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인치 포 M1907
14-inch gun M190714인치 건 M1907 | |
---|---|
![]() | |
유형 | 해안포 |
원산지 | 미국 |
서비스 이력 | |
가동중 | 1908–1945 |
사용자 | 미국 육군 |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생산이력 | |
디자이너 | 워터블리에트 아스널 |
설계된 | 1907–1910 |
제조사 | 워터블리에트 아스널 |
변형 | M1907, M1907MI M1909년 |
사양 | |
미사 | M1907: 111,900 파운드 (50,800 kg) M1907MI: 118,700파운드(53,800kg) |
길이 | M1907: 495인치(1,260cm) M1907MI: 495인치(1,260cm) |
배럴 길이 | M1907 & M1907MI: 34개 교정기(476인치(1,210cm) M1909 & M1910: 40개의 교정기(560인치(1,400cm)) |
껍질 | 별도 적재, 가방 파우더 충전, 1660파운드(750kg) AP[1] 샷 & 쉘 |
칼리버 | 14인치(제곱 mm) |
브리치 | 중단 나사, De Bange 유형 |
마차 | M1907, M1907MI, M1910 포: M1907 & M1907MI 소멸[2] M1909 포: M1909 포탑[2] |
표고 | 소멸: -5° ~ +15°, 터렛: -0.09° ~ +15°[2] |
다각측량 | 소멸: 170°, TURRET: 360°(주변 구조물과 함께 있음) |
입마개 속도 | M1907 및 M1907MI: 초당 2,150피트(660m/초)[1] M1909 및 M1910: 초당 2,220피트(680m/초)[1] |
최대 사격 범위 | 소멸: 25,000야드(23,000m)[3] |
공급 시스템 | 손짓하다 |
볼거리 | 망원경 |
14인치 Gun M1907(356mm)과 그 변종 M1907MI, M1909, M1910은 1895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의 주요 항구를 방어하기 위해 설치된 대형 해안포였다. 그들은 미국 육군 해안포병단에 의해 운영되었다. 대부분은 한 개의 총이 사라지는 객차에 설치되었다; 쌍둥이 터렛에 4개의 총이 있는 유일한 설치물은 필리핀 마닐라만의 독특한 포트 드럼에 세워졌다.[4] 필리핀에 없는 모든 무기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폐기되었다.
역사
1885년 윌리엄 C.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의 전쟁 장관인 엔디콧은 해안에 대한 방어를 검토하기 위해 요새위원회를 만드는 임무를 맡았다. 이사회의 연구결과는 1886년 보고서에서 기존 방어의 암울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미국 해안선의 29개 지점에 대한 1억 2천 7백만 달러 규모의 공기부하포, 박격포, 부유전지, 잠수함(수중) 지뢰밭 건설 계획을 권고했다. IASB의 권고는 대부분 이행되었다. 1885년에서 1905년 사이에 건설된 해안포 요새를 흔히 엔디콧 시대 요새라고 부른다.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정부는 전쟁이 일어났을 때 미국의 항구를 보호하고 또한 필리핀과 쿠바와 같은 새로 얻은 영토를 적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를 원했다.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의 전쟁 장관 윌리엄 태프트 휘하의 새로운 요새 위원회가 1905년에 소집되었다. 태프트는 더 많은 서치라이트, 전기화와 같은 기술적 변화를 권고했고, 경우에 따라 특정 요새에서 총기를 줄였다. 해안 요새는 1902년 스푸너법에 따라 자금이 지원되었고 몇 년 안에 공사가 시작되어 1920년대까지 지속되었다. 필리핀의 마닐라만 섬 방어선은 이 프로그램에 따라 건설되었다.[5] 14인치 포대는 LA, 파나마 운하, 하와이 호놀룰루, 필리핀 마닐라만의 항구 방어선에 배치되었다. 이 총들은 모두 태프트 프로그램에 의해 건설되었다. 포트 드럼을 제외하고, 총은 객차들이 사라지는 것에 대한 것이었고, 총이 발사되었을 때, 그것은 대배터리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콘크리트나 토성벽 뒤로 떨어졌다.[4]
14인치 포 M1907 및 M1907MI
M1907은 길이 34의 철조망 총이었다. M1907MI는 같은 길이의 빌트업 총(평소 미국의 연습)이었다. 12대가 배치되었는데, 모두 M1907이 사라진 객차에 실려 있었다. 4명은 하와이에 있었고 8명은 파나마 운하 지역에 있었다.[6][7]
14인치 포 M1909

M1909는 필리핀 마닐라 만의 엘 프랄레 섬에 있는 포트 드럼의 포탑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40개의 전선이 달린 총이었다. 특이한 디자인 특징은 실밥 없이 제작됐다는 점이다.[8] 포탑은 뉴포트 뉴스조선에 의해 만들어졌다. 포트 드럼은 이 작은 섬을 물가로 날려 보내고 그 위에 거대한 콘크리트 요새를 건설함으로써 만들어졌다. 이 요새는 두 개의 쌍둥이 M1909 터렛에 4개의 14인치 M1909 총이 있었고, 옆면에는 6인치 M1908 총 4발이 배치되어 있었다.[7][9] 일제의 폭격을 막아냈음에도 불구하고 1942년 5월 6일 코레기도르와 함께 포를 파괴한 후 요새는 항복했다.[10] 1945년 4월 제2대대대 F사, 제151보병연대, 제38보병사단, 같은 사단 제113기병전투대대의 분대에 의해 탈환되었다. 기술자들은 30분간의 시간 연동을 통해 500파운드의 TNT 전하를 구조물 안으로 내렸다. 그리고 나서 그들은 75퍼센트의 디젤과 25%의 휘발유로 구성된 3400갤런의 연료를 주입했다.[11][12]
14인치 포 M1910
M1910은 40칼리터 길이의 철조망 총이었다. 8대가 배치되었는데 모두 M1907이 사라진 객차에 실려 있었다. 위치에는 마닐라만의 Frank와 Fort Hughes(각각 2개), 포트 맥아더, 산 페드로, 로스앤젤레스, CA(4개) 등이 포함됐다.[13][7]
제2차 세계 대전
다른 해안포 무기들과 함께 필리핀의 14인치 포는 2차 세계대전의 일본의 침략에서 행동을 보았다. 그들은 해군의 공격에 대항하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일본인과 교전하기엔 형편없는 위치에 있었다. 항복할 때까지 총이 실전에 투입된 포트 드럼의 포탑을 제외하면, 개방된 포탑은 공중과 고각 포격에 취약했다. 그들의 유일한 보호는 위장 그물이었다. 1942년 5월 6일 미군이 항복하기 전에 모든 총에 대한 파괴 절차가 실행되었다.
1940-44년에는 대부분의 항구 방어시설에서 16인치 포전지가 건설되었고, 필리핀에 없는 14인치 포는 1943-44년에 모두 폐기되었다.
잔존예

필리핀에는 이런 유형의 14인치 포 6개가 남아 있다.[15]
1. Turret M1909 (#1 Newport News), Battery John M에 14인치 Guns M1909 (#4 & #3 Watervliet) 2대. 윌슨, Fort Drum, 필리핀 엘 프랄레섬.
2. 14인치 포병 M1909 (#2 뉴포트 뉴스) 1대의 투렛 M1909 (#2 & #1 워터빌릿), 배터리 윌리엄 L. 마샬, 포트 드럼, 필리핀 엘 프랄레 섬.
3. 사라지는 마차 M1910 (#20 Watervliet) M1907MI (#20 Watervliet), Battery Gillespie, Fort Hughes, Fort Hughes, Caballo Island, 필리핀 카바요 섬의 14인치 건 M1910 (#15 Watervliet)
4. 사라지는 마차 M1907MI (#17 Watervliet, #17 Watervliet), 배터리 우드러프, Fort Hughes, Fort Hughs, Caballo Island, 필리핀 카바요 섬의 14인치 Gun M1910 (#8 Watervliet) 1대.
참고 항목
유사한 역할, 성능 및 시대의 무기
- 14인치/45구경 총기 현대 미국 해군 동급
- EOC 14인치 /45 해군 총기 현대 영국 동급
- 비커즈 14인치/45 해군 총 현대식 비커즈 디자인 일본 동급 제품
참조
- ^ a b c d e 오드넌스 1917, 페이지 45
- ^ a b c 버로우, 페이지 158-163
- ^ 버로우, 페이지 61
- ^ a b 해안 방어 연구 그룹 요새 및 배터리 목록
- ^ Berhow, Mark A. and McGovern, Terancance C, American Defense of Corregidor and Manila Bay 1898–1945, Osprey Publishing Ltd.; 2003; 7-8페이지.
- ^ 오드넌스 1917, 페이지 38-40, 45
- ^ a b c 버로우, 페이지 158-163, 220-223
- ^ 오드넌스 1917, 페이지 40-42, 45
- ^ 버로우, 102-103페이지
- ^ Morton, Louis (1953). The Fall of the Philippines. U.S. Army in World War II: The War in the Pacific. Washington, D.C.: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pp. 486–487. CMH Pub 5-2.
- ^ W. F. Havey 준장이 쓴 "포트 드럼에 탑승한 방법"; 보병 저널; 1945년 8월
- ^ Smith, Robert Ross (1993) [1963]. Triumph in the Philippines (PDF). U.S. Army in World War II: The War in the Pacific. Washington, D.C.: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pp. 355–356. CMH Pub 5-10-1.
- ^ 오드넌스 1917, 42 페이지 45
- ^ 2017년 5월 31일자 코스트 디펜스 저널
- ^ 베로호 229쪽
- Berhow, Mark A., ed. (2004). American Seacoast Defenses, A Reference Guide, Second Edition. CDSG Press. ISBN 0-9748167-0-1.
- Lewis, Emanuel Raymond (1979). Seacoast Fortifications of the United States. Annapolis: Leeward Publications. ISBN 978-0-929521-11-4.
- Ordnance Dept., US Army (1917). Description of 8, 10, 12, 14, and 16-inch Seacoast Guns. Washington: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 3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