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 1284

IEEE 1284

IEEE 1284는 컴퓨터와 다른 장치 간의 양방향 병렬 통신을 정의하는 표준입니다.1970년대에 Centronics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IEEE 표준화 전후로 Centronics 포트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IEEE 1284 36핀 수컷형 Centronics 프린터 케이블 연결.컴퓨터 측에서는 보통 이 "마이크로 리본" 커넥터 대신 DB-25 포트를 사용합니다.

역사

회로 기판의 IEEE 1284 36핀 메스

1970년대에 Centronics는 현재 익숙한 프린터 병렬 포트를 개발하여 곧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습니다.Centronics는 일련의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개별 금속 핀을 잡아당겨 리본과 용지를 타격하는 저비용 7와이어 프린트[citation needed] 헤드를 최초로 출시했습니다.

도트 매트릭스 프린트 헤드는 세로줄에 배치된 일련의 금속 핀으로 구성된다.각 핀은 일종의 액추에이터(Centronics의 경우 솔레노이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솔레노이드는 핀을 앞으로 당겨 리본과 용지를 타격할 수 있습니다.인쇄 헤드 전체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텍스트 행을 인쇄합니다.용지를 여러 번 쳐서 각 문자의 매트릭스를 작성합니다.초기 프린터의 문자 집합은 보통 7 x 5 "픽셀"을 사용하여 80열 텍스트를 생성합니다.

문자를 일련의 점 열로 인쇄하는 복잡성은 컴퓨터로부터 문자 인코딩을 한 번에 하나씩 수신하고 비트를 직렬 또는 [1]병렬로 전송하는 프린터 전자기기에 의해 관리됩니다.프린터의 고도화와 메모리 코스트의 하락에 수반해, 프린터는 버퍼 메모리를 증설하기 시작했습니다.처음에는 한두 줄이었지만, 그 후에는 페이지 전체와 문서를 증설했습니다.

원래의 포토 설계는 송신 전용이었기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에서 프린터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었습니다.포트의 핀을 분리하면 상태 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프린터가 「더 스마트」해, 보다 풍부한 스테이터스 코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것은 심각한 제한이었습니다.이는 1992년에 출시된 "Bitronics" 구현인 HP에 의해 도입된 시스템의 조기 확장으로 이어졌다.이 경우 원래 포트의 상태 핀을 사용하여 호스트에 임의 데이터를 다시 보내기 위한 4비트 병렬 포트를 형성했습니다.

한층 더 수정된 "Bi-Directional"은 상태 핀을 사용하여 8비트 메인 데이터 버스의 데이터 흐름 방향을 나타냅니다. 핀 중 하나에 호스트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표시함으로써 8개의 데이터 핀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이를 통해 '확장 병렬 포트' 규격이 적용되었으며, 이는 양방향 모드처럼 작동했지만 신호 전송 속도가 2MByte/s로 크게 증가했으며, 이후 '확장 기능 포트' 버전은 2.5MByte/s로 증가했습니다.

1991년에 새로운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Network Printing Alliance가 결성되었습니다.1994년 3월에 IEEE 1284 사양이 발표되었습니다.1284 에는, 이러한 모드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어느 모드에서도 동작할 수 있습니다.

개요

IEEE 1284 준거 프린터 케이블(DB-2536핀 Centronics 커넥터 포함)

IEEE 1284 규격에서는 이론상 최대 스루풋이 초당 4메가바이트로 고속 스루풋과 양방향 데이터 플로우를 실현합니다.실제 스루풋은 하드웨어에 따라 약 2메가바이트/초입니다.이것에 의해, 프린터의 장소에서는, 보다 고속의 인쇄와 백채널의 스테이터스 및 관리가 가능하게 됩니다.새로운 표준에서는, 주변기기가 대량의 데이터를 호스트에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전에 SCSI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온 디바이스는, 훨씬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었습니다.여기에는 스캐너, 테이프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병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어댑터 및 기타 장치가 포함됩니다.사용자는 더 이상 값비싼 SCSI 카드를 구입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내장 병렬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병렬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USB 2.0으로 대체되었습니다.

IEEE 1284 모드

IEEE 1284 는, 다음의 5 개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 Centronics 표준 또는 SPP라고도 하는 호환성 모드원래 Centronics 설계와 몇 가지 차이만 있는 단방향 구현입니다.이 모드는, 거의 프린터 전용으로 사용됩니다.프린터가 호스트에 반송할 수 있는 신호는, 용지가 부족해지는 등, 일반적인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고정 의미의 상태 행 뿐입니다.
  • 니블 모드는 호환성 모드의 상태 표시줄 중 4개를 사용하여 한 번에 4비트(니블)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입니다.이것은 HP에 의해 도입된 Bi-tronics 모드이며, 일반적으로 프린터의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Nibble Mode는 공식적으로 지원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IEEE-1284 Centronics 이전 인터페이스에서도 작동합니다.
  • 바이트 모드는 "Bi-Directional"이라고도 불리며(호환성 모드를 제외한 모든 모드는 실제로는 양방향이지만), 디바이스가 다른 방향으로 사용되는 동일한 데이터 라인을 사용하여 한 번에 8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반이중 모드입니다.이 모드는 IBM PS/2 컴퓨터에 내장된 것과 같은 소수의 IEEE-1284 이전 인터페이스에서도 지원됩니다.이 때문에, 비공식적으로는 PS/2 모드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 Enhanced Parallel Port(EPP)는 반이중 양방향 인터페이스로 프린터, 스캐너,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디바이스가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채널 방향을 빠르게 전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EPP는 최대 [2]2MByte/s의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이는 CPU 오버헤드를 크게 억제하면서 일반 병렬 포트 통신의 약 15배에 달하는 속도입니다.
  • ECP(Extended Capability Port)는 EPP와 유사한 반이중 쌍방향 인터페이스입니다.단, PC 실장에서는 직접 메모리 액세스(통상은 채널3의 ISA DMA)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에 관한 작업을 ISA DMA 하드웨어와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하드웨어로 처리함으로써 EPP보다 고속 데이터 전송을 실현합니다.CPU가 이 작업을 수행합니다.이 모드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디바이스의 대부분은 RLE 압축을 지원합니다.ECP는 최대 2.5MByte/s의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이는 8비트 ISA [3]DMA의 자연스러운 제한입니다.PC 상의 ECP 인터페이스는 전송 시 CPU 부하를 경감함으로써 IEEE-1284 이전 프린터로의 전송도 개선할 수 있습니다.단, 전송은 단방향입니다.

병렬 포트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최신 컴퓨터에서는 포트를 ECP 또는 EPP 모드 또는 둘 다 동시에 작동할 수 있습니다.

IEEE-1284 에서는, 쌍방향 디바이스 통신이 항상 니블 모드로 개시되어 있을 필요가 있습니다.호스트가 이 모드에서 응답을 수신하지 않으면 디바이스가 레거시 프린터인 것으로 간주하고 호환성 모드로 들어갑니다.그렇지 않으면 연결 양쪽에서 지원되는 최적의 모드는 표준화된 Nibble Mode 메시지를 교환하여 호스트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간에 네고시에이트됩니다.

IEEE 1284 커넥터 및 케이블

Mini-Centronics 36핀 수컷 커넥터(위) 및 마이크로 리본 36핀 수컷형 Centronics 커넥터(아래)
Mini-Centronics 36핀 수컷 커넥터(오른쪽)와 Micro 리본 36핀 수컷형 Centronics 커넥터(왼쪽).

IEEE 준거 케이블은 배선 및 품질에 관한 몇 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커넥터에는 다음 3가지 유형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 A: DB-25 25핀을 입력합니다(호스트 연결).
  • 타입 B: Centronics(공식적으로는 「마이크로 리본」이라고 불립니다) 36 핀(프린터 또는 디바이스 접속용).
  • 타입 C: Mini-Centronics(MDR36 또는 HPCN36) 36핀.인기성이 검증되지 않은 디바이스 접속용 하프피치 소형 대체품입니다.

IEEE 1284 케이블에는, 다음의 2 종류가 있습니다.

  • IEEE 1284-I: IEEE 1284-A 및 IEEE 1284-B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 IEEE 1284-II: IEEE 1284-C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IEEE 1284 데이지 체인 사양에서는 1개의 병렬 포트에 최대 8대의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모든 모드에서 TTL 전압 로직레벨사용됩니다.이것에 의해,[4] 고가의 특수 케이블이 사용되지 않는 한, 가능한 케이블 길이가 수 미터로 제한됩니다.

핀 배치를 포함한 자세한 사양은 다음 링크를 참조하십시오.

IEEE 1284 규격

  • IEEE 1284-1994: 퍼스널 컴퓨터용 쌍방향 병렬 페리페럴 인터페이스의 표준 시그널링 방법
  • IEEE 1284.1-1997: 트랜스포트 인디펜던트 프린터/시스템 인터페이스 - 프린터 구성과 상태를 되돌리는 프로토콜
  • IEEE 1284.2: IEEE 1284에 대한 테스트, 측정 및 적합 규격(승인되지 않음)
  • IEEE 1284.3-2000: IEEE 1284 준거 페리페럴 및 호스트 어댑터에 대한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 확장 - 여러 페리페럴에 의한 병렬 포트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데이지 체인)
  • IEEE 1284.4-2000: IEEE 1284 인터페이스용 데이터 전송 및 논리 채널 - 디바이스에서 여러 데이터 동시 교환 가능

IEEE 1284 표준 색상 코드

25핀 IEEE 1284 케이블의 일반적인 [citation needed]색상을 다음에 나타냅니다.

색. Alt 색상
1 빨간.
2 분홍색/빨간색
3 갈색
4 오렌지색
5 연청색/노란색
6 연청색/빨간색
7 연청색
8 파랑색
9 하늘색/검은색 녹색/파란색
10 초록의
11 노란 색
12 핑크/크림
13 잿빛
14 회색/녹색
15 핑크/블루 오렌지/흰색
16 핑크/블랙 갈색/흰색
17 하늘색/파랑색 하늘색/녹색
18 청백의
19 녹색/검은색 녹색/빨간색
20 분홍색/흰색 노란색/검은색
21 회색/검은색
22 흰색/검은색 회색/노란색
23 보라색
24 핑크색
25 하얀색
엔씨 흰색/노란색 흰색/녹색
모든. 흰색/흰색 빨강/검은색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Centronics 101, 101A, 101AL, 102A 및 306 프린터: 사양 및 인터페이스 정보
  2. ^ EP 0640229 C.L. 벅스턴 / 코츠, R.A. / 제니스 데이터 시스템즈 코퍼레이션:향상된 병렬 포트. 출원 날짜 1992년 5월 15일
  3. ^ LAVA Computer MFG Inc (2002). "IEEE 1284: Parallel Ports"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5 November 2006.
  4. ^ IBM 병렬 포트 FAQ/튜토리얼

외부 링크

EPP BIOS 콜 관련 인터럽트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