투르치코바, E.틸먼스, N.V.추카노프(2005) 크리스탈로그라피야, 50-3, 411–417 (러시아어)
  11. ^ N.V. Zubkova, D.Yu. 푸쉬차롭스키, G.지스터, I.V. 페코프, A.G. 투르치코바, E.N.V. Chukanov. (2006) Kristalografiya, 51-3, 413–416 (러시아어)
  • Mer'kov, A.N., Bussen, I.V., Goiko, E.A., Kul'chitskaya, E.A., Men'schov, Yu.P. 그리고 Nedorezova, A.P. (1973) Lovozero Tundra에서 나온 새로운 광물.사피스키 브세로스시이스코고 미네랄로지체스코고 오브슈체스트바, 102, 54-62(러시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