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스
안데스 산맥, 안데스 산맥 또는 안데스 산맥(스페인어: Cordillera de los Andes)은 남아메리카의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지속적인 고지를 형성하는 세계에서 가장 긴 대륙 산맥이다. 사거리는 길이 6,999km(4,349mi), 폭 200~700km(124~435mi)이며(위도 18°S~20°S 사이 가장 넓음), 평균 높이는 약 4,000m(13,123ft)이다. 안데스는 남미의 7개국을 거쳐 북에서 남으로 뻗어 있다.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그 길이에 따라 안데스 산맥은 중간 압력에 의해 분리되어 몇 개의 범위로 나뉜다. 안데스 산맥은 몇 개의 높은 고지가 위치해 있다. 그 중 일부는 키토, 보고타, 칼리, 아레키파, 메데인, 부카라망가, 수크레, 메리다, 엘알토, 라파스 같은 주요 도시들을 개최하고 있다. 알티플라노 고원은 티베트 고원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곳이다. 이들 범위는 차례로 열대 안데스, 드라이 안데스, 웨트 안데스 등 기후에 따라 3개의 주요 구획으로 분류된다.
안데스 산맥은 아시아 외곽에서 가장 높은 산맥이다. 아시아 외곽에서 가장 높은 산인 아르헨티나의 아콘카과 산은 해발 약 6,961m(22,838ft)의 높이로 솟아 있다. 에콰도르 안데스 산맥의 침보라조의 봉우리는 지구의 자전에 따른 적도 폭포 때문에 지구 표면의 다른 어떤 곳보다 지구의 중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화산은 안데스 산맥에 있으며, 칠레-아르헨티나 국경의 오조스 델 살라도가 있으며, 이 화산은 6,893m(22,615ft)에 이른다.
안데스 산맥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남극대륙의 서쪽 "백본"을 형성하는 산맥의 거의 연속적인 배열로 이루어진 산맥(코딜레라)인 아메리카 코딜레라의 일부이기도 하다.
어원
안데스라는 단어의 어원이 논의되어 왔다. 잉카 제국의 4대 지역 [1]중 하나인 안티수유(동부 지역을 뜻하는 퀘추아)에서와 같이 '동부'[1]를 뜻하는 케추아어 안티에서 유래했다는 게 중론이다.
코딜레라(cordillera)라는 용어는 '로프'[2]를 뜻하는 스페인어 코델(cordel)에서 유래했으며, 안데스 산맥은 물론 안데스 산맥의 여러 인접 부분, 그리고 북아메리카 대륙과 남미 대륙의 서부를 따라 결합된 산악 사슬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지리
안데스 산맥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남부 안데스
- 아르헨티나와 칠레, 룰라야코 남쪽에 있어
- 센트럴 안데스
- 페루와 볼리비아에서.
- 북안데스
-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그리고 에콰도르에서. 안데스 산맥의 북부에서는 별도의 시에라 네바다 데 산타 마르타 산맥이 북부 안데스 산맥의 일부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3]
베네수엘라 연안의 카리브해에 놓여 있는 리워드 안틸레스 섬 아루바, 보네레르, 쿠라사오 섬은 이전에는 안데스 산맥의 극북 가장자리의 수몰된 봉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현재 진행 중인 지질학 연구는 그러한 단순화가 t 사이의 복잡한 지질학적 경계를 정당화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그는 남미판과 카리브해판이다.[4]
지질학
안데스 산맥의 지질학 |
---|
오로시스 |
Pampean • Famatinian • Gondwanide • Andeans |
접이식 러스트 벨트 |
바솔리스 |
안티오키아 • 코르딜레라 블랑카 • 페루 해안 • 비쿠냐 맥켄나 • 엘퀴-리마리 • 콜랑귀일 • 칠레 해안 • 북파타고니아 • 남부 파타고니아 |
서브덕티드 구조물 |
알루크 판(이전) • 남극판 • 카네기 리지 • 칠레 라이즈 • 파랄론 판(이전) • 후안 페르난데스 리지 • 나스카 판 • 나스카 리지 |
결함 |
Dolores-Guayaquil • Cordillera Blanca • Cochabamba • Domyko • El Tigre • San Ramon • Liquiene-Ofqui • Magallanes-Fagnano |
안데스 화산대 |
북방 지역 • 페루 평탄한 슬래브 • 중앙 지역 • 팜팡 평탄한 평탄한 슬래브 • 남방 지역 • 파타고니아 갭 •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
테라네스 |
아레키파-안토폴라 • 메질로니아 • 칠리니아 • 차이테니아 • 칠리오니아 • 쿠야니아 • 파타고니아 • 파타고니아 • 피츠 로이 • 마드레 드 디오스 |
안데스인들은 중생동물이다.아태지역은 물론 아메리카 대륙의 태평양 테두리를 아우르는 화산활동의 한 지역인 환태평양 환태평양 산맥의 제3의 조산벨트. 안데스 산맥은 남아메리카 판 아래의 해양 지각의 전도로 인한 지각 작용의 결과물이다. 나스카 판과 남미 판의 접점 경계가 수렴된 결과다. 안데스 산맥이 부상하는 주요 원인은 나스카 판과 남극 판의 전도로 인한 남미 판의 서쪽 테두리 압축이다. 동쪽으로는 안데스 산맥이 오리노코, 아마존 분지, 마드레 드 디오스, 그란 차코와 같은 여러 퇴적 분지로 경계를 이루는데, 이 분지는 안데스 산맥과 남아메리카 동부의 고대 크라톤을 분리한다. 남쪽에서는 안데스 산맥이 옛 파타고니아 테레인과 긴 경계를 공유하고 있다. 비록 페루-칠레 해구가 그들의 궁극적인 서양의 한계로 여겨질 수 있지만, 서쪽으로는 안데스가 태평양에서 끝난다. 지리적 접근으로 볼 때 안데스 산맥은 해안 저지대의 외관과 덜 험한 지형이 특징인 서쪽 경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안데스 산맥은 또한 그 범위 내의 많은 산들에 위치한 다량의 철광석을 포함하고 있다.
안데스산 오로젠은 일련의 굽힘이나 오로클린을 가지고 있다. 볼리비아 오로클린은 남미의 해안과 안데스 산맥의 약 18° S에 있는 바다 쪽으로 오목한 굽힘이다.[5][6] 이때 안데스의 지향점은 페루의 북서부에서 칠레와 아르헨티나의 남부로 바뀐다.[6] 안데스 구간은 오로클린의 북쪽과 남쪽이 각각 시계 반대방향과 시계방향으로 15°~20° 회전했다.[6][7] 볼리비아 오로클린 지역은 알티플라노 고원의 최대 폭의 면적과 중첩되며, 이삭스(1988)에 따르면 오로클린 지역은 지각 단축과 관련이 있다.[5] 해안선이 굽은 18° S의 특정 지점은 "아리카 엘보우"[8]라고 알려져 있다. 더 남쪽에는 Maipo Orocline이 33°S에서 38°S 사이의 보다 미묘한 Orocline이 있다.[9] 안데스 산맥의 남쪽 끝 근처에는 파타고니아 오로클레인이 있다.[10]
오로젠성
남아메리카 판의 서쪽 테라인은 적어도 프로테로우스와 초기 고생대 이후 여러 개의 안데스 이전의 오로니가 있던 곳으로, 이때까지 여러 테라네스와 마이크로연속체가 남미의 동부 고대 크라톤과 충돌하여 합쳐졌다.
현대 안데스의 형성은 판게아가 분열을 시작했을 때 트라이아스기의 사건에서 시작되어 몇 번의 분열을 초래했다. 그 발전은 쥬라기 시대에 걸쳐 계속되었다. 고대 크라톤들의 퇴적암과 변성암을 동쪽으로 상승, 단층, 접힘으로써 안데스인들이 현재의 형태를 취하기 시작한 것은 백악기 시대였다. 안데스 산맥의 상승은 지역마다 지각응력, 상승, 침식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정하지 않았다.
나스카 판과 남극 판의 일부가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미끄러지고 있는 남아메리카 전체 서해안을 따라 전도구 위쪽의 지각력은 오늘날까지 계속 진행중인 발열성 사건을 일으켜 큰 지진과 화산 폭발에 경미한 결과를 초래한다. 극한 남쪽에서 중대한 변환 결함이 티에라 델 푸에고와 소형 스코티아 판을 분리한다. 1,000km(620mi) 폭의 드레이크 통로를 가로질러 스코티아 판 남쪽 남극 반도의 산들이 있는데, 이 산들은 안데스 산맥의 연속인 것으로 보인다.
안데스 산맥의 바로 동쪽에 있는 지역들은 안데스 산맥의 발열로 인한 일련의 변화를 경험한다. 아마존 크래톤에 있는 선사스 오로젠의 일부가 안데스 산맥에 의해 오버라이드 되는 지구의 표면에서 사라졌다.[11] 고대 팜페오니의 효과를 관찰할 수 있는 시에라스 데 코르도바는 현대적인 상승과 안도감을 3차원의 안데스 오로니 덕분이다.[12] 남부 파타고니아에서 더 남쪽으로 안데스 오로니가 시작되면서 마갈레인스 분지는 중생대의 확장적 백아크 분지에서 신생대의 압축적 전륙 분지로 진화하게 되었다.[13]
화산주의

안데스 산맥은 활동하지 않는 지역에 의해 분리된 네 개의 화산 지역에 많은 활화산이 분포되어 있다. 안데스 화산은 남미의 판 아래에 나스카 판과 남극 판이 전도된 결과물이다. 허리띠는 화산격차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4개의 주요 화산지대로 세분된다. 벨트의 화산은 활동 양식, 생산물, 형태학 면에서 다양하다.[14] 화산이 어느 화산 지역에 속하느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설명될 수 있지만, 화산 지역 내부와 심지어 인접한 화산들 사이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안데스 화산 벨트는 석회암과 전도의 화산활동의 유형지임에도 불구하고 화산의 지각 두께와 마그마 아스콘트 오솔길, 차이점 등 화산의 지각계통과 확장구간, 전이성 결함, 중간 산등성이 및 해저 산맥의 전도와 같은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다.지각 동화 티량
광석은 퇴적되고 증발한다.
안데스 산맥은 대규모 광석과 소금 퇴적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쪽의 접이식 벨트와 추력식 벨트 중 일부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양의 탄화수소를 위한 덫 역할을 한다. 아타카마 사막의 내륙에서는 가장 큰 포르피린 구리 광물화가 발생하여 칠레와 페루가 세계 1, 2위의 구리 수출국이다. 안데스 산맥의 서쪽 경사면에 있는 포르피리 구리는 플루톤이나 화산계를 냉각하는 동안 열수액(대부분의 물)에 의해 생성되었다. 포피리 광물화는 유성수의 불안정한 작용에서 크게 벗어나게 하는 건조한 기후로부터 더 많은 이득을 얻었다. 중부 서부 안데스의 건조한 기후는 또한 합성 질산염의 발명이 있을 때까지 광범위하게 채굴된 광범위한 염전 침전물의 생성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건조한 기후의 또 다른 결과는 아타카마와 우유니의 살라르인데, 첫 번째 살라르는 오늘날 리튬의 가장 큰 공급원이며 두 번째로 원소의 세계 최대 매장량이다. 볼리비아 코르딜레라 센트럴의 초기 중생대와 신제종 플루톤주의는 볼리비아의 주석 벨트와 함께 현재 고갈된 유명한 세로 리코 데 포토시의 퇴적물을 만들었다.
기후 및 수문학
안데스 산맥의 기후는 위도, 고도, 그리고 바다와 가까운 곳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높은 고도에서 온도, 기압, 습도가 감소한다. 남부 지방은 비가 오고 시원하며, 중부 지방은 건조하다. 북부 안데스 산맥은 콜롬비아의 평균 기온이 18°C(64°F)로, 전형적으로 비가 오고 있다. 기후는 다소 짧은 거리에서 급격하게 변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열대우림은 눈으로 덮인 코토팍시 봉우리에서 불과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존재한다. 산은 인근 지역의 기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설선은 위치에 따라 다르다. It is at between 4,500 and 4,800 m (14,764 and 15,748 ft) in the tropical Ecuadorian, Colombian, Venezuelan, and northern Peruvian Andes, rising to 4,800–5,200 m (15,748–17,060 ft) in the drier mountains of southern Peru south to northern Chile south to about 30°S before descending to 4,500 m (14,760 ft) on Aconcagua at 32°S, 2,000 m (6,600 ft) at 50°S에서는 40°S, 50°S에서는 500m(1,640ft), 55°S에서는 티에라 델 푸에고에서는 300m(980ft)만, 50°S에서는 몇 개의 큰 빙하가 해수면으로 내려간다.[15]
칠레와 아르헨티나의 안데스 산맥은 두 개의 기후와 빙하학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드라이 안데스 산맥과 웨트 안데스 산맥. 드라이 안데스 산맥은 아타카마 사막의 위도에서 마우레 강 지역까지 확대되기 때문에 강수량이 산발적이고 기온의 변동이 심하다. 평형선은 짧은 기간에 걸쳐 급격히 변화하여 전체 빙하가 절제 영역이나 축적 영역에 남게 될 수 있다.
칠레 중부와 멘도자 지방의 높은 안데스 산맥에서 암빙하는 빙하보다 크고 흔하다. 이는 태양 복사 노출이 높기 때문이다.[16]
강수량은 높이에 따라 증가하지만, 안데스 산맥의 거의 7,000미터(22,966피트) 높이의 산에는 반건조 조건이 있다. 이 건조한 스텝 기후는 32–34° S에서 아열대 위치의 전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계곡 밑바닥에는 나무가 없고 그냥 왜소하게 문질러져 있을 뿐이다. 예를 들어 플로모 빙하와 호르코네스 빙하와 같은 가장 큰 빙하는 길이가 10km(6.2mi)에 이르지도 않고 오직 미미한 얼음 두께만 가지고 있다. 그러나 2만년 전 빙하시대에는 빙하가 10배 이상 길었다. 멘도지나 안데스 산맥의 이 구간의 동쪽에서는 2,060m(6,759ft), 서쪽으로는 해발 약 1,220m(4,003ft)까지 흘러내렸다.[17][18] 세로 아콘카과(6,961m(22,838ft)와 세로 투풍가토(6,550m(21,490ft)와 네바도 준칼(6,110m(20,046ft))은 수십 킬로미터 떨어져 있으며, 공동 빙하망으로 연결되었다. 안데스 산맥의 덴드리트 빙하 암, 즉 계곡 빙하의 구성요소는 길이가 최대 112.5km(69.9mi), 두께가 1,250m(4,101ft)가 넘었으며 수직 거리는 5,150m(16,896ft)이었다. 기후 빙하 스노라인(ELA)은 빙하 시간에 4,600m(15,092ft)에서 3,200m(10,499ft)로 낮아졌다.[17][19][20][21][22][23][24][25][26]
플로라
안데스 지역은 카리브해 베네수엘라에서 극지방인 아타카마 사막을 지나 춥고 바람이 많이 불고 습한 케이프 혼에 이르기까지 여러 자연 지역과 화훼 지역을 가로지르고 있다. 열대 우림과 열대 건림들은[27] 북부 안데스 산맥의 많은 부분을 에워쌌지만, 지금은 특히 콜롬비아의 초코와 안데스간 계곡에서 많이 줄어들었다. 습기가 많은 안데스 산맥의 반대편에는 페루 서부와 칠레, 아르헨티나의 대부분의 안데스 산맥의 비교적 건조한 슬로프가 있다. 몇몇 인터안데스 Vallees와 함께,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낙엽성 삼림지대, 관목, 황색 식물들이 지배하고 있으며, 사실상 생명이 없는 아타카마 사막 근처의 비탈에서 극에 이른다.
안데스 산맥에는 약 3만 종의 혈관 식물이 살고 있으며, 그 중 절반 정도가 이 지역에 고유하게 서식하고 있어 다른 어떤 핫스팟의 다양성을 능가한다.[28] 말라리아 치료에 사용되는 키니네의 원료인 작은 나무 신초나 펍에센스는 볼리비아 남쪽 먼 안데스 산맥에서 널리 발견된다. 안데스 산맥에서 유래한 다른 중요한 작물들은 담배와 감자들이다.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칠레의 안데스 지역에서 고도가 높은 폴리에피스 숲과 삼림지대가 발견된다. 이 나무들은 케누아, 야구알, 그리고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지역 주민들에 의해 해발 4,500m의 고도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러한 삼림과 삼림지대의 단편적인 분포가 자연적인 것인지, 아니면 잉카 시대에 시작된 개간 결과인지는 여전히 불명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에는 간간이 빨라졌고, 몇몇은 원래의 삼림지 중 10%만이 남아있다고 믿으면서, 나무들은 현재 매우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29]
파우나
안데스인들은 동물원이 풍부하다. 약 2/3가 이 지역의 고유종인 거의 1,000여 종으로, 안데스 산맥은 양서류들에게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28] 안데스 산맥에 서식하는 동물의 다양성은 600여 종의 포유류(13% 풍토), 1700여 종의 조류(약 1/3 풍토), 600여 종의 파충류(약 45% 풍토), 400여 종의 어류(약 1/3 풍토)로 매우 높다.[28]
비쿠냐와 구아나코는 알티플라노에 살고 있는 반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가정화된 라마와 알파카는 현지인들이 짐 싸는 동물로, 그리고 고기와 양모를 위해 널리 사육하고 있다. 안데스 산맥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설치류 주문의 위협적인 두 멤버인 크레푸스 분자(새벽과 해질 무렵에 활동한다) 진칠라(chinchinchilla는 안데스 산맥의 고산지대에 서식한다.[30][31] 서반구에서 가장 큰 조류인 안데스 콘도르는 안데스 산맥의 대부분 지역에서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밀도에서 발생한다.[32] 다른 동물들은 안데스 고원의 상대적으로 열린 서식지에서 발견된 huemul, 퓨마, 로사 Pseudalopex,[30][31일]에 여우와, 새들에게는tinamous(로사 Nothoprocta의 특히 멤버)특정한 종류의, 안데스 기러기, 거대한 coot, 플라밍고(주로 고염의 호수와 관련된) 작은 레이'란, 안데스, diademed sandpi을 포함한다.per-plo버, 광부, 시에라 피니쉬, 디우카 피니쉬.[32]
티티카카 호에는 몇몇 내인종이 살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멸종위기에 처한 티티카카 날지 못하는 그레베와[32] 티티카카 물개구리가 있다.[33] 몇몇 벌새들, 특히 몇몇 언덕스타들은 4,000m 이상의 고도에서 볼 수 있지만, 특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그리고 멀리 북서 아르헨티나에 있는 비탈에서 자라는 습한 안데스 숲에서 훨씬 더 높은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다.[32] 융가스와 초코족의 일부를 포함하는 이러한 숲 타입은 비록 큰 포유동물은 거의 존재하지 않지만, 위협받는 산 타피르, 분광곰, 노란꼬리양털원숭이는 예외로 하여 식물과 동물성이 매우 풍부하다.[30]
습한 안데스 숲의 새들은 산토우칸, 퀘살, 안데스 콕오바위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타나리와 용광로가 지배하는 잡종 무리들은 흔히 볼 수 있다 – 몇몇 성악적이긴 하지만 전형적으로 암호화 되어 있는 렌, 타파쿨로스, 앤티파스 종과는 대조적이다.[32]
왕실 신클로드와 백색의 티티 스피네테일과 같은 많은 종들이 폴리레피스와 연관되어 있고, 결과적으로 또한 위협을 받고 있다.[32]
인간활동
이 섹션은 검증을 위해 추가 인용구가 필요하다. (2011년 1월) (이 과 시기 |
안데스 산맥은 문화적 영향의 남북 축을 이루고 있다. 15세기 동안 중부 안데스 지방의 잉카 문명과 잉카 제국의 팽창으로 긴 일련의 문화 발전이 절정에 달했다. 잉카인들은 제국주의적인 군국주의와 세심하고 치밀한 정부 관리를 통해 이 문명을 형성했다.[34] 정부는 기존의 설치 외에 수도관 및 도로 건설을 후원했다. 이 공사들 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면책 특권과 내전이 없는 유럽의 질병에 의해 황폐해진 잉카인들은 1532년 그들이 정복한 국가들로부터 수만 명의 동맹국들(예: 후안카스, 차카포야스, 카냐리스)과 프란시스코 피사로가 이끄는 180명의 스페인 군대로 구성된 작은 군대에 의해 패배했다. 스페인인들이 정복에서 결코 발견하지 못한 몇 안 되는 잉카 유적지 중 하나는 그들이 아마존으로 내려가는 안데스 산맥의 동쪽 가장자리에 있는 봉우리에 숨어있는 마추픽추였다. 안데스 민족의 주요 생존 언어는 케추아어족과 아이마라어족이다. 우드바인 패리쉬와 조셉 바클레이 펜트랜드는 1826년부터 1827년까지 볼리비아 안데스 산맥의 많은 부분을 조사했다.
도시들
근대에 안데스 산맥에서 가장 큰 도시는 약 80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보고타, 산티아고, 메데인, 칼리, 키토 등이다. 리마는 안데스 산맥에 인접한 해안도시로 안데스 산맥 전체 국가 중 가장 큰 도시다. 이 곳은 안데스 국제 공동체의 자리야.
볼리비아의 정부 수반인 라파스는 약 3,650m의 고도(11,975ft)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도다. 엘 알토 시를 포함한 라파스 교란 지역의 일부는 최대 4,200m(13,780ft)까지 뻗어 있다.
Other cities in or near the Andes include Bariloche, Catamarca, Jujuy, Mendoza, Salta, San Juan, and Tucumán in Argentina; Calama and Rancagua in Chile; Cochabamba, Oruro, Potosí, Sucre, Sacaba, Tarija, and Yacuiba in Bolivia; Arequipa, Cajamarca, Cusco, Huancayo, Huánuco, Huaraz, Juliaca, and Puno in Peru; Ambato, Cuenca, Ibarra, Latacunga, Loja, Riobamba and Tulcán in Ecuador; Armenia, Cúcuta, Bucaramanga, Duitama, Ibagué, Ipiales, Manizales, Palmira, Pasto, Pereira, Popayán, Sogamoso, Tunja, and Villavicencio in Colombia; and Barquisimeto, La Grita, Mérida, San Cristóbal, Tovar, Trujillo, and Valera in Venezuela. 카라카스, 발렌시아, 마라카이의 도시는 남아메리카의 북쪽 끝단에 있는 안데스 산맥의 논란의 여지가 있는 연장선인 베네수엘라 해안 산맥에 있다.
교통
도시와 대도시는 아스팔트 포장도로로 연결돼 있고, 소규모 도시들은 흙길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 사륜구동 차량이 필요할 수 있다.[35]
험준한 지형은 역사적으로 근대 토목공사의 관행을 가지고도 안데스 강을 가로지르는 고속도로와 철도를 건설하는 비용을 대부분의 이웃 나라들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게 했다. 예를 들어, 아르헨티나와 칠레의 안데스 산맥의 주요 교차점은 여전히 파소 인터나시오날 로스 리베르타도레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최근에 와서야 동서로 다소 가까이 다가온 일부 고속도로의 끝부분이 연결되었다.[36] 승객 수송의 대부분은 항공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안데스를 거쳐 칠레와 페루를 잇는 철도가 하나 있고, 남부 볼리비아를 통해 같은 연결을 하는 철도도 있다. 그 지역의 철도 지도를 보라.
볼리비아에는 안데스 강을 가로지르는 여러 개의 고속도로가 있다. 이들 중 일부는 볼리비아와 파라과이의 전쟁 기간 동안 볼리비아군과 그들의 보급품을 볼리비아 남동부와 파라과이 서부의 저지대에 있는 전쟁 전선으로 수송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수십 년 동안 칠레는 안데스 산맥의 동쪽에 있는 토지의 소유권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1870년 전후 칠레, 동맹국인 볼리비아와 페루의 태평양전쟁 때 페루를 전쟁에 참여시키지 않기 위한 외교적 협정으로 포기되었다. 칠레 육군과 칠레 해군은 볼리비아와 페루의 연합군을 격파했고, 칠레는 수십 년 후 페루에서 반환된 일부 땅인 태평양 연안의 볼리비아 유일의 지방을 점령했다. 볼리비아는 그 이후로 완전히 육지로 둘러싸인 나라였다. 1978년 이후 칠레와의 외교관계가 중단되었기 때문에 주로 아르헨티나 동부와 우루과이의 항구를 국제무역에 이용한다.
험준한 지형 때문에, 자동차로 이동하는 것은 거의 쓸모가 없는 산속 마을과 마을들은 여전히 칠레, 볼리비아, 페루, 에콰도르의 안데스 산맥의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지역적으로는 낙타, 라마, 알파카의 친척들이 무리를 지어 중요한 용도를 계속 수행하고 있지만, 근대에 와서 이러한 용도는 일반적으로 줄어들었다. 당나귀, 노새, 말 등도 유용하다.
농업
잉카족과 같은 안데스족의 고대인들은 6,000년 이상 관개 기술을 연습해왔다. 산비탈 때문에 계단식 경사가 흔히 있어 왔다. 그러나 테라싱은 잉카 제국주의의 팽창 이후 그들의 팽창하는 영역을 부채질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고용되었다. 감자는 내부적으로 소비되는 주식 작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메이즈는 또한 이러한 사람들에게 중요한 작물이었고, 안데스 원주민들에게 중요한 치차 생산에 사용되었다. 현재 담배, 면화, 커피 등이 주요 수출작목이다. 코카인은, 일부 국가의 근절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약간 자극적인 허브차에 합법적으로 국부적으로 사용하는 중요한 작물로 남아 있으며, 논란이 많거나 불법적으로 코카인을 생산하는데도 중요한 작물로 남아 있다.
관개
비경지에서는 목초지가 가장 일반적인 토지 이용 유형이다. 장마철(여름)에는 레인지랜드의 일부가 자르기에 사용된다(주로 감자, 보리, 넓은 콩, 밀).
관개는 식량 부족기에 조기 수확을 보장하는 여름 작물의 파종 데이터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조기 파종함으로써, 옥수수 재배는 산에서 더 높이 3,800m(12,500ft)까지 할 수 있다. 또 건기(겨울)에 자르기가 가능해 양파, 당근 등 서리에 강한 채소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37]
채굴

안데스인들은 스페인의 남미 정복 동안 광물 자원으로 유명해졌다. 안데스 아메린디아 사람들은 금과 다른 금속으로 의식용 보석을 만들었지만, 안데스인들의 광물화는 스페인 도착 후 대규모로 처음 채굴되었다. 오늘날 볼리비아의 포토시와 페루의 세로 데 파스코는 신대륙에서 스페인 제국의 주요 광산 중 하나였다. 리오 데 라 플라타와 아르헨티나는[38] 포토시의 은에서 이름을 따왔다.
현재 칠레와 페루의 안데스 산맥의 광산은 이 나라들을 세계 1, 2위의 구리 생산국으로 두고 있다. 페루는 또한 세계에서 4번째로 큰 금광인 야나코차를 포함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은광업이 17세기 유럽의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음에도 볼리비아 안데스인들은 주로 주석 생산을 한다.
안데스 산맥에는 16세기 포토시의 스페인 은광에서부터 칠레의 추키카마타와 에스콘디다의 광대한 현재의 포르피리 구리 퇴적물, 페루의 토퀘팔라까지 오랜 광업 역사가 있다. 비금속 자원 외에 철, 금, 주석 등 다른 금속도 중요하다.
봉우리
이 목록에는 안데스 산맥의 주요 봉우리들이 포함되어 있다. 최고봉은 아르헨티나의 아콘카과(아래 참조)이다.
아르헨티나
- 아콘카과, 6,961m(22,838ft)
- Cerro Bonete, 6,759 m (22,175 ft)
- 갈란, 5912m(19,396ft)
- 메르세다리오, 6,720m (22,047ft)
- 피시스, 6,795m (22,293ft)
아르헨티나와 칠레의 국경
- 세로 바요, 5,401m(17,720ft)
- 세로 피츠 로이(3375m(11,073ft) 또는 파타고니아(3405m), 세로 샬텐으로도 알려져 있다.
- Cerro Escorial, 5,447m(17,871ft)
- 코르돈 델 아즈프레, 5,463m(17,923ft)
- 팔소 아즈프레, 5890m(19,324ft)
- 잉카와시, 6,620m (21,719ft)
- 라스타리아, 5,697m(18,691ft)
- Lullaillaco, 6,739m (22,110ft)
- 마이포, 5,264m (17,270피트)
- Marmolejo, 6,110 m (20,046 ft)
- 오조스 델 살라도, 6,893m (22,615ft)
- 올카, 5,407m(17,740ft)
- 시에라 네바다 데 라고나스 브라바스, 6,127m(20,102ft)
- 소콤파, 6,051m(19,852ft)
- 네바도 트레스 크루즈, 6,749m (22,142ft) (남측 정상) (III 지역)
- 트론도르, 3,491m (11,453ft)
- 투풍가토, 6,570m(21,555ft)
- 나시미엔토, 6,492m(21,299ft)
볼리비아

- 잔쿠 우마, 6,427m (21,086ft)
- 카바라야, 5860m(19,226ft)
- 차칼타야, 5,422m(17,789ft)
- 웨이나 포토시, 6,088m(19,974ft)
- 일람푸, 6,368m(20,892ft)
- 일리마니, 6,438m(21,122ft)
- 라람 콰와 5,182m(17,001ft)
- 마키조 데 파쿠니, 5,400m(17,720ft)
- 네바도 아나야지시, 5,750m(18,865ft)
- 네바도 사자마, 6,542m(21,463ft)
- 파틸라 파타, 5,300m(17,390ft)
- 타타 사바야, 5,430m(17,815ft)
볼리비아와 칠레의 국경

- 아코탕고, 6,052m(19,856ft)
- 미친차, 5,305m(17,405ft)
- 이루 푸툰쿠, 5,163m(16,939ft)
- 리칸카부르, 5,920m(19,423ft)
- 올카, 5,407m(17,740ft)
- 파리나코타, 6,348m(20,827ft)
- 파루마, 5420m(17,782ft)
- 포머레이프, 6,282m(20,610ft)
칠리
- 몬테 산 발렌틴, 4,058m (13,314ft)
- Cerro Paine Grande, 2,884m(9,462ft)
- 세로 마카, c.2,300m(7,546ft)
- 몬테 다윈, c.2,500m(8,202ft)
- 화산 허드슨, c.1,900m(6,234ft)
- Cerro Castillo Dynevor, c.1,100m(3,609ft)
- 타른 산, c.825m(2,707ft)
- 폴러라스, c.5,993m(19,662ft)
- Acamarachi, c.6,046m(19,836ft)
콜롬비아
- 네바도 델 힐라, 5,365m(17,602ft)
- 네바도 델 루이즈, 5,321m(17,457ft)
- 네바도 델 톨리마 5,205m(17,077ft)
- 피코 판 데 아즈카르, 5,200m(17,060ft)
- 리타쿠바 네그로, 5,320m(17,454ft)
- 네바도 델 컴벌, 4,764m(15,630ft)
- Cerro Negro de Mayasquarter, 4,445m (14,583ft)
- 리타쿠바 블랑코, 5410m(17,749ft)
- 네바도 델 킨디오, 5,215m(17,110ft)
- 푸라세, 4,655m(15,272ft)
- 산타 이사벨, 4,955m (16,257ft)
- 도냐 후아나, 4,150m (13,615ft)
- 갈레라스, 4,276m (14,029ft)
- 아즈프랄. 4,070m(13,353ft)
에콰도르
- 안티사나, 5,752m(18,871ft)
- 카이암베, 5,790m(18,996ft)
- 차일즈, 4723m(15,495ft)
- 침보라조, 6,268m (20,564ft)
- 코라손, 4790m(15,715ft)
- 코토팍시, 5897m(19,347ft)
- 엘 제단, 5,320m(17,454ft)
- 일리니자, 5,248m(17,218ft)
- 피친차, 4784m(15,696ft)
- 퀼로토아, 3,914m(12,841ft)
- 레벤타도르, 3,562m(11,686ft)
- 상게이 5,230m(17,159ft)
- 퉁구라후아, 5,023m(16,480ft)
페루


- 알파마요, 5947m(19,511ft)
- 아르테손라주, 6,025m(19,767ft)
- 카니케로, 5960m(19,554ft)
- 첨페, 6,106m(20,033ft)
- 코로푸나, 6,377m(20,922ft)
- 엘 미스티, 5822m(19,101ft)
- 엘 토로, 5830m(19,127ft)
- 후안도이, 6,395m (20,981ft)
- 화스카란, 6,768m (22,205ft)
- 지리슈랑카, 6,094m (19,993ft)
- 푸마시요, 5991m(19,656ft)
- 라작, 6,040m(19,816ft)
- 론도이, 5870m(19,259ft)
- 사라포, 6,127m (20,102ft)
- 살칸타이, 6,271m(20,574ft)
- 세리아 노르트, 5860m(19,226ft)
- Siula Grande, 6,344 m (20,814 ft)
- 화이타팔라나, 5,557m(18,232ft)
- 예루파자, 6,635m (21,768ft)
- 예루파자 치코, 6,089m(19,977ft)
베네수엘라
- 피코 볼리바르, 4,978m(16,332ft)
- 피코 훔볼트, 4,940m(16,207ft)
- 피코 본플랜드, 4,880m(16,010ft)
- Pico La Concha, 4,920m(16,142ft)
- 피코 피에드라스 블랑카스, 4,740m(15,551ft)
- 피코 엘 아길라, 4,180m (13,714ft)
- 피코 엘 토로 4,729m(15,515ft)
- 피코 엘레온 4,740m(15,551ft)
- 피코 무쿠뉴케 4,609m(15,121ft)
참고 항목
메모들
- ^ 위로 이동: Teofilo Laime Ajacopa, Diccionario Bilingüe Iskay simipi yuyk'ancha, La Paz, 2007(Quchua-Spanish 사전)
- ^ "Cordillera". etimologias.dechile.net. Retrieved 27 December 2015.
- ^ "Mountain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www.fao.org. Retrieved 28 January 2019.
- ^ Miller, Meghan S.; Levander, Alan; Niu, Fenglin; Li, Aibing (23 June 2008). "Upper mantle structure beneath the Caribbean-South American plate boundary from surface wave tomography" (PD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4 (B1): B01312. Bibcode:2009JGRB..114.1312M. doi:10.1029/2007JB0055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5 June 2010. Retrieved 21 November 2010.
- ^ 위로 이동: Isacks, Bryan L. (1988), "Uplift of the Central Andean Plateau and Bending of the Bolivian Orocline" (PD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3 (B4): 3211–3231, Bibcode:1988JGR....93.3211I, doi:10.1029/jb093ib04p03211
- ^ 위로 이동: Kley, J. (1999), "Geologic and geometric constraints on a kinematic model of the Bolivian orocline", Journal of South American Earth Sciences, 12 (2): 221–235, Bibcode:1999JSAES..12..221K, doi:10.1016/s0895-9811(99)00015-2
- ^ Beck, Myrl E. (1987), "Tectonic rotations on the leading edge of South America: The Bolivian orocline revisited", Geology, 15 (9): 806–808, Bibcode:1987Geo....15..806B, doi:10.1130/0091-7613(1987)15<806:trotle>2.0.co;2
- ^ Prezzi, Claudia B.; Vilas, Juan F. (1998). "New evidence of clockwise vertical axis rotations south of the Arica elbow (Argentine Puna)". Tectonophysics. 292 (1): 85–100. Bibcode:1998Tectp.292...85P. doi:10.1016/s0040-1951(98)00058-4.
- ^ Arriagada, César; Ferrando, Rodolfo; Córdova, Loreto; Morata, Diego; Roperch, Pierrick (2013), "The Maipo Orocline: A first scale structural feature in the Miocene to Recent geodynamic evolution in the central Chilean Andes" (PDF), Andean Geology, 40 (3): 419–437
- ^ Charrier, Reynaldo; Pinto, Luisa; Rodríguez, María Pía (2006). "3. Tectonostratigraphic evolution of the Andean Orogen in Chile". In Moreno, Teresa; Gibbons, Wes (eds.). Geology of Chil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pp. 5–19. ISBN 978-1-86239-219-9.
- ^ Santos, J.O.S.; Rizzotto, G.J.; Potter, P.E.; McNaughton, N.J.; Matos, R.S.; Hartmann, L.A.; Chemale Jr., F.; Quadros, M.E.S. (2008). "Age and autochthonous evolution of the Sunsás Orogen in West Amazon Craton based on mapping and U–Pb geochronology". Precambrian Research. 165 (3–4): 120–152. Bibcode:2008PreR..165..120S. doi:10.1016/j.precamres.2008.06.009.
- ^ Rapela, C.W.; Pankhurst, R.J; Casquet, C.; Baldo, E.; Saavedra, J.; Galindo, C.; Fanning, C.M. (1998). "The Pampean Orogeny of the southern proto-Andes: Cambrian continental collision in the Sierras de Córdoba" (PDF). In Pankhurst, R.J; Rapela, C.W. (eds.). The Proto-Andean Margin of Gondwana.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142. pp. 181–217. doi:10.1144/GSL.SP.1998.142.01.10. S2CID 128814617. Retrieved 7 December 2015.
- ^ Wilson, T.J. (1991). "Transition from back-arc to foreland basin development in the southernmost Andes: Stratigraphic record from the Ultima Esperanza District, Chil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3 (1): 98–111. Bibcode:1991GSAB..103...98W. doi:10.1130/0016-7606(1991)103<0098:tfbatf>2.3.co;2.
- ^ González-Maurel, Osvaldo; le Roux, Petrus; Godoy, Benigno; Troll, Valentin R.; Deegan, Frances M.; Menzies, Andrew (2019-11-15). "The great escape: Petrogenesis of low-silica volcanism of Pliocene to Quaternary age associated with the Altiplano-Puna Volcanic Complex of northern Chile (21°10′-22°50′S)". Lithos. 346–347: 105162. Bibcode:2019Litho.34605162G. doi:10.1016/j.lithos.2019.105162. ISSN 0024-4937.
- ^ "Climate of the And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December 2007. Retrieved 9 December 2007.
- ^ 얀-크리스토프 오토, 요아힘 괴츠, 마르쿠스 케우스니그, 잉고 하르트마이어, 다리오 트롬보토, 로타르 슈롯(2010년). 복잡한 암석 빙하계통에 대한 지질학적 및 지질물리학적 조사 - 모어나스 콜로라다스 계곡(아르헨티나 멘도사, Cordon del Plata)
- ^ 위로 이동: 쾰레, M.(2011년): 아콘카과 그룹과 멘도사 안데스(남미)의 인접 마사지프(Massifs)의 고글래시알(최후의 빙하) 빙하 커버에 추가 경험적 증거 자세히 살펴보기. Quaternary Science의 개발, 제15권 (Quaternary Scalization – Extent and Chronology, A Close Look, Eds: Ehlers, J.; Gibbard, P.L.; 휴즈, P.D.), 735–738. (Elseier B.V., 암스테르담)
- ^ 브뤼겐, J. (1929): 주르 글래지알로지 데르 칠레니셴 안덴 걸, 런치 20, 베를린 1-35
- ^ 쿠흘레, M. (1984): 아콘카과-그루페(32~33° S)에 있는 스푸른 호크셰르제이트리허 게체르베데콩. In: Zentralblatt für Geologie und Palaontologie Teil 1 11/12, Verhandlungsblatt des Südamerika-Symposium 1984: 1635–1646.
- ^ 쾰레, M. (1986): 디 베를레체룽 티벳과 엔트스테흥 폰 아이제이텐. In: Specktrum der Wissenschaft 9/86: 42–54.
- ^ 쾰레, M. (1987): 아열대 산맥과 빙하시대를 촉발하는 고지대-빙하 시대와 플레이스토세에서의 빙하 시대의 완화가 그것이다. In: GeoJournal 14 (4); Kluwer, Dordrecht/Boston/London: 393–421.
- ^ 쾰레, M. (1988): 아열대 산맥과 빙하시대를 촉발하는 고지대-빙하 시대와 플레이스토세에서의 빙하 시대의 완화가 그것이다. 인: 빙하학과 지질학 5 (4) 1–17 (중국어로)
- ^ 쾰레, M. (1989년): 얼음-마르지날 램프: 반건조 피에몬트 빙하의 지표. In: GeoJournal 18; Kluwer, Dordrecht/ Boston/ London: 223–238.
- ^ 쾰레, M. (1990): 반-아일랜드 산맥의 빙하 한계 경사로 및 충적 팬: 수렴 및 차이. In: Rachocki, A.H., Church, M. (eds.): 충적팬: 필드 어프로치. 존 와일리 & 선즈 주식회사, 체스터-뉴욕-브리스베인-토론토-싱가포르: 55–68.
- ^ 쾰레, M. (1990): 지형학에서 입증의 확률—새로운 종류의 빙하유전 형태학 유형인 빙하경사(Bortensander)에 대한 정보이론의 적용 사례. In: GeoJournal 21 (3); Kluwer, Dordrecht/ Boston/ London: 195–222.
- ^ 쾰레, M. (2004): 아콘카과 그룹의 라스트 빙하 최대(LGM) 빙하 커버와 멘도사 안데스(남미)의 인접 마사지프. In: Ehlers, J, Gibbard, P.L. (Eds.) Quaternary Glaciation - Extension and Chronology. 제3부: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호주, 남극. 2차 과학의 발전, 제2c권. 엘시버, 암스테르담, 75-81페이지
- ^ "Tropical and Subtropical Dry Broadleaf Forest Ecoregions". wwf.panda.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4-25. Retrieved 2015-12-27.
- ^ 위로 이동: 2010-08-21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열대 안데스 – biodiversityhotspots.org
- ^ "Pants of the And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December 2007. Retrieved 2007-12-09.
- ^ 위로 이동: 에이젠버그, J.F. & Redford, K.H. (2000년) 네오트로픽스의 포유류, 제3권: 중앙 네오트로픽스: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브라질. ISBN 978-0-226-19542-1
- ^ 위로 이동: 에이젠버그, J.F. & Redford, K.H. (1992년) 네오트로픽스의 포유류, 제2권: 남방콘: 칠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ISBN 978-0-226-70682-5
- ^ 위로 이동: Fjeldsaa, J.; & Krabbe, N. (1990). 고안데스의 새: 남미 안데스와 파타고니아 온대 지역의 새에 대한 설명서. ISBN 978-87-88757-16-3
- ^ 스튜어트, 호프만, 챈슨, 콕스, 베리지, 라마니, 영, 편집자(2008) 세계의 양서류들을 위협했다. ISBN 978-84-96553-41-5
- ^ 달트로이, 테렌스 N 잉카족. 블랙웰 출판사, 2003
- ^ 안데스 여행지도
- ^ "Jujuy apuesta a captar las cargas de Brasil en tránsito hacia Chile by Emiliano Galli". La Nación. La Nación newspaper. 2009-08-07. Retrieved 2011-07-22.
- ^ W. van Imerzeel, 1989년. 안데스 산맥의 높은 고도에서 관개 및 침식/홍수 제어. 1989년 연례 보고서 8-24페이지, 네덜란드 와게닝겐의 국제 토지 개간 및 개선 연구소에 발표. 온라인: [1]
- ^ "Information on Argentina". Argentine Embassy London.
참조
- Oncken, Onno; et al. (2006). The Andes. Frontiers in Earth Sciences. doi:10.1007/978-3-540-48684-8. ISBN 978-3-540-24329-8.
- 빅가, J. (2005년) 앤데스: 등산객들을 위한 가이드. 3판. 안데스: 커크커드브라이트셔. ISBN 0-9536087-2-7
- 데 로이, T. (2005) 안데스: 콘도르가 날아가는 것처럼. 반딧불이 책: 리치몬드 힐. ISBN 1-55407-070-8
- Fjeldså, J. & N. Krabbe (1990). 높은 안데스 산맥의 새들. 코펜하겐 대학교 동물박물관: ISBN 87-88757-16-1
- Fjeldså, J. & M. Kessler (1996년). 안데스 산맥의 지속 가능한 천연자원 관리에 기여하는 페루와 볼리비아 고원의 폴리레피스 삼림지의 생물학적 다양성을 보존한다. 코펜하겐: 코펜하겐. ISBN 978-87-986168-0-1
참고 문헌 목록
- Biggar, John (2005). The Andes: A Guide for Climbers (3 ed.). Scotland: Andes Publishing. ISBN 978-0-9536087-2-0.
- Darack, Ed (2001). Wild Winds: Adventures in the Highest Andes. Cordee / DPP. ISBN 978-1-884980-81-7.
외부 링크
![]() | 위키보이지에는 안데스 여행 가이드가 있다. |
![]() | Wikimedia Commons에는 다음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음: Andes(카테고리) |
![]() | Wikisource는 이 기사와 관련된 원본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