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로스 (Schroth) 운동치료와 슬링운동치료가 척추측만증 환자의 유연성, 균형능력, 척추각 및 흉곽 확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슈로스 (Schroth) 운동치료와 슬링운동치료가 척추측만증 환자의 유연성, 균형능력, 척추각 및 흉곽 확장에 미치는 효과 비교
1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Received: October 31, 2013 / Revised: November 20, 2013 / Accepted: December 4, 2013
ⓒ 2014 J Korean Soc Phys Med
| Abstract |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atic balance, spine angle, chest
expansion (p<.05). sling group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th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lexibility, static balance, spine
exercise programs for improving the function and structure by angle, chest expansion (p<.05).
applying the Schroth exercise method and sling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he both groups
method to the scoliosis patient. for chest expansion thoracic level inspiratory variables at
METHODS: The subjects were 16 patients who were post-exercise.
diagnosed with scoliosi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CONCLUSION: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wo exercise
either to a Schroth exercise group (n=8) that received Schroth program improved flexibility, static standing balance, spine
exercise program or to a sling exercise group (n=8) that angle, chest expansion level and ability used as scoliosis
received sling exercise program. Flexibility, static balance, management and interven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dynamic balance, and spinal angles were measured by using used as a method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in the
the modified sit and reach test, one leg standing with closed process of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coliosis.
eyes, functional reach test, and Cobb’s angle, respectively.
The chest expansion were calculated using differences of Key Words: Scoliosis, Schroth exercise, Sling exercise,
chest circumference between maximum inspiration and Flexibility, Balance, Chest expansion.
maximum expiration measured under armpits, at the junction
between the sternum and xiphoid process, and at the waist.
RESULT: Schroth group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수집된 자료의 처리와 분석은 컴퓨터용 통계프로그 Sling (n=8) 2.50±16.28 5.74±15.38 3.24±2.05 .011
p .862 .995 .171
램인 윈도우용 SPSS ver. 18.0을 이용하였다. 각 측정
aMean(cm)±SD,
항목과 변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각 군의 Diff: Difference value
운동 전후의 측정변수들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
모수검정법인 윌콕슨(Wilcoxon) 검정을, 측정시점별
2. 두 군의 중재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정적 균형능력
각 군간에 측정치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맨위트
변화
니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다. 모든 검
운동중재프로그램의 적용 전후에 각 군의 정적 균형
정에 통계적 유의수준은 ɑ=.05로 정하였다.
능력 변화를 분석한 결과, 슈로스운동군에서 왼발서기
16 | 대한물리의학회지 제9권 제1호
검사와 오른발서기 검사 시 모두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Table 5. Spine angle to change before and after exercise
(p<.05). 슬링운동군에서도 왼발서기 검사와 오른발 서 Groups Pre Post Diff. p
기 검사 시 모두 정적 균형능력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Schroth (n=8) 19.52±9.31a 13.95±8.73 -5.57±3.97 .012
(p<.05). 두 군간에 중재 전후에 변화량의 차이는 두 Sling (n=8) 21.55±9.35 19.00±9.01 -2.56±2.65 .028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3). p .669 .275 .074
aMean(degree)±SD, Diff: Difference value
3. 두 군의 중재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동적 균형능력
변화 5. 두 군의 중재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흉곽확장 수준
중재운동프로그램의 적용 전후에 두 군의 동적 균형 및 흉곽확장 능력의 변화
능력에 변화를 분석하였다. 슈로스운동군과 슬링운동 중재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전후에 흉곽확장 수준
군 모두 중재 후에 동적 균형능력에 차이가 없었으며, 은 액와부에서는 슈로스운동군이 중재 전후에 흡기와
중재 전후의 차이값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호기 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슬링운동군
(Table 4). 에서는 호기 시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러
나 중재 전후의 차이값은 호기와 흡기 시에 모두 두
Table 4. Dynamic balance to change before and after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xercise
흉위 부위에서 중재 전후에 흉곽확장 수준의 차이는
Groups Pre Post Diff. p 슈로스운동군은 흡기 시에, 슬링운동군은 호기 시에서
Schroth (n=8) 20.03±6.66a 22.41±4.80 2.38±5.03 .161 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재 전후간에 흉곽확장 수
Sling (n=8) 22.88±7.47 24.86±8.19 1.99±4.20 .326
준의 차이값은 흡기에서만 슈로스운동군이 슬링운동
p .435 .476 .600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호기 시에는
aMean(cm)±SD, Diff: Difference value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복위 부위에서는 슈로스운동군이 중재 전후에 호기
4. 두 군의 중재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척추각 변화
와 흡기 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슬링운동
중재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전후에 두 군의 척추각
군은 호기 시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Table 6).
에 변화를 분석한 결과, 슈로스운동군과 슬링운동군
중재 전후간에 차이값은 복위 부위에서 두 군간에 유의
모두 중재 전후에 척추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한 차이가 없었다.
(p<.05). 그러나 두 군의 중재전후에 차이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5).
슈로스(Schroth)운동치료와 슬링운동치료가 척추측만증 환자의 유연성, 균형능력, 척추각 및 흉곽 확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17
가능해서 국소운동으로 약화된 근육을 강화하고 전신 뱉어내며 하복부를 내상방으로 끌어당기고 괄약근을
운동으로 좌우의 근육을 모두 사용한 것이 척추각을 조이며 배꼽방향으로 끌어 올리면서 운동한 것이 흉곽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생각된다. 의 액와위 호기, 흉위 호기, 복위 호기를 증가시킨 것이
척추측만증에 의한 측방으로의 만곡은 흉곽과 폐의 라 생각된다. Shim 등(2002)의 연구에서는 흉부유연성
성장을 방해하고 호흡근의 약화를 초래하여 심폐기능 운동을 통해 액와위와 흉위의 변화는 나이와 통계학적
을 저하시킨다(Lonstein 등, 1994). 또한 흉곽변형은 폐 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나 나이가 작을수록 복위
용적을 감소시키고 탄성저항(elastic resistance)을 증가 호전율에서는 큰 향상을 보인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
시켜 호흡용량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폐포저호흡과 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적용하는 운동
폐환기관류장애 및 폐확장장애에 의한 저산소혈증을 방법에 따라 측만증 환자의 흉곽움직임수준의 변화가
유발한다. 이는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과탄산혈증 및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폐용적 감소에 따른 폐혈관압박으로 생긴 폐동맥 고혈 따라서 슈로스운동과 슬링운동 모두 척추측만증 환
압 때문에 심폐부전을 일으킨다고 하였으며(Bergofsky, 자에게 긍정적인 도움이 되지만, 치료방향 설정에 따라
1979; Bergofsky 등, 1959), 척추각과 폐활량은 상관관계 균형능력, 척추각, 흡기능력의 향상과 흉곽확장능력을
를 보인다고 하였다(Kim 등, 1984) 향상하기 위한 운동접근 시에는 슈로스운동방법을 적
인간은 호흡 시 흉곽의 움직임은 척추뼈와 늑골의 용하고, 유연성, 균형능력, 척추각, 호기 능력과 흉곽확
움직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여러 관 장능력 향상을 위한 운동접근 시에는 슬링운동방법을
절들이 이와 관련되어 움직임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에서 슈로스운동과 슬링운동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흉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자가 많지 않아 모든 대상자
곽확장능력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흉곽확장 수 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겠다. 그러나 측만증
준은 흉위부위에서의 흡기가 두 군간에 차이가 있었다. 환자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의 계획 및 방향을 설정하고
그리고 군내 전후 비교에서 슈로스운동을 적용한 군에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
서는 액와위의 흡기와 호기, 흉위 흡기, 복위의 흡기와 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이 연구에서 대조군을 설정하
호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슬링운동군 지 않아 실질적인 두 운동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
에서는 액와위 호기, 흉위 호기, 복위 호기에서만 유의 하는데 다소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슈로스운동 대조군 설정을 포함한 더 많은 수의 대상자들에게 다양
시에는 슈로스 호흡방법인 회전호흡을 통해 흉곽을 최 한 운동프로그램방법과 운동프로그램 중재와 함께 가
대한 확장 시키는 방법을 그리고 슬링운동프로그램 시 정운동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측만증 환자의 척추측
에는 깊은 호흡을 통해 복식호흡하며 심부근을 수축시 만각도와 관련된 기능적 요소들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
키고 최대 호기를 유도하는 각 운동방법간의 차이로 요하다고 생각된다.
인한 결과라고 예상된다. 회전호흡은 3차원적인 관점
에서 보는 측만증의 뒤틀어진 흉곽에 대해 일반적인
호흡은 흡기 시 늑골의 회전을 더욱 증가시키므로 이와 Ⅴ. 결 론
정반대의 회전호흡을 수행함으로써 횡격막이나 호흡
근육의 정상화를 도운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슈로스운 본 연구는 척추측만증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슈로스
동은 모두 흉곽을 최대한 확장한 후 유지하는 방법 위주 운동치료(n=8)와 슬링운동치료(n=8)를 각각 실시하고,
라서 흉곽의 액와위 흡기, 흉위 흡기, 복위 흡기가 증가 중재 전후에 척추의 유연성과 정적균형능력, 동적균형
한 것으로 생각되고, 반면에 슬링운동프로그램에서는 능력, 척추각 그리고 흉곽확장 능력에 어떤 영향을 주
심부근 수축 시에 복식호흡을 이용하여 최대한 호흡을 는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재운동 프로그램은 8주간
20 | 대한물리의학회지 제9권 제1호
<부록>
슈로스 운동방법 내 용
1) 슈로스 호흡운동(Schroth breathing Ex.)
체중 부하 상태에서 숨을 들이 쉰 후 흉곽 크기 유지하면서 “쓰∼”하면서 호흡을 뱉
어낸다.
치료사는 흉곽을 잡아주고, 숨 들이 쉴 때 어깨 쓰지 않도록 한다.
3) Hump de-rotation
누운자세에서 다리는 어깨 넓이로 세운다. 치료사는 봉우리(hump) 반대편으로 가서
“쓰∼”하고 내뱉을 때 직접적으로 손을 대서 들어올린다.
4) Muscle cylinder
요추부의 커브와 튀어나온 골반을 잡아주며 약해진 요방형근을 강화해주는 운동으로
봉우리가 있는 쪽 발을 사다리 바 위에 올리고 봉우리가 없는 쪽 손으로 막대를 잡고
적용한다.
5) Rolling cradle
흉추부의 후만이 잘 만들어지지 않을 때 적용하는 운동으로 다리 사이로 양팔을 넣은
후 뒤로 누웠다가 일어나며 구르기 동작을 만들어주며 적용한다.
6) Hanging Ex
등쪽 근육을 스트레칭 해 주면서 복부를 강화해주는 동작으로 사다리 바를 양손으로
잡은 후 다리를 들어 올려준다.
슬링 운동방법 내 용
1) 누운 자세에서 심부근 수축하기
무릎을 구부리고 골반과 요추를 중립 위치에 오도록 한다. 깊은 호흡을 편
하게 하며 하복부를 내상방으로 끌어당긴다. 심부근을 수축하면서 최대한
호흡을 내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