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라 둘게루

Alexandra Dulgheru
알렉산드라 둘게루
Dulgheru WMQ18 (9) (28665180217).jpg
2018년 윔블던 예선 덜게루 선수단
나라(스포츠) 루마니아
거주지루마니아 부쿠레슈티
태어난 (1989-05-30) 1989년 5월 30일 (32세)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부쿠레슈티
높이1.72m(5ft 8인치)
프로로 전향했다.2005년 5월 5일
플레이스오른손(양손 백핸드)
상금US$ 2,329,967
싱글스
경력기록386–257 (60.0%)
경력직명2
최고 순위No. 26 (2011년 4월 11일)
현재 순위376호(2021년 7월 19일)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결과
오스트레일리아 오픈2R (2016)
프렌치 오픈3R(2010)
윔블던3R(2010)
US 오픈3R(2010)
복식
경력기록86–100 (46.2%)
경력직명0
최고 순위41번(2011년 7월 4일)
현재 순위제931호(2021년 7월 19일)
그랜드 슬램이 2배 더 많은 결과를 낳다
오스트레일리아 오픈3R(2011년)
프렌치 오픈3R(2011년)
윔블던1R(2010, 2015)
US 오픈3R(2010)
경력기록2–2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결과
오스트레일리아 오픈1R(2011년)
윔블던2R(2010, 2011)
US 오픈1R(2015년)
단체전
페드컵7–8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2021년 7월 19일.

알렉산드라 둘게루(로마어 발음: [aleksandsandra dulˈeru], 1989년 5월 30일생)[1]는 루마니아 출신의 프로 테니스 선수다.2011년 4월 11일, 그녀는 세계 26위라는 개인 최고 싱글 순위를 달성했다.그녀의 복식 최고 랭킹은 2011년 7월 4일에 도달한 41위다.[1]그녀는 가브리엘 우르피의 지도를 받는다.[2]

개인적인

아버지 두미트루는 파일럿이고, 어머니 도이나는 항공사 코디네이터다.그녀의 여동생 비앙카는 호텔 보조 매니저다.루마니아어, 영어, 스페인어를 구사하며 현재 부쿠레슈티 경제학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있다.[3]

경력

그녀의 최고의 주니어 성적은 2006년 윔블던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 나왔는데, 그녀는 8강전에서 타미라 파섹에게 6-4, 6-4로 패했다.그녀는 또한 크리스티나 안토니추크와 함께 복식 결승전에 진출했다.그들은 알리사 클라이바노바아나스타샤 파블리우첸코바에게 1 대 6, 2 대 6으로 졌다.[4]2008년 말, 그녀는 WTA 랭킹에서 346위였다.

2009: 첫 WTA 타이틀

2009년 US오픈 둘게루 선수단

2009년 4월, 그녀는 몬존에서 열린 7만 5천 달러의 토너먼트에서 키미코 다테-크룸에 준우승을 했다.[5]2주 후, 그녀는 바리에서 열린 2만 5천 달러 토너먼트에서 우승했고, 결승전에서 산드라 자흘라보바를 물리쳤다.

그녀는 바르샤바 오픈에서 예선전으로 WTA 투어에 데뷔했다.그녀는 1라운드에서 루마니아 예선전 동료 아그네스 사트마리를 물리쳤다.그 뒤를 이어 그녀는 44위 사라 에라니에게 2세트 승리를 거두며 8강에 진출했고 95위 갈리나 보스코보바에바를 꺾었다.세계랭킹 36위, 전 세계랭킹 5위 다니엘라 한투코바를 꺾고 3세트 만에 알로나 본다렌코를 꺾은 첫 WTA 결승에 올랐다.

다음 대회는 프라하 오픈으로 개막전에서 칼라 수아레스 나바로에게 패했다.Bad Gastein 토너먼트에서 알렉산드라는 4번 시드의 이베타 베네쇼바의 손에 또 한번의 개막전 출구를 당했다.

2009년 8월 US오픈에서 그랜드슬램에 데뷔해 1라운드에서 8번 시드의 빅토리아 아자렌카에게 패했다.

린츠 토너먼트에서, 그녀는 시빌 밤머에게 2세트 만에 1라운드에서 승리했고, 결국 3번 시드의 챔피언이자 최종 우승자인 야니나 위크메이어에게 졌다.이어 룩셈부르크오픈 1라운드에서 위크메이어에게 패했다.

이 결과 그녀는 올해 말까지 세계 랭킹 52위에 올랐다.

2010: 30위권 진입

올해 첫 그랜드 슬램 대회인 호주 오픈에서 알렉산드라는 단식과 복식 경기에 모두 출전했는데, 이것은 멜버른에서의 첫 출전이다.단식에서는 1라운드에서 야니나 위크메이어에게 3세트 만에 패했다.복식 경기에서, 그녀는 동료인 Edina Gallovits와 팀을 이루었고, 그들은 1라운드에서 Carly Gullikson/Vladimira Uhlliřava의 American-Chec 팀에 3세트 만에 졌다.

올해 첫 하이라이트는 알렉산드라가 준결승에 오른 바르셀로나 오픈에서 나왔다.그녀는 실비아 솔러 에스피노사, 사라 에라니, 아란텍사 파라 산톤자를 물리쳤고, 준결승전에서 로베르타 빈치에게 7-6, 1-6, 2-6으로 졌다.

덜게루는 이탈리아 오픈에서 세계 3위 디나라 사피나와의 경기에서 6–4, 6–7, 6–1로 첫 톱10 승리를 거두었다.3라운드에서 둘게루는 나디아 페트로바에게 패했다.

마드리드 오픈에서, 그녀는 2라운드에서 엘레나 데멘티에바를 6-1, 3-6, 7-5로 물리치고 두 번째 톱10 승리를 거두었다.3라운드에서 그녀는 루시 샤파쇼바에게 7–6, 1–6, 6–7로 졌다.

알렉산드라 둘게루 2010 폴사트 바르샤바 오픈에서 2009년 프리미어 타이틀을 방어했다.

그녀는 자신이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바르샤바 오픈에서 두 번째 WTA 프리미어 타이틀과 두 번째 WTA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첫 라운드에서, 그녀는 카테리나 본다렌코타이다 바신스키를 세트 연속으로 이겼다.8강전에서 그녀는 불가리아 예선전인 츠베타나 피론코바를 물리쳤다.준결승에서, 그녀는 3번 시드의 리나에게 6–4, 3–6, 6–4를 이겼다.결승에서, 그녀는 정제를 연속으로 이겼다.

그랜드 슬램 및 부상

프랑스오픈에 처음 출전한 그는 1라운드에서 루시 히라데카 7-6, 4-6, 6-3, 2라운드에서 타이다 바신스키 6-4, 6-2로 완파했다.그 후 그녀는 3번 시드의 캐롤라인 워즈니악키에게 연속 세트에서 졌다.

복식 경기에서 그녀는 알버타 브리안티와 팀을 이루었다.그들은 1라운드에서 질 크레바스/아나스타시아 파블리우첸코바 팀을 6-1, 6-4로 이겼다.그리고 5번 시드 기셀라 둘코플라비아 페네타와의 경기에서 5-7, 6-7로 졌다.

유니세프 오픈에서 또 다른 준결승전이 이어졌다.그녀는 생애 처음으로 시드 선수(5번 시드)로 줄리 코인, 알라 쿠드랴브체바, 야로슬라바 슈베도바에 이어 준결승에서 저스틴 헤닌에게 패했다.

윔블던에 처음 출전한 그녀는 단식, 복식, 혼합 복식의 세 가지 가능한 무승부에 모두 진입했다.단식에서는 31번 시드의 알렉산드라가 일본 베테랑 키미코 다테-크룸 1라운드에서 3세트 만에 완패했다.그녀는 2라운드 예선전에서 6-2, 6-0의 스트레이트로 휩쓸었던 로미나 오판디와 맞붙었다.그녀의 승리는 에스토니아 예선전 카이아 카네피에게 1 대 6, 2 대 6으로 패하면서 3라운드에서 끝났다.복식 경기에서 그녀는 알버타 브리안티와 팀을 이루었다.그들은 1라운드에서 미국-카자흐 팀에게 2-6, 2-6으로 패했고 결국 윔블던 챔피언인 바니아 킹과 야로슬라바 슈베도바에게 패했다.혼성 두플 코너에서 그녀는 스페인 선수 데이비드 마레로와 팀을 이루었다.

2010년 US오픈 둘게루 선수단

파리 실내 그랑프리에서는 2번 시드의 알렉산드라가 올해 네 번째 준결승에 진출했다.산드라 자흘라보바, 안나 차크베타체, 아나스타시자 세바스토바가 헝가리 출신 아그네스 사베이에 3세트 만에 준결승에서 패해 우승했다.

좋은 폼에 이어 알렉산드라도 프라하 오픈에서 2번 시드를 받았다.1라운드에서 그녀는 이탈리아의 타티아나 가르빈을 6-4, 2-6, 6-2로 이겼다.우승 직후 그녀는 오른쪽 무릎에 통증을 느꼈고 슬로베니아 폴로나 헤르코그와의 2라운드 경기를 앞두고 토너먼트에서 물러나야 했다.그 부상으로 그녀는 한 달 동안 테니스를 치지 못했다.

2010년 8월, 그녀는 US 오픈 시리즈를 준비하는 법원으로 돌아왔다.그녀는 1라운드에서 알리사 클라이바노바에게 패했던 신시내티 마스터스에 진출했다.

그녀는 마침내 US 오픈에서 단식과 복식 경기에 모두 출전했다.단식에서는 1라운드에서 프랑스 줄리 코인을 상대로 연속 세트에서 25번째 시드를 기록했다.그 후 그녀는 2라운드에서 소피아 아르비드손과 맞대결을 펼쳤으며, 그녀는 또한 스트레이트 세트에서 패배했다.그녀는 3라운드에서 7번 시드의 베라 즈보나레바에게 2-6, 6-7로 패하며 결승점에 도달했다.복식 경기에서, Magdaléna Rybariková와 그녀의 파트너 알렉산드라는 6–4, 4–6, 7–6의 누리아 라고스테라 비브스마리아 호세 마르티네스 산체스로 구성된 1라운드 3번 시드의 스페인 듀오에서 깜짝 놀랐다.2라운드에서 알렉산드라와 파트너는 에디나 갈로비츠클라우디아 얀스를 세트 연속 무찔렀다.14번 시드의 엘레나 베스니나/베라 즈보나레바 듀오가 알렉산드라, 막달레나를 2세트 차로 꺾으면서 이들의 주행을 저지했다.

연말에는 WTA 랭킹 29위에 올랐다.

2011년: 26위 하이

둘게루는 첫 두 대회 모두 1라운드에서 연속으로 패하며 한 해를 시작했다.호주오픈에서 모리타 아유미에게 패한 그녀의 부진은 계속됐다.그 후 마이애미에서 둘게루는 아주 좋은 경기를 했다.그녀는 2라운드에서 샤넬 셰퍼스를 6-3, 6-2로 누르고 3라운드에서 요한나 라르손에게 6-2, 6-1로 이겼다.4라운드에서 그녀는 펑수이에게 6-3, 6-4로 이겼다.둘게루는 8강전에서 샤라포바와 맞붙어 마라톤 경기를 펼쳤다.둘게루는 첫 세트를 6 대 3으로 이겼다.그 후 샤라포바는 2세트에서 8-6으로 승리했다.3세트에서는 5-4로 둘게루가 서브를 넣었지만 샤라포바가 3세트 타이브레이크 7-5로 완승을 거뒀다.이후 둘게루는 지금까지 자신의 최고 순위인 26위에 올랐다.

US 오픈에서 덜게루는 최근 윔블던 챔피언이자 5번 시드의 페트라 크비토바를 7-6[6], 6-3으로 꺾은 뒤 2라운드에서 동료 모니카 니쿨레스쿠에게 3-6, 0-6으로 졌다.

2012: 부상 및 200위 밖으로 추락

연초 65위에 오른 둘게루는 칼리에서 자신의 유일한 올해의 (ITF) 타이틀을 따내며 3세트 만에 맨디 미넬라를 방어했다.

보고타, 몬테레이, 아카풀코에서 잇따라 개막전 패배를 당한 뒤 이리나 팔키와 함께 인디안 웰스에서 1라운드에 나섰으나 1세트를 6-4로 이긴 뒤 2세트(2~5시)에 무릎 부상을 입고 은퇴했다.

그녀는 ITF 토너먼트에서 11월 8개월 만에 코트에 복귀했지만 결과가 좋지 않았다.연말까지 그녀는 233위에 랭크되었다.

2013: 천천히 다시 상승

알렉산드라는 안탈리아에서 열린 ITF 2개 대회에서 준결승에 오른 뒤 인도 웰스에서의 보호된 랭킹으로 WTA 투어에 복귀해 6-4, 6–4 예선전인 미셸 라처브리토를 꺾은 뒤 2라운드에서 0–6, 6–4, 3–6, 32 시드의 펑슈아이에게 패했다.다음 주, 마이애미에서, 그녀는 아나벨 메디나 가리그스에게 오프닝을 빼앗겼다.

그녀는 마드리드에서 열린 예선전에서 와일드카드를 받았고, 그녀는 예선을 통과했지만, 1라운드에서 최종 우승자인 마리아 샤라포바에게 5-7, 2-6으로 졌다.여전히 팔레르모에서 예선전을 치른 그는 오른쪽 발가락 부상으로 루르데스 도밍게스 리노와 1세트에서 1-5로 1라운드에서 은퇴해야 했다.

보스타드에서는 캐롤라인 가르시아를 2세트 만에 꺾으며 더 잘 출발했지만, 이후 2라운드에서 버진리 라자노에게 6-3, 0–6, 4–6으로 패했다.토론토에서 다시 예선전을 치러야 했고, 1차전에 출전할 자격을 얻었는데, 여기서 막달라 리바리코바에게 연속 세트에서 졌다.신시내티에서는 2차 예선에서 소피아 아르비드손에게 또 한 번 패하며 간신히 본선 무승부 자격을 얻지 못했다.

미국오픈에서 1라운드에서 직접 출전권을 따낸 뒤 3세터 힘겨운 상황에서 바르바라 렙첸코를 꺾은 뒤 2-6, 1-6, 13번 시드의 아나 이바노비치에게 패했다.

더 작은 ITF 토너먼트를 치기 전에, 그녀와일드카드 한성희에게 연속 세트로 승리했던 WTA 투어를 서울에서 끝냈다. 그리고 2라운드에서 라라 아루아바르레나에게 3세트 만에 졌다.

연말에 알렉산드라는 WTA 랭킹 164위에 올랐다.

2014년: 100위권으로 돌아가기

두르게루는 WTA 투어에서 일관되지 않은 성적을 거둔 뒤 ITF 토너먼트에서 마르세유와 두바이에서 우승하고 캄피나스에서 준결승에 오르는 등 매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그녀가 모은 점수로 인해 그녀는 연말까지 순위 83위로 올라섰다.

2015년: 쿠알라룸푸르에서 결승선을 통과하여 다시 50위 안에 들었다.

2015년 프랑스 오픈 둘게루 선수단

둘게루는 선전 오픈에서 시즌을 시작했다.그녀는 1라운드에서 사이사이 정에게 졌다.[7]시드니에서는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에게 2차 예선 탈락했다.호주 오픈에서 그녀는 1라운드에서 호주인 자밀라 가이도쇼바에게 패했다.[8]

둘게루는 지난 2월 두바이 챔피언십 최종예선에 진출해 미르자나 루치치-바로니에게 패했다.[9]카타르에서 예선을 통과한 그는 3번 시드의 캐롤라인 워즈니악키와의 2라운드 경기 도중 상부 호흡기 감염으로 은퇴했다.[10]그녀는 호흡기 감염에서 회복된 후 곧 회복되어 말레이시아 오픈에서 통산 세 번째 WTA 투어 결승에 진출했다.그녀는 결승전에서 톱시드 캐롤라인 워즈니악키에게 졌다.[11]이로써 그녀는 WTA 랭킹 72위에 올랐다.이 공연에 이어 마이애미오픈에 출전해 출전 자격을 얻었지만 1라운드에서 엘레나 베스니나에게 패했다.

덜게루는 찰스턴에서 클레이코트 시즌을 시작했고, 그녀는 1라운드에서 아젤라 톰야노비치에게 다시 졌다.이후 2015년 페드컵 월드 그룹 플레이오프에서 루마니아에서 뛰었고 프랑수아즈 에반바와 세계 7위 유제니 부샤르와의 두 경기에서 모두 승리했다.둘게루는 이후 마드리드오픈에서 와일드카드를 받았지만 1세트를 챙긴 뒤 전 프랑스오픈 챔피언 아나 이바노비치와의 3세트에서 은퇴했다.

둘게루는 프리미어 5 이탈리아 오픈에서 또 한번 멋진 토너먼트를 치렀다.출전 자격을 얻어 도이 미사키, 12번 시드의 루시 샤파쇼바, 8번 시드의 에카테리나 마카로바( 통산 4번째 톱텐 우승)를 꺾었다.그녀는 8강전에서 세계 2위 시모나 할렙에게 졌지만 그녀의 활약으로 그녀는 다시 50위 안에 들었다.

성능 타임라인

W F SF QF #R RR Q# P# DNQ A Z# PO G F-S SF-B NMS P NH
(W) Won; (F) finalist; (SF) semifinalist; (QF) quarterfinalist; (#R) rounds 4, 3, 2, 1; (RR) round-robin stage; (Q#) qualification round; (P#) preliminary round; (DNQ) did not qualify; (A) absent; (Z#) Davis/Fed Cup Zonal Group (with number indication) or (PO) play-off; (G) gold, (F-S) silver or (SF-B) bronze Olympic/Paralympic medal; a (NMS) downgRaded Masters Series/1000 토너먼트, (P) 연기, (NH) 개최되지 않음.SR=스트라이크 레이트(이벤트 승리/경쟁)
혼선과 이중 계수를 피하기 위해, 이 차트는 토너먼트가 종료될 때 또는 선수의 참가가 종료되었을 때 업데이트된다.

WTA 투어, 그랜드 슬램 대회, Fed Cup/Billie Jean King Cup, 올림픽 경기에서 메인 추첨 결과만 승패 기록에 포함된다.[12]

싱글스

2021년 위너스 오픈 이후 현재.

토너먼트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SR W-L 승률
그랜드 슬램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A 1R 1R 1R A Q2 1R 2R A 3분기 A A A 0 / 5 1–5 17%
프렌치 오픈 A 3R 2R A A Q2 2R 1R Q1 2R A A Q2 0 / 5 5–5 50%
윔블던 A 3R 2R A A Q2 1R A A 2R A NH Q1 0 / 4 4–4 50%
US 오픈 1R 3R 2R A 2R 2R 1R A A 3분기 A A A 0 / 6 5–6 45%
윈-로스 0–1 6–4 3–4 0–1 1–1 1–1 1–4 1–2 0–0 2–2 0–0 0–0 0–0 0 / 20 15–20 43%
WTA 1000
두바이 / 카타르 오픈 A 2R 2R A A Q2 Q2 A A A Q1 A A 0 / 2 2–2 50%
인도 웰스 오픈 A 2R 2R 1R 2R A A 1R A A A NH A 0 / 5 2–5 29%
마이애미 오픈 A 2R QF A 1R A 1R 1R A A A NH A 0 / 5 4–5 44%
마드리드 오픈 A 3R 1R A 1R Q1 1R A A A A NH A 0 / 4 2–4 33%
이탈리아 오픈 A 3R 1R A A A QF A A A A A A 0 / 3 5–3 63%
캐나다 오픈 Q1 1R A A 1R A A A A A A NH A 0 / 2 0–2 0%
신시내티 오픈 Q1 1R A A Q2 Q1 Q1 A A A A A A 0 / 1 0–1 0%
팬퍼시픽 / 우한오픈 A 2R 1R A A A 1R A A A A NH 0 / 3 1–3 25%
차이나 오픈 A 2R 1R A A A 1R A A A A NH 0 / 3 1–3 25%
경력통계
토너먼트 6 26 21 7 8 6 17 9 1 4 0 0 3 경력합계: 108
제목 1 1 0 0 0 0 0 0 0 0 0 0 0 경력합계: 2
결승전 1 1 0 0 0 0 1 0 0 0 0 0 0 경력총합: 3
윈-로스 6–5 33–24 14–21 1–7 4–8 5–6 12–17 3–9 2–1 3–4 0–0 0–0 0–3 2 / 108 83–105 44%
연말순위 51 29 70 238 157 105 57 280 193 148 823 $2,329,967

복식

토너먼트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 2022 W-L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A 1R 3R 2R A A A 1R 3–4
프렌치 오픈 A 2R 3R A A A 2R A 4–3
윔블던 A 1R A A A A 1R A 0–2
US 오픈 1R 3R 1R A 1R A A A 2–4
윈-로스 0–1 3–4 4–3 1–1 0–1 0–0 1–1 0–0 0–0 9–13

WTA 커리어 파이널

싱글: 3개(2개 타이틀, 준우승 1개)

레전설
그랜드 슬램(0–0)
WTA 1000(0-0)
프리미어 / WTA 500(2–0)
국제 / WTA 250(0–1)
표면별 결승전
하드(0–1)
잔디(0–0)
클레이(2–0)
카펫(0-0)
결과 W-L 날짜 토너먼트 계층 표면 상대 점수
이기다 1–0 2009년 5월 폴란드 바르샤바 오픈 프리미어 점토 Ukraine 알로나 본다렌코 7–6(7–3), 3–6, 6–0
이기다 2–0 2010년 5월 바르샤바 오픈, 폴란드(2) 프리미어 점토 China 정제 6–3, 6–4
손실 2–1 2015년 3월 말레이시아 오픈 국제 딱딱한 Denmark 캐롤라인 워즈니악키 6–4, 2–6, 1–6

복식: 2위(2위)

레전설
그랜드 슬램(0–0)
WTA 1000(0-0)
WTA 500(0-0)
국제 / WTA 250(0–2)
표면별 결승전
하드(0–1)
잔디(0–0)
클레이(0–1)
카펫(0-0)
결과 W-L 날짜 토너먼트 계층 표면 파트너 반대자 점수
손실 0–1 2010년 10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오픈 국제 딱딱한 Slovakia 막달레나 리바리코바 Russia 알렉산드라 파노바
Belarus 타티아나 푸체크
3–6, 4–6
손실 0–2 2013년 7월 스웨덴 보스타드 오픈 국제 점토 Italy 플라비아 페네타 Spain 아나벨 메디나 가리지스
Czech Republic 클라라 자코팔로바
1–6, 4–6

ITF 회로 결승전

레전설
$10,000 토너먼트
7만 5천 달러 토너먼트
5만 달러 토너먼트
$25,000 토너먼트
$15,000 토너먼트
1만 달러 토너먼트

싱글: 19개(11개 타이틀, 준우승 8개)

결과 W-L 날짜 토너먼트 계층 표면 상대 점수
이기다 1–0 2005년 5월 ITF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0,000 점토 Romania 리아나 발라시 6–2, 6–2
손실 1–1 2005년 5월 ITF 피테슈티, 루마니아 10,000 점토 Romania 아나마리아알렉산드라세레 5–7, 2–6
손실 1–2 2006년 11월 ITF 카이로, 이집트 10,000 점토 Romania 리아나 발라시 1–6, 1–6
손실 1–3 2007년 7월 ITF 토루슈, 폴란드 25,000 점토 Switzerland 스테파니 뷔겔레 2–6, 6–4, 5–7
손실 1–4 2007년 8월 ITF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25,000 점토 Romania 소라나 쿠르스테아 4–6, 3–6
손실 1–5 2009년 4월 ITF 몬손, 스페인 75,000 딱딱한 Japan 다테-크룸 키미코 5–7, 2–6
이기다 2–5 2009년 4월 이탈리아 ITF 바리 25,000 점토 Czech Republic 산드라 잘라보바 6–4, 6–4
이기다 3–5 2009년 9월 ITF 소피아, 불가리아 100,000 점토 Italy 타티아나 가빈 6–7(4), 7–5, 6–1
손실 3–6 2009년 9월 ITF 생말로, 프랑스 100,000 점토 Spain 아란텍사 파라 산톤자 4–6, 3–6
이기다 4–6 2009년 10월 ITF 주니에 오픈, 레바논 75,000 점토 Slovakia 주자나 쿠초바 3–6, 6–3, 6–4
이기다 5–6 2012년 2월 콜롬비아 ITF 칼리 100,000 점토 Luxembourg 맨디 미넬라 6–3, 1–6, 6–3
이기다 6–6 2013년 1월 ITF 안탈리아, 터키 10,000 점토 Hungary 레카 루카 재니 6–2, 6–2
이기다 7–6 2014년 6월 프랑스 ITF 마르세유 100,000 점토 Sweden 요한나 라르손 6–3, 7–5
이기다 8–6 2014년 11월 ITF 두바이, UAE 75,000 딱딱한 Japan 다테-크룸 키미코 6–3, 6–4
이기다 9–6 2015년 7월 프랑스 ITF 콘트렉세빌 100,000 점토 Kazakhstan 율리아 푸틴세바 6–3, 1–6, 7–5
손실 9–7 2017년 1월 ITF 하마멧, 튀니지 15,000 점토 Spain 마리아 테레사 토로 플로르 3-6, 되받아치기.
이기다 10–7 2017년 6월 프랑스 ITF 몽펠리에 25,000 점토 France 셰라자드 라이스 6–2, 6–2
이기다 11–7 2017년 8월 ITF 호드메즈바샤를리, 헝가리 25,000 점토 Ukraine 가나 포즈니크히렌코 7–5, 6–2
손실 11–8 2021년 5월 ITF 생가이덴스, 프랑스 60,000 점토 France 클라라 부렐 2–6, 6–1, 2–6

복식: 9개(3개 타이틀, 6개 준우승)

결과 W-L 날짜 토너먼트 계층 표면 파트너 반대자 점수
손실 0–1 2005년 6월 ITF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0,000 점토 Romania 미하엘라 몰도반 Romania 코리나클라우디아코두나누
Romania다이애나 에나체
2 대 2의 리트.
손실 0–2 2006년 5월 ITF 안탈리아, 터키 10,000 점토 France 클레어 드 구베르나티스 Georgia (country) 마르갈리타 차크나슈빌리
Turkey 이페크제노을루
4–6, 3–6
손실 0–3 2006년 9월 ITF 과달라하라, 멕시코 10,000 점토 Mexico 발레리아 풀리도벨라스코 Argentina 베티나죠자미
Mexico 다니엘라 무뇨스 갈레고스
5–7, 4–6
이기다 1–3 2006년 11월 ITF 카이로, 이집트 10,000 점토 Netherlands 마르셀라 코크 South Africa 테건 에드워즈
Ukraine 옥사나 파블로바
6–3, 6–2
이기다 2–3 2006년 11월 ITF 카이로, 이집트 10,000 점토 Netherlands 마르셀라 코크 Austria 스테파니 하이드너
Bulgaria 빌자나 파블로바
7–6(4), 3–6, 7–6(5)
손실 2–4 2007년 3월 ITF 로마, 이탈리아 10,000 점토 Serbia 보지슬라바 루키치 Italy 줄리아갓토몬티콘
Belarus 다랴 쿠스토바
7–5, 1–6, 2–6
손실 2–5 2007년 9월 ITF 그라나다, 스페인 25,000 딱딱한 Romania 모니카 니쿨레스쿠 Spain 마르타 마레로
Spain 마리아 호세 마르티네스 산체스
4–6, 1–6
이기다 3–5 2010년 4월 ITF 몬손, 스페인 75,000 딱딱한 Thailand 타마린 타나수간 Indonesia 야유크바즈키
United States 리자 잘라메다
6–2, 6–0
손실 3–6 2011년 12월 ITF 두바이, UAE 75,000 딱딱한 Uzbekistan 아크굴 아만무라도바 Russia 니나 브라치코바
Croatia 다리자 주락
4–6, 6–3, [6–10]

직접 기록

상위 10명과의 경기 기록

현역 선수들이 볼드체크를 하고 있다.

플레이어 기록하다 승률 딱딱한 점토 잔디 라스트 매치
랭킹 1위 선수
Russia 디나라 사피나 1–0 100% 1–0 2010년 로마오픈 우승(6–4, 6–7(5–7), 6–1)
Belgium 저스틴 헤닌 0–1 0% 0–1 2010년 S-Hertogenbosch 오픈에서의 손실(2–6, 2–6)
Romania 시모나 할렙 0–1 0% 0–1 2015년 로마 오픈에서의 손실(1–6, 0–6)
Spain 가르비녜 무구루자 0–1 0% 0–1 2014년 호바트 인터내셔널에서의 손실(3–6, 2–6)
Czech Republic 카롤리나 플리슈코바 0–1 0% 0–1 2015 크레믈린컵에서 손실(4–6, 7–5, 6–7(7–9))
Belarus 빅토리아 아자렌카 0–2 0% 0–2 2010 마이애미 오픈에서 손실(3–6, 2–6)
Belgium 킴 클라이스터스 0–2 0% 0–1 0–1 2011년 시드니 인터내셔널에서의 손실(1–6, 2–6)
Serbia 아나 이바노비치 0–3 0% 0–2 0–1 2015 Wuhan Open에서 손실(1–6, 3–6)
Russia 마리아 샤라포바 0–3 0% 0–2 0–1 2014 US 오픈에서의 손실(6–4, 3–6, 2–6)
Germany 안젤리크 케르버 0–3 0% 0–3 2016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 손실(2–6, 4–6)
Denmark 캐롤라인 워즈니악키 0–4 0% 0–3 0–1 2016 ASB Classic에서의 손실(1–6, 0–6)
랭킹 2위 선수
China 나리 1–0 100% 1–0 2010년 바르샤바 오픈에서 우승(6–4, 3–6, 6–4)
Czech Republic 페트라 크비토바 1–2 33% 1–1 0–1 2012년 시드니 인터내셔널에서의 손실(5–7, 6–3, 4–6)
Russia 스베틀라나 쿠즈넷소바 0–2 0% 0–1 0–1 2011 China Open에서의 손실(2–6, 1–4 ret.)
Russia 베라 즈보나레바 0–3 0% 0–2 0–1 2012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의 손실(6–7(4–7), 7–6(7–5), 6–3)
랭킹 3위 선수
Russia 엘레나 데멘티에바 1–0 100% 1–0 2010년 마드리드 오픈에서 우승(6–1, 3–6, 7–5)
Russia 나디아 페트로바 0–1 0% 0–1 2010년 로마 오픈에서 손실(0–6, 6–3, 2–6)
랭킹 4위 선수
Japan 다테-크룸 키미코 2–1 67% 1–1 1–0 2014년 두바이 ITF 챌린지 우승(6–3, 6–4)
Australia 사만다 스토수르 0–1 0% 0–1 2010년 슈투트가르트 오픈에서의 손실(6–3, 0–6, 2–6)
Slovakia 도미니카 치불코바 0–1 0% 0–1 2010 ASB Classic에서의 손실(0–6, 3–6)
Italy 프란체스카 시아보네 0–3 0% 0–3 2014년 리모게스 오픈에서의 손실(3–6, 6(4–7)–7)
랭킹 5위 선수
Russia 안나 차크베타제 1–0 100% 1–0 2010년 부다페스트에서의 손실(7–6(7–5), 1–6, 6–2)
Italy 새라 에라니 3–1 75% 3–1 2011년 마르벨라 오픈에서의 손실(2–6, 2–6)
Canada 에우제니 부샤르 1–1 50% 1–0 0–1 2016년 찰스턴에서의 손실(3–6, 4–6)
Slovakia 다니엘라 한투코바 1–1 50% 1–1 2011년 슈투트가르트 오픈에서의 손실(5–7, 3–6)
Czech Republic 루시 샤파쇼바 1–1 50% 1–1 2015년 로마오픈 우승(1–6, 6–4, 7–6(8–6))
랭킹 6위 선수
Spain 칼라 수아레스 나바로 0–1 0% 0–1 2009 프라하 오픈에서의 손실(6–4, 3–6, 3–6)
랭킹 7위 선수
Switzerland 패티 슈나이더 1–0 100% 1–0 2010년 두바이 챔피언십 우승(6–2, 6–2)
France 마리온 바르톨리 0–1 0% 0–1 2010년 두바이 챔피언십에서 손실(2–6, 1–6)
Italy 로베르타 빈치 0–4 0% 0–1 0–2 0–1 2014년stanbul Cup에서의 손실(3–6, 1–4 ret.)
랭킹 8위 선수
Russia 에카테리나마카로바 2–1 67% 1–0 1–1 2016 라바트 그랑프리에서의 손실(4–6, 2–6)
랭킹 9위 선수
Switzerland 타마다 바신스키 3–0 100% 3–0 2010년 프랑스 오픈에서 원(6–4, 6–2)
Germany 안드레아 페트코비치 0–2 0% 0–2 2021년 위너스 오픈에서의 손실(3–6, 1–4 리트)
랭킹 10위권 선수
Russia 마리아 키릴렌코 0–1 0% 0–1 2010년 크렘린컵에서 손실(2–6, 2–6)
합계 19–49 28% 5–29
(15%)
13–17
(43%)
1–3
(25%)

상위 10승

# 플레이어 순위 이벤트 표면 둥글다 점수
2010
1. Russia 디나라 사피나 3번 이탈리아 오픈 점토 3라운드 6–4, 6–7(5–7), 6–1
2. Russia 엘레나 데멘티에바 7번 스페인 마드리드 오픈 점토 3라운드 6–1, 3–6, 7–5
2011
3. Czech Republic 페트라 크비토바 6번 US 오픈 딱딱한 1라운드 7–6(7–3), 6–3
2015
4. Canada 에우제니 부샤르 7번 캐나다 몬트레알의 페드컵 딱딱한 플레이오프 6–4, 6–4
5. Russia 에카테리나마카로바 8번 이탈리아 오픈 점토 3라운드 6–4, 6–3

참조

  1. ^ a b "Womens Circuit – Player Biography". ITF Tenn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ne 2011. Retrieved 28 May 2011.
  2. ^ "WTA Players Info Alexandra Dulgheru". Wtatennis.com. Retrieved 28 May 2011.
  3. ^ "Biography". www.wtatennis.com.
  4. ^ "Juniors – Player Activity". ITF Tennis. 28 May 2010. Retrieved 28 May 2011.
  5. ^ "ITF Tennis – Women's Circuit – Tournament Resul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ne 2011. Retrieved 28 May 2011.
  6. ^ Rothenberg, Ben (29 August 2011). "In an Upset, Kvitova Loses to Dulgheru".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9 August 2011.
  7. ^ "Klara Koukalova crashes out of Shenzhen Open first round". www.pulse.ng. 4 January 2015. Retrieved 19 July 2021.
  8. ^ "Australian Open 2015: Jarmila Gajdosova moves into second round after straight sets win over Alexandra Dulgheru". www.heraldsun.com.au. 19 January 2015. Retrieved 19 July 2021.
  9. ^ Leach, Alex (15 February 2015). "Top two safely make it through to main draw". www.khaleejtimes.com. Retrieved 19 July 2021.
  10. ^ "Azarenka v Wozniacki in Qatar". www.news24.com. 26 February 2015. Retrieved 19 July 2021.
  11. ^ "Caroline Wozniacki wins 1st 2015 title". www.espn.com. 8 March 2015. Retrieved 19 July 2021.
  12. ^ "Alexandra Dulgheru". Australian Open. Retrieved 24 December 2020.{{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