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어의 분음 부호
Greek diacritics그리스 문자 | ||||||||||||||||||||||||||||||||||||||||||||||||
---|---|---|---|---|---|---|---|---|---|---|---|---|---|---|---|---|---|---|---|---|---|---|---|---|---|---|---|---|---|---|---|---|---|---|---|---|---|---|---|---|---|---|---|---|---|---|---|---|
| ||||||||||||||||||||||||||||||||||||||||||||||||
역사 | ||||||||||||||||||||||||||||||||||||||||||||||||
다른 언어로 사용 | ||||||||||||||||||||||||||||||||||||||||||||||||
관련 항목 | ||||||||||||||||||||||||||||||||||||||||||||||||
그리스 철자법은 헬레니즘 시대부터 다양한 분음법을 사용해 왔다. 보다 복잡한 폴리톤식 맞춤법(그리스어: πολυτονιόόόόόόόό,,,,,,,,,,,,,, 로마자: polytoniko sīstmama grafss)은 고대 그리스 음운학을 나타낸다. The simpler monotonic orthography (μονοτονικό σύστημα γραφής, monotonikó sýstīma grafīs), introduced in 1982, corresponds to Modern Greek phonology, and requires only two diacritics.
폴리톤식 맞춤법(polytonic otheraphy, much, much, much, tonos(thernos accent))은 고대 그리스어와 중세 그리스어의 표준 시스템이다. 예리한 억양("), 곡절(˜節), 그리고 엄한 억양(")은 다른 종류의 음조를 나타낸다. 거친 호흡(῾)은 문자 앞에 /h/ 소리가 있음을 나타내고, 부드러운 호흡(᾿)은 /h/가 없음을 나타낸다.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음조 악센트가 역동적인 억양(스트레스)으로 대체되고, /h/가 없어졌기 때문에, 대부분의 다변성 분음증(dytonic diacritics)은 음성적 의미가 없으며, 단지 고대 그리스 어원의 기초만을 드러낼 뿐이다.
단음절 맞춤법(monos (μόςο ") "단일"과 tonos (τννος) "accent"로부터)는 현대 그리스어의 표준 시스템이다. It retains two diacritics: a single accent or tonos (΄) that indicates stress, and the diaeresis (¨), which usually indicates a hiatus but occasionally indicates a diphthong: compare modern Greek παϊδάκια (/paiðaca/, "lamb chops"), with a diphthong, and παιδάκια (/peˈðaca/, "little children") with a simple vowel. tonos와 diaeresis는 동사 combinedα verb verbΩ (/taωizo/, "to feed")에서와 같이 하나의 모음으로 결합하여 공백 후의 응력 모음을 나타낼 수 있다.
비록 디아크리틱은 아니지만 하이포디아스톨(콤마)은 그리스어 몇 마디에 음을 바꾸는 디아크리틱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주로 ό,τι(o,ti, "whatever")와 όιι(oti, "that")[1]을 구별한다.
역사
원래 그리스 문자는 분음 부호가 없었다. 그리스 알파벳은 기원전 8세기 이후부터 증명되었고, 기원전 403년까지 현재 대문자로 알려진 것을 독점적으로 사용한 그리스 알파벳의 변형들은 다른 도시와 지역에서 사용된다. 403년부터 아테네인들은 이오니아 문자 버전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애티크 사투리의 연속인 코인 그리스어의 확산과 함께, 이오닉 알파벳은 다양한 속도로 에피코리어라고 알려진 다른 알파벳을 대체했다. 그러나 이오니아 문자 역시 대문자로만 구성되었다.
입김소개
거칠고 매끄러운 숨결은 고대[contradictory] 그리스어로 /h/의 유무를 나타내기 위해 도입되었는데, 고대에는 긴 모음 ///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기 때문에 문자 η(eta)가 더 이상 이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없는 알파벳 형식을 채택하였다.
억양의 도입
헬레니즘 시대(BC 3세기)에 비잔티움의 아리스토파네스는 그 숨결, 즉 어떤 비문에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열망(그러나 그 열망)과 그 사용이 확산되기 시작한 억양을 중세 시대의 표준으로 소개했다.AD 2세기에 이르러서야 파피리에 억양과 숨소리가 산발적으로 나타났다. 이음법의 필요성은 철자와 발음의 점진적인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비소셜 스크립트
불가결한 것, 즉 문자 전체가 대문자로 쓰여지는 시스템인 이 불가결한 것은 8세기까지 사용되었는데, 그 당시 미미한 다음성이 그것을 대체했다.
중대한 억양 규칙
비잔틴 시대에 이르러 마지막 음절에 있는 급성 사투리(옥시리아)를 문장 부호나 동그라미 치기 전을 제외하고는 심각한 사투리(바레아)로 바꾸는 근대적 규칙이 확고히 확립되어 있었다. 어떤 작가들은 무덤이 원래 억양의 부재를 의미한다고 주장해왔다; 현대적인 규칙은, 그들의 관점에서, 순전히 철자적인 관습이다. 원래 어떤 프로클릭어들은 다른 단어 앞에서 억양을 잃고 무덤을 받았고, 나중에는 이것이 맞춤법상의 모든 단어로 일반화되었다.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 음악에서 나온 증거들을 인용한 다른 사람들은 이 무덤이 "언어적으로 진짜"라고 생각하고 이 급성 음조의 단어 최종 수정을 표현했다.[2][3][4]
강세 악센트
이후 언어의 발달에 있어서 고대의 음색 억양이 강렬함이나 스트레스 억양으로 대체되어 세 종류의 억양이 동일해지고 /h/ 소리는 조용해졌다.
단순화
20세기 초(60년대 이후 공식)에는 무덤을 급성으로 대체하고, 뇨타 첨자와 rho의 입김은 인쇄된 문헌을 제외하고는 폐지되었다.[5] 그 시대의 그리스 타자기들은 묵직한 억양이나 iota 첨자의 열쇠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이러한 분음부 역시 데모틱 그리스어로 가르침이 있는 초등학교에서는 가르치지 않았다.
단음계 공식 채택
그 언어의 양식의 공식적인 채택에 따라, 단음절 맞춤법은 1982년에 법에 의해 시행되었다. 후자는 예리한 억양(또는 때로는 전통적인 억양과 의도적으로 구별되는 수직 막대)과 디에레시스만을 사용하고 호흡을 생략한다. 이러한 단순화는 다음체 맞춤법이 과거와 문화적 연결고리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비판 받아왔다.[6]
다변성 계통의 현대적용
일부 개인, 기관, 출판업자들은 (중대한 억양이 있든 없든) 다음체계를 계속 선호하고 있지만, 다음체계의 공식적인 재도입은 가능성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그리스 정교회, 일간지 에스티아뿐 아니라 카타레부사(Katharevousa)에 쓰여진 책들도 이 다음절자법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고전 그리스에서는 다의어 체계가 사용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비평가들은 현대 그리스어가 비잔틴과 중세 이후 그리스어의 연속으로서 그들의 글쓰기 규약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외국인을 위한 고대 그리스어 일부 교과서는 숨을 쉬지만, 학습자의 과제를 단순화하기 위해 모든 억양을 삭제했다.[7]
설명
폴리토닉 그리스어는 여러 범주에서 많은 다른 분음 부호를 사용한다. 고대 그리스어 시대에 이들 각각은 발음의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현대 그리스어를 위한 단음절 맞춤법은 발음에 의의를 갖는 2개의 분음절, 즉 톤과 디아레시스(때로는 결합하여 사용되기도 함)만을 사용한다. 초기 /h/는 더 이상 발음되지 않으므로 거칠고 매끄러운 호흡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세 억양의 독특한 투구 패턴이 사라지고, 스트레스 억양만 남아 있다. iota 첨자는 더 이상 발음되지 않는 어원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발명한 분음모음이었기 때문에, 이 첨자도 함께 분배되었다.
급성 | 급성, 디아레시스 | 디아레시스 |
---|---|---|
Άά Έέ Ήή Ίί Όό Ύύ Ώώ | ΐ ΰ | Ϊϊ Ϋϋ |
그리스어 이름의 번역은 고대 그리스어의 라틴어 번역을 따른다; 현대의 번역은 다르며, 이타키즘에 의해 병합된 많은 글자와 디그림을 구별하지 못한다.
억양
급성 | 무덤 |
원곡선(대체 형태 |
악센트(Ancient Greese: τόνοι, 로마자: tonoi, 단수: τόνος, tonos)는 악센트 모음(ά, 그러나 αί)에 놓이거나 고대 그리스어로 음치 패턴을 나타낸다. 문양의 정확한 성질은 확실하지 않지만, 각 문양의 일반적인 성질은 알려져 있다.
급성 사투리(ὀξεῖα, oxeîa, 'sharp' 또는 'high')——짧은 모음에서 높은 음을 표시하거나 긴 모음에서 높은 음을 표시했다.
또한 급성은 현대 그리스어로 된 2개의 연속 모음(또는 때때로 3개의 모음) 중 첫 번째 모음에 사용되어, 그것들이 함께 강조된 diphthong으로 발음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무덤 액센트(βαρεα, bareîa, '무거운' 또는 '낮은' 현대식 바리아)- '-'''—보통 또는 낮은 음조로 표시됨.
무덤은 원래 모든 음절에 쓰여졌다.[8] 비잔틴 시대에 이르러서는 문장 부호 없이 또 다른 억양의 말이 바로 뒤따를 경우 단어의 끝에 있는 급소를 대체하는 데만 사용되었다.
곡률( (εριπωωωωωω,, perispoménē, '뒤틀렸다')- '-''—한 음절 안에 높은 음과 떨어지는 음을 표시했다. 각진 라틴어 원곡체와 구별하여 그리스어 원곡체는 틸드 또는 역브레이어의 형태로 인쇄된다. ὀξύβαρς ox oxýbarys "high-low" 또는 "acute-grave"로도 알려져 있었으며, 원래의 형태(예: ^ )는 급성 및 중증 분음증(diacritics)의 결합에서 유래한 것이었다. 복합성 때문에 긴 모음이나 이중모음에만 등장하였다.
입김
거칠다 | 부드러움 |
억양과 결합됨 |
숨결은 모음이나 ρ에 걸쳐서 썼다.
거친 숨소리(Ancient Greese: Δαὺὺ πνμμα, 로마자: das das pneûma, 라틴 spīritus asper)—'ἁ'—고대 그리스어로 모음 전 무성 마찰음(/h/)을 나타낸다. 그리스어 문법에서는 이것을 열망이라고 한다. 이는 모음이 아닌 자음에 적용되는 음성학의 포부와는 다르다.
- 말초 로(ρ)는 항상 거친 숨을 쉬는데, 아마도 음이 나지 않은 발음을 표시했을 것이다. 라틴어로 이것은 rh로 표기되었다.
- 말초 웁실론(υ ()은 항상 거친 호흡을 한다. 따라서 그리스어의 단어는 y-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y-로 시작하는 것이다.
부드러운 호흡( (ιλὸνν μα, psilòn pneûma, 라틴 sp spritus lēnis)—'h'—[h/]이 없다는 것을 표시했다.
말 가운데 이중 rho는 원래 첫 번째 rho에는 부드러운 호흡, 두 번째 rho에는 거친 호흡(Δδῤῥοααα)으로 쓰여 있었다. 라틴어에서는 이것을 rrh(diarhoea 또는 설사)로 표기하였다.
코로니스
코로니스(Coronis, κοωωω, koroni, '곡선')는 크레이시스(crasis)에 의해 수축된 모음(curved)을 나타낸다. 이전에는 수축모음 뒤에 놓인 아포스트로피였으나, 지금은 모음 위에 놓여져 부드러운 호흡과 동일하다. 매끄러운 호흡과는 달리 한 마디 안에서 자주 일어난다.
첨자
첨자/adscript ootas의 다른 스타일 |
oota 첨자(ὑγεαααμννη, heloggraménē, '아래 쓰여진')—————————는 ι가 더 이상 발음되지 않는 고대의 긴 diphthongs ᾱ, η, Ω를 표시하기 위해 긴 모음 ,, ω, ω, ω.
애드스크립트
대문자 옆에는 보통 oota 첨자가 소문자(αι)로 쓰여 있는데, 이 경우 oota adscript라고 한다(προσγαααααη, prosggramménē, '옆에 쓰여진 것').
디아레시스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디아레시스(그리스어: Δααίεε or or or or or orδ 또는 Διαάάάάάάάάά,, dialytika, 'disting'))를 사용한다.—ϊ——과 υ에 표기하여 한 쌍의 모음 문자가 diphthong이 아닌 따로 발음됨을 표시한다.
현대 그리스어에서 디아레시스는 보통 2개의 연속 모음이 별도로 발음되는 것을 나타내며( (δω / /ko.ro.iee.vo/, "I trick, mock") 가끔 디그라프(μποϊκοτάρΩ /boj.koˈtar.o/, "I botchoke")로 발음되는 모음을 표시한다. 두 개의 분리된 모음이 훨씬 더 흔하지만, 두 개의 분리된 모음이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다.
이아레시스는 급성, 무덤, 곡선과 결합할 수 있지만, 이아레시스가 있는 글자는 단어의 첫 번째 모음일 수 없기 때문에 결코 호흡과 결합할 수 없다.[9]
현대 그리스어에서 급성 및 이아레시스의 조합은 공백 후에 스트레스를 받는 모음을 나타낸다.
모음 길이
고대 그리스어의 교과서와 사전에서 마크롱-'ᾱ'과 'breve-'ᾰ'은 각각 길거나 짧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α, ι, υ 이상 사용되기도 한다.
비표준 분음부
카론
키프로스 그리스어와 그리코와 같은 그리스 방언의 일부 현대 비표준적 맞춤법에서는 카론(caron)을 일부 자음에서 구태화된 발음을 나타낼 수 있다.[10][11] 유니코드에서 사전 결합 문자로 인코딩되지 않으므로 U+030C c◌COMB를 추가하여 입력한다.이닝 카론(HTML) ̌
)는 그리스 문자로. 그리스 문자의 라틴어 분음 부호는 많은 글꼴에서 지원되지 않을 수 있으며, 낙후로서 카론은 자음 뒤에 따라 oota ⟨ι⟩로 대체될 수 있다.
Examples of Greek letters with a combining caron and their pronunciation: ζ̌ /ʒ/, κ̌ /c/ or /t͡ʃ/, λ̌ /ʎ/, ν̌ /ɲ/, ξ̌ /kʃ/, π̌ /pʲ/, σ̌ ς̌ /ʃ/, τ̌ /c/, τζ̌ /t͡ʃ/ or /d͡ʒ/, τσ̌ τς̌ /t͡ʃ/ or /t͡ʃː/, ψ̌ /pʃ/.
도트 위
그리스 알파벳으로 쓰여진 Karamanli Turkish의 일부 자음과 모음 위에 dot diacritic이 사용되었다.[12]
글자로 된 위치
분음 부호는 소문자 위와 대문자 왼쪽 위에 쓰여 있다. 디그라피의 경우, 두 번째 모음은 이음절(diacritic을 사용한다. 호흡곤란증은 급하거나 심각한 억양의 왼쪽에 쓰여 있지만, 곡절 아래에 쓰여 있다. 악센트는 다이애레시스 위나 그것의 두 점 사이에 쓰여진다. 이음절은 항상 쓰여지는 이음절(diaeresis)을 제외하고 단어의 시작에 있는 경우에만 대문자로 쓴다. 중세 문헌의 대문자 위에서는 분음 부호를 찾아볼 수 있다.
예
폴리토닉 | 단조로운 |
---|---|
Πάτερ ἡμῶν ὁ ἐν τοῖς οὐρανοῖς· ἁγιασθήτω τὸ ὄνομά σου· | Πάτερ ημών ο εν τοις ουρανοίς· αγιασθήτω το όνομά σου· |
컴퓨터 인코딩
컴퓨터에서 폴리토닉 그리스어를 나타내고, 컴퓨터 화면과 인쇄물에 폴리토닉 그리스어를 표시하는 데 문제가 있었지만, 이것들은 유니코드와 적절한 글꼴의 출현으로 대부분 극복되었다.
IETF 언어 태그
IETF 언어 태그에는 여러 가지 맞춤법에 대해 등록된 하위 태그 코드가 있다.[13]
el-monoton
단조로운 그리스어로el-polyton
다의어 그리스어로
유니코드
단음절자법의 tono는 대부분의 글꼴에서 다음절자법의 oxeîa와 유사하게 보이지만, 유니코드는 역사적으로 이러한 분음절자법을 가진 문자에 대한 기호를 따로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단음이의 "tonos가 있는 그리스 작은 글자 알파"는 U+03AC에 있고, 다음이의 "oxeaa가 있는 그리스 작은 글자 알파"는 U+1F71에 있다. 그러나 단음절과 다음절 발음은 1986년 이후 데쥬르 등가였고, 이에 따라 유니코드의 소음절의 분음절은 단음절 급음절(U+0301)에 시론적으로 분해된다. 소음절(soxia)이 있는 문자는 토노와 함께 분해되어 기저로 분해되기 때문에 두 가지 모두 다음절 급음절인 U+0301과 동등하게 취급된다.e 문자와 다문자 급음.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U+1F71 그리스 문자(옥시아 포함) 알파
➔ U+03AC 그리스 작은 글자 알파(토노스 포함)
➔ U+03B1 그리스 작은 글자 알파, U+0301 급성 사투리를 결합함
유니코드로 제공되는 악센트 문자는 아래와 같다. 대문자에서 iota adscript는 글꼴에 따라 첨자로 나타날 수 있다.
대문자
숨쉬기, 등 | 악센트 | — | 모음 | 로 | |||||||||
---|---|---|---|---|---|---|---|---|---|---|---|---|---|
— | 애드스크립트 | ||||||||||||
— | — | Α | Ε | Η | Ι | Ο | Υ | Ω | ᾼ | ῌ | ῼ | Ρ | |
급성 | ´ | Ά | Έ | Ή | Ί | Ό | Ύ | Ώ | |||||
무덤 | ` | Ὰ | Ὲ | Ὴ | Ὶ | Ὸ | Ὺ | Ὼ | |||||
부드러움 | — | ᾿ | Ἀ | Ἐ | Ἠ | Ἰ | Ὀ | Ὠ | ᾈ | ᾘ | ᾨ | ||
급성 | ῎ | Ἄ | Ἔ | Ἤ | Ἴ | Ὄ | Ὤ | ᾌ | ᾜ | ᾬ | |||
무덤 | ῍ | Ἂ | Ἒ | Ἢ | Ἲ | Ὂ | Ὢ | ᾊ | ᾚ | ᾪ | |||
원곡선 | ῏ | Ἆ | Ἦ | Ἶ | Ὦ | ᾎ | ᾞ | ᾮ | |||||
거칠다 | — | ῾ | Ἁ | Ἑ | Ἡ | Ἱ | Ὁ | Ὑ | Ὡ | ᾉ | ᾙ | ᾩ | Ῥ |
급성 | ῞ | Ἅ | Ἕ | Ἥ | Ἵ | Ὅ | Ὕ | Ὥ | ᾍ | ᾝ | ᾭ | ||
무덤 | ῝ | Ἃ | Ἓ | Ἣ | Ἳ | Ὃ | Ὓ | Ὣ | ᾋ | ᾛ | ᾫ | ||
원곡선 | ῟ | Ἇ | Ἧ | Ἷ | Ὗ | Ὧ | ᾏ | ᾟ | ᾯ | ||||
디아레시스 | — | ¨ | Ϊ | Ϋ | |||||||||
마크롱 | ˉ | Ᾱ | Ῑ | Ῡ | |||||||||
브레브 | ˘ | Ᾰ | Ῐ | Ῠ |
소문자
숨쉬기, 등 | 악센트 | — | 모음. | 로 | |||||||||
---|---|---|---|---|---|---|---|---|---|---|---|---|---|
— | 첨자 | ||||||||||||
— | — | α | ε | η | ι | ο | υ | ω | ᾳ | ῃ | ῳ | ρ | |
급성 | ´ | ά | έ | ή | ί | ό | ύ | ώ | ᾴ | ῄ | ῴ | ||
무덤 | ` | ὰ | ὲ | ὴ | ὶ | ὸ | ὺ | ὼ | ᾲ | ῂ | ῲ | ||
원곡선 | ῀ | ᾶ | ῆ | ῖ | ῦ | ῶ | ᾷ | ῇ | ῷ | ||||
부드러움 | — | ᾿ | ἀ | ἐ | ἠ | ἰ | ὀ | ὐ | ὠ | ᾀ | ᾐ | ᾠ | ῤ |
급성 | ῎ | ἄ | ἔ | ἤ | ἴ | ὄ | ὔ | ὤ | ᾄ | ᾔ | ᾤ | ||
무덤 | ῍ | ἂ | ἒ | ἢ | ἲ | ὂ | ὒ | ὢ | ᾂ | ᾒ | ᾢ | ||
원곡선 | ῏ | ἆ | ἦ | ἶ | ὖ | ὦ | ᾆ | ᾖ | ᾦ | ||||
거칠다 | — | ῾ | ἁ | ἑ | ἡ | ἱ | ὁ | ὑ | ὡ | ᾁ | ᾑ | ᾡ | ῥ |
급성 | ῞ | ἅ | ἕ | ἥ | ἵ | ὅ | ὕ | ὥ | ᾅ | ᾕ | ᾥ | ||
무덤 | ῝ | ἃ | ἓ | ἣ | ἳ | ὃ | ὓ | ὣ | ᾃ | ᾓ | ᾣ | ||
원곡선 | ῟ | ἇ | ἧ | ἷ | ὗ | ὧ | ᾇ | ᾗ | ᾧ | ||||
디아레시스 | — | ¨ | ϊ | ϋ | |||||||||
급성 | ΅ | ΐ | ΰ | ||||||||||
무덤 | ῭ | ῒ | ῢ | ||||||||||
원곡선 | ῁ | ῗ | ῧ | ||||||||||
마크롱 | — | ˉ | ᾱ | ῑ | ῡ | ||||||||
브레브 | ˘ | ᾰ | ῐ | ῠ |
그리스어 확장[1][2]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PDF)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1F0x | ἀ | ἁ | ἂ | ἃ | ἄ | ἅ | ἆ | ἇ | Ἀ | Ἁ | Ἂ | Ἃ | Ἄ | Ἅ | Ἆ | Ἇ |
U+1F1x | ἐ | ἑ | ἒ | ἓ | ἔ | ἕ | Ἐ | Ἑ | Ἒ | Ἓ | Ἔ | Ἕ | ||||
U+1F2x | ἠ | ἡ | ἢ | ἣ | ἤ | ἥ | ἦ | ἧ | Ἠ | Ἡ | Ἢ | Ἣ | Ἤ | Ἥ | Ἦ | Ἧ |
U+1F3x | ἰ | ἱ | ἲ | ἳ | ἴ | ἵ | ἶ | ἷ | Ἰ | Ἱ | Ἲ | Ἳ | Ἴ | Ἵ | Ἶ | Ἷ |
U+1F4x | ὀ | ὁ | ὂ | ὃ | ὄ | ὅ | Ὀ | Ὁ | Ὂ | Ὃ | Ὄ | Ὅ | ||||
U+1F5x | ὐ | ὑ | ὒ | ὓ | ὔ | ὕ | ὖ | ὗ | Ὑ | Ὓ | Ὕ | Ὗ | ||||
U+1F6x | ὠ | ὡ | ὢ | ὣ | ὤ | ὥ | ὦ | ὧ | Ὠ | Ὡ | Ὢ | Ὣ | Ὤ | Ὥ | Ὦ | Ὧ |
U+1F7x | ὰ | ά | ὲ | έ | ὴ | ή | ὶ | ί | ὸ | ό | ὺ | ύ | ὼ | ώ | ||
U+1F8x | ᾀ | ᾁ | ᾂ | ᾃ | ᾄ | ᾅ | ᾆ | ᾇ | ᾈ | ᾉ | ᾊ | ᾋ | ᾌ | ᾍ | ᾎ | ᾏ |
U+1F9x | ᾐ | ᾑ | ᾒ | ᾓ | ᾔ | ᾕ | ᾖ | ᾗ | ᾘ | ᾙ | ᾚ | ᾛ | ᾜ | ᾝ | ᾞ | ᾟ |
U+1FAX | ᾠ | ᾡ | ᾢ | ᾣ | ᾤ | ᾥ | ᾦ | ᾧ | ᾨ | ᾩ | ᾪ | ᾫ | ᾬ | ᾭ | ᾮ | ᾯ |
U+1FBx | ᾰ | ᾱ | ᾲ | ᾳ | ᾴ | ᾶ | ᾷ | Ᾰ | Ᾱ | Ὰ | Ά | ᾼ | ᾽ | ι | ᾿ | |
U+1FCX | ῀ | ῁ | ῂ | ῃ | ῄ | ῆ | ῇ | Ὲ | Έ | Ὴ | Ή | ῌ | ῍ | ῎ | ῏ | |
U+1FDX | ῐ | ῑ | ῒ | ΐ | ῖ | ῗ | Ῐ | Ῑ | Ὶ | Ί | ῝ | ῞ | ῟ | |||
U+1FEX | ῠ | ῡ | ῢ | ΰ | ῤ | ῥ | ῦ | ῧ | Ῠ | Ῡ | Ὺ | Ύ | Ῥ | ῭ | ΅ | ` |
U+1FFX | ῲ | ῳ | ῴ | ῶ | ῷ | Ὸ | Ό | Ὼ | Ώ | ῼ | ´ | ῾ | ||||
메모들
|
참고 항목
참조
- ^ 니콜라스, 닉 "그리스 유니코드 문제: 구두점 보관 2012-08-06 오늘 보관" 2005. 2014년 10월 7일에 접속.
- ^ Probert, Philomen (2006). Ancient Greek accentu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59. ISBN 9780199279609.
- ^ Devine, Andrew M.; Stephens, Laurence D. (1994). The prosody of Greek speec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180. ISBN 0-19-508546-9.
- ^ Allen, William S. (1987). Vox graeca.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24–130.
- ^ Alkis K. Tropaiatis; Telis Peklaris; Philippos D. Kolovos (1976). Συγχρονισμένο ορθογραφικό λεξικό της νεοελληνικής (Contemporary Orthographic Dictionary of Modern Greek) (in Greek). Κέντρον Εκπαιδευτικών Μελετών και Επιμορφώσεως. p. 11.
- ^ Χαραλάμπους, Γιάννης. "Καλῶς ὁρίσατε στὸν ἱστοχῶρο τῆς Κίνησης Πολιτῶν γιὰ τὴν Ἐπαναφορὰ τοῦ Πολυτονικοῦ Συστήματος". www.polytoniko.gr.
- ^ Betts, G. (2004). Teach Yourself New Testament Greek. London: Teach Yourself Books. ISBN 0-340-87084-2.
- ^ 스미쓰 파 155
- ^ Abbott, Evelyn; Mansfield, E. D. (1977). A Primer of Greek Grammar. London: Duckworth. p. 14. ISBN 0-7156-1258-1.
- ^ "Cypriot Greek Lexicography: A Reverse Dictionary of Cypriot Greek"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8-06. Retrieved 2017-02-08.
- ^ "Griko alphabets, pronunciation and language". www.omniglot.com.
- ^ "Karamanli Turkish alphabet and language". www.omniglot.com.
- ^ "Language subtag registry". IANA. 2021-03-05. Retrieved 13 April 2021.
추가 읽기
- Panayotakis, Nicolaos M. (1996). "A Watershed in the History of Greek Script: Abolishing the Polytonic". In Macrakis, Michael S. (ed.). Greek Letters: From Tablets to Pixels. New Castle, DE: Oak Knoll Press. ISBN 1-884718-27-2. 파나요타키스는 단음이의 채택에 비판적이며, 또한 유용한 역사적 스케치를 제공한다.
- Key, T. Hewitt (1855). "On Greek Accentuation". Transactions of the Philological Society (9). 참고 항목: [1]을 참조하십시오.
외부 링크
이 기사의 외부 링크 사용은 위키피디아의 정책이나 지침을 따르지 않을 수 있다. 많거나 한 적절한 를 로 하여 이 하십시오.(2016년 4월) (이 메시지를 및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그리스어 분음부 관련 매체를 보유하고 있다. |
일반 정보:
- 강조 기록 및 자습서
- 폴리토닉 시스템 재도입을 위한 시민운동, 그리스어와 영어로
- 폴리톤 철자법을 폐기하는 법이 그리스 의회에서 어떻게 통과되었는가, 그리스어로.
- 그리스 폴리토닉에서 단조 변환기(무료 온라인 도구)
- 쓰여진 단음이의 원문을 다음질 텍스트로 변환(수정)하는 프로그램
폴리토닉 그리스 글꼴:
- 그리스 글꼴 협회 공용 도메인 폴리톤 글꼴
- 공용 도메인 그리스 폴리토닉 유니코드 글꼴
- 겐티움 – 국가의 서체, 폴리토닉 그리스어를 지원하는 개방형 글꼴
- 아테나, 공용 폴리토닉 그리스어 글꼴
다투닉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한 방법 안내서:
- Linux용 Google Docs 가이드 레이아웃 설치, 데드키 사용 등 2010년으로 업데이트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