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베타나 피론코바

Tsvetana Pironkova
츠베타나 피론코바
Pironkova US16 (7) (29569439690) (cropped).jpg
2016년 US오픈 피론코바 선수단
풀네임츠베타나 키릴로바 피론코바
네이티브 이름Цветана Пиронкова
나라(스포츠) 불가리아
거주지불가리아 플로브디브
태어난 (1987-09-13) 1987년 9월 13일 (34세)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플로브디브
높이1.80m(5ft 11인치)[1]
프로로 전향했다.2002
플레이스오른손(양손 백핸드)
상금US$ 5,321,439
공식 웹사이트tsvetanapironkova.com
싱글스
경력기록413–321 (56.3%)
경력직명1
최고 순위31번(2010년 9월 13일)
현재 순위183번(2021년 9월 20일)
그랜드 슬램 단식 결과
오스트레일리아 오픈2R(2006, 2008, 2009, 2010, 2011, 2012, 2014, 2015)
프렌치 오픈QF(2016년)
윔블던SF(2010)
US 오픈QF(2020년)
기타 대회
올림픽 경기2R(2008, 2012)
복식
경력기록13–31 (29.5%)
경력직명0
최고 순위제141호(2009년 3월 23일)
그랜드 슬램이 2배 이상의 성적을 거두다
오스트레일리아 오픈2R(2007, 2009)
프렌치 오픈2R (2006, 2008)
윔블던2R(2011, 2013)
US 오픈2R(2008)
단체전
페드컵29–26 (52.7%)
(22-17번, 7-9)
홉만컵RR(2012)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2021년 6월 21일.

츠베타나 키릴로바 피론코바(불가리아어: :цееааааааааааааааааа п [ [ [ [ [ [ [ [ [ [ [ [ [ [ [ [ [ [ [; 1987년 9월 13일생)는 불가리아의 프로 테니스 선수다.당대 최고의 잔디 코트 선수로 꼽히는 그는 윔블던 대회에서 4강에 오르는 등 겉으로는 '추' 실력으로 주목받았다.[2][3]피론코바는 또한 시드니에서 우승을 하고 US 오픈 8강에 오르는 등 선수 생활 내내 빠른 하드코어들을 상대로 한 경기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4][5]

피론코바는 4살 때 아버지로부터 테니스를 소개받아 테니스를 치기 시작했다.2005년 이스타불컵에서 WTA 투어 데뷔전을 치렀고, 선수 생활 초기에 중간 정도의 성공을 거뒀다.그것은 2010년에 그녀가 윔블던에서 1 대 4의 기록으로 입성하여 대회 4강에 진출하면서 바뀌었고, 역사상 처음으로 단식 그랜드 슬램의 4강 무대를 밟는 불가리아 테니스 선수가 되었다.[6]그녀는 그녀의 연기로 폭넓은 인정을 받았고, 준결승전이 끝난 후 2010년 9월 31위로 그녀의 가장 높은 싱글 순위에 올랐다.피론코바는 다음 해 이 대회에서 준준결승까지 진출하며 그 뒤를 이었다.

피론코바는 2014년 아피아 인터내셔널에서 열린 WTA 투어에서 톱10에 든 3명의 선수들을 연달아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2016 프랑스오픈 4라운드에서 당시 세계랭킹 2위 아그니에스카 라드와스카를 꺾고 윔블던을 제외한 그랜드슬램 대회에서 첫 8강에 올랐다.2017년 부상 후 피론코바는 이 스포츠에서 안식년을 선언했고, 이후 출산휴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연장되었다.3년 만에 처음으로 프로에 출전한 그녀는 2020 US 오픈에서 성공적인 복귀를 했다.[7] 그녀는 2016년 이후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처음으로 준준결승까지 진출했다.[8][9]2020년 그녀의 활약으로 그녀는 불가리아 스포츠 올해의 선수상올해의 WTA 컴백을 수상하게 되었다.[10][11]

피론코바는 상위 10위권 선수들을 제치고 총 12승을 거뒀고, 어느 시점에선 47세로 그랜드슬램 연속 출전 중 가장 긴 기록을 세웠다.2017년 윔블던 대회를 앞두고 자신만의 여성복과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피로네틱을 론칭했다.[12][13]

사생활

피론코바는 1987년 선수 부모 밑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 키릴 엔체프 피론코프는 카누 챔피언 출신이고, 어머니 라도스베타 칭코바 니콜로바는 수영선수 출신이다.[14]그녀에게는 엔초라는 남동생이 한 명, 엘리사베타라는 여동생이 한 명 있다.[14]피론코바는 불가리아의 저명한 현대 미술가인 엔초 피론코프의 손녀다.오랜 남자친구인 불가리아 출신 미하일 미르체프와 2016년 7월 결혼했다.[15]2018년 4월, 그녀는 알렉산더라는 이름의 남자아이를 낳았다.[16]

경력

피론코바는 4살 때 테니스를 치기 시작했는데,[14] 그때 그녀의 아버지가 그녀를 그 경기에 소개해 주었다.그녀가 프로로 뛰기로 결정했을 때, 그는 그녀의 코치가 되었다.[17]

첫 번째 프로페셔널 단계

피론코바는 불가리아에서 열린 2001 애틀랜틱컵 국제주니어대회에서 우승했고,[18] 2002년 3월 세계 랭킹 227위였다.[19]주니어급에서 뛰며 애틀랜틱컵에서 우승한 뒤 2002년 ITF 대회에서 시니어 국제 데뷔전을 치렀다.선수 생활 초기에 그녀는 ITF 서킷에서 6번의 단식 우승을 했다.피론코바는 14세의 나이에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대회에서 2002년 프로 첫 경기를 치렀다.예선 무승부로 3승을 거둔 뒤 주 무승부로 결승에 올라 모니카 니쿨레스쿠에게 패했다.[20]2002년 9월 피론코바는 그리스 볼로스에서 퀄리파잉과 메인 무승부를 거치며 단 한 세트만 졌다.그녀는 스위스의[21] 티나 슈마스만을 물리치고 첫 ITF 대회에서 우승했다.[14]2003년에 피론코바는 오레스티아다에서 한 번, 이스탄불에서 두 번, 세 번의 단식 우승을 했다.[14]

17세의 나이에, 그녀는 이스탄불에서 첫 번째 WTA 투어 대회인 Tier-III 행사를 치렀다.예선 2승을 거둔 뒤 주 무승부로 3승을 거둔 뒤 4강에서 비너스 윌리엄스에게 패했다.[22]피론코바는 2006년 호주오픈 1라운드에서 비너스를 다시 꺾으며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23]그녀는 세계 랭킹 94위에 올랐다.[24][25][26]하지만 다음 라운드에서 로라 그랜빌에게 패했다.[27]2006년 윔블던 대회 1라운드에서 피론코바는 당시 상위 20위였던 안나 레나 그뢰네펠트를 물리치기 위해 세트에서 나왔다.하지만 2라운드에서는 아그니에스카 라드와스카에게 연속 세트에서 패했다.[28]2006년 11월 16일, 피론코바는 개인 최고 싱글 순위인 62위에 올랐다.[29]

2007-2009: 톱50 데뷔

2007년 피론코바는 호주오픈, 프랑스오픈, 윔블던 1라운드에서 패했다.US오픈 예선에 출전해 주자나 온드라슈코바, 마르타 도마초스카, 스테파니 두부아 등을 제치고 1라운드에서 올가 푸치코바를 끌어낸 뒤 이 경기에서 승리해 세계랭킹 1위 저스틴 헤닌과 격돌했다.피론코바는 헤닌에게 연속 세트에서 졌다.[30]피론코바는 9월 US오픈 이후 보르도에서 열린 챌린저 대회 중 가장 큰 대회인 챌린저 대회에 출전해 마틸드 요한슨, 타트야나 말렉, 알리제 코넷을 상대로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28][31]

2009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피론코바 선수단

피론코바는 2008년 시드니에서 열린 Tier-II 이벤트에서 두 번의 예선전에서 승리하는 등 탄탄한 출발을 한 뒤 도미니카 치불코바에게 3세트 만에 고개를 숙였다.그녀는 호주 오픈 2라운드에 진출하여 2번 시드의 스베틀라나 쿠즈넷소바에게 연속 세트에서 졌다.[28]피론코바는 로마 마스터스에서 예선전 때 톱시드와 세계랭킹 3위 아나 이바노비치를 2라운드에서 꺾고 당시 생애 최대의 승리를 거두며 또 한 번 역전을 일으켰다.[32]피론코바는 빅토리아 아자렌카가 피론코바를 앞세운 3라운드 경기 도중 은퇴한 뒤 처음으로 8강에 진출했지만 안나 차크베타제에게 3세트 만에 패했다.[28]9월, 피론코바는 소피아에서 열린 ITF 이벤트 결승전에 진출하여 누리아 라고스테라 비브스에게 패했다.[28]피론코바는 세계 랭킹 46위로 한 해를 마감하며 사상 첫 50위권 진입을 기록했다.[17]

그녀는 2009년 브리즈번에서 경기를 시작했고, 그녀는 사라 에라니에게 2라운드에서 패했다. 그녀는 버진리 라자노에게 패하기 전에 호바트 인터내셔널에서 8강에 올랐다.도중에, 그녀는 당시 세계 랭킹 15위인 패티 슈나이더를 물리쳤다.이것은 그녀의 생애 다섯 번째 20위 안에 드는 승리였다.[14]

피론코바는 호주오픈에서 1라운드에서 카롤리나 슈프레미를 꺾은 뒤 16번 시드 마리온 바르톨리에게 패했다.[28]두바이 오픈에 출전한 피론코바는 12번 시드 치불코바에게 패해 대회 2라운드에 올랐다.제1회 안달루치아 테니스 체험에서 시드 8번을 받은 피론코바는 1라운드에서 로베르타 빈치에게 패했다.[28]

피론코바는 슈투트가르트(예선 3회)에서 4승을 거뒀지만 16강에서는 아그니에스카 라드와이스카에게 패했다.그녀는 또한 프랑스 오픈윔블던의 1라운드에서 질 크레바스에게 연속 세트에서 모두 졌다.[28]피론코바는 크렘린 컵에서 시즌 마지막 토너먼트를 치렀고, 16강전에서 톱시드의 베라 즈보나레바를 꺾고 8강에 오른 뒤 알로나 본다렌코에게 패했다.그녀는 또한 소피아와 아테네에서 두 번의 ITF 8강에 올랐다.

2010년 제1회 그랜드슬램 준결승

피론코바는 개막전에서 갈리나 보스코보바에바를 꺾고 세계랭킹 28위 샤하르 페어에게 2세트 연속 패하며 호주오픈에서 물러났다.

2010년 US 오픈 피론코바 선수단

그녀는 포트 월튼 비치 대회에서 올해 처음으로 ITF 서킷에 출전하여 준결승에 올랐다.[33]바르샤바에서 그녀는 엘레나 데멘티에바를 물리친 후 올해 첫 8강에 올랐다.그 후 그녀는 수비수이자 최종 우승자인 알렉산드라 둘게루에게 졌다.프랑스 오픈에서 피론코바는 1라운드에서 4차례 대회 챔피언 저스틴 헤닌에게 패했다.

이 대회에서 1-4의 기록으로 윔블던에 진출한 피론코바는 처음으로 그랜드슬램 대회 2라운드를 넘어 불가리아인으로는 처음으로 메이저 대회 준결승에 올랐다.[3]1992년과 1993년 US오픈에서 열린 마누엘라 말레바는 스위스를 대표했다.[34]피론코바는 5차례 우승한 비너스 윌리엄스를 꺾은 뒤 첫 그랜드슬램 준결승에서 베라 즈보나레바에게 3세트 만에 패했다.[33]

피론코바는 첫 3라운드에서 세 명의 러시아 선수 안나 라푸셴코바, 베라 뒤셰비나, 레지나 쿨리코바를 연속 세트로 꺾고 4라운드에서 프랑스 여자 선수와 11번 시드의 마리온 바르톨리를 제치고 윌리엄스를 제패했다.

피론코바는 팔레르모에서 열린 2라운드에서 이탈리아 출신 안나 플로리스를 누르고 질 크레바스에게 패했다.7월, 그녀는 이스탄불에서 타트야나 말렉을 상대로 연속적인 승리를 거두었다.하지만 이후 3연패를 기록했고, 그 중 2명은 아나스타샤 로디오노바, 1명은 안나 라푸셴코바에게 돌아갔다.

US오픈에서 피론코바는 2라운드에서 만디 미넬라에게 패했다.판퍼시픽오픈에서 일본 예선 모리타 아유미를 꺾은 뒤 2라운드에서 로베르타 빈치에게 패했다.올해 마지막 대회인 크렘린컵 피론코바는 2라운드에서 도미니카 치불코바에게 패해 세계랭킹 35위에 그친 해를 마감했다.[29][33]

2011년 윔블던 8강

호주오픈에서 피론코바는 1라운드에서 파울린 파르멘티에를 꺾으며 모니카 니쿨레스쿠에게 2라운드에서 패했다.그녀는 또한 인도 웰스 오픈에서 열린 2라운드에서 16번 시드의 스베틀라나 쿠즈넷소바에게 3세트 접전 끝에 떨어졌다.프랑스오픈에서 32번 시드를 받아 1라운드에서 케이시 델라크쿠아(캐시 델라크카)를 꺾었지만 기셀라 둘코(지젤라 둘코)에게 연패하면서 다시 2라운드 허들을 넘지 못했다.[35]

2011년 애곤 인터내셔널 피론코바 선수단

윔블던에서는 32번 시드의 피론코바가 3라운드 세계 랭킹 3위 베라 즈보나레바를 연속 세트에서 꺾었고, 윔블던에서는 전 챔피언 비너스 윌리엄스를 2년 연속 무찔렀으나 8강전에서 패해 최종 우승자인 페트라 크비토바에게 돌아갔다.

피론코바는 7월 인터내셔날리 디 팔레르모에 출전해 1라운드에서 안나 타티슈빌리, 2라운드에서 소라나 쿠르스테아를 꺾은 뒤 플라비아 페네타에게 패했다.[36]

US오픈에서는 1라운드에서 버진리 라자노를 꺾었지만 2라운드에서는 세계랭킹 13위 펑수이에게 패했다.[35]그녀는 복식 토너먼트에서 샤넬 쉐퍼스와 팀을 이루었지만, 그들은 아란텍사 파라 산톤자와 누리아 라고스테라 비브스에게 패배했다.

팬퍼시픽 오픈에서 피론코바는 1라운드에서 기젤라 둘코를 꺾었지만, 2라운드에서는 베라 즈보나레바에게 패했다.크렘린컵에서 상대 선수가 부상으로 은퇴한 뒤 페트라 마르티치를 꺾었다.이어 스베틀라나 쿠즈넷소바에게 2라운드에서 패해 46위로 한 해를 마감했다.[29]

2012-2013: US 오픈 및 윔블던 4라운드

피론코바는 홉만컵에서 불가리아를 대표하는 선수가 페트라 크비토바에게 패해 2012년을 시작했다.피론코바와 그녀의 파트너 그리고르 디미트로프토마시 베르디치와 크비토바를 2루타로 물리쳤다.불가리아 팀은 우승에도 불구하고 피론코바와 디미트로프가 단식 경기에서 패한 뒤 체코에 1-2로 졌다.[37]그 후, 그들의 팀은 덴마크를 2 대 1로 이겼다.[38]그들은 미국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지만, A조에서 2위를 차지하여 결승전에 진출하지 못했다.[39]

피론코바는 호주오픈에서 1라운드에서 사니아 미르자를 꺾은 뒤 2라운드에서 갈리나 보스코보예바에게 패했다.그녀는 다시 연준컵에서 엘리타 코스토바, 디아 에브티모바, 이사벨라 시니코바와 함께 불가리아를 대표했다.이들은 에스토니아(3-0)를 꺾고 첫 승을 거뒀다.[40]이후 오스트리아에 패한 뒤 다시 포르투갈에 패해 조 7위로 마쳤다.[41]

피론코바는 카타르오픈에 출전해 2라운드에서 안젤리크 케르버에게 승리를 기록했지만 3라운드에서는 마리온 바르톨리에게 패했다.소니 에릭슨 오픈 2라운드까지 진출해 로베르타 빈치에게 패했다.브뤼셀 오픈에서 피론코바는 카이아 카네피에게 넘어지며 8강에 올랐다.[42]이어 프랑스오픈 2라운드까지 진출해 전 챔피언 프란체스카 시아보네에게 패했다.

피론코바는 아에곤 인터내셔널에서 시드 1위 아그니에스카 라드와이스카와 예선 스테파니 두부아를 꺾고 시즌 두 번째 8강 진출에 성공, 최종 우승자 타미라 파스체크에게 패했다.윔블던에서 피론코바는 마리아 샤라포바와의 2라운드 경기에서 3세트 만에 패했다.그녀는 폴로나 헤르코그에게 패하며 스웨덴 오픈 8강에 올랐다.

US오픈에서 피론코바는 윔블던 외에 3라운드 그랜드슬램에 처음으로 진출했다.1라운드에서 카밀라 기오르기, 2라운드에서는 모리타 아유미, 3라운드에서는 실비아 솔러 에스피노사를 꺾었다.첫 US오픈 8강 진출이 가시화된 4라운드에서 세계랭킹 1위 아나 이바노비치(전 세계랭킹 1위)에게 화가 났다.올해의 마지막 토너먼트는 와일드카드를 들고 출전한 챔피언 대회였다.그녀는 준결승전에서 캐롤라인 워즈니악키에게 졌다.[39]

피론코바는 2013년 호바트 인터내셔널 8강에 진출해 디펜딩 챔피언 모나 바텔에게 패했다.그녀는 16강전에서 이리나-카멜리아 베구와 3번 시드의 클라라 쿠칼로바를 이겼다.[43]그녀는 호주 오픈 1라운드에서 로미나 오프란디에 의해 탈락했다.

2013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피론코바 선수단

지난 2월 피론코바는 페드컵 대 네덜란드에 출전해 아란텍사 러스를 세트 연속 무승부로 꺾고 불가리아의 동점 승리에 힘을 보탰다.이후 그녀는 노장 안네 크레머를 꺾고 불가리아가 룩셈부르크와의 경기에서 동점을 이루는 데 일조했다.2월 9일에는 슬로베니아와의 비기기에 출전해 1차전에서 패한 뒤 은퇴한 짜사 스림프(Tjasa Srimpf)를 꺾고 불가리아를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시켰다.피론코바는 지난 2월 10일 영국과의 플레이오프에서 헤더 왓슨에게 3세트 만에 패해 불가리아가 동점을 잃고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1군에 잔류했다는 의미다.

피론코바는 마라케시전에서 카롤리나 플리슈코바를 연달아 꺾은 [43]데 이어 결승에 진출한 루르데스 도밍게스 리노에게 3세트 만에 패했다.그 후 그녀는 클레이코트 시즌의 남은 기간 동안 1라운드 경기에서 잇따라 패해 프랑스 오픈에서 조기 퇴장으로 정점을 찍었다.[43]

그녀가 선호하는 잔디 표면에서,[3] 피론코바는 개막전에서 로렌 데이비스를 물리치고 버밍엄 클래식에서 연패했다.그녀는 소라나 코르스테아와의 2라운드 경기를 포기했다.그녀는 계속해서 '에르토겐보쉬'에 출전해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이리나-카멜리아 베구를 꺾고 1월 이후 처음으로 WTA 8강에 올랐다.그 후 그녀는 칼라 수아레스 나바로에게 3세트 만에 졌다.[43]

윔블던에서 그녀는 개막전에서 21번 시드의 아나스타샤 파블리우첸코바에게 승리했고, 이후 두 라운드에서 바르보라 스트르코바와 페트라 마르티치를 이겼다.그녀는 4번 시드의 아그니에스카 라드와스카와의 경기에서 세트 스코어 1로 앞서면서 토너먼트에서 또 한번 큰 이변을 일으킬 뻔했으나 결국 3세트 만에 전 결승전 진출자에게 패했다.

2014: 첫 WTA 타이틀

피론코바는 2014시즌을 100위권 밖으로 107위로 출발했다.그녀는 시드니에 있는 아피아 인터내셔널에서 예선 조 추첨을 통과했다.주 무승부에서는 8강에서 세계 7위 사라 에라니, 4강에서 세계 6위 페트라 크비토바를 모두 스트레이트로 꺾었다.그 후 그녀는 9위 안젤리크 케르버를 물리치고 첫 WTA 투어 우승을 차지했다.피론코바는 3년 6개월 만에 프리미어 대회에서 우승한 첫 예선전이었고,[44] 세계 랭킹에서 50위나 상승했으며, 10여년 만에 불가리아인으로는 처음으로 WTA에서 우승했다(2003년 DFS 클래식 막달레나 말레바 이후).피론코바의 호주 진출사만다 스토수르에게 2연패하며 2연승을 달렸다.[45]호주 오픈 이후, 그녀는 52위에 올랐다.

2월에, 피론코바는 카타르에서 뛰었고, 그녀는 예선을 통과했다.그녀는 1라운드에서 베테랑 세계 14위 로베르타 빈치를 6경기 만에 물리쳤다.[46]그러나 피론코바의 호투는 2라운드에서 끝났고, 이 라운드에서는 동점골로 1세트를 따낸 뒤 55번 젊은 안니카 벡에게 패했다.[47]그 후 그녀는 두바이에서 뛰었다.예선 1차전에서 세계랭킹 487위 비탈리아 디아첸코(2시간 30분 이상)를 길고 힘든 경기에서 꺾어 1세트를 타이브레이크에서 패해 2세트 10차전에서 매치 포인트를 살린 뒤 2세트를 타이브레이크에서 다시 이기고, 3세트에서 상대가 은퇴하자 앞서고 있었다.하지만, 캐나다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 그녀는 19번인 유제니 부샤르에게 2차 예선에서 졌다.[48]

3월, 피론코바는 주 무승부로 출발했던 인디안 웰즈 하드코트 경기에 출전했다.[49]그녀는 첫 라운드에서 38번 매디슨 키스에 연속으로 졌다.[50]이후 마이애미에서 뛰면서 갈리나 보스코보예바와 25번 시드의 소라나 쿠르스테아를 세트 한 세트도 지지 않고 꺾었지만 3라운드에서 8강에 진출한 5번 시드의 안젤리크 케르버에게 패했다.[51]피론코바는 마이애미에 이어 랭킹을 5계단 올려 42위로 올라섰다.[52]

4월에는 카토비체에서 열린 실내 하드코트 경기에 출전해 8번 시드 배정됐다.피론코바는 1세트에서 패한 뒤 1라운드에서 안드레아 흐라바치코바를 꺾었다.2라운드에서 그녀는 8경기 중 이스라엘에 5번째 패배를 당했는데, 그녀는 2013년 같은 경기에서 역시 패배한 세계랭킹 90위 샤하르 페어에게 패했다.이어 피론코바는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실내 클레이 코트 대회 예선에 출전해 40위로 1위를 차지했다.1차 예선에서는 현지 청소년인 타이지야 모데르거(Tayisiya Morderger)를 꺾었지만, 2차 예선에서는 221위 조이아 바르비에리(Gioia Barbieri)에게 패했다.

2014년 크렘린컵 피론코바 선수단

주 무승부로 출발한 마드리드에서는 와일드카드 145번 라라 아루아바르레나에게 1라운드에서 패했다.그 후 피론코바는 로마에서 뛰었는데, 그녀는 첫 세트를 쉽게 이겼음에도 불구하고 예선전 1라운드에서 페트라 케코프스카에게 졌다.

그 후 그녀는 롤랜드 가로스에서 뛰었다.1라운드에서는 한 번도 꺾어 본 적이 없는 49번 아니카 벡(타이기 브레이크 1위)을 꺾었다.그 후 피론코바는 2라운드에서 중요한 테스트를 받았는데, 1세트에서 헤어진 경기임에도 불구하고 5전 5패로 7번 시드의 마리아 샤라포바에게 패했다.

피론코바의 잔디코트 시즌 첫 대회는 버밍엄 인터내셔널이었는데, 1라운드에서 현지 와일드카드 70번 헤더 왓슨에게 패해 준결승에 진출했다.이어 피론코바는 윔블던에 출전해 1라운드에서 57위 바르바라 렙첸코와 맞붙어 이틀에 걸쳐 치러진 경기에서 패했다.

7월, 그녀는 이스탄불 하드코트 경기에 출전했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제외되었다.피론코바의 2패와 2패의 2차전은 1라운드에서 72번 스테파니 뷔겔에게 패했다.피론코바는 신시내티에서 뛰었는데 1라운드에서 칼라 수아레스 나바로에게 패했다.뉴헤이븐에서 그녀는 예선 무승부에 빠졌다.

US 오픈에서, 그녀는 2라운드에 진출했는데, 6경기 중 세르비아에 6패한 것은 9번 시드의 젤레나 얀코비치에게 졌다.9월, 피론코바는 우한에서 뛰었는데, 그녀는 예선 무승부에서 졌다.9월에 열린 그녀의 두 번째 대회는 차이나 오픈이었는데, 그녀는 2라운드에서 세계 랭킹 1위인 세레나 윌리엄스에게 패했다.다음으로는 린츠에서 8강에 올랐다가 카린 크냅에게 패했다.그녀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이달의 두 번째 준준결승에 진출했고, 결국 결승 진출자인 이리나-카멜리아 베구에게 떨어졌다.피론코바는 올해의 마지막 대회인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스에서 와일드카드를 받았다.그녀는 라운드 로빈 무대에서 모든 경기에서 패했고 조에서 4위를 차지했다.

2015-2016: 롤랜드 개로스 8강

피론코바는 브리즈번 인터내셔널에서 1라운드에서 7번 시드의 카를라 수아레스 나바로에게 패하며 한 해를 시작했다.그리고 나서 그녀는 시드니로 돌아와 디펜딩 챔피언으로 에이파 인터내셔널을 연기했고 와일드카드 엔트리가 주어지지 않아 다시 한번 예선을 거쳐야 했다.[53]당시 피론코바는 67위에 랭크돼 타이틀부터 실점했다.1세트에서 8번 시드의 플라비아 페네타를 연달아 꺾은 뒤 불필요한 매디슨 키스와 자흘라보바-스트르코바를 모두 스트레이트로 따돌렸지만 준결승에서 2번 시드로 패해 최종 챔피언 페트라 크비토바를 연달아 제쳤다.이번 패배로 그녀는 이번 대회에서 14연승 행진을 마감했다.[54]

2015년 애곤 인터내셔널 피론코바 선수단

호주오픈에서는 1라운드에서 헤더 왓슨을 눌렀으나 이후 슬로바키아와의 경기에서 9경기 중 8패가 된 상황에서 도미니카 치불코바에게 2세트 연속 11번 시드를 빼앗겼다.피론코바는 두바이 챔피언십 3라운드에 올라 클라라 쿠칼로바와 펑수이 등을 꺾은 뒤 톱시드 세계 2위 시모나 할렙에게 연달아 패했다.인디안 웰스에서는 1라운드에서 패한 뒤 마이애미에서 열린 2라운드에서 15번 시드 플라비아 페네타에게 3세트 타이트하게 패했다.그녀는 프라하마드리드에서 모두 2라운드에 진출해 톱시드인 카롤리나 플리슈코바와 루시 샤파쇼바에게 각각 패했다.그녀는 로마에서 1차 패배를 당했다.[55]

프랑스 오픈에서 피론코바는 3라운드에 진출했는데, 그녀는 25번 시드의 바르보라 스트르코바를 역전시킨 다음, 두 세트 모두 연속으로 체코의 또 다른 선수 데니사 알레토바를 꺼내들고는 아메리칸 슬로운 스티븐스에게 패했다.롤랑 가로스의 3라운드 출연은 그녀에게 최고의 데이트였다.[56]

피론코바는 1라운드에서 브리트 케이티 스탠을 꺾은 버밍엄 클래식에서 잔디코트 시즌을 시작했지만 독일의 4번 시드 안젤리크 케르버를 상대로 3세트 만에 패배를 맛봤다.이어 2015년 애곤 인터내셔널 이스트본에서 열린 2차 대회 8강전에서 1라운드 16번 시드의 사만다 스토수르 마리나 에라코비치와 전 그랜드슬램 결승전 진출자인 도미니카 치불코바를 꺾고 결승 진출자 아그니에스카 라드와스카에게 패했다.윔블던에서, 그녀는 30번 시드에 패했고, 아이곤 인터내셔널 우승자 벨린다 벤치치는 3세트 만에 졌다.[57]

이어 8번 시드로 이스탄불컵에 출전해 올해 3번째 8강에 올랐다.3세트 모두 마르가리타 가스파리안, 쿠루미나라를 꺾었지만 마지막 세트에서 우르술라 라드와스카에게 동점골을 내주며 3세트 만에 졌다.[58]

피론코바는 브리즈번 예선에서 사만다 크로포드에게 패하며 2016시즌을 시작했다.그녀는 시드니 인터내셔널에서 와일드카드를 받아 주 무승부로 2라운드에 올라 레시아 츠렌코를 제치고 8번 시드인 벨린다 벤치치에게 패했다.호주 오픈에서 그녀는 1라운드에서 야로슬라바 슈베도바에게 패했다.다음 대회는 두바이 챔피언십으로 예선에서 크리스티나 플리슈코바, 카테리나 본다렌코, 안나-레나 프리드삼을 꺾고 본선 무승부에 진입했다.그녀는 1라운드에서 최종 후보인 바르보라 스트르코바에게 패했다.

피론코바는 2016 프랑스오픈에서 8강에 올라 대회 최고 성적이었다.

롤랑가로스에서 102위 피론코바는 1라운드 16번 시드의 사라 에라니와 3라운드 19번 시드의 슬로운 스티븐스를 모두 스트레이트로 꺾었다.세계랭킹 2위 아그니에스카 라드와스카와의 4라운드에서 피론코바가 세트, 3경기 내리자 비 때문에 경기가 취소됐다가 이틀 만에 재개됐다.불가리아인은 이 상황을 틈타 15경기 중 12승을 거두며 경기 중단 후 남은 경기를 지배했고, 결국 8강에 올라 2005년 세실 카라탄체바 이후 첫 불가리아인이 돼 대회 무대를 밟았다.[59]피론코바의 롤랜드 가로스전 출루는 사만다 스토수르에게 패하며 끝났다.

6월에는 잔디 코트에서도 좋은 활약을 이어갔다.그녀는 버밍엄 이벤트 예선전을 통과했고, 그 후 2라운드에서 불가리아인이 26번 이리나-카멜리아 베구를 꺾고 8강에 올랐으며, 바보라 스트르코바에 의해 탈락되었다.이어 피론코바는 7번 시드의 벨린다 벤시치에게 2세트 타이트하게 패한 뒤 1라운드에서 윔블던을 탈출했다.

8월에 그녀는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개막전에서 로라 스텐스문트에게 패했고, 그 다음 신시내티 마스터스카테리나 코즐로바를 꺾고 2차 예선에 진출했다.그 후 그녀는 안니카 벡에게 패했지만, 행운의 패배자로 본선 무승부를 허용받았다.그녀는 다리아 카사츠키나가 연속 세트에서 자신을 이겨내는 것을 마주보았다.다음 라운드에서 그녀는 세계 8위 로베르타 빈치에게 졌다.이달 말 뉴헤이븐에서 열린 예선 1차전에서 연달아 패했다.

피론코바는 US오픈 2차전에 올랐지만 3세트 만에 요한나 콘타에게 패했다.이어 US오픈 이후 출전한 두 대회 모두 1라운드에서 모두 패해 64위로 한 해를 마쳤다.

2017~2019년: 순위 하락, 어깨 부상, 임신 공백

피론코바는 8번 시드에 패해 최종 결승 진출자인 앨리슨 리스케가 개막전에서 갈리나 보스코보예바를 꺾은 선전 오픈에서 2라운드 출전을 시작했다.그녀는 다음으로 시드니 국제 예선전에 출전했다.그녀는 1라운드에서 패트리샤 마리아 티그를 물리쳤으나, 다음 경기에서는 마리아 사카리와의 경기에서 은퇴했다.피론코바는 호주오픈에서 64위로 출전해 3번 시드의 아그니에스카 라드와이스스카를 상대로 3세트 만에 첫 라운드 상대로 패했다.이번 대회는 피론코바의 45회 연속 그랜드슬램 출전을 기념해 WTA 투어에서 젤리나 얀코비치(51)에 이어 두 번째로 긴 연속 출전 기록을 세웠다.[60]피론코바의 다음 대회는 그녀가 예선전에 출전한 카타르 오픈이었다.그녀는 바니아 킹과 에브게니야 로디나를 상대로 연속 세트 승리를 거두며 첫 두 라운드를 가볍게 통과했다.하지만 최종예선에서는 세계랭킹 1위 젤리나 얀코비치에게 3세트 만에 완패했다.

피론코바는 인도웰스오픈마이애미오픈에서 128강 패배, 이탈리아오픈과 마드리드오픈 예선 2패 등 1차전에서 6연패를 당한 뒤 프랑스오픈 1라운드에서 모나 바르텔을 상대로 연패를 끊었다.[61]그녀는 2라운드 경기에서 1세트로 앞서가던 싱가포르 레이스에서 1위를 차지한 엘리나 시비톨리나와의 경기에서 3세트 만에 또 다른 큰 이변을 당했다.[62][63]

피론코바는 노팅엄 오픈 1라운드에서 토너먼트 예선 테레자 마르틴코프를 상대로 직선적인 승리를 거두며 잔디코트 시즌을 시작했다.[64]그 다음 그녀는 2세트를 6-0으로 이기고 5번 시드의 루시 샤파쇼바에게 패한 나라 쿠루미를 연속 세트에서 꺾고 8강에 올랐다.그녀는 개막전에서 10번 시드의 마르케타 본드로우쇼바를 여유롭게 이겨낸 이스트본 인터내셔널 예선에 진출했다.피론코바는 최종예선에서 3세트의 힘겨운 패배를 맛보며 3번 시드의 라라 아루아바르레나에게 패하면서 주 무승부에 실패했다.하지만, 그녀는 행운의 패배자로 본선 조 추첨에 참가할 수 있었다.[65]피론코바는 주 무승부 첫 경기에서 모니카 니쿨레스쿠를 스트레이트로 꺾은 뒤 다음 라운드에서 2번 시드 시모나 할렙과 맞대결을 벌였다.[66]피론코바는 비 때문에 경기가 중단됐던 1세트에서 동점골을 터뜨리며 2-1(40-30)으로 앞서고 있었다.[67][68]다음날 경기가 재개되었을 때, 그녀는 2시간 40분 만에 3세트 타이트하게 경기를 졌다.

피론코바는 다음 윔블던 대회에 출전해 전 세계 5위 사라 에라니(미국)를 1라운드에서 끌어냈는데 불과 5패의 패배로 결국 1시간여 만에 여유롭게 승리했다.[69]피론코바는 대회 전 WTA 내부 인사인 데이비드 케인이 비긴 다크호스로 불리며 가장 위험한 선수 중 한 명으로 불렸고, 전 세계 랭킹 1위 캐롤라인 워즈니악키와의 2라운드 대결은 초반 가장 기대되는 경기 중 하나로 다양하게 불렸다.[2][70][71][72]왼쪽 허벅지에 무거운 끈을 맨 피론코바는 워즈니악키와의 팽팽한 2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전자는 승자와 용서받지 못한 실수가 그녀의 라켓에서 어울리지 않게 흘러나오는 등 엉뚱한 플레이를 했다.[73]

피론코바는 지속적인 어깨 부상으로 US 오픈 시리즈에서 탈락했다.그녀는 US 오픈에 참가할 수 없었고, 이로써 47번의 그랜드 슬램 연속 출전이 막을 내렸다.[74]

피론코바는 2017시즌 남은 시즌을 놓쳐 세계 162위에 그쳤다.지난해 12월 남편과 첫 아이를 임신한 사실이 밝혀졌고, 2018년 4월 아들을 낳았다.이 때문에 피론코바는 2018년과 2019시즌에도 출전하지 않았다.[75]

2020: Return to Action, US Open 8강전

피론코바는 COVID-19 대유행 직전인 3월에 테니스 복귀를 선언했다.그녀는 2017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이후 첫 번째 대회에 출전하면서 2020년 US 오픈에서 실전 복귀했다.아들이 태어나기 전 신청한 보호 랭킹 123번을 이용해 대회에 출전했다.피론코바는 1라운드에서 세계 랭킹 120위인 루드밀라 삼소노바를 상대로 직선적인 승리를 거두며 선거운동을 시작했다.[76]이어 2라운드와 3라운드에서 각각 10번 시드의 가르비녜 무구루자[77] 18번 시드의 도나 베키치를 제치고 우승했다.뉴욕에서 열린 16강 2차전에만 출전한 피론코바는 3시간여의 긴 경기에서 알리제 코넷을 물리쳤다.[78]8강전에서 세레나 윌리엄스(미국)에게 4-6, 6-3, 6-2로 패하며 2세트 휴식기 선두를 지켰다.'USOpen.org'의 작가 스티브 프랫은 피론코바가 3년간의 공백 끝에 투어에 성공적으로 복귀한 과정을 언급하며 "여자 싱글 무승부 이야기"라고 강조했다.[79]

피론코바는 2020 프랑스 오픈에서 와일드카드를 받았다.1라운드에서 그녀는 안드레아 페트코비치를 스트레이트로 물리쳤다.그녀의 2라운드 상대인 세레나 윌리엄스는 경기 전에 물러났다.그녀는 3라운드에서 바르보라 크레치코바에게 패했다.

피론코바는 2020년 US오픈에서 생애 처음으로 메이저 8강에 오르는 등 눈부신 활약으로 올해 불가리아 스포츠 올해의 선수로 선정됐다.[80]

2021: 폼 상실, 순위 하락

그녀예선 3차전에서 마르가리타 가스파란을 꺾고 2021년 호주 오픈에서 예선전을 치렀다.[81][82]

2021년 윔블던 대회에서 예선 출전 후 행운의 패자로 본선 무승부에 진입했다.[83][84]

2021년 US오픈에서는 1라운드에서 25번 시드의 다리아 카사츠키나에게 패했다.

플레이 스타일

피론코바는 그라운드 스트로크로 백핸드 쪽을 선호한다.

피론코바는 오른손잡이를 하며, 양손 백핸드를 사용한다.[17]그녀는 빠른 표면을 선호하는데, 잔디도 그녀가 가장 좋아하는 것이다.시속 180km, 110mph까지 꾸준히 측정되는 강력한 1차 서브를 갖고 있지만 2차 서브는 상대적으로 약하다.[85][86]피론코바는 강력한 백핸드로 유명한데, 다운라인 백핸드는 그녀의 최고의 슛 중 하나이다.[87]그러나 그녀의 포핸드는 샷의 회전이나 슬라이스가 비정상적이어서 엽기적이고 클리버(clever)라고 다양하게 묘사되어 왔다.데일리 텔레그래프 해설가 에밀리 베남마르는 2010년 피론코바의 '포핸드'가 "최선을 이길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85][88]

전체적으로 피론코바는 그라운드 스트로크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 스트로크 플레이, 다양한 슛, 코트 및 지오메트리의 지적인 활용으로 주목받는다.[88]그녀는 또한 스쿼시 샷 포핸드, 플랫 샷과 슬라이스 샷을 포핸드와 백핸드 측면에서 나오는 집회에 접목시킨 것으로도 유명하다.피론코바는 샷의 길이를 달리하고 종종 짧은 공으로 상대를 앞으로 끌어당겨 패스 슈팅을 설정하기도 한다.[3][88][89]그녀는 또한 상대 선수들이 균형을 잃지 않도록 깊은 크로스 코트의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사용함으로써 코트를 돌아다닐 수 있게 한다.[90]피론코바는 단기간 집회를 선호하며 때로는 용서받지 못한 실수로 이어지는 이 시점에서 일찍 승리자를 찾는다.그녀는 프리랜서 테니스 작가 매트 트롤로페에게 자신이 선수 생활 초기에 클레이코트에서 주로 뛰었으며, 공격적인 스타일은 형성기에 "자연스럽게" 발전했다고 말했다.[91]

피론코바의 플레이 스타일은 저스틴 헤닌과 같은 선수들과 비교를 이끌어냈다.스포츠 칼럼니스트 사이먼 브릭스(Simon Briggs)는 피론코바의 궁술과 전술적 노우스가 윌리엄스 자매의 힘을 "그들에 대한 자신의 힘을 다시 반영할 수 있게 만들었다"[88]고 언급하면서 스타일의 유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피론코바는 2010년 윔블던 대회에서 '네블' 발놀림에 감명을 받은 브릭스 같은 해설가들로부터 테니스 코트에서 빠른 움직임을 보인다는 평도 받았다.피론코바는 잔디 코트에서 그녀의 움직임을 모든 표면 중에서 최고라고 생각했다.그녀는 또한 잔디에서 최적의 볼 바운스가 "아마도 [나의] 타이밍에 딱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슈팅의 범위와 스트로크 플레이로 찬사를 받았던 피론코바는 성숙하면서 샷 선택과 전반적인 경기에 자연스럽게 접근하게 됐다고 말했다.[91]

명예

경력통계

그랜드 슬램 대회 경기 시간표

W F SF QF #R RR Q# DNQ A NH
(W) 우승자, (F) 준결승 진출자, (SF) 준결승 진출자, (QF) 8강 진출자, (#R) 4, 3, 2, 1라운드, (RR)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 (Q#) 예선 탈락, (A) 부재, (NH) 개최되지 않음SR: 스트라이크 비율(이벤트가 승리/경합)W-L: 승패 기록.
혼선과 이중 계수를 피하기 위해, 이 차트는 토너먼트가 종료될 때 또는 선수의 참가가 종료되었을 때 업데이트된다.

싱글스

토너먼트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 2020 2021 2022 SR W-L 당첨률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A 2R 1R 2R 2R 2R 2R 2R 1R 2R 2R 1R 1R A 1R A 0 / 13 8–13 38%
프렌치 오픈 A 2R 1R 2R 1R 1R 2R 2R 1R 2R 3R QF 2R 3R Q2 0 / 13 13–13 50%
윔블던 3분기 2R 1R 1R 1R SF QF 2R 4R 1R 1R 1R 2R NH 1R 0 / 13 15–13 54%
US 오픈 Q2 1R 2R 1R 1R 2R 2R 4R 1R 2R 1R 2R A QF 1R 0 / 13 12–13 48%
승패 0–0 3–4 1–4 2–4 1–4 7–4 7–4 6–4 3–4 3–4 3–4 5–4 2–3 5–2 0–3 0 / 52 48–52 48%
경력통계
제목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경력합계: 1
결승전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경력합계: 1
연말순위 88 62 98 46 99 35 46 42 108 39 59 64 162 135 245 $5,321,439

복식

토너먼트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2022 SR W-L 당첨률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A 2R A 2R A 1R A A A A 0 / 3 2–3 40%
프렌치 오픈 2R A 2R 1R A 1R 1R A A 1R 0 / 6 2–6 25%
윔블던 A A 1R A A 2R A 2R 2R 1R 0 / 5 3–5 38%
US 오픈 1R A 2R A 1R 1R 1R A A A 0 / 5 1–5 17%
승패 1–2 1–1 2–3 1–2 0–1 1–4 0–2 1–1 1–1 0–2 0 / 19 8–19 30%

참조

  1. ^ "Профил на Цветана Пиронкова" (in Bulgarian). tennis.bg. Retrieved 4 September 2020.
  2. ^ a b Kane, Dane (2 July 2017). "Insider Top 10: Dangerous floaters at Wimbledon 2017". W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ly 2017. Retrieved 7 July 2017.
  3. ^ a b c d Rothenberg, Ben (28 June 2013). "Something About Wimbledon Agrees With Lisicki and Pironkova".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30 June 2013.
  4. ^ "Ranking movers: Watson heads back towards Top 100 territory". Women's Tennis Association. 3 Jul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ly 2017. Retrieved 8 July 2017.
  5. ^ 초급 가이드: 츠베타나 피론코바 – 2015년 7월 22일 웨이백 머신보관테니스
  6. ^ "Tsvetana Pironkova Bio Bio & Career". WTA Tennis. Retrieved 8 September 2020.
  7. ^ "Phenomenal Pironkova comeback rolls on into US Open round of 16".
  8. ^ https://www.usopen.org/en_US/news/articles/2020-09-09/tsvetana_pironkovas_amazing_us_open_run_continues_to_inspire.html
  9. ^ https://www.nytimes.com/2020/09/09/sports/tennis/pironkova-mothers-serena-williams-us-open.html
  10. ^ "2020 Season WTA Player Awards: Nominations announced".
  11. ^ https://www.tennis365.com/wta-tour/grand-slam-winners-sofia-kenin-naomi-osaka-iga-swiatek-on-shortlist-for-wta-player-of-the-year-gong/
  12. ^ "Pironetic". Pironet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October 2017. Retrieved 5 October 2017.
  13. ^ Orlinov, Borislav (3 July 2017). "Pironetic". TennisKaf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October 2017. Retrieved 5 October 2017.
  14. ^ a b c d e f "Tsvetana Pironkova". W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17. Retrieved 26 June 2017.
  15. ^ "Tsvetana Pironkova got Married". Tennis World Magazine. 17 Jul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ly 2016. Retrieved 17 July 2016.
  16. ^ "Tsvetana Pironkova gives birth to first child". Women's Tennis Blog. 3 April 2018. Retrieved 9 September 2018.
  17. ^ a b c "ITF Circuit Profile". International Tennis Fede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ne 2013. Retrieved 29 June 2011.
  18. ^ 주니어 플레이어 활동 2009년 9월 7일 웨이백 머신보관.ITF 테니스(2010년 6월 29일).2011-06–29년에 검색됨
  19. ^ www.itftennis.com의 ITF 주니어 프로필 2009년 9월 7일 웨이백 머신보관.Itftennis.com.2011년 6월 29일에 검색됨
  20. ^ 여성 회로 ITF 회로 [dead link]캘린더ITF 테니스.2011년 6월 29일에 검색됨
  21. ^ Women's Circuit 토너먼트 개요 2016년 1월 14일 웨이백 머신보관.ITF 테니스(2002년 9월 29일).2011년 6월 29일에 검색됨
  22. ^ Women's Circuit Wayback Machine에서 2009년 9월 7일 라운드별 그리기 시트 보관.ITF 테니스.2011년 6월 29일에 검색됨
  23. ^ 회로 라운드별 그리기 시트ITF 테니스.2011년 6월 29일에 검색됨
  24. ^ "Venus slumps to shock early exit". BBC. 16 January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anuary 2006. Retrieved 16 January 2006.
  25. ^ 불가리아 10대는 호주 오픈에서 비너스를 SI.com에서 튕겨내고 2006년 1월 16일 웨이백 머신에서 2006년 1월 26일 기록 보관했다.
  26. ^ 워커, 랜디(2008년 뉴 챕터 프레스) 테니스 역사에서 날, 페이지 21
  27. ^ Women's Circuit Wayback Machine에서 2009년 9월 7일 라운드별 그리기 시트 보관.2011년 6월 29일에 회수된 ITF 테니스.
  28. ^ a b c d e f g h Women's Circuit Player Activity 2013년 6월 16일 웨이백 머신보관.2011년 6월 29일에 회수된 ITF 테니스.
  29. ^ a b c "Rankings". wtatenni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ly 2013. Retrieved 30 June 2013.
  30. ^ Women's Circuit ITF Circuit Calendar 2018년 2월 25일 웨이백 머신보관.2011년 6월 29일에 회수된 ITF 테니스.
  31. ^ Women's Circuit 토너먼트 개요 2016년 1월 14일 웨이백 머신보관.ITF 테니스 (2007년 9월 16일)는 2011년 6월 29일에 회수되었다.
  32. ^ "Пиронкова накова Иванович. Цвети хвърля бомбата на турнира в Рим – бие №1 в схемата" (in Bulgarian). 7sport.net. 15 May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3 October 2015.
  33. ^ a b c "2010 Results". ESP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2. Retrieved 30 June 2013.
  34. ^ Finn, Robin (10 September 1992). "U.S. OPEN '92; Graf Is Left Baffled; Young Maleeva Falls".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y 2015. Retrieved 30 June 2012.
  35. ^ a b "2011 Results". CB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ly 2015. Retrieved 30 June 2013.
  36. ^ "XXIV SNAI Open – Main draw singles"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2 August 2011. Retrieved 13 August 2011.
  37. ^ "Гришо и Цвети с победа на двойки срещу чехите" (in Bulgarian). 2 Jan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anuary 2012. Retrieved 2 January 2012.
  38. ^ "Bulgaria defeats Denmark in Hopman Cup". 4 Jan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ne 2012. Retrieved 4 January 2012.
  39. ^ a b "2012 Results". ESP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anuary 2013. Retrieved 30 June 2013.
  40. ^ "Пиронкова и Костова мачкат естонки за Фед Къп" (in Bulgarian). 1 Febr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February 2012. Retrieved 2 February 2012.
  41. ^ "България остана на 7–мо място в I-ва група на "Фед Къп"" (in Bulgarian). 4 Febr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February 2012. Retrieved 7 February 2012.
  42. ^ "Пиронкова отпадна на четвъртфинал в Брюксел" (in Bulgarian). 24 Ma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y 2012. Retrieved 24 May 2012.
  43. ^ a b c d "2013 Results". CB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ne 2015. Retrieved 30 June 2013.
  44. ^ Pironkova는 2014년 1월 13일 Wayback Machine에서 Archived 2014년 1월 13일 시드니에서 Kerber 1위를 차지했다.
  45. ^ "Пиронкова отпадна от Australian Open, контузия й попречи да се бори със Стосър".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anuary 2014. Retrieved 15 January 2014.
  46. ^ "Пиронкова победи 14-та в света Винчи в Доха".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4. Retrieved 11 February 2014.
  47. ^ "Цветана Пиронкова допусна обрат срещу 55-ата в света и отпадна от турнира в Доха".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5. Retrieved 12 February 2014.
  48. ^ "Пиронкова губи в Дубай".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February 2014. Retrieved 16 February 2014.
  49. ^ "Пиронкова губи в Дубай".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February 2014. Retrieved 16 February 2014.
  50. ^ "ЦВЕТИ ОТПАДНА ОТ ИНДИЪН УЕЛС".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pril 2014. Retrieved 7 March 2014.
  51. ^ "Пиронкова губи от Кербер в Маями".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pril 2014. Retrieved 22 March 2014.
  52. ^ "Цвети се изкачи с 5 места нагоре в ранглистата".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rch 2014. Retrieved 31 March 2014.
  53. ^ 시드니 와일드카드 스너브, 츠베타나 피론코바 Stuff.co.nz
  54. ^ 츠베타나 피론코바는 2015년 1월 15일 웨이백 머신보관된 시드니뉴스에서 14연승했다.
  55. ^ WTA 테니스 선수 2013년 2월 9일 웨이백 머신보관
  56. ^ 불가리아 츠베타나 피론코바, 롤랑가로스 3라운드 진출
  57. ^ 윔블던 2015, 첫날: 그대로 - 텔레그래프가 2015년 7월 10일 웨이백 머신보관
  58. ^ 불가리아의 츠베타나 피론코바 이스탄불 8강 진출 - Novinite.com - 2015년 7월 26일 웨이백 머신보관된 소피아 통신사
  59. ^ "Radwanska shocked by world No.102 Pironkov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16. Retrieved 31 May 2016.
  60. ^ "Agnieszka Radwanska beats Tsvetana Pironkova to keep Australian Open dream alive". Hindustan Times. 25 January 2017. Retrieved 25 January 2017.
  61. ^ "Pironkova ends long losing streak at French Open". Diario AS. 30 Ma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ne 2017. Retrieved 31 May 2017.
  62. ^ "Svitolina rallies past former quarterfinalist Pironkova in Parise". WTA. 1 June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17. Retrieved 2 June 2017.
  63. ^ "Women's wrap: Thursday, June 1". SuperSport. 1 June 2017. Retrieved 2 June 2017.
  64. ^ "Konta and Watson headline action-packed Tuesday at Aegon Open Nottingham". My Nottingham News. 12 June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ugust 2017. Retrieved 21 June 2017.
  65. ^ Ene, Diana (26 June 2017). "WTA Eastbourne: Petra Kvitova s-a retras din competitie - Monica Niculescu o va intalni in turul doi pe Tsvetana Pironkova". HotNews.r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November 2017. Retrieved 27 June 2017.
  66. ^ "Kerber, Halep stay the course for No.1 clash in Eastbourne". WTA. 28 June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ly 2017. Retrieved 3 July 2017.
  67. ^ "Eastbourne International: Novak Djokovic launches grass court season with straight sets win over Vasek Pospisil". Firstpost. 28 June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November 2017. Retrieved 28 June 2017.
  68. ^ "Kerber wins as rain derails Halep". Supersport. 28 June 2017. Retrieved 29 June 2017.
  69. ^ "Wimbledon - Sara Errani inerme, tutto facile per la Pironkova". Tennis World. Retrieved 5 July 2017.
  70. ^ Hodgkinson, Mark (6 July 2017). "Who to look out for on Day 4". The Championships Wimble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ly 2017. Retrieved 7 July 2017.
  71. ^ Nguyen, Courtney (30 June 2017). "Battle for No.1 begins at Wimbledon: WTA Insider analyzes the draw". W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7. Retrieved 3 July 2017.
  72. ^ "Wimbledon 2017: Karolina Pliskova, Simona Halep's shot at No 1 adds spice to wide open women's draw". Firstpost. 1 Jul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ly 2017. Retrieved 3 July 2017.
  73. ^ Jones, Chris (6 July 2017). "Wait is worth it for No.5 seed Wozniacki". The Championships Wimble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7. Retrieved 7 July 2017.
  74. ^ "Tsvetana Pironkova will miss the US Open". Novinite. 28 August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August 2017. Retrieved 28 August 2017.
  75. ^ "Пиронкова пропуска сезона, ще става майка" (in Bulgarian). 20 December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anuary 2018. Retrieved 11 January 2018.
  76. ^ "Pironkova returns to tour: 'I'm glad I took the challenge'".
  77. ^ "US Open 2020: Garbine Muguruza beaten by Tsvetana Pironkova". BBC Sport. BBC. Retrieved 3 September 2020.
  78. ^ "Pironkova quells Cornet to continue US Open run into QF".
  79. ^ Pratt, Steve. "Tsvetana Pironkova's amazing US Open run continues to inspire". UsOpen.org. US Open. Retrieved 9 September 2020.
  80. ^ "Tsvetana Pironkova is the Bulgarian Sportsperson of 2020". NOVA. NOVA. Retrieved 30 December 2020.
  81. ^ https://ausopen.com/articles/news/veteran-pironkova-teen-burel-among-ao-2021-qualifiers
  82. ^ "Pironkova prevails in second round of Aussie Open qualies".
  83. ^ https://www.wimbledon.com/en_GB/news/articles/2021-06-23/pironkova_rolls_back_years_in_qualifying.html
  84. ^ "Minnen reaches Wimbledon main draw; Pironkova, Konjuh set qualifying clash".
  85. ^ a b Benammar, Emily (14 June 2011). "Serena Williams v Tsvetana Pironkova – Eastbourne". The Daily Telegrap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1. Retrieved 3 July 2017.
  86. ^ "Wimbledon 2010: Tsvetana Pironkova stuns Venus Williams". BBC. 29 June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rch 2016. Retrieved 3 July 2017.
  87. ^ "Bulgarian Father-Coach: Pironkova's Backhand Already Perfect". Novinite. 3 July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October 2017. Retrieved 3 July 2017.
  88. ^ a b c d Briggs, Simon (29 June 2010). "Wimbledon 2010: Tsevtana Pironkova causes shock of the year by beating Venus Williams". The Daily Telegrap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ugust 2012. Retrieved 3 July 2017.
  89. ^ Pagliaro, Richard (28 June 2011). "Wimbledon: Kvitova d. Pironkova". tenni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anuary 2014. Retrieved 30 June 2013.
  90. ^ "Wimbledon 2010: Tsvetana who? Your guide to the women's semi-finalists". The Guardian. 30 June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anuary 2014. Retrieved 3 July 2017.
  91. ^ a b Trollope, Matt (3 July 2016). "Grasscourt guns: Tsvetana Pironkova". Tennis Mash. Retrieved 3 July 2017.
  92. ^ "Годишни награди на Българска Федерация по Тенис - 2005" (PDF). bgtennis.bg.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 April 2015. Retrieved 16 March 2015.
  93. ^ "Sportsperson of the Year 2020". bnr.bg. 30 December 2020.
  94. ^ "Sportsperson of the Year 2020". bgtennis.bg.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