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스마나이트
Zussmanite주스마나이트 | |
---|---|
일반 | |
카테고리 | 필로실리케이트 |
공식 (기존 단위) | K(Fe2+,Mg,Mn)13[AlSi17O42](OH)14 |
IMA 기호 | 주스 |
스트룬츠 분류 | 9.EG.35 |
크리스털 시스템 | 삼각형 |
크리스털 클래스 | 피라미드(3) H-M 기호: (3) |
스페이스 그룹 | R3 |
단위세포 | a = 11.66, c = 28.69 [å], Z = 3 |
식별 | |
색 | 연한 녹색에서 중간 녹색까지 |
수정습관 | 표결정 |
클라바주 | 완벽한 {0001} |
골절 | 미백질 |
고집 | 신축성 |
루스터 | 부균성, 수지성, 기름기성 |
스트릭 | 백색의 |
발데인성 | 반투명 |
비중 | 3.146 |
광학 특성 | 일색(-) |
굴절률 | nω = 1.643 nε = 1.623 |
바이레프링스 | δ = 0.020 |
플레이오크로이즘 | 약함, O = 연녹색, E = 무색 |
참조 | [1][2][3] |
주스마나이트(K(Fe2+,Mg,Mn)[13AlSiO1742](OH)14는 수분이 많은 철분이 풍부한 규산염 광물이다.주스마나이트는 완벽한 갈라짐이 있는 연녹색의 결정체로 발생한다.
발견 및 발생
1960년 스튜어트 올로프 아그렐이 캘리포니아 멘도시노 카운티 레이튼빌 채석장에서 처음 묘사한 것이다.주스마나이트는 맨체스터 대학 지질학부장이자 록-포밍 광물의 공동저자인 잭 주스만(1924년 출생)을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다.레이튼빌 채석장에서 주스마나이트는 프란시스칸 형성의 변성된 셰일즈, 규실성 철석, 불순한 리메스톤에서 발생한다.블루시스트의 변성암들이 발생하는 고기압과 저온의 장소다.이곳은 디어라이트와 하우아이테가 처음 발견된 지역이기도 하다.이런 종류의 지역성은 또한 주스마나이트와 비슷한 구조를 가진 마이카를 생산한다.
주스마나이트가 발생하는 지역성은 초고압에서 고압, 저온 중 하나이다.이러한 바로비아식 변성형은 통상 압력과 온도 범위보다는 P/T 범위로 구별된다(Miyasro et al.,1973)바라비아의 3대 주형은 낮은 P/T형, 중간 P/T형, 높은 P/T형이다.글라우코판 변성술이라고 하는 높은 P/T형은 글라우코판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글라우코판 슈이스트를 형성한다(미야시로 외, 1973년).일반적으로 블루슈티스트-팩키스로 불리는 글라우코판 쉬스트는 기저암의 변성에서 비롯되며 대개 접힌 지오싱클라인 테라네스에 위치한다(Deer, Howie, Zussman et al.,1992)글라우코판 쉬스트는 저온(100~250°C) 고압(4~9kbar) 변성(Deer, Howie, Zussman et al.,1992)이 특징이다.주스마나이트는 일반적으로 스틸프노멜레인과 석영과 함께 발견되며, 보통 크기가 최대 1mm에 이르는 풍부한 포르피로블라스트를 형성한다(Massonne et al., 1998).
구성
블루시스트 페이시스 필로실산염 광물은 해양 지각 암석과 해양-대륙 여유 퇴적물이 수렴 판 경계를 따라 전도된 결과 발생한다.주스마나이트에 대한 이상적인 공식은 칼륨(K)에 나트륨(Na)을 극히 소량으로 대체할 수 있는 KFeSiAlO131742(OH)14이다(Lopes et al.,1969).가능한 철(Fe2+) 대체물은 주로 망간(Mn), 알루미늄(Al), 철3+(Fe3+) 및 티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는 미량 마그네슘(Mg)이다(Lopes et al.,1969).주스마나이트는 캘리포니아 멘도시노 카운티 프란시스칸 형성에서 발견된 두 가지 새로운 광물인 사슴과 하우에이이트와 결합하여 발견되었다.사슴과 하우아이트는 다른 곳에서 발견되었고, 주스마나이트는 이런 종류의 지역에서만 발견되어 드물게 발생하는 광물이 되었다.실험 결과 주스마나이트는 10~30kb의 압력에서 최대 600°C까지 안정적이며, 주스마나이트의 최종 부재는 정형외과페로실라이트, 바이오타이트, 쿼츠인 것으로 밝혀졌다.반응의 예로는 KFe13[AlSi01742](OH)14 (Zussmanite)가 10FeSiO3 (정형포도실라이트) +를 산출한다.1⁄2 KFeSiAlO266220(OH)4 + 4SiO2(쿼터) + 6H02(물) (Dempsey 등, 1981)주스마나이트, 쿰바이트의 망간 아날로그가 뉴질랜드 오타고 쉬스트의 망간 풍부한 규실암에서 발견되었다.
구조
주스마나이트의 우주군 및 세포는 R*3, ahex 11.66 및 chex28.69 앙스트롬이다(Agrell et al., 1965).Zussmanite의 구조는 (0001) (Lopes et al., 1967)에 평행한 Fe-O 팔면체의 연속된 층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양쪽에 (Si,Al)-O 사면체를 부착하여 복면 단위 셀을 생산한다(Lopes et al.,1969).이 층들은 칼륨(K) 원자와 6개 멤버와 옥시겐을 공유하는 3개 멤버의 테트라헤드 링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림 2(Lopes et al.,1967)에 표시된다.주스마나이트의 구조는 안쪽으로 향하는 사면체 사이에 Fe-O 팔면체 층이 있는 삼면체 마이크로와 밀접한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그것은 그것의 Si-O 비율이 9:21로, 공유 계수가 1.83인 반면, 마이카의 2.5와 1.75 그리고 골격 규산염의 1.2와 2.0이기 때문에 마이크로와 다르다. (Lopes et al.,1969)첫 번째 팔면체의 Fe-(O,OH) 평균 거리는 2.1 앙스트롬, 두 번째 팔면체는 2.14 앙스트롬, 세 번째 팔면체는 2.17 앙스트롬이다.주스마나이트의 Si-O 채권의 평균 거리는 첫 번째 4면체의 경우 1.61 앵스트롬, 두 번째 4면체의 경우 1.61 앵스트롬, 세 번째 4면체의 경우 1.65 앵스트롬이다. 표 I에 주어진 데이터(Lopes et al.,1969)이다.6인조 링은 팔면층의 더 큰 치수를 달성하기 위해 회전과 기울기를 사용하는 많은 미카와는 반대로 모든 사면체의 바깥쪽으로 기울임으로써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층에 수직인 팔면층의 평탄화는 공유 및 비공유 가장자리로 인해 주스마나이트에서 발음된다.이러한 평탄화는 공유된 옥시겐이 더 가까이 다가와 다른 인접 철(Fe) 원자의 철(Fe) 원자를 보호하려는 경향 때문일 수 있다.
물리적 성질
주스마나이트는 완벽한 갈라짐이 있는 연녹색의 표결정에서 발생한다.단색성, 약한 플뢰크루틱 및 3.146의 특정 중력인 경향이 있다(Agrell et al.,1965)레이튼빌에서 발견된 다른 종류의 주스마나이트들은 미세한 염기서열 표본으로 후기 변성제품으로 추정된다.완벽한 갈라짐은 (0001)과 평행한 (Fe,Mg)-(O,OH) 옥타헤드라의 연속된 시트의 결과물이다.광학적 특성은 마이크로드릴을 사용하여 극지방 현미경 아래 약 200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얇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었던 사실상 순수한 주스마나이트에서 비롯된다.굴절 지수는 레이튼빌 채석장과 화학적으로 다른 주스마나이트에 대해 애그렐 외 연구진(1965년)과 잘 비교된다(Massonne 외, 1998년).
참조
- Agrell, S.O.; Bown, M.G.; McKie, D. (1965). "Deerite, howieite and zussmanite, three new minerals from the Franciscan of the Laytonville District, Mendocino County, California" (PDF). American Mineralogist. 50: 278.
{{cite journal}}
: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사슴, W.; 하위, R; 주스만, J. (1993)암석 형성 광물의 소개.Pearson Education Limited 출판사 제2판.
- 뎀시, M.J. (1981) 주스마나이트 안정성; 예비 연구.실험용 암염학의 발전.제5권.58-60페이지.
- Lopes-Vieira, A.; Zussman J. (1967).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Mineral Zussmanite" (PDF). Mineralogical Magazine. 36 (278): 292–293. Bibcode:1967MinM...36..292L. doi:10.1180/minmag.1967.036.278.11.
{{cite journal}}
: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Lopes-Vieira, A.; Zussman J. (1969). "Further Detail on the Crystal Structure of Zussmanite" (PDF). Mineralogical Magazine. 37 (285): 28–60. Bibcode:1969MinM...37...49L. doi:10.1180/minmag.1969.037.285.06.
{{cite journal}}
: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마손, H.J. (1998년)남중부 칠레에서 온 강약성 전위물의 주스마나이트.광물학 잡지제62권, 제6권 869-876쪽
- http://www.mindat.org/photo-82023.html.[permanent dead link]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사진 저작권.
- 미야시로 A.(1973년).변태성, 변태성 벨트.런던 앨런 & 언윈, 492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