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투
Utu후에 동 셈어 악카디안어를 사용하는 바빌로니아인들이 샤마쉬로 숭배한 [a]우투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태양신, 정의, 도덕, 진리의 신이자 메소포타미아 여신 이난나(아시리오-바빌론어로는 이스타)의 쌍둥이였다.[b] 그의 주요 신전은 시파르와 라르사 도시에 있었다. 그는 태양 전차를 타고 천하를 누비며 그날 일어난 모든 일들을 본다고 믿어졌다. 그는 신의 정의의 집행자였고 곤경에 처한 사람들을 돕는다고 생각되었다. 수메르 신화에 따르면 그는 갈라귀신이 두무지드를 지하세계로 끌고 가려 할 때 두무지드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대홍수 이후 영웅 지우스드라에게 나타났다고 한다. 길가메쉬의 서사시에서 그는 길가메쉬가 오기르 훔바바를 물리치는 것을 돕는다.
가족
우투는 천왕후 [5][6]이난나의 쌍둥이 형으로, 그 영역은 다양한 힘을 아우르고 있었다.[7][6] 수메르어 문헌에서, 이난나와 우투는 매우 가까운 것으로 보여진다;[8] 사실, 그들의 관계는 근친상간으로 자주 접한다.[8][9] 우투는 보통 달의 신 난나와 그의 아내 닝갈의 아들이지만 때로는 안이나 엔릴의 아들로 묘사되기도 한다.[10][11][10][11] 그의 아내는 세리다 여신으로, 후에 아카디안에서는 아야로 알려졌다.[12][13][11]
세리다(Sherida)는 아름다움, 다산성, 성적인 사랑의 여신이었는데,[13] 아마도 빛이 본질적으로 아름답다고 보였기 때문이거나, 농업 다산을 촉진하는 태양의 역할 때문일 것이다.[13] 그들에게는 두 자손이 있다고 믿었는데, 그 이름은 "진리"를 뜻하는 여신 키투와 그의 이름은 "정의"[13]를 의미하는 신 미샤루였다. 구 바빌로니아 시대(c.기원전 1830년~1531년)까지 세리다, 결과적으로 우투는 신들에게 일생을 바친 쇄국여성의 질서인 나두투와 연관되었다.[11] 우투의 채리어터 부네네를 그의 아들로 묘사하기도 한다.[12][11] 부네네는 구 바빌로니아 시대에[12][11] 시파르와 우륵에서 정의의 신으로 우투로부터 독립적으로 숭배되었고, 아수르에서도 숭배되었다.[12][11] 꿈의 신 시식도 그의 아들로 묘사된다.[14]
예배
우투는 아주 초기부터 수메르에서 숭배되었다.[12] 그를 언급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는 수메르어 집필의 첫 단계인 기원전 3500년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1] E-babbar("백악관")로 알려진 그의 주요 신전은 시파르와 라르사에 있었다.[12] 우투는 메소포타미아 문화가[11] 끝날 때까지 계속 존경을 받았으며 3,000년이 훨씬 넘는 기간 동안 숭배되었다.[11] 우투의 주요 성격 특징은 친절함과 관대함이지만,[11] 다른 메소포타미아 신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그를 불편하게 하는 요청을 거절할 수 없었다.[11] 후로-아카디안 이중언어 바이드너 신 목록에서 우투는 후리아 태양신 시미기와 동일시된다.[15] 위드너 신의 우가리아어 3개 국어 버전에서 슈미기와 우투는 둘 다 루갈반다와 동일시된다.[16]
아이콘그래피
수메르어 문헌에서 우투는 "곰팡이"와 "긴팔짱"[12]으로 묘사된다. 예술에서 그는 긴 수염을 기른 노인으로 보여진다.[11] 그는 매일 새벽에 천국의 문에서 나와 전차를 타고 하늘을 가로지른 뒤 매일 저녁 서쪽 끝의 문들을 통해 '천국의 내부'로 돌아온다고 믿어졌다.[12] 우투의 차리오테는 부네네(Bunene)라는 이름이 붙었다.[17] 원통형 물개는 그가 크고 들쭉날쭉한 이빨을 가진 양날의 아치형 톱인 [12]가지치기톱인 가지치기톱을 휘두르면서 두 신이 그를 위해 문을 열고 있는 모습을 종종 보여준다.[12] 우투의 주요 상징은 태양 원반으로,[11] 각각의 추기경 방향에 4개의 점이 있는 원과 각 점 사이의 원으로부터 나오는 4개의 물결 모양의 대각선이었다.[11] 이 상징은 태양의 빛, 따뜻함, 힘을 상징한다.[11]
샤마쉬가 어깨에서 솟아오르는 광선을 가지고 새벽 동녘 동녘 산맥을 헤치며 나아가는 톱니칼을 들고 있는 모습을 그린 시파르(British Museum)의 원통형 봉인 세부사항(British Museum)
샤마쉬의[18] 고대 별/태양 상징 버전
하트라(c.AD117-138)에서 친 청동화에 그려진 샤마쉬(Shamash)
신화
수메르인들은 우투가 천국을 달릴 때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보게 된다고 믿었다.[12][13] 그의 누이 이난나와 함께 우투는 신성한 정의의 집행자였다.[8] 밤에 우투는 해돋이를 준비하기 위해 동쪽으로 여행하면서 지하세계를 여행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3] 수메르 문학 작품 중 하나는 우투가 지하세계를 밝히고 그곳에서[19] 판단을 내리는 것을 말하며 샤마쉬 찬송가 31(BWL 126)은 우투가 말쿠, 쿠스, 아눈나키와 나란히 저승에서 죽은 자의 심판 역할을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19] 우투는 저승길을 지나는 길에 귀중한 보석을 열매로 품고 있는 나무들이 있는 [13]태양신의 정원을 지나는 것으로 여겨졌다.[13]
우투는 인간 문제에 있어서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고 믿었고,[12] 곤경에 처한 사람들을 돕는 것으로 생각되었다.[12] 문학에 있어서 그의 가장 초기의 등장 중 하나인, 아카드의 사르곤 정복 전 (기원전 2334년–2284년)c.에 쓰여진 에타나 신화에서, 영웅 에타나는 우투를 불러 그의 아내가 아이를 잉태하도록 돕는다.[11] 수메르 시 <두무지드의 꿈>에서 우투는 자신을 사냥하고 있는 갈라 악마로부터 이난나의 남편 두무지드를 구하기 위해 개입한다.[12] 수메르 홍수 신화에서 우투는 홍수가 가라앉기 시작한 후에 나타나서 이야기의 영웅인 지우스드라가 자신의 배에 창을 던지고 그의 앞에 엎드렸다.[20][21][20][21] 지수드라는 우투에게 자신을 구원해 준 양과 소를 제물로 바친다.[20][21]
수메르 왕 리스트에서 우륵의 초기 왕 중 한 명은 "우투의 아들"[12]로 묘사되고 있으며, 우투는 그 도시의 후기 왕들 중 몇몇의 특별한 보호자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12] 길가메시와 후와의 수메르 시에서 영웅 길가메시는 우투에게 시다 산으로 가는 여정을 도와달라고 부탁한다.[22] 이 판에서 길가메쉬는 우투가 해가 뜨는 땅인 극동쪽에 있는 것으로 암시되는 시더 산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우투의 도움을 요청한다.[23] 우투는 처음에는 돕기를 꺼려하지만 [24]길가메쉬가 자신의 이름을 세우기 위해, 결국 죽을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하고 있다고 설명한 후, 우투는 이에 동의한다.[23] 길가메쉬가 시더 산에 도착하면 우투는 그곳에 사는 오그르 후와와를 물리치는 것을 돕는다.[24]
표준 바빌로니아 서사시 길가메쉬에서 시더 산을 방문하려는 길가메쉬의 계획은 여전히 자신의 생각이며 샤마쉬로 원조를 간다.[25] 그러나 이 버전에서는 시더 산이 레바논의 북서쪽에 위치한다고 명시되어 있다.[26] 샤마쉬는 길가메쉬가 훔바바(후와를 뜻하는 동 셈어 이름)를 물리치는 것을 돕는다.[12][27] 제프리 H. 티게이는 올드 바빌로니아판 서사시에서 루갈반다와 태양신과의 연관성이 "전통의 역사에서 어느 순간 태양신도 조상으로 발동된 인상"[28]을 강화했다고 제안한다. 수메르어 버전에서는 길가메쉬의 초기 탐구가 시더 산을 방문하는 것이고 험바바는 이미 그곳에 도착한 후에 길가메쉬와 엔키두가 마주치는 장애물에 불과하지만,[29] 바빌로니아 버전에서는 훔바바를 물리치는 것이 영웅들이 출발하는 최초의 탐구가 된다.[30] 후기 버전의 길가메쉬 이야기에서 샤마쉬는 퀘스트의 선동자가 되는데, 그것은 길가메쉬에게 험바바바를 죽이러 가라고 지시하는 사람이다.[30] 티게이는 이것을 「샤마쉬의 역할의 최종적이고 논리적 전개」[30]라고 설명하고 있다.
후기 영향
히브리 성경의 저자들은 일반적으로 태양을 비인류적인 방식으로 묘사하려고 시도하며, 때로는 태양을 야훼의 힘의 상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히브리어로 "태양"이나 "샤파프시" 또는 "쉐메시"를 뜻하는 단어 또는 "빛"과 같은 완곡한 표현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이 작가들은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태양 숭배, 심지어 야훼의 다양성이 함축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의식적인 노력을 한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하나님이 '더 큰 빛'과 '더 작은 빛'과 별을 창조하신다. [31]
빅터 해밀턴에 따르면, 대부분의 학자들은 보다 노골적인 '태양'과 '문'이 아닌 '더 큰 빛'과 '낮은 빛'을 선택한 것은 태양과 달이 신이라는 널리 퍼져 있는 현대적 믿음에 반박하기 위한 반신성적 수사라는 데 동의한다.[32] 그러나 요한계시록의 종말의 여인은 고대 근동태양의 여신들을 직접적으로 암시할 수도 있다.[31]
가계도
참고 항목
메모들
- ^ 수메르 UD 𒀭𒌓 "Sun"의 악카디안 연재[1][2],[3]
- ^ Akkadian šamaš "Sun" was cognate to Phoenician: 𐤔𐤌𐤔 šmš, Classical Syriac: ܫܡܫܐ šemša, Hebrew: שֶׁמֶשׁ šemeš, Arabic: شمس šams, Ashurian Aramaic: 𐣴𐣬𐣴[4] š'meš(ā)
참조
- ^ http://www.sumerian.org/sumlogo.htm s.v. "바바(2)"(2)
- ^ Frederick Augustus Vanderbergh : 대영박물관에 있는 Cuniform Texts의 수메리안 찬스.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1908. 페이지 53.
- ^ Kasak, Enn; Veede, Raul (2001). Mare Kõiva; Andres Kuperjanov (eds.). "Understanding Planets in Ancient Mesopotamia" (PDF). Electronic Journal of Folklore. Estonian Literary Museum. 16: 7–35. doi:10.7592/fejf2001.16.planets. ISSN 1406-0957. Sumerian cuneiform 문자는 U+12313 𒌓 (Borger nr. 381)에서 유니코드로 인코딩된다. Borger의 381은 U4이다. http://www.sron.nl/~jheise/signlists/top20.properties
- ^ "The Comprehensive Aramaic Lexicon". cal.huc.edu. Retrieved 2021-01-20.
- ^ 블랙 & 그린 1992 페이지 182.
- ^ Jump up to: a b 프라이크 2017, 페이지 36.
- ^ 블랙 & 그린 1992 페이지 108–109.
- ^ Jump up to: a b c 프라이크 2017, 페이지 36–37.
- ^ 블랙 & 그린 1992, 페이지 183.
- ^ Jump up to: a b 블랙 & 그린 1992 페이지 182–184.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마크 2017.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블랙 & 그린 1992, 페이지 184.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2009년 네덜란드 페이지 115.
- ^ Gadotti, Alhena (2014). Gilgamesh, Enkidu, and the Netherworld and the Sumerian Gilgamesh Cycle. Walter de Gruyter. p. 283. ISBN 978-1614518549.
- ^ 시몬스 2017, 페이지 83.
- ^ 시몬스 2017, 페이지 86.
- ^ 블랙 & 그린 1992, 페이지 52.
- ^ 블랙 & 그린 1992, 페이지 68.
- ^ Jump up to: a b 호로위츠 1998, 페이지 352.
- ^ Jump up to: a b c 크레이머 1961 페이지 98.
- ^ Jump up to: a b c 헤머리-듀푸이 1988, 페이지 56.
- ^ Tigay 2002, 페이지 76.
- ^ Jump up to: a b 티게이 2002 페이지 76-77.
- ^ Jump up to: a b Tigay 2002, 페이지 77.
- ^ Tigay 2002, 페이지 77-78.
- ^ Tigay 2002, 페이지 78.
- ^ Tigay 2002, 페이지 77–81.
- ^ Tigay 2002, 페이지 76–81.
- ^ Tigay 2002, 페이지 77, 79.
- ^ Jump up to: a b c Tigay 2002, 페이지 79.
- ^ Jump up to: a b 반 데어 토른, 베킹 앤 반 데어 호스트 1999, 페이지 960.
- ^ 해밀턴 1990, 페이지 127.
참고 문헌 목록
- Black, Jeremy; Green, Anthony (1992), Gods, Demons and Symbols of Ancient Mesopotamia: An Illustrated Dictionary, London, England: The British Museum Press, ISBN 0-7141-1705-6
- Hamilton, Victor P (1990).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NICOT). 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p. 540. ISBN 0-8028-2521-4.
- Hämmerly-Dupuy, Daniel (1988), "Some Observations of the Assyrio-Babylonian and Sumerian Flood Stories", in Dundes, Alan (ed.), The Flood Myth, Berkeley, California, Los Angeles, California, and London, Engla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49–60, ISBN 0-520-05973-5
- Holland, Glenn Stanfield (2009), Gods in the Desert: Religions of the Ancient Near East, Lanham, Maryland, Boulder, Colorado, New York City, New York, Toronto, Ontario, and Plymouth, Englan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ISBN 978-0-7425-9979-6
- Horowitz, Wayne (1998), Mesopotamian Cosmic Geography, Mesopotamian Civilizations, Winona Lake, Indiana: Eisenbrauns, ISBN 978-0-931464-99-7
- Kramer, Samuel Noah (1961), Sumerian Mythology: A Study of Spiritual and Literary Achievement in the Third Millennium B.C.: Revised Edition, Philadelphia, Pennsylvan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SBN 0-8122-1047-6
- Mark, Joshua (31 January 2017), "Utu-Shamash", World History Encyclopedia
- Pryke, Louise M. (2017), Ishtar,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ISBN 978-1-138--86073-5
- Simons, Frank (2017), Hazenbos, Joost; Mittermayer; Novák, Mirko; Suter, Claudia E. (eds.), "A New Join to the Hurro-Akkadian Version of the Weidner God List from Emar (Msk 74.108a + Msk 74.158k)", Altorientalische Forschungen, Berlin, Germany: Walter de Gruyter, 44 (1): 82–100, doi:10.1515/aofo-2017-0009, ISSN 0232-8461, S2CID 164771112
- Tigay, Jeffrey H. (2002) [1982], The Evolution of the Gilgamesh Epic, Wauconda, Illinois: Bolchazzy-Carucci Publishers, Inc., ISBN 0-86516-546-7
- van der Toorn, Karel; Becking, Bob; van der Horst, Pieter Willem (1999),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second ed.), Grand Rapids, Michiga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ISBN 0-8028-2491-9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샤마쉬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신과 여신: 우투/샤마시 (신)
- Wikiquote에서 Utu와 관련된 인용구
- Wiktionary에서 Shamash의 사전 정의
- Wiktionary에서 Utu의 사전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