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스톰 메트로폴리스

Alstom Metropolis
알스톰 메트로폴리스
0402 Chatswood, 2019 (01).jpg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메트로폴리스의 알스톰 메트로폴리스(TS 세트)
Alstom Metropolis C751C Interior Sep 2016 (2).jpg
싱가포르 SBS Transit North East MRT 노선의 알스톰 메트로폴리스(C751C) 내부
제조사알스톰
메트로폴리스
건설된1998-현재
사양
트랙션 시스템Alstom ONIX 또는 OPTONIX IGBTVVVF[a]
전기 시스템
현재수집방법
트랙 게이지1,435 mm (4ft 8+12 인치(대부분 열차)
1600mm(5ft 3인치)(브라질리아 메트로)

알스톰 메트로폴리스(Alstom Metropolitania)는 프랑스의 롤링 스톡 제조업체 알스톰이 설계·생산한 전기 복수 유닛의 계열이다. 그것은 고용량 고속 철도 또는 메트로 철도 인프라 시스템을 위해 설계되었다. 열차는 두 대에서 열 대 사이의 길이만으로도 다양한 구성으로 운행될 수 있으며, 유인 또는 무인 운행에도 적합하다.

메트로폴리스 자동차는 4,000대 이상이 제조되었으며, 이 유형은 전 세계에 분산된 50개 사업자와 함께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1] 메트로폴리스가 운영되는 도시로는 싱가포르, 상하이, 부다페스트, 바르샤바, 난징, 부에노스아이레스, 상파울루, 리마, 산티아고, 바르셀로나, 이스탄불, 산토도밍고, 첸나이, 코치, 럭나우, 시드니, 암스테르담, 샤먼 등이 있다.

설계 피쳐

알스톰의 전기 복수 유닛의 메트로폴리스 계열은 적응성이 매우 뛰어나며, 기본 체구는 소형, 중형, 넓은 구성 사이에서 크기가 크게 달라져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열차 세트는 2대 6대의 차량 배치로 배치된다.[1] 메트로폴리스는 유연성과 신뢰성을 모두 갖출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높은 수준의 기술을 통합하였다. 최대 120km/h(75mph)의 속도로 설계되었으며, 이는 대중 교통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충분하다고 간주되었다.[1] 추진 시스템은 IGBT 트랜지스터가 장착된 ONIX 또는 OPTONIX VVVF 드라이브를 내장하여 비동기식 3상 교류(AC) 견인 모터를 제어한다.[a][b] 다른 능력들 중에서, 이 배열은 회생 제동을 가능하게 하여, 열차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킨다.[1]

완전히 자동화된 운전자 없는 시스템의 일부로 운영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열차가 무인 열차 운행(UTO) 기능을 가질 수 있다.[1] 이를 위해 알스톰은 일반적으로 신호 시스템, 선로 작업 및 서비스와 함께 열차 세트 자체를 포함한 완전한 턴키 시스템의 한 요소로 메트로폴리스에 제공한다. 시드니 메트로(호주 최초의 완전 자동화된 철도망)와 부다페스트 메트로(중동유럽 최초의 자동화된 메트로 노선) 등 여러 사업자들이 이러한 구성으로 열차를 조달했다.[1]

차체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되며, 폭이 2.30–3.2m(7ft 6+12 in–10ft 6인치) 및 13–25m(42ft 7+34 in–82ft 14 인치)로 구성될 수 있다.[1] 고객의 요구 사항에 따라 강철 휠 또는 고무 타이어를 장착할 수 있다. 표준으로, 각 메트로폴리스에는 보안 장치, 선택적 공공 주소 시스템 및 승객 정보 장비를 포함한 서브시스템에 탄력적인 광대역 통신을 제공하는 열차 기반 이더넷 백본(trainbored Ethernet backback)이 있다. 이러한 통신들은 온보드 보안 및 통신 서브시스템 내의 통합 모듈로 조직된다.[1]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메트로폴리스는 각 열차의 주요 구성 요소를 감시하고 실시간으로 상태 정보를 디포와 운영 통제 센터에 표시할 수 있는 인터넷 제공 TrainTracer 도구와 호환된다.[1]

내부도 고객 요구사항에 따라 맞춤 제작할 수 있다.[1] 선택적 특징으로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넓은 좌석, 추가 그랩폴, 문 주위의 더 많은 공간, 휠체어 공간 및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 후자는 일반적으로 여행 정보, 안전 메시지 및 광고를 묘사한다. 도어의 크기는 통로의 폭과 함께 커스터마이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듈식 좌석 배치가 설치된다.[1] 클라이마비트라는 이름의 특수 유리는 창문에 사용되며, 프랑스 제조업체인 세쿠리트 생고바인이 공급한다. 이 유리잔의 주장된 이점 중 하나는 전형적인 내부 소음 수준을 5데시벨 감소시키는 것이다.[citation needed]

주요 배치

2006년 7월, OPRET산토도밍고 메트로폴리스 지하철의 첫 번째 노선에 알스톰을 장착하기 위한 19개의 메트로폴리스 열차 세트 공급에 대한 초기 계약을 체결했다. 이 열차들은 바르셀로나 메트로 저장소의 9000 시리즈와 거의 동일하게 적용되었다.[2] 2011년 1월, 2호선의 알스톰 열차 15대에 대한 추가 주문이 발표되었다.[3] 2012년 3월 동안, 2호선의 첫 열차 세트가 운영자에게 전달되었다.[1]

알스톰은 2010년 2월 암스테르담 메트로폴리스 지하철 6량형 M5 메트로폴리스 열차 23대에 대해 GVB로부터 2억5300만 달러(2억유로)의 주문을 확보했다. 3년 후, 이것은 5대의 추가 열차에 대해 4천2백만 유로(53백만 달러)에 달하는 보충 주문이 뒤따랐다.[1] 각각 최대 1,000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도록 구성되었고, 그들은 51번 국도를 제외한 모든 노선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전체 용량 증가뿐만 아니라 동부 노선의 모든 레거시 M1-M3 세트를 교체했다.[4]

2012년 3월 싱가포르 육상교통청은 34대의 메트로폴리스 열차의 공급에 3억300만 달러 상당의 주문을 하였는데, 이 중 18대는 노스이스트선(NEL)용이었고 나머지 16대는 서클라인(CCL)에 배정됐다. 또한 이 두 라인 모두에 대한 신호 개량을 수반하는 것도 약정에 포함되었다.[1][5][6]

헝가리 부다페스트 메트로폴리스에는 총 15대의 메트로폴리스 열차가 발주되었다. 2014년 3월, 지하철 4호선 타입의 운행이 시작되어 중부동유럽 최초의 자동화된 지하철 노선이 되었다.[1]

2010년 알스트롬은 첸나이 메트로 1단계 전동차 42대를 공급하기 위해 약 3억700만 달러(2억4300만 유로)에 달하는 대규모 주문을 확보했다.[7] 처음 9대의 열차는 브라질에서 수입되었고 나머지는 첸나이에서 약 75km(47mi) 떨어진 타다 스리시에 세워진 새로운 시설에서 제작되었다.[8][9] 이 열차는 전기 작동식 자동 슬라이딩 도어와 회생 제동 시스템으로 에어컨이 작동된다. 이 자동차는 최고 시속 80킬로미터(50mph)의 오버헤드 캐티너리 시스템을 통해 25KV AC로 운행한다.[10] 2014년 7월, 알스톰은 알스톰의 새로운 인도 생산 현장에서 최초로 제작된 열차인 메트로폴리스 열차 세트 한 쌍을 납품했다.[1]

2014년 9월, 알스톰은 호주 최초의 완전 자동화된 철도망인 시드니 메트로 노스웨스트에 장착하기 위한 실질적인 계약을 받았다. 계약에는 22대의 6량짜리 메트로폴리스 열차 세트와 통신 기반 열차 제어(CBTC) 신호 전달 인프라의 생산과 공급이 포함되어 있어 자동 운행이 용이해졌다.[1]

롤링 스톡

갤러리

메트로폴리스 자동차를 사용하는 시스템

생산

참고 항목

메모들

  1. ^ Jump up to: a b MP 89와 NS 93은 GEC Alsthom GTO-VVVF를 대신 사용한다.
  2. ^ NS 74는 대신 Jeumont Heidmann 브랜드 DC 트랙션 모터를 사용한다.

참조

  1.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Alstom Metropolis Trains". railway-technology.com. Retrieved 31 December 2020.
  2. ^ "City News July 2006".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1 July 2006. Retrieved 1 April 2015.
  3. ^ "World rolling stock market January 2011". 7 January 2011. Retrieved 1 April 2015.
  4. ^ "Nieuwe metro: de M5 Metropolis (New Metro: the M5 Metropolis)" (in Dutch). GV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August 2014. Retrieved 1 August 2014.
  5. ^ "LTA and SMRT Award Contracts for New Trains and Re-Signalling Project". Land Transport Authority. 1 Febr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September 2013. Retrieved 16 November 2013.
  6. ^ "Alstom to supply 34 Metropolis trains and signaling upgrade to Singapore metro". 3 Febr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December 2013. Retrieved 16 November 2013.
  7. ^ "Alstom completes in Lapa plant the first train for Chennai metro, in India". Alstom (Press release). May 2013. Retrieved 6 June 2016.
  8. ^ "First coach for Chennai Metro by April 2013: Alstom Transport". Business Line. Retrieved 6 June 2016.
  9. ^ Sekar, Sunitha (28 October 2013). "Chennai Metro to have 1st class compartment". The Hindu. Retrieved 2 March 2014.
  10. ^ "Alstom to provide 168 cars for Chennai's metro for €243 million (approx. INR 1470 crore)". Alstom (Press release). September 2010. Retrieved 6 June 2016.
  11. ^ "Alstom completes in Lapa plant the first train for Chennai metro, in India". Alstom. Retrieved 20 January 201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