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엥구스 1세

Óengus I
오엥구스 막 페르구사
성 안드레스 석관에서 사자를 죽이는 모습을 보여준 구약성경 다윗 왕의 모습은 오엥구스 왕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 인물은 고대 후기의 로마 황제 복장을 하고 있으며 라벤나비탈레모자이크에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피불라와 같은 피불라를 착용하고 있습니다.[1][2][3]
킹 오브 더 픽츠
재위732–761
전임자데르-일레의 아들 네흐탄
후계자브라이디맥 퍼거스
죽은c. 761
매장
쟁점.브라이디
탈오르간
하우스.오엥구스

페르구스의 아들 오엥구스(사진: *오누이스트버귀스트;[note 1] 고대 아일랜드어: 오엥구스페르구스, lit. '페르구스의 아들', 761년 사망)는 732년부터 761년 사망할 때까지 픽트 가문의 왕이었습니다. 그의 치세는 다양한 출처에서 자세히 재구성될 수 있습니다. 그가 해안에서 해안으로 얻은 전례 없는 영토적 이익과 그가 남긴 유산은 오엥구스가 스코틀랜드가 될 첫 번째 왕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쟁자들로부터 권력을 빼앗은 오엥구스는 720년대 말 내전 이후 픽트랜드의 최고 왕이 되었습니다.

20년 이상 동안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강력한 통치자였던 오엥구스 가문의 왕들은 한 세기 동안 픽트랜드를 지배했고, 839년 바이킹의 손에 패배할 때까지 새로운 불안정의 시기가 시작되었고, 그로 인해 또 다른 픽트 왕조인 키나에드 아이핀이 권력을 잡게 되었습니다.[5][6]

출처 및 배경

이 시기에 남아있는 픽트어 자료들은 왕 목록에 한정된 소수이며, 그 원본은 720년대 초에 준비되었으며,[7] 당시에는 첸리그모네이드(Cennrígmonaid)라고 불렸던 세인트 앤드류스의 설립과 관련된 많은 설명들이 있습니다.[8] 픽트랜드를 넘어 아일랜드의 실록이 주요 자료이며, 그 중 얼스터 실록티거나흐 실록이 가장 신뢰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스코틀랜드의 이오나 수도원에 보관된 연감의 자료가 포함됩니다.[9] 오엥구스와 픽트인들은 아날레스 [11]캄브리아기와 같은 웨일스의 [10]자료들에서 가끔 등장하며, 노섬브리아의 자료들에서 더 자주 등장하는데, 그 중 베데의 연대기와[12] 더럼의 시메온에 기인한 히스토리아 레굼 앵글로룸의 지속이 [13]가장 중요합니다.

map showing 8th-century Scotland
서기 740년경 북부 브리튼에서 선택된 정치 집단

픽트족은 8세기 초 영국 북부의 4개 정치 단체 중 하나였습니다.[14] 픽트랜드는 북쪽으로 오크니, 셰틀랜드, 웨스턴 아일랜드를 포함한 포스 강에서 달렸습니다. 바이킹 시대 이전에 픽트랜드의 주요 세력은 포트리우 왕국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15] 포트리우의 유명한 유적지로는 인버네스Burghead[16] Craig Phadraig가 있습니다.[17] 픽트랜드는 로즈마키에 자신의 자리를 가진 주교가 단 한 명뿐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18][19][note 2]

포스 남쪽에서 험버 강까지 노섬브리아 왕국이 있었습니다.[24] 한때 영국의 지배적인 세력이었지만, 729년 오스릭이 사망하면서 옛 왕가의 종말은 왕위를 둘러싼 경쟁 가문들 간의 갈등으로 이어졌습니다.[25] 남쪽으로 갈수록 커가는 메르시아 왕국의 힘은 노섬브리아 왕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가중시켰습니다.[26] 오엥구스의 통치 기간 동안 노섬브리아는 에드베르흐트 이팅 왕에 의해 통치되었습니다.[27][note 3]

픽트랜드의 남서쪽에는 달[30] 리아타의 갈레스가 위치해 있었는데, 이곳에서는 북부 아가일의 세넬 로에른킨타이어의 세넬 가브라인 사이에 왕권 분쟁이 있었습니다.[31][32] 723년 셀바흐페르체르는 726년에 세넬 가브라인의 에오카이드에흐다흐에 의해 달 리아타의 왕으로 쫓겨난 아들 둔갈을 위해 세넬 로에른의 수장이자 달 리아타의 왕으로 퇴위했습니다.[33] 던갈과 어카이드는 731년까지도 분쟁이 계속되고 있었는데, 던갈은 타르베르트를 불태웠습니다.[34]

나중에 스트라스클라이드 왕국이 된 알트 클루트브리튼인 네 번째 집단의 역사는 기록에 거의 흔적을 남기지 않습니다.[35] 테우데부르 지도 벨리 왕은 722년부터 덤바튼 바위를 통치했고, 752년 그의 아들 덤바튼이 그의 뒤를 이을 때까지 그것을 계속했습니다.[36][note 4]

권좌에 오르다

Diagrammatic of Óengus's family tree
오엥구스 1세의 가족 관계

중세 초기 아일랜드의 족보에 따르면 오엥구스는 마그 거긴드의 에오가나흐타의 후손이며, 그들은 차례로 먼스터에오가나흐타의 후손이며, 둘 다 카이르프레 크루스네차인 또는 "작은 픽트의 케르브레"의 후손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여기서의 족보는 오엥구스와 당시 먼스터의 왕이자 아일랜드의 가장 중요한 왕이었던 카달 사이의 동맹을 지지하는 선전물로 발명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38] 마그 제르긴드의 에오가나흐타는 일반적으로 현대 앵거스미언즈에 위치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39][40][note 5] 오엥구스(Oengus) 또는 우누스트(Unuist) 또는 오누스트(Onuist)라고도 불리는 오엥구스(Oengus)는 픽트어로 부르귀스트(Vurguist) 또는 현대 영어로 페르구스(Fergus)[42]의 아들입니다.

따라서 오엥구스는 [43]미아른인 픽티쉬 서클린 출신으로 보이며,[44] 아마도 그곳에 정착한 베르투리아인 계통에서 태어났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가 경쟁자인 알핀(또는 픽티쉬 엘핀)을 전투에서 물리치고 처음으로 기록에 등장하는 곳은 퍼스 근처의 몽크리프 언덕에 있는 비교적 가까운 곳입니다.[45] 아일랜드 연보가 그의 친척을 '에오가나흐타'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은 그가 게일어의 영국 동족인 잘 알려지지 않은 '뷰엔'(또는 웬)의 후손임을 암시합니다.[46]

오엥구스의 젊은 시절 대부분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역사에 입문했을 때 중년이었습니다.[47] 그의 가까운 친척으로는 적어도 두 아들인 브라이디(736년 사망)와 탈로간(782년 사망), 그리고 두 형제인 탈로간(750년 사망)과 브라이디(763년 사망)가 있었습니다.[48][note 6]

724년[51] 데르-일레이의 아들 네흐탄 왕은 퇴위하여 수도원에 들어갔고 726년 그의 후계자 드레스트에 의해 투옥되었습니다.[52] 728년과 729년 픽트랜드에서 네 명의 왕들이 권력을 놓고 경쟁했습니다.[53] 드레스트, 네흐탄, 알핀, 그리고 네흐탄의 빨치산이었던 오엥구스,[54][47] 그리고 아마도 그의 인정된 후계자였을 것입니다.[52]

728년과 729년에는 아일랜드에서 기록될 만큼 큰 네 번의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알핀은 오엥구스에게 두 번이나 패배했고, 그 후 네흐탄은 권력을 되찾았습니다. 729년, 오엥구스 지지자들과 네흐탄의 적들 사이의 전투가 오엥구스 지지자들이 승리한 모니스 카르노(Monith Carno, 전통적으로 페테르케른 근처의 케른산)에서 벌어졌습니다.[55] 네크탄은 왕권으로 회복되었고, 아마도 732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그럴 것입니다.[56] 729년 8월 12일, 오엥구스는 드루임 데르그 블라투그 전투에서 드레스트를 격파하고 전사했습니다.[55][57]

달 리아타 천공

Map showing Dál Riata
달 리아타의 대략적인 면적을 보여주는 영국 북부와 아일랜드의 위성사진( 음영처리)

730년대에 오엥구스는 아일랜드의 전통적인 지배자이자 보호자인 세넬 코나일(Cenél Conaill)[58]이 훨씬 약화된 달 리아타(Dal Riata)와 싸웠습니다.[59] 달 리아타에서 온 함대는 세넬 코날의 추장인 플라이트베르타흐 로잉시그를 위해 세넬 외간아드 알란과의 전쟁에서 싸웠고 733년에 큰 손실을 입었습니다.[47][60] 달 리아타는 733년에 사망한 세넬 가브라인의[61] 것으로 추정되는 에오카이드 막 에흐다흐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왕 목록은 누가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는지에 대해서는 불분명합니다.[62] 북쪽 아가일의 세넬 로에른은 726년 달 리아타의 왕으로 폐위한 뒤날 막 셀바이그가 통치했습니다.[62]

오엥구스의 아들 브라이디가 이끄는 픽트족과 탈오르간 막 콩구사가 이끄는 달 리아타족 사이의 전투는 731년에 기록되어 있습니다.[63] 733년, 던갈 막 셀바이그는 "토리섬에서 브라이디를 끌어냈을 때 그 성역을 두려워했습니다."[62] 이전에 달 리아타의 왕으로 폐위된 던갈은 세넬 로에른의[64] 왕으로 실각되었고 그의 사촌 무이레아흐아인셀라이그로 대체되었습니다.[65]

734년에 탈로간 맥 콩구사는 그의 형에 의해 픽트족에게 넘겨졌고 픽트족에 의해 익사했습니다. 드레스탄아들 탈로르칸은 던 올라이 근처에서 붙잡혔습니다. 그는 아톨의 왕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739년 오엥구스의 명령으로 익사했습니다.[66][note 7] 던갈도 올해의 목표였습니다. 그는 부상을 입었고, 신원을 알 수 없는 던 레이스핀 요새가 파괴되었으며, 그는 오엥구스의 힘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일랜드로 도망쳤습니다.[68]

연보에는 오엥구스가 736년 달 리아타를 상대로 벌인 두 번째 원정이 기록되어 있습니다.[62] 아일랜드에서 돌아온 던갈과 그의 형 페라닥은 붙잡혀 사슬에 묶였습니다.[69] 크레익과 두나드 요새가 함락되어 불에 탔습니다.[69] 센엘 로에른의 뮤레이다흐는 오엔구스의 형 탈로르간 막 페르구사에게 큰 패배를 당하며 이상 성공하지 못했습니다.[70][71] 741년 달 리아타가 다시 패배한 것은 "미팅"으로 알려진 마지막 전투였습니다.[72] 이 달 리아타는 한 세대 동안 기록에서 사라집니다.[73][74][75]

오엥구스는 아일랜드 전쟁에 참여했을 수도 있고, 아이드 알란과 싸웠을 도 있고,[76] 카달 막 핑귀네의 동맹으로서 그에 대항했을 수도 있습니다.[77] 그러나 그가 연루된 전모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733년 도네갈의 북서 해안에 있는 토리 섬에 오엥구스의 아들 브라이디가 있으며, 이 섬은 아에드 알란의 적 플라이스타흐 막 로잉시그의 땅과 가깝습니다.[78] 아일랜드단편적인 실록은 733년에 포트리우에서 온 픽트인 함대가 플라이스베르타흐를 위해 싸우는 것을 그에게 대항하는 것이 아니라 보고하고 있습니다.[47][79][note 8]

알트 클루트, 노섬브리아, 머시아

740년, 픽트족과 노섬브리아족 사이에 전쟁이 일어났다는 보고가 있는데, 그 기간 동안 머시아의 왕 æ델발트는 노섬브리아의 에드베르흐트가 없는 틈을 타 그의 땅을 황폐화시키고, 아마도 요크를 불태웠을 것입니다. 전쟁의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에드베르흐의 명령에 따라 이드울프[84] 아들 에른와인을 살해한 것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에른와인의 아버지는 705년에서 706년의 내전에서 패배한 후 북쪽으로 망명한 것으로 보이며, 오엥구스나 æ델발트, 혹은 둘 다가 그를 노섬브리아 왕위에 올려놓으려고 했을 것입니다.

Colour photo of an 8th-century church
에스콤 교회, 더럼 카운티. 네크탄을 위해 지어진 석조 교회들과 아마도 오엥구스의 세인트 앤드류스 교회도 비슷한 것으로 추정됩니다.[90]

픽트족과 알트 클루트의 브리튼인들 사이의 전투는 744년에[91], 그리고 카일이 알트 클루트에서 노섬브리아의 에드버트에 의해 750년에 다시 기록됩니다. 영국과 픽트족 사이의 750년 전투는 모체토크(Mocetauc, 아마도 밀가비 근처 머그독)[92]라는 곳에서 오엔구스의 동생 탈로간 막 페르구사(Talorgan mac Fergusa)가 살해되었다고 전해집니다.[93][94][48] 750년 패배 이후, 얼스터 실록에는 "외에구스의 주권이 약화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95][96] 이것은 달 리아타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에오카이드 막 에흐다흐의 아들인 아에드 핀드가 권력을 잡았고, 오엥구스의 통치권에 대한 그의 거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97][98]

740년에서 750년 사이에 오엥구스, 에드베르흐, æ델발트 사이의 관계에 대한 많은 해석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출처가 부족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으로는 불분명합니다. 한 가지 제안은 오엥구스와 æ델발트가 에이드베르에 대항하거나 심지어 오엥구스가 험버강 북쪽과 험버강 남쪽의 æ델발트에 공물을 모으는 공동 통치권을 행사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주로 더럼의 히스토리아 레검 앵글로룸의 시메온에 있는 혼란스러운 구절에 근거하며, 최근에는 프랭크 스텐턴이 제공한 텍스트 오류에 근거한 해석과 오엥구스와 æ델발트가 어떤 종류의 공동 통치 관계에도 관련이 없다는 해석이 올바른 해석이라고 제안되었습니다.

756년, 오엥구스는 노섬브리아의 에드베르흐트와 함께 선거운동을 벌였습니다.[103] 캠페인은 다음과 같이 보고됩니다.[104][105]

주님의 화신 756년, 재위 18년, 에드베르흐 왕과 픽트의 왕 우누스는 군대를 이끌고 덤바튼 마을로 향했습니다. 그래서 영국인들은 8월 첫째 날에 그곳에서 조건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러나 같은 달 열째 날에, 오와니아에서 니완비리그까지 그가 이끌었던 군대는 거의 모두 죽고 말았습니다.[104][105]

오아니아가 고반이라는 것은 지금은 상당히 확실하지만,[106][107] 뉴난비리그의 위치는 더 적습니다.[108] 헥섬 근처의 뉴버그 온 타인이 제안되었습니다.[88] 756년의 사건에 대한 대안적인 해석이 진보되었습니다: 그것은 머시아 왕국의 리치필드뉴버러와 동일시합니다. æ델발트의 머시아인들이 에드베르흐트와 오엥구스를 여기서 패배시킨 것은, 페르구스의 아들 오엥구스라는 왕이 머시아에서 패배한 후 그를 구해준 성 안드레에게 감사의 의미로 그곳에 교회를 세웠다는 주장과 일치합니다. 마조리 앤더슨(Marjorie Anderson)은 세인트 앤드류스 재단의 전설의 이 버전을 지지합니다.[110]

성 안드레 컬트

Colour photograph of the sarcophagus
세인트앤드루스 석관

원래 센트리그모네이드였던 세인트 앤드류스의 건국 이야기는 동시대가 아니며 전설을 담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111][112] 아일랜드의 연보는 747년에 신라이 모나의 수도원장 투아탈란이 사망했다고 전하고 있는데,[113] 그 이전에 성 앤드루스가 오엔구스에 의해 세워졌을 것이며, 데어 일라이의 아들 네흐탄에 의해 세워졌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114][13][115][note 9] 일반적으로 성 안드레스 석관은 오엥구스의 명령에 따라 처형된 것으로 추정됩니다.[54][117] 후대에 이 왕 오엥구스와 같은 이름의 9세기 을 혼동했을지도 모릅니다.[118][119] 모델로 데이비드를 선택한 것은, 알렉스 울프가 제안하기에 적절한 모델입니다. 데이비드 역시 유색인종이었기 때문입니다.[120]

안드레 숭배는 네흐탄이 [122]총애한 베드로 숭배와,[121] 특히 성 안드레에게 바쳐진 헥섬의 수도원에서 노섬브리아에서 픽트랜드로 왔을지도 모릅니다. 노섬브리아 교회와의 이러한 명백한 연관성은 기록을 남겼을 수도 있습니다. 오엥구스는 그의 후계자이자 잠재적인 친척인 카우스탄틴[123] 오간과 마찬가지로 [124][125]더럼과 관련된 종교 기관에서 기도를 올린 약 3000명의 후원자들의 목록인 "두넬멘시스의 자유"(Liber Vitae Ecclesiae Dunelmensis)에 주요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사이먼 테일러(Simon Taylor)는 이 컬트가 11세기 이전에 존재했다는 "절대적인 증거는 없다"고 주장합니다.[126]

죽음과 유산

오엥구스는 761년에 사망했고, 70세 이상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127] 그의 죽음은 노섬브리아에 있는 베데의 연속자를 제외하고는, 달 리아타의 소식통에 의존한 것으로 추정되는 연보론자들에 의해 일반적인 간략한 스타일로 전해집니다.[128][129][87] 그의 통치 초기부터 끝까지 그는 폭압적으로 학살된 것처럼 피비린내 나는 범죄를 저질렀습니다."[126] 픽티시 크로니클 왕 목록에는 그가 그의 형 브라이디의 뒤를 이었다고 나와 있습니다.[130] 그의 아들 탈로르간 또한 나중에 왕이 되었고,[103][48] 780년경부터 782년 사망할 때까지 통치했습니다. 탈로간은 아버지의 죽음 직후까지는 아니더라도 왕이 된 것으로 알려진 픽트족 왕의 첫째 아들입니다.[131][132]

다음과 같은 9세기 아일랜드의 랭스터의 찬미시는 오엥구스와 관련이 있습니다.[40]

오엥거스가 알바를 데려간 좋은 날입니다
튼튼한 머리를 가진 언덕위의 알바;
그는 성벽이 있는 성읍들에 전투를 일으켰고,
발로, 손으로, 넓은 방패로.[40]

오엥구스에 대한 평가는 문제가 있습니다. 연보 자료가 다음 세대에 스코틀랜드에 대한 정보를 거의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133] 그의 명백한 아일랜드적 연관성은 스코틀랜드 동부의 게일릭화가 키나에드 막 아일핀 시대에 시작되었다는 생각에 이의를 제기하는 긴 논쟁 목록에 추가됩니다. 실제로 이 과정이 오엥구스의 통치 이전에 시작되었다고 믿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습니다.[134][note 10] 839년 오간 막 오엥구사가 사망할 때까지 많은 픽트인 왕들은 오엥구사 가문, 특히 페르구스, 카우스탄틴, 오엥구사의 9세기 아들들에 속합니다.[120][137][note 11]

역사학자들은 오엥구스의 결정적인 군사적 승리에 주목했습니다. 특히 광범위한 지리적 지역과 세인트 앤드루스의 문화적 후원[140][117],[139] 종교적 기반에 걸쳐 있기 때문입니다.[97] 역사학자 키스 콜먼(Keith Coleman)은 오엥거스를 "유난히 강력한" 픽티시 왕으로 묘사한 [141]반면, 머레이 피톡(Murray Pittock)은 "포스 북쪽에 있는 스코틀랜드의 모든 스코티시"를 자신의 전임자들보다 더 성공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함으로써 "미래의 통일된 스코틀랜드 왕국을 예고한다"고 주장했습니다.[142] 그의 더 넓은 가문 출신의 왕들은 839년 오엥구스의 증손자이자 "거의 숫자가 없는" 사람들이 살해된 바이킹의 손에 대패할 때까지 픽트족을 계속 통치했습니다.[143] 그 후 842년 케네스 1세 또는 시나에드 막 알핀(케네스 맥칼피네)이 즉위할 때까지 수많은 왕들이 짧고 빠르게 연속적으로 통치했습니다.[144] 오엥구스가 연합된 스코틀랜드에 대한 통치를 예고했을 수도 있지만, 피톡은 "전통적으로" 스코틀랜드의 첫 번째 왕이 발견된 것은 케네스 1세에 있다고 주장합니다.[142]

메모들

  1. ^ Katherine Forsyth는 Oengus의 이름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또한 Ungus(t)를 대안적인 픽토어 형태로 제공합니다.[4]
  2. ^ 8세기 초의 주교로는 쿠레탄,[19] 페르구스[20], 브레치 등이 있습니다.[21][22][23] 북 브리튼에 대한 설문조사는 D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 하딩, 영국 북부의 철기시대: 켈트와 로마인, 원주민과 침략자(2004), 레슬리 알콕(2003), 킹과 워리어스, 장인과 성직자(2003).
  3. ^ 노섬브리아에 대한 조사는 데이비드 롤슨과[28]하이암의 조사를 포함합니다.[29]
  4. ^ 아날레스 캄브리아에 s.a. 754.1.에 기록된 "영국인의 왕 로트리"는 때때로 알트 클루트의 왕으로 확인되기도 하지만, 이 통지서는 귀네드의 왕인 로드리 몰윈오갑 이드왈을 언급합니다.[37]
  5. ^ 족보는 롤린슨 B 502 원고, 1083에 등장합니다.[41]
  6. ^ 바바라 요크(Barbara Yorke)는 후기 픽션 왕들 사이의 재구성된 관계를 분석했습니다.[49] 탈로간(Talorgan)은 탈로그(Talorg)의 하이포코릭(hypocoric) 형태입니다.[50]
  7. ^ 탈로간은 네크탄과 친척 관계였고, 713년에 그의 형이라고 불렸는데, 이것은 이복형제, 수양형제, 또는 매형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67]
  8. ^ 대부분의 아일랜드 연보들은 Flaithbertach가 Dall Riata에서 온 함대의 지원을 받았다고 말합니다.[80][81]
  9. ^ 바바라 요크(Barbara Yorke)의 가장 최근 연구는 "Oengus"를 선호합니다.[116]
  10. ^ 데르-일레이의 아들 네흐탄과 그의 형제 브라이디는 게일계 아버지인 세넬 콤게일다르가르트핑귀네를 두었다고 여겨집니다.[135][136]
  11. ^ 그러나 Bannerman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합니다;[138] Yorke는 다양한 접근 방식을 비교했습니다.[49]

참고문헌

  1. ^ 찰스 에드워즈 2000.
  2. ^ 요크 2006, 236-237쪽.
  3. ^ Henderson 1998, 105–107쪽.
  4. ^ 2000년을 맞아요.
  5. ^ "First king of the Scots? Actually he was a Pict The Scotsman". Retrieved 8 August 2023.
  6. ^ 알렉스 울프, 픽트랜드에서 알바까지, 789-1070
  7. ^ 앤더슨 1980, 88-102쪽.
  8. ^ Pool 2013, pp. 193–194.
  9. ^ Simms 2009, pp. 21–23, 30.
  10. ^ 채드윅 1949, 33쪽
  11. ^ 클락슨 2012, 페이지 XX.
  12. ^ a b Charles-Edwards 2013, 페이지 434.
  13. ^ a b 2000년 9월 21-22쪽.
  14. ^ 보조금 2000, 페이지 48.
  15. ^ 울프 2007a, 63쪽.
  16. ^ 프레이저 2009, 페이지 51.
  17. ^ 포스터 2004, 페이지 61.
  18. ^ 요크 2006, 274쪽
  19. ^ a b Smyth 1989, p. 274.
  20. ^ 프레이저 2009, 336쪽.
  21. ^ 칼리즈 2002, 페이지 184.
  22. ^ 앤더슨 1990, 221쪽
  23. ^ 요크 2006, 153-155쪽.
  24. ^ 해커 2005, 464쪽.
  25. ^ 베닝 2013, 48쪽.
  26. ^ Cannon & Crowcroft 1997, 페이지 338.
  27. ^ 2004년에.
  28. ^ 롤슨 2003.
  29. ^ 하이암 1993.
  30. ^ 보이드 2016.
  31. ^ 맥도날드 1978, 11쪽.
  32. ^ 린치 1992, 19쪽.
  33. ^ 프레이저 2009, 페이지 284, 293.
  34. ^ 앤더슨 1980, 181~184쪽.
  35. ^ 프레이저 2009, 313쪽.
  36. ^ 앤더슨 1990, 페이지 240–241, 243.
  37. ^ 프레이저 2009, 314쪽.
  38. ^ 제임스 E. 프레이저, 칼레도니아에서 픽틀랜드까지 795페이지, 296-7페이지
  39. ^ 프레이저 2009, 페이지 289.
  40. ^ a b c 2000년 9월 27~28일.
  41. ^ 깁슨 2012, 페이지 41.
  42. ^ Brown & Stevenson 2017, 페이지 353.
  43. ^ Marsden 2010, 54쪽.
  44. ^ 프레이저 2009, 290쪽.
  45. ^ Clarkson 2010, 151-152쪽.
  46. ^ 프레이저 2009, 페이지 290, 326
  47. ^ a b c d 2005년 모직, 36쪽.
  48. ^ a b c 앤더슨 2004b.
  49. ^ a b York 2006, pp. 49–50, 54 & 288–289.
  50. ^ 앤더슨 1990, 페이지 253, 노트 2.
  51. ^ 요크 2006, 165쪽.
  52. ^ a b 앤더슨 2004c
  53. ^ 앤더슨 1990, 221-227쪽.
  54. ^ a b Henderson 1998, 155-156쪽.
  55. ^ a b Charles-Edwards 2006, 202쪽.
  56. ^ 울프 2006a.
  57. ^ Fraser 2009, pp. 291–293.
  58. ^ Bardon 2005, 17쪽.
  59. ^ 버터 2010, 37쪽.
  60. ^ 앤더슨 1990, 229-230쪽.
  61. ^ 2013년 울프, 260쪽.
  62. ^ a b c d 앤더슨 2004d
  63. ^ Fraser 2009, pp. 293–294.
  64. ^ 프레이저 2009, 페이지 298–300.
  65. ^ 앤더슨 1990, 227-229쪽.
  66. ^ 프레이저 2009, 페이지 298.
  67. ^ 앤더슨 1990, 페이지 214, 236
  68. ^ 앤더슨 1990, 232쪽
  69. ^ a b 프레이저 2009, 301쪽.
  70. ^ 프레이저 2009, pp. 300–301.
  71. ^ 앤더슨 1980, 185쪽
  72. ^ 프레이저 2009, 325-326쪽.
  73. ^ 앤더슨 1990, pp. 182, 232–238.
  74. ^ 울프 2005, 36-37쪽.
  75. ^ 앤더슨 1980, pp. 184–186.
  76. ^ 2000년대, 140쪽.
  77. ^ 울프 2007b.
  78. ^ Charles-Edwards 2004, 페이지 573.
  79. ^ 앤더슨 1990, 227-228쪽.
  80. ^ 알콕 2003, 페이지 129.
  81. ^ 콜맨 2022, 페이지 xxv.
  82. ^ 켈리 2004.
  83. ^ 앤더슨 1908, 55-56쪽.
  84. ^ 커비 1991, 126쪽.
  85. ^ 윌리엄스, 스미스 & 커비 1991, 116쪽.
  86. ^ 프레이저 2009, 310쪽.
  87. ^ a b 2005년 모직, 37쪽.
  88. ^ a b 커비 1991, 페이지 150.
  89. ^ 요크 1990, 90쪽.
  90. ^ 포스터 2004, 89쪽
  91. ^ 문로 2020, 228쪽
  92. ^ 브레버튼 2012, 페이지 127.
  93. ^ 앤더슨 1990, 238-239쪽.
  94. ^ a b 앤더슨 1908, 56쪽
  95. ^ Marsden 2010, 68쪽.
  96. ^ 앤더슨 1990, 240쪽.
  97. ^ a b c 2005년 모직, 38쪽.
  98. ^ 앤더슨 1980, 186-187쪽.
  99. ^ 네이스미스 2021, 페이지 209.
  100. ^ Charles-Edwards 2000, 페이지 142.
  101. ^ 요크 2013, 79쪽
  102. ^ 1918년, 페이지 443 n.45.
  103. ^ a b 앤더슨 2004a.
  104. ^ a b 2000년 9월 29일자
  105. ^ a b 앤더슨 1908, 페이지 57.
  106. ^ 2000년 9월 29~30일.
  107. ^ 2005년 모직, 39쪽.
  108. ^ 프레이저 2009, 317쪽.
  109. ^ 울프 2005, 39-40쪽.
  110. ^ 앤더슨 1980, 258-260쪽.
  111. ^ 프레이저 2009, 페이지 361.
  112. ^ 울프 2007a, pp. 89–90, 98.
  113. ^ 테일러 2017, 20쪽.
  114. ^ 앤더슨 1990, 238쪽
  115. ^ 포스터 1998, pp. 42–43.
  116. ^ 요크 2006.
  117. ^ a b MacLean 2000, pp. 200–201.
  118. ^ 포스터 1998, 42쪽
  119. ^ 1998년, 80-81쪽.
  120. ^ a b 2005년 모직, 40쪽.
  121. ^ 테일러 2017, 페이지 28.
  122. ^ 요크 2006, 133쪽
  123. ^ 2011, 페이지 156
  124. ^ 2000년 9월 25-26쪽.
  125. ^ 요크 2006, 167쪽
  126. ^ a b 테일러 2017, 페이지 24.
  127. ^ 2000년 9월 21일자
  128. ^ 2000년 9월 22일자
  129. ^ 앤더슨 1990, 페이지 244
  130. ^ 커민스 1999, 101쪽.
  131. ^ 1989년 신화 67쪽
  132. ^ 요크 2006, 49쪽.
  133. ^ Charles-Edwards 2000, pp. 137–145.
  134. ^ Markus 2017, 픽트랜드의 게일라이제이션.
  135. ^ 클랜시 2007.
  136. ^ 요크 2006, 54-55쪽.
  137. ^ 1998년, 패심.
  138. ^ 1999년 배너맨, 패심.
  139. ^ 던컨 1975, 페이지 54.
  140. ^ Henderson & Henderson 2004, 페이지 12.
  141. ^ 콜맨 2022, 30쪽.
  142. ^ a b Pittock 2001, 22쪽
  143. ^ Wormald 2005, 293쪽.
  144. ^ 앤더슨 2004e.

원천

더보기

외부 링크

오엥구스 1세
출생: 7세기 사망: 761년
정규 제목
앞에 킹 오브 더 픽츠
732–761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