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라인 가르시아
Caroline Garcia![]() 2022년 프랑스 오픈 가르시아 | |
국가(스포츠) | ![]() |
---|---|
사는곳 | 프랑스 리옹 |
태어난 | 생제르맹앙라예, 프랑스 | ( 1993년 10월 16일(
높이 | 1.77 m (5 피트 10 인치) |
프로 전향 | 2011 |
재생 | 오른손잡이(양손잡이 백핸드) |
코치 | 루이폴 가르시아 (–2021년) 가브리엘 우르피 (2021년) 베르트랑 페레 (2021–) |
상금 | 15,064,141달러 |
공식 웹사이트 | caro-garcia.com |
싱글 | |
경력 기록 | 411–313 (56.8%) |
커리어 타이틀 | 11 |
최고 순위 | No.4 (2018년 9월 10일) |
현재 순위 | 제4호 (2022년 11월 7일) |
그랜드 슬램 싱글 성적 | |
호주 오픈 | 4R(2018년) |
프랑스 오픈 | QF(2017년) |
윔블던 | 4R(2017, 2022) |
US 오픈 | SF(2022년) |
기타 토너먼트 | |
투어 파이널 | W(2022) |
올림픽 경기 | 2R(2016년) |
2배 | |
경력 기록 | 174–108 (61.7%) |
커리어 타이틀 | 7 |
최고 순위 | No.2 (2016년 10월 24일) |
현재 순위 | 제26호 (2022년 10월 31일) |
그랜드 슬램이 2배 이상 결과를 낳다 | |
호주 오픈 | SF (2017) |
프랑스 오픈 | W (2016, 2022) |
윔블던 | QF (2016년) |
US 오픈 | F (2016년) |
기타 복식 경기 | |
투어 파이널 | SF (2016년) |
올림픽 경기 | 1R(2016, 2020) |
혼합 복식 | |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결과 | |
프랑스 오픈 | 1R(2015, 2021년) |
윔블던 | 2R (2015년) |
기타 혼합 복식 경기 | |
올림픽 경기 | 1R(2016년) |
단체전 | |
페드컵 | W(2019) |
홉맨 컵 | RR (2016) |
최종 갱신일 : 2022년 11월 7일 |
Caroline Garcia(프랑스어 발음: 칼랭 (kaɔlin aassja, 1993년 10월 16일 ~ )은 프랑스의 테니스 선수이다.그녀는 세계 랭킹 4위, 세계 랭킹 2위 복식에서 모두 5위 안에 들었다. 가르시아는 2022 WTA 파이널 단식 챔피언이다.
그녀는 또한 2016년과 2022년 크리스티나 [1][2]믈라데노비치와 함께 프랑스 오픈 여자 복식 우승을 차지하면서 복식 메이저 챔피언을 두 번 차지했다.2016년 US오픈에서도 준우승했고 2017년 호주오픈에서도 준결승에 올랐다.가르시아는 2016년 10월 세계 랭킹 2위라는 개인 최고 복식 랭킹에 올랐고 2016년 마드리드 오픈을 포함해 WTA 투어에서 7차례 복식 우승을 차지했다.그녀는 또한 2022년 대회에서 우승하면서 두 차례에 걸쳐 WTA 결승에 진출했고, 믈라데노비치와 함께 2016년 WTA 복식 팀으로 선정되었다.
가르시아는 또한 성공적인 싱글선수이다.그녀는 2017년 우한 오픈, 2017년 차이나 오픈, 2022년 신시내티 오픈 등 3개의 WTA 1000단식 타이틀을 포함해 10개의 WTA 투어 단식 우승을 차지하였다.그녀는 2022년 WTA 파이널에서 우승한 후 2018년 9월과 2022년 11월에 모두 개인 최고 랭킹인 세계 랭킹 4위를 달성했다.
가르시아는 2013년부터 빌리 진 킹 컵에 프랑스 대표로 출전했고 2019년에는 우승을 차지한 팀의 일원이었다.그녀는 프랑스를 11년 [3]만에 결승으로 이끈 역할로 2016년 Fed Cup Heart Award를 수상했다.그녀는 또한 프랑스 대표로 올림픽에 두 번 출전했다.
사생활
Caroline Garcia는 이블린 데파티에 있는 Saint-Germain-en-Laye에서 태어났지만 [4]얼마 지나지 않아 가족과 함께 리옹 교외 브론으로 이사했다.그녀는 스페인 코스타 블랑카 [5][6]지역 출신의 전직 영업 매니저인 루이 폴과 밀렌의 외동딸이다.
2021년까지 가르시아는 아버지 루이스 [7]폴에게 훈련을 받았다.
직업
주니어
주니어 시절 가르시아는 2011년 호주오픈, 프랑스오픈, 윔블던 4강, US오픈 결승에 진출했지만 모두 그레이스민에게 패했다.2011년 [8]12월 12일 주니어 랭킹 5위에 올랐다.
2011
호주오픈에서는 와일드카드를 받아 WTA 대회 첫 출전인 바르바라 렙첸코를 1라운드에서 꺾었다.그러나 2회전에서 모리타 아유미에게 졌다.
가르시아는 와일드카드로 프랑스 오픈에 출전했다.그녀는 Zuzana Ondrashkova와 경기하여 그녀를 스트레이트 세트로 꺾었다.2회전에서, 그녀는 전 1위 마리아 샤라포바에게 6-3, 4-1, 15-0으로 리드했고, 마리아 샤라포바는 그 후 11연승을 거두었다.가르시아는 그녀의 재능으로 많은 존경을 받았어요앤디 머레이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샤라포바가 연기하는 소녀는 언젠가 세계 1위가 될 것입니다...선수다.[9]
2013

가르시아는 호주오픈에서 1라운드에서 47위의 엘레나 베스니나에게 패했다.그녀는 프랑스 오픈에서 최종 우승자인 세레나 윌리엄스에게 패하기 전에 예선전인 율리야 비겔지머를 꺾었다.그녀는 [10]윔블던 출전 자격을 얻었다.이로써 그녀는 첫 번째 그랜드 슬램에 출전하게 되었다.그녀는 이전 5번의 와일드 카드를 받았다.캐롤라인은 첫 라운드에서 정제이를 이겼고 두 번째 라운드에서 세레나 윌리엄스에게 다시 패했다.
US오픈 본선에 직접 진출할 수 있을 정도로 순위가 높았고 1라운드에서 미국의 와일드카드 셸비 로저스를 누르고 30번 시드의 로라 롭슨(영국)에게 패했다.그녀의 첫 라운드 우승은 가르시아가 처음으로 세계 랭킹 70위권에 진입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2014년 첫 WTA 투어 타이틀
소니 오픈에서 가르시아는 세레나 윌리엄스를 상대로 세트를 따낸 유일한 선수였는데 윌리엄스는 7번째 우승을 노리고 토너먼트에서 남자 또는 여자 최다 우승 기록을 세우고 있었다.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Copa Claro Colsanitas에서 가르시아는 전 세계 랭킹 1위 옐레나 얀코비치를 제치고 첫 WTA 투어 단식 우승을 차지했다.
가르시아는 5월 마드리드오픈에서 허리 부상으로 은퇴한 뒤 1라운드에서 안젤리크 케르베르를 꺾고 8강에 올랐고, 러시아가 손목 부상으로 기권한 뒤 마리아 키릴렌코에게 완승을 거둔 뒤 3세트에서 10번 시드의 사라 에라니를 꺾었다.제3라운드그녀는 결국 8강전에서 3번 시드 아그니에스카 라드반스카에게 3세트 [11]만에 패했다.가르시아는 프랑스 오픈 1라운드에서 아나 이바노비치에게 패했다.
가르시아는 윔블던 3라운드에 진출했지만 결국 에카테리나 마카로바에게 패했다.그녀는 US 오픈에서 미국인 니콜 깁스에게 일찍 패했다.가르시아는 우한 오픈에서 비너스 윌리엄스와 아그니에슈카 라드바슈카를 최종 세트 타이브레이크에서 연달아 꺾으며 반등했다.그녀는 또한 미국인 코코 반데웨게를 연속 세트로 꺾고 8강에 올랐지만, 최종 우승자인 페트라 크비토바에게 패했다.패배에도 불구하고, 가르시아는 랭킹에서 통산 최고 기록인 36위로 올라섰다.
2015: WTA 단식 결승 2회
가르시아는 브리즈번 인터내셔널에서 시즌을 시작했는데, 1라운드에서 3번 시드의 안젤리크 커버에게 패했다.그녀는 호주오픈에서 27번 시드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와 스테파니 뵈겔레를 꺾고 3라운드에서 유제니 부샤르에게 패했다.그녀의 선거 운동 후, 가르시아는 이탈리아와의 무승부를 위해 프랑스의 Fed Cup 팀에 합류했다.가르시아는 사라 에라니에게 졌지만 3세트에서 카밀라 조르기를 꺾고 4강에 진출했다.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에서 가르시아는 16강전에서 예선 아리나 로디오노바를 스트레이트 세트로 꺾고 아그니에스카 라드바슈카에게 패했다.그녀는 멕시코 오픈 결승에 진출하여 준결승전에서 마리아 샤라포바에게 완승을 거두었고 러시아는 병으로 기권했다.그리고 그녀는 티마 바신스키에게 졌다.가르시아는 또한 몬테레이 오픈 결승전에 진출하여 박신스키의 준우승도 하였다.그녀는 도중에 전 세계 랭킹 1위 아나 이바노비치에게 첫 승을 거두었다.
가르시아는 인디안 웰스에서 1라운드 인사를 받은 뒤 예선 폴로나 허코그를 꺾고 3세트 만에 이바노비치에게 2연승을 거뒀다.그리고 그녀는 결국 준결승 진출자인 사빈 리시키에게 졌다.
2016년 프랑스 오픈 복식 우승
![]() | 이 섹션은 너무 길고 지나치게 상세할 수 있습니다. |
가르시아는 케니 드 셰퍼와 함께 2016 홉맨컵에서 프랑스를 대표했다.그녀는 단식 경기에서 헤더 왓슨, 사빈 리식키, 그리고 궁극적인 챔피언 다리아 가브릴로바를 물리치며 무패였다.가르시아와 드 셰퍼는 혼합 복식 경기에서 모두 졌다.시드니 인터내셔널에서 가르시아는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를 꺾었지만 결국 준결승 진출자인 시몬 핼레프에게 3세트에서 패했다.그 후, 그녀는 호주 오픈 1라운드에서 바보라 스트로코바에게 스트로코바에게 스트로코바에게 스트로코바에게 스트로코바를 연속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하지만, 페드컵에서 가르시아는 반등하여 사라 에라니와 카밀라 조르기를 제치고 프랑스와의 무승부를 도왔다.그녀의 다음 대회인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에서, 그녀는 도중에 안나 카롤리나 슈미들로바, 카를라 수아레스 나바로, 안드레아 페트코비치를 꺾고 단식 준결승전에서 패했다.2주 후, 그녀는 몬테레이에서 열린 대회에서 헤더 왓슨에게 준결승전에서 패하며 올해 두 번째 WTA 투어 단식 준결승에 진출했다.가르시아는 인디안 웰스에서의 개막전에서 크리스티나 맥헤일에게 졌다.그녀의 다음 대회는 마이애미 오픈으로, 그녀는 최종 결승 진출자인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에게 3세트 패배하기 전까지 미르자나 루치치-바로니와 안드레아 페트코비치를 꺾었다.
그 후 그녀는 찰스턴에서 뛰었고, 1라운드에서 이리나-카멜리아 베구에게 패했다.하지만 가르시아는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와 함께 복식 우승을 차지했다.
프랑스 대표팀으로 페드컵 준결승에 출전한 가르시아는 키키 베르텐스와의 첫 경기에서 스트레이트로 패했지만 아란타사 루스를 꺾는 데 성공했다.프랑스는 가르시아가 다시 한 번 믈라데노비치와 경기한 복식 경기 후에 결국 동점을 이루었다.그녀의 다음 대회는 포르쉐 테니스 그랑프리로, 단식 1라운드에서 모니카 니콜레스쿠에게 또 한 번 패했지만, 그녀는 결승전에서 톱 시드의 마르티나 힝기스와 사니아 미르자를 꺾고 믈라데노비치와 함께 복식 우승을 차지했다.

지난 5월, 가르시아는 마드리드 오픈에서 믈라데노비치와 함께 첫 프리미어 의무/프리미어-5 복식 우승을 차지하였다.같은 달, 가르시아는 결승전에서 미르자나 루치치치 바로니를 연속 세트로 꺾고 국제대회 스트라스부르 단식 우승을 차지했으며, 1987년 WTA 대회 이후 이 타이틀을 획득한 유일한 프랑스 여성이 되었다.
프랑스 오픈에서 가르시아는 여자 복식 파트너인 믈라데노비치와 결승에서 에카테리나 마카로바와 엘레나 베스니나를 제치고 우승했다.이는 가르시아와 믈라데노비치의 첫 그랜드슬램 여자 복식 우승이며 1971년 [12]게일 샹프로와 프랑수아즈 뒤르 이후 프랑스 여자 복식 우승을 차지한 최초의 프랑스 선수가 되었다.
6월 19일, 가르시아는 첫 번째 마요르카 오픈 결승에서 아나스타시자 세바스토바를 연속 세트로 꺾고 2016년 두 번째 WTA 단식 우승과 잔디밭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그녀는 아나 이바노비치와 커스틴 플립켄스에서 전 윔블던 단식 준결승 진출자 2명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6월 20일, 그녀는 단식 랭킹 32위로 돌아와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를 제치고 프랑스 단식 랭킹 [13]1위가 되었다.
가르시아는 2016년 하계 [14]올림픽 여자 단식과 여자 복식에 모두 참가했다.2번 시드의 가르시아와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는 여자 복식 1라운드에서 패했다.
US오픈에서 가르시아는 단식 25번 시드를 받았다.그녀는 키키 베르텐스와 카테시나 시니아코바를 꺾고 무승부 3라운드에 진출했다가 4번 시드의 아그니에스카 라드바슈카에게 밀려났다.그 결과 가르시아는 24위에 올랐다.복식 종목에서 가르시아는 다시 믈라데노비치와 짝을 이뤘다.프랑스 여자 선수들은 이 대회의 1번 시드였다.그들은 결승전에 진출하였으나, 베다니 마텍-산즈와 루시 샤파소바에게 패하였다.결승에 오른 결과, 가르시아와 믈라데노비치는 두 번째 복식 팀으로 WTA 결승에 진출했다.
가르시아는 우한 오픈에서 아시아 스윙을 시작했다.그는 1주일 전 광저우오픈에서 단식 경기를 할 예정이었으나 대회 시작 전에 기권했다.우한에서 가르시아는 단식과 복식 모두 뛰었다.단식에서는 8번 시드의 매디슨 키스에게 2라운드에서 패했다.복식에서는 1번 시드의 가르시아와 믈라데노비치가 크리스티나 맥헤일과 펑슈아이에게 첫 라운드를 내줬다.그 다음, 중국 오픈에서 가르시아는 다리아 가브릴로바에게 떨어지기 전에 단식 무승부 3라운드에 진출했다.복식에서는 다시 한번 믈라데노비치에게 1번 시드를 배정받았다.프랑스 팀은 준결승에서 3번 시드의 찬하오칭과 찬융잔을 물리치고 결승에 진출했다.이것은 가르시아와 믈라데노비치의 8번째 결승이었다.그들은 결국 US오픈 우승자인 마텍-산즈와 샤파소바에게 패할 것이다.
가르시아는 홍콩오픈에서 아시아를 돌며 단식 5번 시드를 받았다.그녀는 복식 라이벌인 베다니 마텍-산스에게 2라운드에서 패하기 전에 1라운드를 통과했다.그녀는 또한 올해 마지막 정규 시즌 대회인 룩셈부르크 오픈에서 단식을 치렀고 4번 시드를 받았다.그녀는 아넷 콘타빗과 힘겨운 시합을 벌였고 간신히 이겼다.그녀는 안드레아 페트코비치에게 패배했다.
가르시아와 믈라데노비치는 WTA 결승전이 시작되기 직전에 올해의 최우수 복식팀상을 받았다.가르시아는 또한 Fed Cup World Group 준결승 스테이지에서 하트 상을 수상했다.결승전에서 가르시아와 믈라데노비치는 8강전에서 줄리아 괴르헤스와 카롤리나 플리슈코바를 꺾으며 강한 출발을 보였다.하지만 준결승에서 그들은 라이벌인 베다니 마텍-산즈와 루시 샤파소바에게 다시 한 번 패배했다.가르시아와 믈라데노비치는 WTA 연말 복식 세계 랭킹 1위가 될 기회를 놓쳤다.
가르시아는 WTA 엘리트 트로피에 막판 모습을 드러냈다.그녀는 원래 예선전에서 한 자리 모자랐지만 비너스 윌리엄스가 기권하면서 대회에 참가할 수 있었다.그녀는 진달래 그룹에서 조안나 콘타와 사만다 스토수르와 맞붙었다.가르시아는 스토수르와의 첫 경기에서 승리했지만 1번 시드의 콘타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 패해 준결승에 오르지 못했다.하지만 연말 랭킹 23위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11월 체코와의 Fed Cup 결승전에서 가르시아는 윔블던 챔피언 페트라 크비토바를 두 번 꺾고 US오픈 결승 진출자이자 체코 랭킹 1위인 카롤리나 플리슈코바를 꺾었다.불행하게도, 가르시아와 믈라데노비치는 플리스코바와 스트뢰코바와의 경기에서 복식 러버를 잃었고, 이는 체코가 3-2로 페드컵 결승에서 승리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12월, 가르시아와 믈라데노비치는 2016년 ITF 월드 챔피언 복식으로 선정되었다.
2017: 프랑스 오픈 8강, 아시아 프리미어 더블 챔피언, 10위권
비수기 동안, 가르시아는 2017년 페드컵에 출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고, 그녀의 싱글 경력에 집중하고 싶다고 설명했다.
가르시아의 올해 첫 번째 대회는 호주 오픈으로 그녀는 21번 시드를 받았다.단식 1회전에서 그는 카테리나 본다렌코를 스트레이트로 꺾었다.두 번째 라운드에서 그녀는 시골 여자 Océane Dodin과 맞붙었다.가르시아는 첫 세트를 내줬지만 다시 회복해서 경기에서 이겼다.그리고 그녀는 3라운드에서 바르보라 스트뢰코바에게 졌다.복식 경기에서 가르시아는 프랑스인 2인조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와 짝을 이뤘다.두 사람은 8강에 진출하기 위해 처음 세 경기에서 승리했고, 이 경기에서 애슐리 바티와 케이시 델라쿠아를 꺾었다.가르시아와 믈라데노비치는 준결승에서 안드레아 흘라바치코바와 펑슈아이에게 패했다.
가르시아는 대만오픈에 진출해 3번 시드를 받았다.마리나 에라코비치와의 개막전에서 승리해 2회전에서 맨디 미넬라와의 대결을 벌였고, 맨디 미넬라는 그녀에게 연속 세트로 패했다.가르시아는 카타르오픈에서 예선 매디슨 브렝글과의 첫 라운드에서 승리했다가 2라운드에서 [15]연속 2번 시드의 카롤리나 플리슈코바로 떨어졌다.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에서 가르시아는 15번 시드를 받았다.그녀는 1라운드에서 요한나 라르손에게 이겼지만,[16] 2라운드에서 2016년 올림픽 단식 금메달리스트 모니카 푸이그에게 졌다.가르시아는 3번 시드를 받은 쿠알라룸푸르에서 1라운드에서 러시아의 안나 칼린스카야에게 패했다.
그녀의 싱글 성공에 집중하고 싶었던 가르시아는 [17]믈라데노비치와의 파트너 관계를 끝냈다.하지만, 그녀는 여전히 인디언 웰스 오픈에서 복식 경기를 했고, 대신 카롤리나 플리슈코바와 파트너였다.BNP파리바 오픈 단식에서는 21번 시드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그녀는 행운의 패자인 에브게니야 로디나를 꺾고 3라운드에서[18] 11번 시드의 요한나 콘타를 꺾은 뒤 4라운드에서 최종 결승 진출자인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에게 패했다.마이애미 오픈에 앞서 가르시아는 믈라데노비치에게 단식에서 프랑스 여자 랭킹 1위 자리를 내줬다.이 대회에서 가르시아는 21번 시드를 받았고 2라운드에서 [19]펑슈아이에게 개막전에서 패했다.몬테레이 오픈에서 3번 시드로 출전한 가르시아는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최종 우승자인 아나스타샤 파블류첸코바에게 패했다.
가르시아는 마드리드 오픈에서 클레이 시즌을 시작했는데 예선 1라운드에서 왕창에게 졌다.그녀는 또한 다음 대회에서 이탈리아 오픈 2라운드에서 다리아 가브릴로바에게 1라운드에서 도나 베키치를 꺾고 일찍 퇴장했다.그녀는 또한 국제 스트라스부르 준결승에서 가브릴로바에게 졌다.
가르시아는 프랑스 오픈에서 나오 히비노, 클로에 파케, 셰수웨이, 알리제 코르네를 꺾고 첫 그랜드슬램 단식 8강에 올랐으나 2번 시드의 카롤리나 플리슈코바에게 패했다.가르시아는 단식 랭킹 21위로 최고 랭킹에 도달했다.
가르시아는 윔블던에서 처음으로 4라운드에 진출하며 좋은 컨디션을 이어갔지만 6번 시드 조안나 콘타에게 3세트 타이트하게 패했다.이후 마요르카와 보스타드에서 열린 단식 준결승과 로저스컵과 팬퍼시픽 오픈에서 열린 단식 8강에 올랐다.
가르시아는 우한 오픈에서 생애 첫 프리미어 5 단식 우승을 차지했다.이는 마리온 바르톨리가 2013년 윔블던에서 우승한 이후 프랑스 여자 선수가 획득한 가장 큰 단식 우승이었다.우한에서는 1라운드에서 시드 탈락의 가르시아가 12번 시드의 안젤리크 커버를 꺾고 3라운드에서 7번 시드의 도미니카 시불코바를 꺾고 WTA 단식 랭킹 10위권 안에 든 선수를 제치고 2017년 첫 승을 거둔 데 이어 3세트에서 시드 탈락의 애슐리 바티를 꺾었다.가르시아는 WTA 단식 [20][21]랭킹에서 15위로 최고 기록을 세웠다.
가르시아는 차이나 오픈에서 엘리스 메르텐스와 코넷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이어 3번 시드의 엘리나 스비톨리나를 상대로 3세트 승리를 거두며 매치 포인트를 구해 준결승에 올랐다.그녀는 페트라 크비토바를 연달아 꺾고 2연속 WTA 결승에 올랐고, 그녀는 새로운 1위 시모나 할렙을 연달아 꺾고 첫 번째 프리미어-필수 타이틀을 거머쥐며 같은 해 우한과 차이나 오픈에서 우승한 첫 번째 WTA 선수가 되었다.요한나 콘타가 크렘린 컵에서 기권한 후, 가르시아는 WTA 결승 진출자로 확정되었다.가르시아는 WTA 결승에서 첫 경기를 핼렙에게 연속 세트로 졌지만 스비톨리나와 캐롤라인 워즈니아키를 3세트에서 모두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비너스 윌리엄스에게 패했다.
2018년 양대 메이저 4라운드 세계 랭킹 4위
브리즈번에서 시즌을 시작한 후, 가르시아는 호주 오픈에서 뛰었다.8번 시드는 매디슨 [22]키스에 패하기 전 생애 처음으로 4라운드에 진출했다.
가르시아는 2018 프랑스 오픈에서 홈슬램 4라운드에 진출했다.두바이와 도하 8강, 슈투트가르트, 마드리드 4강, 로마, 몬트리올, 뉴헤이븐, 도쿄 8강에도 진출했다.그녀는 2018년 US 오픈(테니스) 3라운드에 이어 2018년 9월 10일 세계 랭킹 4위에 올랐다.
그녀는 단식 랭킹 19위로 한 해를 마쳤다.
2019: Fed Cup 챔피언
가르시아는 프랑스가 2019년 Fed Cup을 우승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그녀는 호주의 애슐리[23][24] 바티와 샘 스토수르를 상대로 결승 복식 경기를 치르기 위해 믈라데노비치와 재회했다.
2020: 혼합 결과 프랑스 오픈 4라운드
가르시아는 호주오픈 2라운드에서 온스 [25]자베어에게 패하며 2020년 테니스 시즌을 평균적인 성적으로 시작했다.그러나 US오픈에서 가르시아는 2라운드에서 [26]1번 시드의 카롤리나 플리슈코바를 제치고 3라운드에 진출했다.
연기된 프랑스오픈에서도 17번 시드의 아넷 콘타베이트, 알리아크산드라 사스노비치, 16번 시드의 엘리제 메르텐스를 제치고 4라운드에 진출했다.가르시아는 4라운드에서 [27]3번 시드의 엘리나 스비톨리나에게 패했다.가르시아의 2020년 최고 성적은 리옹 오픈 8강전에서 5번 시드의 앨리슨 반 위트방크에게 연속 [28]세트로 패했다.
2021년: 폼 손실, 상위 70개 이상

가르시아는 2021년 긱스랜드 트로피의 첫 번째 에디션에서 그녀의 시즌을 시작했다.12번 시드를 받은 그녀는 3라운드에서 7번 시드의 최종 우승자인 엘리제 메르텐스에게 [29]패했다.호주오픈에서는 2회전에서 3번 시드의 2019년 챔피언이자 최종 챔피언인 오사카 [30]나오미에게 패했다.필립 아일랜드 트로피 제1회에서 10번 시드를 받은 그는 도이 [31]미사키 선수에게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애들레이드에서는 아나스타시자 세바스토바에게 [32]1라운드에서 패했다.
리옹 오픈에서 3번 시드를 받은 가르시아는 예선전이자 최종 결승 진출자인 빅토리아 골루빅에게 [33]2라운드에서 패했다.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에서 그녀는 1라운드에서 [34]안젤리크 커버를 이겼다.그녀는 3라운드에서 10번 시드의 엘리제 메르텐스에게 [35]졌다.마이애미에서 그녀는 2라운드에서 3번 시드의 시모나 핼렙과 맞붙었다.그녀는 핼렙을 3세트로 밀어냈지만 [36]결국 경기에서 졌다.
2021년 5월, 가르시아는 그녀의 새 코치를 가브리엘 우르피라고 발표했고, 따라서 그녀의 아버지이자 오랜 코치였던 루이 폴 [37]가르시아와의 파트너십을 끝냈다.그녀는 클레이 코트 시즌을 이탈리아 오픈에서 시작했다.그녀는 2회전에서 베로니카 쿠데르메토바에게 [38]탈락했다.파르마에서 열린 에밀리아-로마냐 오픈 1차 대회에서 8번 시드를 받은 그녀는 8강에 진출하여 케이트시나 시니아코바에게 [39]패했다.국제 스트라스부르 대회에서는 2라운드에서 5번 시드이자 최종 우승자인 바르보라 크레치코바에게 [40]패했다.롤랜드 가로스에서 그녀는 지난해 8강 진출자인 로라 지게문드를 1라운드에서 [41]꺾었다.그녀는 2회전에서 폴로나 [42]허코그에게 졌다.
버밍엄 클래식에서 잔디 코트 시즌을 시작한 가르시아는 2라운드에서 8번 시드의 마리 부즈코바에게 [43]패했다.
그녀의 마지막 경기는 10월 초 인디안 웰스 오픈에서 2라운드에서 코코 가우프에게 패했다.그녀는 단식 랭킹 74위로 시즌을 마쳤다.
그녀는 [44]12월에 새로운 코치 Bertrand Perret과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2022년 WTA 파이널 챔피언 US오픈 준결승 세계 4위 복귀
프랑스 오픈에서 그녀는 동료 크리스티나 [45][46]믈라데노비치와 와일드카드 페어로 결승에 진출했다.그녀는 결승전에서 [47]제시카 페굴라와 코코 가프를 꺾고 두 번째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했다.
대회 최장 기간인 2경기에서 알리제 코네(4강)와 비앙카 안드레스쿠(2시간42)[48][49][50]를 제치고 윔블던에 앞서 통산 8번째 단식 우승을 차지했다.윔블던에서 그녀는 이 메이저에서 두 번째만 4라운드에 진출했다.
폴란드 오픈에서 가르시아는 8강전에서 세계 랭킹 1위 이가 스와텍을 상대로 10차례 만에 첫 승을 거두며 [51][52]스와텍의 18연승을 클레이에서 끝냈다.그녀는 결승전에서 아나 보그단을 연속 세트로 꺾고 두 [53]달 만에 9번째 우승과 2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신시내티오픈에서는 세계 랭킹 3위 마리아 사카리와 2022년[54] 두 번째 톱3 우승인 엘리제 메르텐스를 꺾고 예선전인 2018년 캐나다오픈 이후 4년 만에 WTA 1000 8강에 올랐다.다음으로 그녀는 세계 8, 7번 시드의 제시카 페굴라를 꺾고 [55]2018년 마드리드 이후 처음으로 WTA 1000 준결승에 진출하며 [56]2007년 악굴 아만무라도바 이후 처음으로 이번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했다.6번 시드의 아리나 사발렌카와의 우승으로 그녀는 2009년 [57][58]티어가 생긴 이래 처음으로 WTA 1000 결승에 진출했다.그녀는 페트라 크비토바를 연속 [59]세트로 꺾고 10번째 우승을 차지했다.그 결과, 그녀는 다시 세계 랭킹 17위로 20위 안에 들었다.
가르시아는 신시내티에서 [60]열린 예선 1라운드부터 8연승으로 US오픈에 17번 시드로 출전했다.1차 4라운드에서 행운의 패자인 카밀라 라키모바, 안나 칼린스카야, 2019년 챔피언 비앙카 안드레스쿠, 앨리슨 리스케-암리트라이를 꺾고 US오픈 사상 첫 메이저대회 [61]2차 8강에 진출했다.8강전에서 [62]12번 시드의 코코 가우프를 꺾었지만 첫 메이저 4강전에서 5번 시드의 온스 자베어에게 연달아 패하며 [63]13연승을 달렸다.그 결과 2022년 9월 12일 싱글 톱10에 다시 진입했다.복식에서는 동포 믈라데노비치와 함께 8강에 올랐다.
그녀는 과달라하라 오픈 1라운드에서 레베카 마리노를 꺾고 WTA 결승에 진출했다.WTA 파이널이 시작되기 일주일 전 베르트랑 페렛은 코치직을 그만뒀다.6번 시드를 받은 그녀는 WTA 파이널의 트레이시 오스틴 그룹에 들었다.그녀는 준결승에서 마리아 사카리를 스트레이트로 [64]꺾었다.그는 아리나 사발렌카를 연달아 꺾고 생애 최대 타이틀을 거머쥐며 개인 최고 랭킹 [65]4위로 복귀했다.
플레이 스타일
가르시아는 꾸준하고 강력한 그라운드 스트로크와 강력한 서비스 게임을 가진 공격적인 바젤라이너입니다.그녀의 포핸드는 그녀의 강한 날개이며, 그녀는 많은 깔끔한 승자들을 물리칠 수 있다.그녀는 또한 일관되고 강한 양손 백핸드를 가지고 있다.그녀는 또한 정확성으로 알려진 강한 1, 2차 서브를 가지고 있다.그녀는 2016년에 218개로 9번째로 많은 에이스를 기록했다.그녀의 더블 성공은 비록 이것이 그녀의 싱글 경기에서는 자주 볼 수 없지만 탄탄한 네트 게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녀는 코트 주변의 움직임과 발놀림이 좋아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효과적으로 칠 수 있다.
보증
가르시아는 옷차림에 요넥스, 신발에 뉴발란스, 라켓에 요넥스의 후원을 받고 있다.그녀는 Yonex VCORE SV 100 라켓을 사용한다.가르시아는 또한 프랑스 화장품 [66]회사인 소티스의 대변인이다.
경력 통계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경기 일정
W | F | SF | QF | #R | RR | 질문# | DNQ | A | NH |
싱글
토너먼트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SR | W~L | 이익 % |
---|---|---|---|---|---|---|---|---|---|---|---|---|---|---|---|---|
호주 오픈 | A | 2R | 문제 3 | 1R | 1R | 3R | 1R | 3R | 4R | 3R | 2R | 2R | 1R | 0 / 11 | 12–11 | 52% |
프랑스 오픈 | 문제 1 | 2R | 1R | 2R | 1R | 1R | 2R | QF | 4R | 2R | 4R | 2R | 2R | 0 / 12 | 16–12 | 57% |
윔블던 | A | 문제 2 | 문제 1 | 2R | 3R | 1R | 2R | 4R | 1R | 1R | NH | 1R | 4R | 0 / 9 | 10–9 | 53% |
US 오픈 | A | 문제 1 | 문제 2 | 2R | 1R | 1R | 3R | 3R | 3R | 1R | 3R | 2R | SF | 0 / 10 | 15–10 | 60% |
승패 | 0–0 | 2–2 | 0–1 | 3–4 | 2–4 | 2–4 | 4–4 | 11–4 | 8–4 | 3–4 | 6–3 | 3–4 | 9–4 | 0 / 42 | 53–42 | 56% |
2배
토너먼트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 | 2021 | 2022 | SR | W~L | 이익 % |
---|---|---|---|---|---|---|---|---|---|---|---|---|---|
호주 오픈 | A | A | A | 3R | 3R | 3R | SF | A | 2R | 0 / 5 | 11–5 | 69% | |
프랑스 오픈 | 1R | 1R | 2R | 1R | 3R | W | A | A | W | 2 / 7 | 15–5 | 75% | |
윔블던 | A | A | 문제 1 | 2R | 2R | QF | A | A | A | 0 / 3 | 5–3 | 63% | |
US 오픈 | A | A | 2R | 2R | QF | F | A | 1R | QF | 0 / 6 | 13–6 | 68% | |
승패 | 0–1 | 0–1 | 2–2 | 4–4 | 8–4 | 16–3 | 4–1 | 0–1 | 10–2 | 2 / 21 | 44–19 | 70% |
그랜드 슬램 결승
복식 : 3회 (2회 우승, 준우승 1회)
결과 | 연도 | 토너먼트 | 표면 | 파트너 | 대항마 | 스코어 |
---|---|---|---|---|---|---|
이기다 | 2016 | 프랑스 오픈 | 점토 | ![]() | ![]() ![]() | 6–3, 2–6, 6–4 |
손실 | 2016 | US 오픈 | 어려운 | ![]() | ![]() ![]() | 6-2, 6-7(5–7), 4-6 |
이기다 | 2022 | 프렌치 오픈 (2) | 점토 | ![]() | ![]() ![]() | 2–6, 6–3, 6–2 |
연말 선수권 대회 결승전
싱글: 1 (1 타이틀)
결과 | 연도 | 토너먼트 | 표면 | 상대 | 스코어 |
---|---|---|---|---|---|
이기다 | 2022 | 미국 포트워스 WTA 파이널 | 하드(i) | ![]() | 7(7–4)~6, 6~4 |
레퍼런스
- ^ "Reunited Garcia, Mladenovic find way back to finals - Roland-Garros - The 2022 Roland-Garros Tournament official site". www.rolandgarros.com. Retrieved 5 June 2022.
- ^ "Gauff loses second French Open final in two days". BBC Sport. Retrieved 5 June 2022.
- ^ "Garcia Wins Fed Cup Heart Award". Billie Jean King Cup. Retrieved 5 June 2022.
- ^ "GQ Magazine". www.gqmagazine.com. 25 June 2021.
- ^ "Roland Garros, Garcia at Spanish style". Le Parisien. 4 June 2018.
- ^ "Caroline Garcia enfant de la petite balle". Libération.
- ^ "Caroline Garcia leaves her father as trainer before Roland-Garros : "it's my decision"". L'Équipe.
- ^ "ITF Junior profile".
- ^ "Fed Cup – The World Cup of Tennis".
- ^ "2013 Wimbledon Championships Website - Official Site by IBM - Teenager Garcia makes Wimbledon main dra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March 2014. Retrieved 22 June 2013.
- ^ 마드리드: Radwanska d. Garcia, tennis.com, 2014년 5월 9일
- ^ "Hometown Glory For Garcia, Mladenovic". Women's Tennis Association. Retrieved 6 June 2016.
- ^ "Garcia grabs first grass court title". WTA official website. 19 June 2016.
- ^ Evans, Hilary; Gjerde, Arild; Heijmans, Jeroen; Mallon, Bill; et al. "Caroline Garcia". Olympics at Sports-Reference.com. Sports Reference LL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December 2016.
- ^ "Pliskova Progresses In Qatar".
- ^ "Wozniacki Grinds Past Golubic As Puig, Konjuh Score Upsets In Dubai".
- ^ "Doubles Duo Mladenovic And Garcia Part Ways".
- ^ "Women's Tennis News WTA Tennis".
- ^ "Caroline Garcia a craqué contre Peng à Miami".
- ^ "Caroline Garcia s'offre le plus grand titre de sa carrière à Wuhan". L'Équipe. 30 September 2017.
- ^ "Garcia crowned champ in Wuhan to close Cinderella week". www.wtatennis.com. 30 September 2017.
- ^ "Madison Keys demolishes Caroline Garcia to book last eight berth". 22 January 2018.
- ^ .
- ^ "France Defeats Australia to Win the Fed Cup". The New York Times. The Associated Press. 10 November 2019. Retrieved 10 November 2019.
- ^ "Caroline Garcia [FRA] Australian Open".
- ^ https://www.usopen.org/en_US/news/articles/2020-09-02/caroline_garcia_upsets_karolina_pliskova_in_us_open_stunner.html[베어 URL]
- ^ "Garcia version 2020 out to fly further - Roland-Garros - the 2021 Roland-Garros Tournament official site".
- ^ "Garcia vs. Van Uytvanck Quarterfinal Open 6ème Sens – Métropole de Lyon, France 2020 WTA Official".
- ^ "Naomi Osaka rallies past Boulter into Gippsland last eight". www.hindustantimes.com. 3 February 2021. Retrieved 5 December 2021.
- ^ Ubha, Ravi (10 February 2021). "Match of the Day: Osaka onslaught too much for Garcia". ausopen.com. Retrieved 5 December 2021.
- ^ Macpherson, Alex (13 February 2021). "Doi, Gracheva kick off Phillip Island Trophy with Garcia, Stephens upsets". www.wtatennis.com. Retrieved 5 December 2021.
- ^ Trollope, Matt (22 February 2021). "Gauff into main draw, Collins progresses". adelaideinternational.com.au. Retrieved 5 December 2021.
- ^ "Golubic upsets 3rd-seeded Garcia to reach Lyon Open quarters". www.tsn.ca. 4 March 2021. Retrieved 5 December 2021.
- ^ "Pliskova, Kerber make early exits at Dubai Duty Free Tennis Championships". www.khaleejtimes.com. 8 March 2021. Retrieved 5 December 2021.
- ^ "Muguruza, Pegula through to Dubai Open fourth round". www.espn.com. 10 March 2021. Retrieved 5 December 2021.
- ^ JOSHI, PURAV (25 March 2021). "Simona Halep Incredibly Turns Around the Tough Battle Against Caroline Garcia at Miami Open 2021". www.essentiallysports.com. Retrieved 5 December 2021.
- ^ Tandon, Kamakshi (5 May 2021). "CAROLINE GARCIA PARTS WITH FATHER AS COACH, HIRES GABRIEL URPI". www.tennis.com. Retrieved 5 December 2021.
- ^ ZUCKER, JOSEPH (12 May 2021). "Italian Open 2021: Rafael Nadal Win, Serena Williams Loss Headline Wednesday Results". bleacherreport.com. Retrieved 5 December 2021.
- ^ "Gauff beats Anisimova to reach Emilia-Romagna semifinals". apnews.com. 20 May 2021. Retrieved 5 December 2021.
- ^ Lewis, Daniel (26 May 2021). "Alexandrova sails through in sodden Strasbourg to set up Krejcikova showdown". english.stadiumastro.com. Retrieved 5 December 2021.
- ^ "French Open: Siegemund loses – German women are threatened with collective end". www.tennisnet.com. 31 May 2021. Retrieved 5 December 2021.
- ^ "Caroline Garcia eliminated by Polona Hercog in the 2nd round of Roland-Garros". www.lequipe.fr. 2 June 2021. Retrieved 5 December 2021.
- ^ "CoCo Vandeweghe advances at Birmingham Classic". sports.nbcsports.com. 16 June 2021. Retrieved 5 December 2021.
- ^ "WTA : Caroline Garcia a engagé Bertrand Perret comme nouveau coach". 6 December 2021.
- ^ "Doubles Take: Roland Garros draws winding down".
- ^ "Gauff, Pegula to meet Garcia, Mladenovic in French Open doubles final".
- ^ "Garcia, Mladenovic top Gauff, Pegula to win French Open doubles title".
- ^ "Garcia rallies past Andreescu for Bad Homburg title".
- ^ "Champion's Reel: How Caroline Garcia won Bad Homburg 2022".
- ^ "Caroline Garcia wins the Porsche-supported Bad Homburg Open".
- ^ "Iga Swiatek suffers shock defeat to Caroline Garcia at Poland Open in Warsaw as clay winning streak ends". 29 July 2022.
- ^ "Garcia stuns World No.1 Swiatek in Warsaw quarterfinals".
- ^ "Garcia topples Bogdan in Warsaw, wins ninth career title".
- ^ "Cincinnati: Garcia upsets Sakkari in R2 for 2nd Top 3 win of 2022".
- ^ "Caroline Garcia adds Cincinnati semifinal to sizzling summer after eliminating Jessica Pegula".
- ^ @WTA_insider (20 August 2022). "Caroline Garcia is the first qualifier to advance to the semifinals of #CincyTennis since Akgul Amanmuradova in 200…" (Tweet) – via Twitter.
- ^ @OptaAce (20 August 2022). "1 - Caroline #Garcia is the first qualifier to reach a WTA-1000 final - since 2009. Pioneer.@WTA_insider @WTA" (Tweet) – via Twitter.
- ^ "Garcia overcomes rain delay to surge into Cincinnati final".
- ^ "Garcia soars past Kvitova in Cincinnati to claim 10th career title".
- ^ "US Open Day 1 by the numbers: Garcia's streak, Snigur's feat and more".
- ^ "Caroline Garcia en quarts de finale de l'US Open après sa victoire contre Alison Riske".
- ^ "Garcia defeats Gauff at US Open to make first major semifinal". WTATennis. 6 September 2022.
- ^ "No. 1 Iga Swiatek to face Ons Jabeur for US Open women's title". ESPN. 8 September 2022.
- ^ "Caroline Garcia storms into WTA Finals championship match with Maria Sakkari domination".
- ^ Garber, Greg (8 November 2021). "Garcia caps off comeback season with title at the WTA Finals". WTA.
- ^ Dalegre, Thibaut (29 January 2018). "Caroline Garcia officialise son partenariat avec la marque de cosmétique SOTHYS". Sportbuzzbusiness. Retrieved 13 June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