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로하이트인

Afro-Haitians
아프로하이트인
총인구
c. 10,114,378[1]
언어들
프랑스어 · 아이티 크리올
종교
기독교(가명적으로 로마 가톨릭), 아이티 보다우
관련 민족
유럽 아이티 · 기타 아프로캐리빈스

아프로 하이티인들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까지 그들의 전체 또는 일부 조상을 추적하는 아이티인이다. 그들은 아이티에서 가장 큰 인종 집단을 형성하고,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인종 집단인 다른 아프로 카리브해 집단과 함께 이 지역 최대의 인종 집단은 아이티에서 가장 큰 인종 집단이다.

아프로 하이티인의 대다수는 스페인 제국프랑스 왕국이 농장에 일하기 위해 이 섬에 데려온 노예화된 아프리카인들의 후손이다. 아이티 혁명 이후 아프로하이티인들은 21세기 초 인구의 95%를 차지할 정도로 전국에서 가장 큰 인종 집단이었다. 인구의 나머지 5%는 혼혈인(아프리카와 유럽계 혼혈인)과 기타 소수집단(유럽계, 아랍계, 아시아계인)으로 구성된다.

오리진스

아이티의 아프리카 사람들은 세네갈에서 콩고에 이르는 다양한 지역에서 파생되었다. 대부분은 서아프리카에서 가져온 것이고, 상당수는 중앙아프리카에서 가져온 것이다. 이들 단체로는 옛 콩고 왕국(콩고), (이그보 베닌(에우[2]·요루바)과 토고랜드 출신들이 있다.[3] 아이티의 다른 나라들은 세네갈,[4] 기니(스페인인이 16세기 이후 수입한 뒤 프랑스인이 수입한 것), 시에라리온, 윈드워드 코스트, 앙골라, 카메룬, 나이지리아, 가나, 토고, 동남 아프리카(예: 18세기에 아이티에 끌려온 마다가스카르의 바라 부족민들)에서 가져왔다.[5] 아이티 문화는 서아프리카 문화와 매우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식민지 이전의 베냉의 문화인 아이티 보두는 대부분 베냉의 원래 서아프리카 보둔에서 유래했으며 프랑스에 기반을 둔 아이티 크리올 언어는 폰 언어를 포함한 여러 아프리카 언어에서 영향을 받았다. 아이티에서 백인(대부분 프랑스인)을 퇴치하는 사건인 아이티 혁명전쟁 당시 아이티의 흑인 상당수가 아프리카 태생이었고 비아프리카 혼화물이 없었다. 식민지 아이티의 평균 아프리카 노예의 수명이 짧고 프랑스는 노예인구를 늘리기 위해 매년 수천 명의 아프리카인을 지속적으로 수입했기 때문인데, 1790년에는 노예가 60만 명에 육박해 약 20대 1로 백인보다 많았다.

인구통계학

아이티는 평방 킬로미터당 평균 250명(평방미터당 650명)의 인구지만, 아이티의 인구는 도시 지역, 해안 평야, 계곡에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다. 아이티의 인구는 유엔 2008년 추산에 따르면 약 980만 명으로, 인구의 절반이 20세 미만이었다.[6][7] 1950년에 실시된 최초의 공식 인구 조사는 310만 명의 인구를 보여주었다.[8]

세계 팩트북에 따르면, 아이티인의 95%는 주로 아프리카 혈통이고, 나머지 5%의 인구는 대부분 혼혈인종과 유럽 출신이며,[1] 그 외 여러 민족이다.[9][10]

문화

2014년 2월 아이티 자멜가나발

문화, 종교, 사회 조직은 주로 다호메이-나이거ian을 중심으로 프랑스와 아프리카 전통 사이의 싱크로트주의의 과정을 아이티에서 가져온 결과물이다. 아이티의 소수 문화 관습은 아이티 보다우이다. 이것은 아마도 베냉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비록 중앙 아프리카의 콩고로부터 추가된 강한 요소들이 있고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세비스 랑의 소송에 대표된다. 일반적으로 무시되지만 중요한 요소는 히스파니올라 원주민인 타이노족의 것이다. 타이노스는 아이티 보다우의 신앙체계에, 특히 아프리카 대륙에 상대가 없는 종교집단인 페트로 숭배에서 영향력이 컸다. 로아 숭배로 특징지어지는 이 종파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민속 제미스의 영향을 받는다. 아이티 북부 전역은 콩고의 관행에 영향을 받는다. 북쪽에서는 흔히 리테스 콩고 또는 렘바라고 부른다. 남부에서는 콩고의 영향력을 페투(페트로)라고 부른다. 많은 loa는 바심비나 렘바와 같은 콩고 출신이다.[11]

다처제는 가톨릭 결혼과 함께 지속된다. 춤과 레크리에이션의 형태는 아프리카 활동과 관련이 있다. 콩의 조제는 서아프리카의 스타일로 이루어진다. 대중 문학은 국어로 표현된 우화와 다른 형식을 간직하고 있다. 경제활동은 서구 문화의 전형이고 옷은 유럽적인 경향이 있지만, 여성들이 머리 위로 입는 스카프는 서아프리카 전역에서 입는 옷의 전형이다.

아이티에서는 두 개의 언어가 사용된다. 불어는 학교에서 가르치고 인구의 약 42%에 의해 알려져 있지만 포르토프랭스와 다른 도시들에서 소수 흑인 및 혼혈 거주자들에 의해 사용된다.[12] 프랑스어, 스페인어, 타이노에 뿌리를 둔 아이티어 크리올. 포르투갈어, 영어, 아프리카어는 지역마다 변증법적 형태를 가진 언어다. 전국 각지에서 쓰이나 농촌에서는 널리 쓰인다.[13]

아이티의 음악은 노예들과 함께 아프리카에서 온 리듬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 두 리듬은 항구와 콩고에서 직접 온다; 세 번째 리듬인 "페트로"는 식민지 시대에 이 섬에서 개발되었다. 모두 보다우 의식에서 사용되는 리듬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리듬은 타악기가 가장 중요한 악기인 음악적 스타일을 만들어냈고, 종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인 민속음악이 되었다. 핸드헬드 악기를 가진 사람들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또 다른 형태의 음악은 투바두(twoubadou)로 오늘날까지 견뎌온 음악 스타일이다. 현재 아이티의 컴파스 장르에서 들리는 음악은 메렝게보다 조금 부드러우며 콩고 리듬과 유럽, 카리브해의 영향을 결합하고 있다. 콤파는 이 리듬의 가장 최신 버전이다.[14]


주목할 만한 사람들

참고 항목

참조 및 각주

  1. ^ a b "Haiti: People and society: Population". The World Factbook. July 2017.
  2. ^ Fernández Esquivel, Franco (2001). "Procedencia de los esclavos negros analizados a través del complejo de distribución, desarrollado desde Cartagena" [Origin of black slaves analyzed through a distribution complex developed from Cartagena] (in Spanish). Revistas Académicas de la Universidad Nacio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9 October 2016. Retrieved 7 October 2016.
  3. ^ "African Origins of Haitians". haiti360.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14.
  4. ^ Hall, Catherine, Review of the Modern World 1780–1911: Global Connections and Comparisons, Christopher Bayly 온라인 사이트 history.ac.uk에서 2008년 8월 7일에 액세스
  5. ^ "Opinión: El merengue Dominicano y su origines" [Review: The Dominican merengue and its origins] (in Spanish). ciao.es. 16 August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October 2014. Retrieved 7 October 2016.
  6. ^ "Country profile: Haiti". bbc.co.uk. 17 October 2012. Retrieved 7 October 2016.
  7. ^ "New Haiti Census Shows Drastic Lack of Jobs, Education, Maternal Health Services".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10 May 2006. Retrieved 7 October 2016.
  8. ^ "Haiti: Population".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Retrieved 7 October 2016.
  9. ^ "The Virtual Jewish History Tour: Oceania: Haiti". Jewishvirtuallibrary.org. 2010. Retrieved 7 October 2016.
  10. ^ Shanshan, Wang; Huang Zhiling; Guo Anfei (19 January 2010). "Chinese in Haiti may be evacuated". chinadaily.com.cn. Retrieved 18 October 2016.
  11. ^ "Zombis: Vudú haitiano" [Zombies: Haitian Voodoo] (in Spanish). linkmesh.com. Retrieved 7 October 2016.[영구적 데드링크]
  12. ^ Wolff, Alexandre (2014). La langue française dans le monde 2014 [The French language in the world in 2014] (PDF) (in French). Paris: Nathan. ISBN 978-2-09-882654-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2 April 2015. Retrieved 7 October 2016.
  13. ^ 미셸 드그레이프, "아이티의 언어 장벽", 보스턴 글로브, 2010년 6월 16일
  14. ^ "Población haitiana" [Haitian population] (in Spanish). mondolatino.eu. Retrieved 7 October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