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베르디, 아르메니아
Alaverdi, Armenia좌표: 41°08°N 화씨 44°39°E / 41.133°N 44.650°E
알라베르디 Ալավերդի | |
---|---|
![]() 왼쪽 상단부터: Alaverdi 스카이라인 • Alaverdi의 오래된 동굴 Alaverdi-Sanahin 다리 • 그레고리 오브 Nareck Church 데브드 리버 • 구리 콤바인 및 케이블카 알라베르디의 파노라마 보기 | |
좌표: 41°08′N 44°39′E / 41.133°N 44.650°E/ | |
나라 | ![]() |
마르즈 | 로리 |
설립됨 | 1899 |
면적 | |
• 합계 | 18km2(7평방 미) |
표고 | 1,000m(3,000ft) |
인구 (2017) | |
• 합계 | 13,186 |
• 밀도 | 730/km2(1,900/sq mi) |
시간대 | UTC+4(UTC) |
지역 번호 | (+374) 253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출처: 인구[1] |
알라베르디(Armenian: ալվվե,,,, 아르메니아어 발음: [ɑlɑvɛɾdidi])는 그루지야와의 국경 근처에 있는 아르메니아 북동부에 있는 로리 성의 마을 및 시 지역사회다. 아르메니아와 그루지야 사이의 유일한 직통 철도 연결선에 위치해 있다. 데벳 강 협곡의 바닥에 위치한 알라베르디는 아르메니아 북부의 중요한 상업 및 산업 중심지다.
2011년 인구조사 기준 이 도시의 인구는 13,343명으로 1989년 보고된 2만6,300명에 비해 감소했다. 현재 이 마을은 2016년 공식 추정치대로 대략 11,000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어원
역사적으로 알라베르디 주변 지역은 중세시대에 마나스고메르 또는 마니츠 곰으로 알려져 있었다. 17세기부터 정착지는 알라베르디(Alaverdi Molaoğlu Tarkhan)라는 17세기 투르크계 보르살로 부족의 지도자 알라베르디(Alaverdi Molaoğlu Tarkhan)의 이름에서 유래하여 알라베르디(Alaverdi)로 알려지게 되었다.[2]
그러나 알라베르디는 1899년에야 마네즈 마을(현 알라베르디의 일부) 부근에 구리 제련소가 문을 열었고, 제련소의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주택용 막사가 건설되면서 마네즈(역사적 마니츠 곰에서 유래)로 알려진 정착지로 형성되었다.
역사
1931년에 실시된 발굴조사에서 현대 알라베르디의 지역이 아마도 기원전 2천년기의 전반기에 정착되었을 것이라고 증언했다. 이후 이 지역은 기원전 8세기에서 6세기 사이에 우라르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아케메니드 침공 이후 이 지역은 아르메니아의 사트라피 일부가 되었다. 기원전 331년 아르메니아 왕국이 수립되면서 이 지역은 대 아르메니아 13번째 주였던 역사적인 구가크의 드조라포 광구의 일부가 되었다.
387년 비잔틴 제국과 사사니드 페르시아 사이의 아르메니아 분할에 이어 428년 아르사니드 아르메니아 붕괴에 이어, 드조라포 지역을 포함한 동부 아르메니아는 사사니드 페르시아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658년 아르메니아는 아랍 침략자들에 의해 정복되었다. 9세기 말에, 조라포르는 새롭게 세워진 아르메니아 바그라티드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979년 키우리케 1세는 키우리키아 왕조의 통치와 아르메니아의 바그라티드 왕들의 보호 아래 타슈르-드조라게트 왕국(대체로 로리 왕국)을 세웠다. 키우리키인들은 타시르-드조라게트가 조지아 왕국의 일부가 된 1118년까지 왕국을 통치했다.
셀주크족은 12세기 초 이 지역을 침공하였으나 그들의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고 1118~1122년 그루지야 왕 다윗이 로리를 정복하여 그루지야-아르메니아 오르벨리아 왕조에게 그 통치를 허가하였다. 오르벨인들은 1177년에 반란을 일으켰고, 그 후 Kipchak인 Kubasari가 로리의 스파살라리(Spasalari)로 임명되었다. 이후 1185년 조지아의 타마르 왕비가 자카리드 왕자인 사르키스를 총독으로 임명한 후, 이 지방은 자카리아 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3] 11세기와 13세기 사이에, 그리고 하그패트와 사나힌과 오드순의 수도원이 설립되면서, 현대판 알라베르디는 아르메니아 문화, 신학, 과학의 두드러진 중심지가 되었다. Hovhannes Imastaser, 그리고 투테오르디, Davit Kobayretsi, 그리고 마기스트로스 같은 학자들은 이러한 수도원에서 일했다.[3] 그러나 이 지역은 1236년 몽골의 침입으로 황폐화되었고, 14세기 후반에 이르러 자카리아 왕조가 쇠퇴하였다.[3]
로리는 아마시아의 1555년 평화의 결과로 사파비드 페르시아에 합병되어 페르시아의 카르틀리-카케티 지방의 일부가 되었다. 1747년 나데르 샤가 살해된 후, 1762년까지 카틀리와 카케티의 그루지야 왕국은 독립하여 단일 왕국으로 통합되었다.[4] 1801년, 그루지야 지방인 카르틀리, 카케티와 함께 로리는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다.[3] 이 지역은 1813년 1월 1일 러시아와 카자르 페르시아 사이에 체결된 굴리스탄 조약에서 공식적으로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행정적으로 이 지역은 러시아 제국의 티플리스 총독 내 보르찰리 우예즈드의 일부였다.
러시아 통치하에 18세기 동안 수많은 폰틱 그리스 광부들이 아르구틴스키-돌고루키 가문의 노력으로 구리를 착취하기 위해 이 지역에 재입주하였다. 곧이어 알라베르디에서 러시아 구리 전체의 4분의 1 가까이가 채굴되고 있었다. 19세기 말에 광산을 착취하기 위한 양보는 프랑스 회사에 팔렸다. 1899년 트빌리시-알렉산드로폴 철도가 설립되면서 사나힌과 아코리 사이 마단 마을 인근에 구리 제련소가 새로 개설되어 제련소 직원의 거처가 되는 새로운 정착지의 토대를 마련했다. 새로 세운 정착지는 마네스로 개칭되었다.
1918년 5월에 로리는 새로 형성된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18년 말 아르메니아와 그루지야는 로리를 둘러싸고 국경 전쟁을 벌였다. 1919년 1월 영국군에 의해 로리 중립지대가 설치되었다. 1920년 12월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연방화에 이어 1921년 2월 11일 마네스를 포함한 로리가 마침내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에 편입되었다.[3]
소련의 지배하에 마네스의 제1차 주요 계획은 1929~1930년 건축가 미카엘 마즈만산에 의해 도입되었다. 마네스는 1935년 알라베르디로 개명하고, 1938년 도시형 정착지 지위를 인정받아 알라베르디 레이온의 중심지가 되었다. 소련의 아르메니아의 주요 산업 중심지로서 마을이 점진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이 마을의 주요 계획은 1946년 건축가 Hrayr Isabekyan에 의해 수정·개발되어 현재의 사회주의 산업 모습을 획득하게 되었다. 1959년과 1962년 사이에 건축가 레본 체르케잔의 설계를 바탕으로 마을의 남반부는 데베드 강의 오른쪽 둑에 있는 사나힌 고원에 건설되었다.
1991년 아르메니아 독립에 이어 1995년 행정개혁에 따라 알라베르디는 새로 형성된 로리 성 내에 포함되었다. Alaverdi의 시 커뮤니티에는 Akner의 인근 농촌 정착지도 포함된다. 알라베르디 구리 제련소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산업공장으로 1997년 민영화 이후 현재 ACP사가 운영하고 있다.
지리와 기후
알라베르디는 높은 산과 푸른 숲으로 둘러싸인 해발 1000m의 데베드 강 협곡 해안에 있다. 데브드 강은 도시의 중심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흐른다. 알라베르디의 오래된 북쪽 절반은 데베드 협곡에 있고, 새로운 남쪽 절반은 사나힌 고원에 있다. 남동쪽으로는 사나힌, 동쪽으로는 하그패트, 서쪽으로는 아코리, 남서쪽으로는 오드쥔 등 큰 마을들로 둘러싸여 있다. 솜케티 산맥은 북쪽과 북서쪽에서 마을을 지배하고, 팜박 산맥은 남쪽과 남서쪽에서 지배한다. 높이가 2544m인 랄바르 봉우리는 마을의 북서쪽에 있다.
알라베르디는 쾨펜 기후 분류에 따라 차가운 반건조 기후(BSK)를 갖고 있다.
Alaverdi용 기후 데이터 | |||||||||||||
---|---|---|---|---|---|---|---|---|---|---|---|---|---|
월 | 얀 | 2월 | 3월 | 4월 | 5월 | 준 | 줄리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평균 높은 °C(°F) | 0.6 (33.1) | 2 (36) | 5.8 (42.4) | 10.5 (50.9) | 15 (59) | 19.2 (66.6) | 22.1 (71.8) | 22.8 (73.0) | 18.2 (64.8) | 13.1 (55.6) | 7.1 (44.8) | 2.6 (36.7) | 11.6 (52.9) |
일평균 °C(°F) | −7.4 (18.7) | −5.5 (22.1) | −1 (30) | 6 (43) | 11.1 (52.0) | 14.3 (57.7) | 17.6 (63.7) | 17.7 (63.9) | 13.6 (56.5) | 7.9 (46.2) | 1.9 (35.4) | −3.9 (25.0) | 6.1 (43.0) |
평균 낮은 °C(°F) | −11 (12) | −8.9 (16.0) | −4.9 (23.2) | 0.1 (32.2) | 5.3 (41.5) | 9.8 (49.6) | 13.2 (55.8) | 13.6 (56.5) | 9.5 (49.1) | 4.1 (39.4) | −3.1 (26.4) | −8.5 (16.7) | 1.6 (34.9) |
평균 강수량 mm(인치) | 23 (0.9) | 27 (1.1) | 35 (1.4) | 67 (2.6) | 111 (4.4) | 104 (4.1) | 64 (2.5) | 49 (1.9) | 45 (1.8) | 41 (1.6) | 31 (1.2) | 22 (0.9) | 615 (24.2) |
평균강수일 | 5 | 6 | 11 | 15 | 17 | 13 | 9 | 8 | 9 | 9 | 6 | 5 | 113 |
출처: alaverdi.am, climate-data.org |
인구통계학
인구 및 민족 집단
알라베르디는 한 때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큰 것으로 여겨졌던 소수 그리스 공동체를 가진 아르메니아 민족이 주로 거주하고 있다. 아르메니아의 그리스인들은 폰트어 사투리를 구사하며 아르메니아어와 러시아어를 모두 유창하게 구사한다.
알라베르디의 마단 근방은 소비에트 시대에는 그리스 공동체가 크게 형성되어 있었다.[5]
1916년 이후 알라베르디의 인구 연대표는 다음과 같다.
연도 | 1916 | 1926 | 1939 | 1959 | 1970 | 1979 | 2001 | 2011 | 2016 |
---|---|---|---|---|---|---|---|---|---|
인구 | 1,185 | 4,500 | 10,010 | 16,805 | 23,311 | 23,182 | 14,835 | 13,343 | 11,000 |
종교
알라베르디의 대다수는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 속한 아르메니아계 민족이다. 교회의 규제 주체는 세보우 추울지안 대주교(바나드조르의 좌석)가 이끄는 구가크 교구다.
2001년 11월 개교한 나렉의 세인트 그레고리 교회는 이 마을의 교회다. 알라베르디 구리 제련소, 구가크 교구, 마을 시민들의 노력으로 알라베르디가 건설되었다.[6]
문화
사나힌에 있는 미코얀 형제 박물관은 아나스타스와 아르템 미코얀 형제들을 기린다.[7]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인이 1932년에 설립한 알라베르디 시립 극장은 많은 저명한 예술가를 배출한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중요한 극장 중 하나이다.
알라베르디 전통 음악 밴드는 1937년에 결성되어 소련의 주요 도시 곳곳을 순회했다. 이 밴드는 독일, 프랑스, 벨기에에서도 공연을 했다. 그 마을에는 연극극장과 a극장도 있다. 그것은 큰 극장과 큰 공공도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르메니아 국립 미술관은 1987년에 알라베르디 지사를 개관했다.
1997년 알라베르디 문화궁전이 문을 열었다. 또한 마을의 공공도서관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2009년 현재 Alaverdi는 로마노스 멜리키안의 이름을 딴 음악학원이 있으며, 총 6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3개 학교도 있다.[8]
역사적 기념물
알라베르디 주변은 역사적 기념물과 자연생활이 풍부하다. 아르메니아 건축 유산의 많은 표본들이 마을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그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5세기 오드순 교회
- 7세기의 호로마이어 수도원은 오드쥔 마을 근처에 있었다.
- 8-13세기 아르드비의 수프 호바네스 사원은
- 데브드 강의 해안 근처에 위치한 10세기의 케이슨 성,
- 10세기 아쇼트 예르카트 왕이 알라베르디 근처에 건설한 카얀 요새.
- 10세기의 사나힌 수도원,
- 10세기의 하그팟 수도원
- 11세기 40대 순교자 교회
- 1195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데벳 강의 알리베르디-사나힌 다리.
교통
알라베르디는 예레반-기움리-트빌리시 선의 주요 철도역이다. 이 철도는 1899년부터 운행되고 있으며 현재 조지아뿐만 아니라 서부 및 중부 아르메니아와 마을을 연결하고 있다.
예레반과 트빌리시를 잇는 M-6 고속도로는 알라베르디를 통과한다.
이 마을의 남쪽 절반은 북쪽의 강과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블웨이뿐만 아니라 데벳 강 위의 다리를 통해서도 연결되어 있다.
알라베르디에서 가장 가까운 공항은 시내에서 서쪽으로 51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스테파나반 공항(현재 재건 중인 공항)이다.
, 이코노미
알라베르디 지역에 대한 그루지야 통치 기간 동안, 1770년 그루지야 왕 에렉레 2세의 명령에 의해 알라베르디 구리 제련소가 설립되었다. 19세기 말에 이 지역은 야금업에 대한 러시아와 프랑스의 증가하는 투자를 통해 번창했다. 1903년 알라베르디 지역에서 생산된 구리의 양은 러시아 제국 전체 구리 생산량의 약 13%를 차지했다.
1909년 말까지 개발 중인 야금류 식물에게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데벳 강의 수력 발전소가 발족되었다.
소련 통치 기간 동안 알라베르디에서는 사나힌 주변 지역을 비롯한 마을 등 대규모 건설 공사가 진행되었다. 소련은 알라베르디를 소규모 공업 정착지에서 소련의 아르메니아 내 현대적인 마을로 변화시킨 이 지역의 야금 공업의 확대를 위해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최근 알라베르디 제련소의 구리 생산 확대와 '아르메니아 구리' 프로젝트의 틀 안에서 새로운 구리 광산 개발을 위한 새로운 계획이 소개되었다.
구리공장에 의해 500여개의 취업 기회가 확보되고 있다.
교육
구가크 지방은 아르메니아 역사를 통틀어 주요한 교육 중심지 중 하나였다. 역사적인 사나힌 대학은 바그라투니의 여왕 호스로바누스의 노력으로 서기 966년에 개교한 곳으로, 알라베르디의 남동쪽 변두리에 있는 현대판 사나힌 마을의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현재 이 마을은 로리 지방의 중요한 교육 중심지 중 하나이다. 알라베르디에는 2009년 현재 10개 공교육학교가 운영 중이며 학생 수는 2000여 명이다. 반면 시내에 있는 약 400명의 아이들은 6개의 유치원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다. 알라베르디 주립 중급대학은 2년의 기간 동안 교육학에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북부대학교 투마니난 분과는 간호학과 치과 보형물 학위를 제공한다.
스포츠
풋볼
알라베르디는 아르메니아의 주요 스포츠 센터 중 하나이다. 1936년 알라베르디의 메탈러그 축구 클럽은 아르메니아 SSR을 대표하는 최초의 소련 축구 선수권 대회의 하위 레벨에 참가했었다.
1991년 아르메니아 독립 후, 1992년 시즌 동안 데벳 FC는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의 마을을 대표하였다. 그러나, 다른 많은 아르메니아 축구 클럽들과 마찬가지로, 데브드 FC는 1993년에 해체되었고 현재 프로 축구에서 활동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라베르디의 스포츠 인프라는 매우 열악하지만, 아르메니아 축구 연맹에 의해 이 지역에 경기를 홍보하기 위해 시행된 계획도 있다. 따라서, 이 마을의 유일한 메탈루그 경기장은 로리 성의 젊은 축구 선수들과 스포츠 학교들을 위해 개조되었다.
기타스포츠
소련 시절 알라베르디는 강한 핸드볼 팀을 갖고 있었다. 올레그 고르부노프(소비에트 핸드볼 1960년대 선수)의 이름을 딴 알라베르디의 핸드볼 훈련학교는 1962년부터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9] 체스와 복싱을 위한 다른 전문 학교들도 2006년부터 이 도시에서 운영되고 있다.
알라베르디 풋살은 올레그 고르부노프 스포츠 스쿨에서 경기를 하는 아르메니아 풋살 리그의 마을을 대표한다.
트윈 타운 – 자매 도시
2007년 5월 28일부터 조지아주 코불레티.[10]
2007년 10월 1일부터 그리스 니카이아기오스 이오아니스 렌티스.[11]
2012년 5월 26일부터 벨라루스의 폴로츠크였습니다.[12]
라트비아의 다우가프필스는 2012년 10월 2일부터.[13]
2014년 9월 25일 루마니아 게오르게니.[14]
참조
- ^ 로리
- ^ "Ալավերդի տեղանունը պետք է ջնջել սերունդների հիշողությունից - ankakh.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10. Retrieved 2021-04-17.
- ^ a b c d e Matevossian, R. (1978). "Լոռի [Lori]". In Hambardzumyan, Viktor (ed.). Soviet Armenian Encyclopedia (in Armenian). 4. Yerevan: Armenian Encyclopedia. pp. 663–64.
- ^ Suny, Ronald Grigor (1994).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pp. 55–56. ISBN 9780253209153.
- ^ Asatryan, Arakelova, Garnik, Victoria. The Ethnic Minorities of Armenia.
- ^ "News".
- ^ "Mikoyan Brothers Museum Official Website". Mikoyan Brothers Museum. Retrieved 9 October 2021.
- ^ "Education in Alaverdi". Alaverdi town official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7-18. Retrieved 2009-08-14.
- ^ "Sport in Alaverdi". Alaverdi town official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5-31. Retrieved 2009-08-24.
- ^ "Sister cities". Alaverdi town official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8-01. Retrieved 2009-08-24.
- ^ "Sister cities". Alaverdi town official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8-01. Retrieved 2009-08-24.
- ^ Alaverdi 자매 도시: 폴로츠크 웨이백 머신에 2014-01-04 보관
- ^ Alaverdi 자매 도시: 다우가프필스 웨이백머신에 2014-01-05년 보관
- ^ "Կամուրջ՝ Ռումինիայի Գեորգեն և Ալավերդի քաղաքների միջեւ - Հետք - Լուրեր, հոդվածներ, հետաքննություններ".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알라베르디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위키보이지의 알라베르디 여행 가이드
- 공식 웹사이트
- Cilicia.com에서 간략한 설명을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