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mm 총 M1

155 mm gun M1
M1 155 mm 길이 톰
155 mm Long Tom 2.jpg
미군 헌병 박물관의 여행 중인 롱 톰.
유형견인 야포
원산지미국
서비스 이력
사용자미국
이탈리아
호주.
그리스
오스트리아
일본.
조던
대한민국.
중화민국
터키
파키스탄
크로아티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국
유고슬라비아
네덜란드
전쟁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캄보디아 내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생산이력
설계된1918–1938
생산됨1940년 10월 ~ 1945년 6월
No. 지은1,882
사양
미사이동: 13,880kg(30,600lb)
길이이동 거리: 11m(36ft 1인치)[1]
배럴 길이6.97m(22ft 10인치) L/45
이동 거리: 2.5m(8피트 2인치)[1]
높이이동 거리: 2.7m(8피트 10인치)[1]
크루14

껍질별도 적재하중[1] 및 발사체
칼리버155mm(6.10인치)
브리치아스베리 메커니즘
리코일수압식[1]
마차M1 캐리지
표고−2°/+65°
다각측량60°
화재율시간당 40회
입마개 속도853m/초(2,799ft/초)
최대 사격 범위23.7km(14.7mi)

155mm M1은 미군이 개발해 사용한 155mm 구경의 야전포였다.'롱톰(Long Tom)'(미국 야전 및 해군 포병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호칭)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M1M2 변형으로 제작되었고, 후에 M59로 알려졌다.캐논 155mm GPF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이 총기는 제2차 세계대전한국전쟁 당시 중전무기로 실전 배치됐으며, 해안 방어를 위한 2차 무장으로 분류되기도 했다.이 총은 100파운드(45kg)의 포탄을 최대 사정거리인 14mi(23km)까지 발사할 수 있으며, 정확도 추정 수명은 1,500발이다.

롱톰은 영국, 오스트리아, 이스라엘, 네덜란드를 포함한 많은 다른 나라들에 의해서도 채택되었다.

개발

제1차 세계대전에 돌입하기 전 미국은 중포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논 155 mm GPF를 포함한 다수의 외국 중포가 채택되었다.전쟁이 끝난 후 웨스터벨트 위원회가 소집되어 전투국들의 포병 경험을 평가하고 미군 포병의 향후 방향을 정했다.보드의 결론은 프랑스 155mm GPF를 표준 중전총으로 채택하되 최대 사거리가 2만5000야드(23km), 수직 화력 0~65°, 100파운드(45kg) 이하의 발사체 및 카파(Capa)의 중전포를 달성하기 위한 추가 개발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었다.캐터필러 트랙 또는 고무 타이어가 있는 마운트에 장착되는 빈도.[2]1920년대와 1930년대에 다수의 프로토타입이 생산되었으나 자금 부족으로 프로젝트가 보류되었다.1938년에 T2 수송선에 탑재된 155mm 총 T4가 마침내 M1 수송선에 탑재된 155mm 총 M1로 채택되었다.[3]

155mm 총 M1

새로운 총기 디자인은 이전의 155mm GPF와 비슷한 배럴을 사용했지만 수직으로 굽은 브리치 플러그 지지대를 통합한 아스베리 메커니즘을 사용했다.이런 종류의 브리치는 잠금장치가 달린 중단형 브릿지 플러그를 사용했는데, 이 플러그는 레버를 한 번 움직여 브릿지를 열고 닫았다.[4]155mm 포탄의 탄약은 포탄과 분말 충전물을 따로 포장, 선적, 보관하는 '분리 적재'였다.포탄은 허리춤 뒤로 제자리에 들어올린 다음 방 안에 박혀 포탄의 회전 밴드를 통에 끼운다.[5]

원하는 범위에 필요한 다수의 분말 봉지를 적재한 후 쉘을 홈으로 돌린다.[6]분말 전하를 최대 7가지 충전 설정으로 적재할 수 있다.분말이 실리면 브릭 플러그가 닫혀 잠기고, 브릭 플러그의 점화 메커니즘에 프라이머가 놓인다.고도와 방위각을 설정한 후에, 그 총은 발사할 준비가 되어 있다.발포 메커니즘은 탄약 프라이머를 개시하기 위한 장치다.그리고 나서 프라이머는 탄약의 추진력을 점화시키는 점화기를 작동시킨다.연속 당김 랜야드는 먼저 점화 핀을 조정한 다음 당길 때 프라이머를 발사한다.[7]

이 총은 M1A1과 M2 변종으로 개발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 육군이 재조직되었고, 그 총은 M59로 재지정되었다.

캐리지 M1

마차는 안정적이지만 이동 가능한 총의 기지를 제공한다.신형 스플릿트레일(split-trail) 마차는 8륜 일체형 2축 보지와 2륜 리머를 장착해 이동 경로를 지원했다.마차는 투피스 디자인이었다.상부 캐리지에는 총 크래들, 슬라이드 및 총기 튜브를 운반하는 반동 메커니즘을 지탱하는 트렁크 베어링이 있는 사이드 프레임이 포함되었다.상부 캐리지에는 상승 기어와 방위 기어도 통합되었다.상부 마차는 하부 마차의 방위각으로 선회했다.하단 마차에는 총이 발사될 때 안정되고 반동을 흡수하는 수송정지와 스플릿트레일이 포함되어 있었다.[8]

총이 원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사격 위치에 놓인 후, 자국을 지상으로 내리고 리머를 제거했다.그리고 나서 마차 바퀴는 총 마차를 지상으로 낮추면서 내장된 래치잭을 사용하여 들어올리곤 했다.일단 지상에 올라가면 트레일 다리의 림버 끝이 분리되어 마차 피벗 지점의 중심에 꼭지점이 있는 넓은 '베' 모양을 이루었다.각 트레일 다리의 림버엔드에 있는 반동 스페이드는 트레일 엔드에 부착된 스페이드에 대해 정확하게 배치된 구멍을 파야 하며, 총 마차에서 반동을 트레일을 통과하여 지구로 전송할 수 있었다.이것은 총을 매우 안정되게 만들었고 정확성을 도왔다.착탈식 스페이드는 트레일 다리의 브래킷으로 운반되었다.[9]

M1과 M2 마차는 8인치(203mm)Howitzer M1과 공유되었는데, 무게는 총관, 썰매, 요람, 반동, 평형장치에서만 차이가 났고, 통이 무거워 무게가 나갔다.[10]

캐리지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의 조합되어 있다.[11]
하단 캐리지 상단 마차
사격지원기지 상승 메커니즘
트레일스 트래버싱 메커니즘
접이식 서스펜션 시스템 총 지지대 구성 요소
차축 평형기[12]
브레이크 크래들(총 어셈블리를 상단 캐리지에 연결)
바퀴 반동 메커니즘
썰매(총 튜브에 대한 슬라이딩 지지대)
건관

사양

TM 9-350의 사양
총 중량(브릭 메커니즘으로 완성) 9,595 lb (4,352 kg)
튜브 어셈블리 중량(배럴) 9,570파운드(4,520kg)
튜브 길이 277.37인치(7.05m)
보어 길이 cal. 45 (274.6 in / 6.975m)
리프팅 길이 230.57인치(5.856m)
분말 압력(신규 건에 최대 충전이 있는 정상 압력) 40,000 psi (275,790 kPa)
브릿지 블록의 종류 중단 나사
브릿지 메커니즘의 중량 405 lb (140 kg)
점화 메커니즘 유형 연속적으로 타악기 망치를 당기다.

서비스

영국 승무원 훈련의 롱 톰

롱톰은 1942년 12월 24일 북아프리카 유세에서 처음으로 36 야전포병 연대의 'A' 배터리로 전투를 보았다.Eventually it equipped 33 U.S. Army battalions in the European and Mediterranean Theaters (the 173rd, 190th, 200th, 208th, 240th, 261st, 273rd, 514th–516th, 528th, 530th, 540th, 541st, 546th–549th, 559th, 561st, 634th, 635th, 731st, 733rd, 734th, 766th, 976th–981st, 985th and 989th), and 8 in the Pacific Theater (the 168th, 223rd, 226th, 433rd, 517위, 531위, 532위, 983위).353·732·993 야전포대대는 해외로 나가지 않는 155㎜ 포병부대를 분리했다.The 353rd was converted to the 1697th Engineer Combat Battalion (Colored) on 19 March 1944 at Camp Van Dorn, Mississippi, the 732nd was converted to the 1695th Engineer Combat Battalion (Colored) on 15 March 1944 at Camp Pickett, Virginia, and the 993rd was converted to the 1696th Engineer Combat Battalion (Colored) on 19 March 1944 at Camp Swift,텍사스 [13]

이 155mm 총은 몇몇 해병대 방어대대가 사용했으며 특히 1943년 카트휠 작전 때 사용되었다.

그 바람직하게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처음에 그 맥. NO6×67½톤 트럭, 1943년에서, 그것은 추적 M4고속 트랙터로 구성되어 있다.탄약과 추진 혐의[14]72가 M21 4-ton, 들어 탄약 트레일러에, 탄약과 추진 혐의 16가 M1-ton, 들어 ammun에 이용될 수 할 수 있다.전자의 부족 때문에 자주 사용되었던 이션 트레일러이후 1945년에 도입된 중형 M23 8톤 4륜 탄약 트레일러는 96발의 탄약과 추진력을 탑재할 수 있었다.

소수의 롱 톰 총은 대여 채널을 통해 영국(184)과 프랑스(25)로 공급될 수 있도록 허가되었다.[15]뉴펀들랜드 도미니언의 배터리 4개를 포함해 영국 배터리(훈련부대 제외)의 허가된 설치는 총 88발의 총포였다.

변형

M40은 미국 육군 헌병 박물관에 있다.

총기 변형:

  • M1920 – 프로토타입.
  • T4 – 프로토타입.
  • M1(1938년) – 최초 생산 변형 모델, 20개 제작
  • M1A1(1941) – 변형된 브릭 링.
    • M1A1E1 – 크롬 도금 보어를 사용한 프로토타입.
    • M1A1E3 – 액체 냉각이 포함된 시제품.
  • M2 Standard(1945) – 수정된 브릿지 링 포함.

항공사 변형:

  • T2 – 프로토타입.
  • M1(1938).
  • M1A1 – T2 마차를 개조했다.
  • M2 표준

림버 변형:

  • M1 표준(1938년)
  • M5 무겁다(1945)

총은 또한 M13 마운트의 수정된 M4 중형 탱크 섀시에 장착되었다.결과 차량은 처음에 155mm 군 모터 캐리지 T83으로 지정되었고, 결국 T23 중형 탱크 섀시를 기반으로 한 155mm 모터 캐리지 M40.[16] 155mm 군 모터 캐리지 T79로 표준화되었으며, 과거 제안 단계를 진행하지 않았다.[17]휴대용 "파나마 마운트" M1도 제공되었다.

탄약

1945년 2월 이탈리아 조개껍질을 청소하는 영국 포병들

그 총은 별도의 장전, 충전 탄약을 사용했다.추진 전력은 베이스(9.23 kg)와 증분(4.69 kg)으로 구성되었다.아래 표의 데이터는 초충전(기본값 및 증분)을 위한 것이다.

발사체.[16][18][19]
유형 모델 무게 필러 입마개 속도 범위
APBC/HE AP M112 쉘 45.36kg(100.0lb) 폭발성 D 2746ft/s(837m/s) 24,075 yds(22,014m)
HE M101 쉘 42.96kg(94.7lb) TNT 2800ft/s(853m/s) 25,714 yds(23,513m)
연기 WP M104 쉘 44.53kg(98.2lb) 백인(WP) 2800ft/s(853m/s) 25,940 yds(23,1940 m)
연기 FS M104 쉘 클로로술폰산삼산화황 2800ft/s(853m/s) 25,940 yds(23,1940 m)
케미컬 H M104 셸 겨자 가스, 5.3kg(12lb) 2800ft/s(853m/s) 25,940 yds(23,1940 m)
모조의 더미 Mk I 발사체
모조의 더미 M7 발사체 43.09kg(95.0lb)
갑옷 침투, mm[16][20][21]
거리
탄약 457m
(500 yd)
914m
(1000yd)
1371m
(1,500yd)
AP M112 셸(동종 갑옷, 각도 30° 충족) 160 152
AP M112 셸(얼굴 경화 갑옷, 각도 30° 충족) 135 130
AP M112 셸(동종 갑옷, 각도 0° 충족) 193 191 183
콘크리트 침투, mm[16]
탄약 914m(1,000yd) 4,572m(5,000yd)
HE M101 쉘(각 0° 측정) 2,011 1,402
다른 국가/기간에서 다른 측정 방법이 사용되었다.따라서 직접 비교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기존 예제

파키스탄

오스트리아

호주.

  • 브리즈번 포트 리튼 [23]군사 박물관

이스라엘

독일.

  • Grafenwoehr Training Area – 이 특별한 대포는 이탈리아어 표시와 오래된 피렐리 타이어에 근거한 이탈리아로부터의 귀환이다.

네덜란드

  • 네덜란드 최고(아인트호벤 인근)에 있는 해방박물관 공원
슬로베니아 피브카 군사역사공원에 전시된 M1 155mm 총

슬로베니아

영국

미국

  • 포트 잭슨, 컬럼비아,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 앨라배마, 모바일, 전함기념공원
  • 오리건 올버니있는 팀버린 파크에서 구글 지도에서 항공 사진을 본다.
  • 메릴랜드 애버딘에 있는 미군 헌병 박물관
  • 루이지애나 주 배턴루즈에서 VFW 재커리 테일러 포스트 3784.
  • 조지아 주 코델레에 있는 조지아 재향군인 기념 주립공원
  • 오클라호마 포트 실의 포트 실 야포 박물관
  • 아이오와 주, 존스턴 캠프 닷지 아이오와 골드 스타 군사 박물관
  • VFW 포스트 2330, 서시, AR
  • 뉴욕 올드 베스페이지 아메리칸 아머 박물관
  • 펜실베이니아 뉴캐슬 스코틀랜드 메도우 파크
  • 켄터키주 포트 녹스의 조지 패튼 박물관과 리더십 센터.
  • 캔자스 시티, VFW 포스트 61
  • WAErett의 비행 유산 & 전투 갑옷 박물관
  • 뉴욕 워털리엇, 워털리엣, 워털리엇 아스널
  • 텍사스 라운드 록, 아메리칸 레지옹 조지 존스 포스트 447

참고 항목

메모들

  1. ^ a b c d e Foss, Christopher (1977). Jane's pocket book of towed artillery. New York: Collier. p. 135. ISBN 0020806000. OCLC 911907988.
  2. ^ http://morrisswett.contentdm.oclc.org/cdm/singleitem/collection/p15766coll2/id/529/rec/1 웨이백머신에 2017-03-01년 기록 보관 웨스터블록보드 1919 페이지 29-31
  3. ^ TM 9-3305 페이지 2-8, 그림 2-12, M1 155mm 포를 M2(롱 톰) 마차에 장착한다.
  4. ^ "Breachbloc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2-08. Retrieved 2012-12-19.
  5. ^ "TM 9-3305 p 5-1, Figure 5-2, Hand loading and ramming for weapons firing separate-loading ammuni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4-07. Retrieved 2012-12-20.
  6. ^ TM 9-3305 페이지 4-1, 그림 4-2.땅과 홈 그리고 그림 4-3.회전 밴드가 있는 발사체.
  7. ^ TM 9-3305 페이지 4-15, 그림 4-27 M13 점화 메커니즘.
  8. ^ TM 9-3305 페이지 7-2, 그림 7-1, 상단 및 하단 마차
  9. ^ "Popular Science Magazine November 1942". November 19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3-15. Retrieved 2016-09-27.
  10. ^ TM 9-3305 페이지 2-11, 그림 2-18.M1(M1 5) 마차에 탑재된 M1 8인치 호이처.
  11. ^ TM 9-3305 페이지 7-3, 그림 7-2, 총기 지지대 조립체
  12. ^ TM 9-3305 페이지 7-7, 그림 7-6.공압 평형기.
  13. ^ Stanton, Shelby (1984). Order of Battle, U.S. Army, World War II. Novato: Presidio Press. p. 394-424.
  14. ^ 자갈로카 –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국 야전 포병, 페이지 20–22.
  15. ^ 제2차 세계대전의 미국 야전 포병인 자갈로라, 페이지 37.
  16. ^ a b c d 훈니쿠트 – 셔먼: 미국 중형 탱크의 역사, 페이지 353-355, 570.
  17. ^ Hunnicutt – Pershing, A History of the Medium Tank T20 Series, 페이지 158.
  18. ^ 기술 매뉴얼 TM 9-1901, 탄약, 페이지 197-202.
  19. ^ 기술 매뉴얼 TM 9-1904, 탄약 검사 가이드, 페이지 490-518.
  20. ^ "Archived copy"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8-07-27. Retrieved 2017-06-13.{{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21. ^ "Archived copy"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7-09-17. Retrieved 2017-06-13.{{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22. ^ "Bunkermuseum Wurzenpass/Kärnt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2-27. Retrieved 2015-01-07.
  23. ^ "155mm Long Tom Gun Fort Lytton Historic Military Precinct". fortlytton.org.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August 2016. Retrieved 13 August 2016.
  24. ^ 파일:피키위키 이스라엘 32427 이스라엘 방위군JPG
  25. ^ 파일:뮤지엄 베브리덴데 볼루겔스 3JPG

참조

  • Bishop, Chris (1998).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ISBN 0-7607-1022-8.
  • Hunnicutt, R. P. (1994). Sherman: A History of the American Medium Tank. Presidio Press. ISBN 0-89141-080-5.
  • Hunnicutt, R. P. (1996). Pershing, A History of the Medium Tank T20 Series. Feist Publications. ISBN 1-112-95450-3.
  • Williford, Glen M (2016). American Breechloading Mobile Artillery 1875–1953. Thomas D. Batha. Schiffer Publishing Ltd. ISBN 978-0-7643-5049-8.
  • Zaloga, Steven J. (2007). US Field Artillery of World War II. New Vanguard 131. illustrated by Brian Delf. Osprey Publishing. ISBN 978-1-84603-061-1.
  • Hunnicutt, R. P. (1996). Pershing, A History of the Medium Tank T20 Series. Feist Publications. ISBN 1-112-95450-3.
  • Technical Manual TM 9–350, 155-MM Gun M2; Carriage Ml AND M1A1; Gun Mount M13; Heavy Carriage Limber M2 AND M5; AND Firing PlatformM Ml. War Department, 1944.
  • Technical Manual TM 9-1901, Artillery Ammunition. War Department, 1944.
  • Technical Manual TM 9-1904, Ammunition Inspection Guide. War Department, 1944.
  • Technical Manual TM 9-3305, Principles of Artillery Weapons. Department of the Army, May 1981.
  • Field Manual FM 6–40, Field Artillery Gunnery. War Department, June 194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