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Base VG

100BaseVG

100BaseVG4쌍의 카테고리3 케이블(음성 등급이라고도 함) 상에서 동작하도록 지정된 100Mbit/s 이더넷 표준입니다.이더넷과 토큰링의 양쪽 프레임타입을 전송하도록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100VG-AnyLAN이라고도 불립니다.

100BaseVG는 원래 Hewlett-Packard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1995년에 IEEE에 의해 비준되어 1998년에 사실상 소멸되었습니다.2001년에 IEEE는 100Base 상태를 기록했습니다.VG 표준은 "Withdrawed Standard"(더 이상 유지되지 않고 오래되거나 잘못된 중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표준으로 정의됨)로 간주됩니다."[1] )

표준화

100BaseVG는 IEEE 802.3 위원회에서 패스트이더넷으로 시작되었습니다1개의 파벌은 콜리젼 도메인 문제로 거리가 10BASE-T의 10분의 1로 제한되어 있는데도 순수 이더넷을 유지하기 위해 carrier-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CSMA/CD; 콜리젼 검출)을 계속하려고 했습니다.또 다른 파벌은 10BASE-T 거리를 유지하고 결정론적 프로토콜로 만들기 위해 허브에서 폴링 아키텍처(이들은 "Demand Priority Protocol"이라고 부릅니다)로 변경하고자 했습니다.첫 번째 파벌은 IEEE 802.3이 이더넷 위원회이기 때문에 다른 프로토콜을 개발할 장소가 아니라고 주장했다.따라서 IEEE 802.12 위원회가 구성되고 100Base가 표준화되었습니다.VG.

물리층

물리층에서는 링크에 4쌍의 트위스트 페어 「음성 등급」케이블이 필요하기 때문에 카테고리3 이상의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제어 시그널링은 각 방향에 대해 2개의 페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반면, 4개의 페어는 모두 데이터 전송 중에 단일 방향으로 전환됩니다.필요에 따라 제어 시그널링 중에 정의됩니다.이것으로 100Base가 됩니다.VG는 10BASE5(더 빠른 속도)와 같은 본질적으로 반이중 매체이지만 CSMA/CD 단점은 없습니다.

또한 100BaseVG는 광섬유 또는 2쌍 이상의 차폐 트위스트 페어를 통한 전이중 동작도 지원합니다.

Twisted-Pair-Based Ethernet Physical Transport Layer(TP-PHY;[2] 트위스트 페어 기반 이더넷 물리 트랜스포트 레이어) 비교
이름. 표준. 상황 속도(Mbit/s) 쌍 필요 방향별 차선 비트/헤르츠 라인코드 차선당 심볼 레이트(MBD) 대역폭 최대 거리(m) 케이블 케이블 정격(MHz) 사용.
100Base VG 802.12-1995 쓸모없는 100 4 4 1.6 5B6B 반이중만 30 15 100 고양이 3 16 시장 실패

100VG-AnyLAN과패스트 이더넷

멀티플렉싱

100VG-AnyLAN에서는 2쌍의 와이어만을 사용하여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의 패스트이더넷 표준을 따르는 대신 카테고리3 또는 카테고리5의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중 하나로4쌍을 모두 사용했습니다.설계 목표는 패스트이더넷이 필요로 하는 고주파에서 방출되는 무선주파 방사선을 피하고 대부분의 조직이 10메가비트 트위스트 페어 이더넷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 설치한 카테고리3 케이블의 기존 배선을 활용하는 것이었습니다.이것에 의해, 다른 네트워크 케이블, 형광등, 고출력 회선등의 외부 RF 간섭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이점이 있습니다.8개의 와이어 모두에 걸쳐 신호를 다중화함으로써 주파수를 낮추고 보다 견고하게 만들었습니다.이로 인해 전화 트래픽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트위스트 페어를 1개 빌린 초기 설치에서는 문제가 발생했지만,[citation needed] 그러한 설치는 드물었습니다.

결정론

이더넷이 패스트이더넷이 되어도 CSMA/CD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케이블상의 트래픽을 계속 관리합니다.100VG는 ARCNET과 토큰링을 인기 있게 만든 토큰 패스 개념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규모에 관계없이 일관된 성능을 제공합니다.배선 및 네트워크노드에서 토큰 전달 책임을 제거하고 100VG-AnyLAN 허브 내부에 배치했습니다.이러한 허브에는 허브 자체를 벗어나지 않는 회전 토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노드는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하면 허브 포트 접속에서 준비되었음을 나타내는 비트를 올립니다.토큰이 Ready Hub 포트를 통과하면 해당 노드에 대한 트래픽이 열립니다.토큰은 허브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ARCNET 및 토큰 링과 같이 모든 노드에 긴 케이블을 통과할 필요가 없습니다.따라서 다른 결정론적 네트워킹 표준보다 속도가 빠르고 케이블 문제, 네트워크 카드 장애 및 회선 간섭에 대한 영향을 덜 받습니다.실제 부하 테스트에서는 100VG-AnyLAN이 이론상의 네트워크 속도의 95%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패스트 이더넷에서는 허브 사용 시 약 45%였습니다.처음에는 높은 비용과 제한된 가용성으로 인해 패스트이더넷 스위치가 일반적이지 않았습니다.따라서 처음에는 100VG의 퍼포먼스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레퍼런스

  1. ^ "ANSI/IEEE 802.12-1995". IEEE Standards Association. Retrieved 2018-07-31.
  2. ^ Charles E. Spurgeon (2014). Ethernet: The Definitive Guide (2nd ed.). O'Reilly Media. ISBN 978-1-4493-6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