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 워크
A Human Work"인간 작품" | |
---|---|
신세기 에반게리온 에피소드 | |
![]() 에바-01(오른쪽)이 '제트 나홀로'(왼쪽)를 막으려 한다.'제트 나홀로' 사건은 비평가들에 의해 메카 장르의 해체와 정치적 풍자로 묘사되어 왔다. | |
에피소드 | 7화 |
연출자 | 스기야마케이이치 |
작성자 | 에노키도 요지 안노 히데아키 |
오리지널 에어 날짜 | 1995년 11월 15일 ( |
러닝타임 | 22분 |
'인간의 일'[a]은 가이낙스가 만든 일본 애니메이션 시리즈 '네온 제네시스 에반게리온'의 일곱 번째 에피소드다.안노 히데아키와 에노키도 요지가 쓰고 스기야마 게이이치 감독이 연출을 맡은 이 에피소드는 1995년 11월 15일 TV 도쿄에서 처음 방송되었다.이 시리즈는 Second Impact라는 이름의 세계적인 대격변이 일어난 지 15년 후에 만들어졌으며, 대부분 미래지향적이고 요새화된 도시 도쿄-3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이 시리즈의 주인공은 아버지 검도가 엔젤리온이라는 거대 생물기계 메카를 조종하기 위해 조직인 네르브에 영입한 10대 소년 신지 이카리다.이 에피소드에서는 경쟁 기관인 네르베네르가 에반게리온스의 대안으로 탑재된 원자로를 탑재한 대형 로봇인 '제트 나홀로'를 제작한다.1차 공개실험 때는 통제 불능의 상태로 원자로가 용융에 가까운 인근 도시를 향해 행진한다.신지는 자신의 에반게리온에서 로봇을 접근시키지 않고, 네르베스의 카츠라기 미사토 소령은 제트 나홀로 안에 들어가 원자로를 정지시킨다.
'인간작품'에는 스탠리 큐브릭, 오카모토 기하치, 이쿠하라 구니히코 등 일본과 서양 감독의 인용문, 사멸과 세피로스의 나무 등 과학적이고 종교적인 개념에 대한 문화적 언급이 담겨 있다.이 에피소드의 첫 방송은 일본 텔레비전에서 5.9%의 시청률을 기록했다.'인간의 작품'은 단편적인 리셉션을 받았으며, 일부 평론가들은 이 작품이 이 시리즈의 줄거리를 채우는 필러 에피소드라고 여겼으며, 다른 평론가들은 정치적 함의와 인격 발달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이 에피소드는 거대한 로봇 이야기의 양식적 특징을 패러디한 메카 장르와 제트 나홀로 불륜의 해체라고 묘사되어 왔다.
플롯
특별기관 네르베르의 수장 검도 이카리 사령관은 료지 카지와 전화 통화를 하고, 카지 사령관은 이카리에게 허위 자료로 정보 요청에 응했다고 말한 다음, "그 다른 일"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지 묻는다.이카리는 SSO에 탑승해 에반게리온 메카스를 더 짓기 위한 예산이 승인됐다고 말하는 무명의 사람과 이야기를 나눈다.한편 젊은 에반게리온 조종사 신지 이카리는 법적 후견인 가쓰라기 미사토 소령의 허술한 행동에 당황하고 있다.신지 또한 아카기 리츠코 박사로부터 '세컨드 임팩트'에 대한 진실을 보고받는데, 아카기 리츠코 박사는 기괴한 유성스트라이크에 대한 공식적인 이야기는 은폐라고 말한다.실제로 이 재앙은 남극의 천사가 갑자기 깨어나면서 일어났다.에인절스의 궁극적인 목표는 제3의 임팩트를 일으키는 것이라고 믿으며, 네르베르가 에인절스와 함께 에인절스와 싸워서 이러한 결과를 막을 수 있기를 바란다.한편 신지의 브리핑에 배석하고 있는 미사토는 리츠코가 말하는 것처럼 평소답지 않게 조용하고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미사토와 리츠코는 거대한 엔젤 파이팅 로봇인 '제트 나홀로'의 민간기업 시연회에 참석한다.시연 중 로봇은 통제 불능 상태가 되고 원자로는 임계 상태가 된다.라디오 커맨드 회로가 고장 났기 때문에 미사토는 신지 메카인 에바-01을 이용해 '나홀로'를 잡기로 하고 '나홀로'에 들어가 '희망'이라는 코드로 직접 프로그램을 삭제한다.신지 혼자 제트기를 잡고 미사토가 성공적으로 탑승한다.비밀번호가 원자로를 정지시키지 못하고 미사토는 수동으로 제어봉을 원자로 안으로 밀어 넣으려고 한다.마지막 순간, 막대기가 스스로 다시 꽂힌다.미사토는 로봇이 결코 녹아내릴 의도가 아니었다는 것과 모든 상황이 고의적인 파괴의 결과였다는 것을 깨닫는다.나중에 리츠코와 이카리는 사무실에서 이야기한다; 그녀는 미사토의 방해 시도 외에는 아무 문제 없이 제트 나홀로 계획이 진행되었다고 설명하고, 그는 그녀에게 잘된 일을 축하한다.다음 날 아침, 신지는 집에서 미사토의 행동에 다시 화가 나 있는데, 그의 학교 친구인 스즈하라 토지와 아이다 겐스케가 미사토는 미사토가 자신을 가족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보지 않는 자신의 성격의 한 면을 보여준다고 말할 때까지 말이다.신지는 그런 생각에 침울한 미소를 짓는다.
생산
Gainax studio staff decided the base plot for "A Human Work" in 1993, when it produced a presentation document of Neon Genesis Evangelion named "Proposal" (企画書, Kikakusho);[1] its Japanese title was chosen at the same time, but it was written with a comma in the "Proposal", as "Hito no, tsukurishimono" (人の、造りしもの, litt. "인간이 만든 것").[2][3]에노키도 요지와 신세기 에반게리온 안노 히데아키 감독이 대본을 썼고,[4]안노 감독도 스토리보드 작업을 했고, 스기야마 게이이치 감독도 에피소드 감독을 맡았다.[5]오쓰카 마사히코 감독, 스즈키 슌지 수석 애니메이터[6], 우기 미쓰무 부원장을 각각 맡았다.[7][8]
Gainax Shop에서 제작한 'A Human Work'의 첫 장면에서 볼 수 있는 Jet Alone 문서를 위해 직원들은 매킨토시로 생성된 원재료를 재현해 수정했다.[9]이 에피소드는 또한 SSTO 우주선과 페라리 328과 같은 실제 차량들을 묘사하고 있다.[10][11][12][13]미국 노스롭 YB-49 원형 제트추진 중폭폭격기는 당초 에바 수송기의 이미지로 선택되었으나, 승무원들은 나중에 북미 XB-70 발키리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14]에바-01은 같은 장면에서 '나홀로 제트'를 쫓아가면서 의도적으로 대표됐다.현실에서는 에바가 앞으로 비틀거릴 수밖에 없겠지만, 스태프는 흐름이 좀 더 유동적이기를 바랐고, 에바가 다른 메카를 쫓는 장면을 연출했다.[15]이 에피소드에는 안노 감독의 친구인 애니메이터 이쿠하라 구니히코와 오카모토 기하치에 대한 호사도 담겨 있어 다양한 연출 기법을 구사한다.[16][17]엔딩 테마로 일본 가수 다카하시 요코가 부른 <달에게 날아라>의 4비트 재즈 버전이 사용되었다.[18][19]
문화적 참조 및 테마
첫 번째 장면에서 검도는 그의 사무실에 액자가 들어가 있고, 방 천장에는 유대인 갑발라의 도식인 세피로스의 나무가 보인다.[20]이카리 사령관의 천장 삽화는 아타나시우스 커처의 오이디푸스 아이집티악우스에서 따온 것이다.[21]MCC 아고라에 따르면, 이 도표의 식별 가능한 히브리어 단어 중 일부는 "thunder"와 "god"로 번역되는데, 이는 이전 에피소드에서 패배한 엔젤 라미엘과의 연결고리인 "god"로, 이름은 "신의 Thunder"[22]를 의미한다.같은 장면에서 분자생물학의 용어인 사멸과 아포바이오시스(apoptosis)를 언급하는 글이 액자에 담겨 있다.[23][24]몇 장면 뒤, 신지에게 '세컨드 임팩트'에 대한 허구적이고 조작된 세부사항과 '첫 임팩트'에 대한 폭로가 담긴 교내 글이 액자에 담겨 '거인 임팩트' 가설을 언급한다.[25][26][27][28]일본 건축가 요시무라 야스타카씨는 SSTO의 인테리어를 영화 'A Space Odyssey'(1968년)[29]에서 볼 수 있는 우주선에 대한 가능성 있는 언급으로 여겼으며, 제트 나홀로'는 원래 '빨간 나홀로'로 불렸던 로봇 Jet Jaguar에서 따왔다. 메갈론(1973년).[30]
이 에피소드의 중심 주제는 대인관계 의사소통이다.[31]'인간의 일'에서는 에피소드에서 첫 번째 길을 마무리하는 신지,[32] 그리고 미사토의 심리가 깊어지고 있다.에피소드의 중심에는 미사토 심리의 다양한 애프터들이 있다; 미사토는 다양한 가면들을[33] 가지고 있고, 거친 노처녀와 대담한 군인이 되어 신지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34][35]신지는 미사토가 가족이기 때문에 더욱 거칠고 연약한 모습을 보이고, 행사가 끝나면 두 사람의 심리적 거리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게 된다.[36][37]「인간 작업」의 미사토도 「인간 손으로」[38] 제트 나홀로(Jet alone)를 막으려 한다. 인간의 능력에 대한 낙관론과 희망은 군부스터나 나디아와 같은, 이전의 아노 히데아키의 작품에서 이미 제시된 주제다. 푸른 물의 비밀.[39]만화책 자원의 매튜 잉글랜드는 에반게리온이 메카 장르를 탈구축한 사례 중 하나로 제트 단독 사건을 묘사했다.[40]작가 다니 카발라로의 경우 메카 공식이 '인간 작품'을 정치·경제적 풍자에 적극 참여하는 수단으로 전환한다.[41]평론가 데니스 레드몬드도 이 에피소드를 "일본 원자력 로비스트의 오만함"과 "케이레츠 재계 엘리트"에 대한 풍자라고 평했다.[42]
리셉션
'인간 작품'은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이 에피소드는 1995년 11월 15일 첫 방송되었으며, 일본 TV에서 시청률 5.9%를 기록했다.[43][44]디지털 집착의 리뷰어인 조엘 커닝햄은 이 에피소드가 아마도 시리즈 중 최악일 것이며 불필요하다고 비판했다. 커닝햄에 따르면, 어떤 일도 일어나지 않고 마지막에 일어나는 사건들은 변하지 않는다.그는 액션 장면을 "잘 해냈지만 궁극적으로 경박하다"고 표현하며 "특별히 좋은 캐릭터 순간도 없다"[45]고 말했다.만화책자재단의 테오 고고드는 '인간의 일'에서 제시된 정치 현장을 비판했고, 시리즈에서 묘사된 중-일 관계의 완화를 '문제적'으로 판단했으며, 에반게리온 세계의 저명한 국가들 중 러시아의 부재를 '연령화되지 않은' 것 중 하나로 비판하기도 했다.멀티베리티 코믹스의 매튜 가르시아에 따르면, "인간 작품"은 에반게리온의 가장 좋은 에피소드 중 하나가 아니지만, 대부분 미사토 덕분에 3막에서 함께 할 수 있다고 한다.[46][47]
애니메 카페의 일본 평론가 나가토미 아키오는 정부를 '단순한 바보'로 묘사하면서도 미사토의 이중 얼굴과 제트기 나홀로 오작동을 초래하는 음모, 애니메이션, 에바를 폭파범에서 떨어뜨린 것과 같은 일부 '네타트' 앵글샷을 포함한 서브플롯을 극찬했다.그는 "정치적 배경이 나를 좀 흥미롭게 하지만 대단한 에피소드는 아니다"[48]라고 결론지었다.영화 스쿨 리츠코의 맥스 코빌은 "인간 작품"이 시리즈의 줄거리를 "의미있는 방법으로" 진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미사토와 리츠코가 관련된 장면을 칭찬했다.그는 이를 중요한 조연 캐릭터에 대한 추가 배경을 제공하는 "흥미로운 에피소드"라고 설명했다.[49]애니메이션 플래닛 매거진의 존 빔은 '인간 작품'을 긍정적으로 검토했으며, 에바, 에인절스, 퍼스트 임팩트의 성격이 여전히 미스터리라고 지적하고, 이 쇼가 "우수한 캐릭터화, 애니메이션화, 드라마틱한 프리젠테이션"[50]이라고 극찬했다.시피 와이어의 대니얼 도커리는 미사토를 가장 과소평가된 에반게리온 캐릭터로, 두 번째 장면을 '센스'로 표현하며, 그 안에 있는 '제트 나홀로' 활성화와 미사토를 최고의 '침착하지 않는 순간'으로 꼽았다.[51]만화책자재단의 데빈 미난도 이 에피소드가 하찮아 보이지만 '인간적인 일'은 신지(新知)와 미사토(美士)[52] 관계를 발전시킨다고 언급했다.Gen의 두 번째 호에서:gen보다 뛰어난 로봇인 웹 시리즈 잠금:막부라는 이름의 자물쇠가 등장한다.버블 블래버의 평론가 데이비드 칼도르는 이 이슈에 안노라는 인물이 등장하는 것을 주목하면서 <쇼그막>을 <제트 나홀로>에 대한 가능한 언급으로 여겼다.[53]이 에피소드는 공식 티셔츠 라인에도 영감을 주었다.[54][55]
참조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귀속-쉐어 앨러게스 3.0(미신고)(CC-BY-SA 3.0) 라이센스로 공개되는 에반게리온 위키 07 에피소드에서 복사/첨부했다.
인용구
- ^ Gainax (1998). Neon Genesis Evangelion Newtype 100% Collection (in Japanese). Kadokawa Shoten. p. 88. ISBN 4-04-852700-2.
- ^ Neon Genesis Evangelion Theatralical VHS Box Booklet (in Japanese). King Amusement Creative. 1997.
- ^ Evangelion Chronicle (in Japanese). Vol. 18. Sony Magazines. p. 25.
- ^ Evangelion Chronicle (in Japanese). Vol. 43. Sony Magazines. p. 13.
- ^ "Staff". Neon Genesis Evangelion Blue Ray Ultimate Edition Encyclopedia. 2021.
- ^ Groundwork of Evangelion (in Japanese). Vol. 1. Gainax. 2000. p. 217. ISBN 4903713008.
- ^ Poggio, Alessandra (2008). Neon Genesis Evangelion Encyclopedia (in Italian). Dynit. p. 22.
- ^ 뽀로리 2009, 페이지 76.
- ^ Neon Genesis Evangelion Film Book (in Japanese). Vol. 3. Kadokawa Shoten. p. 7.
- ^ Neon Genesis Evangelion Film Book (in Japanese). Vol. 3. Kadokawa Shoten. p. 14.
- ^ 뽀로리 2009, 페이지 79.
- ^ Cannarsi 1998, 페이지 19.
- ^ Neon Genesis Evangelion Film Book (in Japanese). Vol. 3. Kadokawa Shoten. p. 9.
- ^ Neon Genesis Evangelion Film Book (in Japanese). Vol. 3. Kadokawa Shoten. p. 19.
- ^ Neon Genesis Evangelion Film Book (in Japanese). Vol. 3. Kadokawa Shoten. p. 21.
- ^ Cannarsi 1998, 페이지 42-43.
- ^ Oguro, Yūichirō. "第39回 エヴァ雑記「第六話 決戦、第3新東京市」"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0, 2018. Retrieved July 23, 2020.
- ^ Cannarsi 1998, 페이지 26.
- ^ Neon Genesis Evangelion Laserdisc Encyclopedia (in Japanese). Vol. 4. 1996.
- ^ Ortega, Mariana (2007). "My Father, He Killed Me; My Mother, She Ate Me: Self, Desire, Engendering, and the Mother in Neon Genesis Evangelion". Mechademia. 2: 216–232. doi:10.1353/mec.0.0010. ISBN 978-0-8166-5266-2. S2CID 120554645.
- ^ Cannarsi 1998, 페이지 17.
- ^ Black, Noah (January 21, 2020). "Get in the Robot". MCC Ago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2, 2020. Retrieved July 23, 2020.
- ^ Cannarsi 1998, 페이지 35.
- ^ Evangelion Chronicle (in Japanese). Vol. 2. Sony Magazines. p. 23.
- ^ "Episode:7 A Human Work". Neon Genesis Evangelion Blue Ray Ultimate Edition Encyclopedia. 2021.
- ^ Cannarsi 1998, 페이지 36.
- ^ Cannarsi 1998, 페이지 20.
- ^ Horn, Carl Gustav (2013). "Secrets of Evangelion". Neon Genesis Evangelion 3-in-1 Edition. Vol. 2. Viz Media. ISBN 978-1-4215-5305-4.
- ^ Yoshimura, Yasutaka (1997). "Sonata for EVANGELION – POP – A Compilation of the quoted 60's motifs". In Kaichiro Morikawa (ed.). The Evangelion Style (in Japanese). Daisan Shokan. p. 32. ISBN 4-8074-9718-9.
- ^ Platinum Booklet. Vol. 2. ADV.
- ^ 카나르시 1998, 페이지 16.
- ^ Oguro, Yūichirō. "第41回 エヴァ雑記「第八話 アスカ、来日」"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0, 2018. Retrieved July 23, 2020.
- ^ Evangelion Chronicle (in Japanese). Vol. 43. Sony Magazines. pp. 15, p. 21.
- ^ Cannarsi 1998, 페이지 46–47.
- ^ Oguro, Yūichirō. "第40回 エヴァ雑記「第七話 人の造りしもの」"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0, 2019. Retrieved July 23, 2020.
- ^ Evangelion Chronicle (in Japanese). Vol. 43. Sony Magazines. p. 21.
- ^ Neon Genesis Evangelion Film Book (in Japanese). Vol. 3. Kadokawa Shoten. p. 25.
- ^ Oguro, Yūichirō. "第45回 エヴァ雑記「第拾弐話 奇跡の価値は」"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 2021. Retrieved July 23, 2020.
- ^ Cannarsi 1998, 페이지 40-41.
- ^ England, Matthew (7 July 2020). "Neon Genesis Evangelion: The 5 Best Ways It Deconstructed The Mecha Anime (& 5 Ways It Elevated The Genre)". Cbr.com. Comic Book Resour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21. Retrieved 6 June 2021.
- ^ Cavallaro, Dani (2009). The Art of Studio Gainax: Experimentation, Style and Innovation at the Leading Edge of Anime. McFarland & Co. p. 66. ISBN 978-0-7864-3376-6.
- ^ Redmond, Dennis (2004). The World is Watching: Video as Multinational Aesthetics, 1968–1995.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p. 133. ISBN 0-8093-2535-7.
- ^ "Anime Land". Newtype (in Japanese). Kadokawa Shoten. February 1996. p. 66.
- ^ "新世紀エヴァンゲリオン テレビ本放送時 視聴率"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6, 2009. Retrieved December 30, 2020.
- ^ Cunningham, Joel (8 March 2002). "Neon Genesis Evangelion Collection 0:2 (1995)". Digitallyobsessed.com. Digitally Obsesse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21. Retrieved 30 May 2021.
- ^ Kogod, Theo (14 December 2019). "10 Things That Didn't Age Well In Neon Genesis Evangelion". Cbr.com. Comic Book Resour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anuary 2021. Retrieved 6 June 2021.
- ^ "Five Thoughts on Neon Genesis Evangelion's "The Works of Man" and "Asuka Arrives in Japan"". Multiversity Comics. 4 July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ly 2021. Retrieved 16 January 2022.
- ^ "Shinseiki Evangelion Review Pages – Episode 7: The Human Creation / A Human Work". Abcb.com. The Animé Café.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August 2018. Retrieved 31 May 2021.
- ^ Covill, Max (17 June 2019). "Every Episode of 'Neon Genesis Evangelion' Ranked". Filmschollrejects.com. Film School Rejec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anuary 2021. Retrieved 21 March 2021.
- ^ Beam, John (1997). G. Michael Dobbs (ed.). "Neon Genesis Evangelion: Genesis 0:4". Animation Planet. Vol. 1, no. 2. Inkwell Productions. pp. 13–14.
- ^ Dockery, Daniel (June 23, 2019). "The 10 most awesome (non-depressing) moments In Neon Genesis Evangelion". Syf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8, 2021. Retrieved July 23, 2020.
- ^ Devin Meenan. "Neon Genesis Evangelion: The 5 Darkest Episodes (& 5 Lightest)". Comic Book Resour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anuary 2022. Retrieved 13 January 2022.
- ^ Kaldor, David (7 November 2019). "Comic Review: gen:LOCK "unwelcome:GUESTS Part 2"". Bubbleblabber.com. Bubble Blabb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y 2021. Retrieved 6 June 2021.
- ^ The Essential Evangelion Chronicle: Side B (in French). Glénat. 2010. p. 125. ISBN 978-2-7234-7121-3.
- ^ "新世紀エヴァンゲリオン 全話Tシャツ 「第七話 人の造りしもの」" (in Japanese). Evangelion Sto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anuary 2022. Retrieved 22 January 2022.
참고 문헌 목록
- Cannarsi, Gualtiero (1998). Evangelion Encyclopedia (in Italian). Vol. 4. Dynamic Italia.
- Porori, Syunsou (2009). The Essential Evangelion Chronicle: Side A. Glénat Editions. ISBN 978-2-7234-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