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protected with pending changes

안드레 더 자이언트

André the Giant
안드레 더 자이언트
1989년의 거인 안드레
태명앙드레 르네 루시모프
태어난1946년 5월 19일
쿨롱미에
죽은1993년 1월 28일 (1993-01-28) (46세)[1][2]
프랑스 파리
아이들.1[3]
프로레슬링 경력
링네임안드레 루시모프
안드레 더 자이언트
앙드레 대프랑스인
얼티밋 자이언트
게안트 페레[4]
자이언트 머신
장 페레[4]
괴물 에펠탑
몬스터 루시모프
폴란드의 거인
청구높이7피트 4인치 (224cm)
청구중량520lb(236kg)[5][6][10][11]
청구처프랑스 알프스그리노블
교육받은 사람미셸 사울니에[12]
데뷔1966년[13][14] 1월 25일

앙드레 르네 루시모프(André René Roussimoff) 프랑스어:ɑ̃ ʁ ʁəʁɔ프(, 1946년 5월 19일 ~ 1993년 1월 28일)는 프랑스의 프로레슬링선수이자 배우였습니다. "세계 8대 불가사의"로 알려진 루시모프는 그의 큰 몸집으로 유명했는데, 이것은 과도한 성장 호르몬으로 인한 거대함의 결과입니다.[15][16]

1966년에 그의 경력을 시작한 루시모프는 1971년에 북미로 이주했습니다. 1973년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루시모프는 월드 와이드 레슬링 연맹(WWF)의 홍보 담당자 빈센트 맥마혼(Vincent J. McMahon)에 의해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위해 일본뿐만 아니라 미국 전역에서 프로모션을 위해 레슬링을 하는 "특별한 어트랙션"으로 예약되었습니다. 1980년대 레슬링 붐이 일어나자 루시모프는 WWWF(당시 세계 레슬링 연맹으로 개칭)의 주축이 되었고, 악당 매니저 바비 히난과 짝을 이루어 헐크 호건다투게 되었습니다. 두 사람은 1987년 레슬매니아 III의 헤드라인을 맡았고, 1988년에는 메인이벤트 첫 회에서 호건을 꺾고 자신의 유일한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WWF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습니다. 1990년 레슬매니아 6세 이후 WWF 활동이 중단되면서 루시모프는 주로 자이언트 바바와 함께 전일본 프로레슬링 소속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할 때까지 레슬링을 했습니다.

1993년 그가 사망한 후, 루시모프는 새로 만들어진 WWF 명예의 전당의 초대 헌액자가 되었습니다. 그는 나중에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명예전당과 프로레슬링 명예의 전당의 차터 회원이 되었습니다. 후자는 그를 "프로레슬링선수로서 그리고 대중문화 아이콘으로서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인물 중 한 명"이라고 묘사합니다.[17] 레슬링 이외에도, 루시모프는 1987년 영화 공주 신부에서 거인 페직 역으로 출연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생

앙드레 르네 루시모프는 1946년[18] 5월 19일에 프랑스 센에트마르네주 쿨로미에에서 보리스 루시모프(1907-1993)와 마리안 루시모프 스토프([19]1910-1997)의 아들로 태어났다.[20] 그는 가톨릭 신자로 자랐습니다. 그에게는 두 명의 형과 두 명의 어린 동생이 있었습니다. 그의 어린 시절 별명은 데데 ( / ˈ ɪ데 ɪ/, 프랑스어: [데데])였습니다. 태어날 때, 안드레는 몸무게가 13파운드(6kg)였는데, 어렸을 때, 그는 거인증 증상을 보였고, 비정상적으로 긴 손과 함께 "다른 아이들보다 키가 큰 훌륭한 머리"로 주목받았습니다.[21] 1970년대 TV 인터뷰에서 루시모프는 어머니의 키가 5피트 2인치(157cm), 아버지의 키가 6피트 2인치(188cm)였으며, 아버지에 따르면 할아버지의 키는 7피트 8인치(234cm)[22]였다고 말했습니다. 그가 12살이 되었을 때, 루시모프는 191 cm (6피트 3인치) 였습니다.

루시모프는 수학을 잘하기는 했지만 평범한 학생이었습니다. 14세에 학교를 마친 후, 그는 농장 노동자에게 고등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동력에 합류했습니다. 그 당시 프랑스의 의무 교육이 14세에 끝났기 때문에, 대중적인 전설과 달리, 그는 학교를 중퇴하지 않았습니다.[23]

루시모프(Roussimoff)는 몰리엔(Molien)에 있는 아버지의 농장에서 몇 년을 일하며 지냈는데, 그의 형 자크(Jacques)의 말에 따르면 세 사람의 일을 수행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는 또한 목공 견습생으로 일을 마쳤고, 그 다음에는 건초 건조기용 엔진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일을 했습니다. 이것들 중 어느 것도 그에게 만족감을 주지 않았습니다.[24] 루시모프가 1950년대에 성장하는 동안 아일랜드 극작가 새뮤얼 베켓은 루시모프와 그의 형제들을 포함하여 때때로 지역 아이들을 학교에 데려다 준 여러 어른들 중 한 명이었습니다.[25] 루시모프는 두 사람이 다른 이야기를 거의 하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시키면서, 그들은 놀랄 만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고 크리켓에 대한 사랑에 대해 유대감을 형성했습니다.[26]

프로레슬링 경력

초기 경력 (1964–1971)

1970년대 초의 거인 안드레

18살 때, 루시모프는 파리로 이주하여 지역 프로모터인 로버트 라게트에게 프로레슬링을 배웠고, 그는 루시모프의 규모에 대한 수입 잠재력을 인정했습니다. 밤에는 훈련을 하고 낮에는 무버로 일하면서 생활비를 지급했습니다.[24] 루시모프는 "Géant Ferré"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 이 이름은 피카르의 민속 영웅인 그랑 페레에서 따온 것으로, 파리와 인근 지역에서 레슬링을 시작했습니다. 캐나다의 프로모터이자 레슬링 선수인 프랭크 발루아는 1966년에 루시모프를 만나 몇 년 후 그의 비즈니스 매니저이자 고문이 되었습니다. 루시모프는 영국, 독일, 호주, 뉴질랜드, 그리고 아프리카에서 레슬링을 하면서 유명해지기 시작했습니다.[24]

그는 1970년에 "몬스터 루시모프"라는 이름으로 국제 레슬링 엔터프라이즈에서 일본 데뷔를 했습니다.[27] 단식과 태그팀 선수로 함께 레슬링을 한 그는 마이클 나도르와 함께 I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이 되었습니다.[27][28] 그가 일본에 있는 동안 의사들은 루시모프에게 가 말단비대증을 앓고 있다고 처음 알렸습니다.[24]

루시모프는 1971년 캐나다 몬트리올로 이사하여 몬트리올 포럼을 정기적으로 매진시키며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습니다.[29] 발기인들은 결국 그에 대한 그럴듯한 반대자들이 바닥났고, 그의 몸집에 대한 새로움이 사라지면서 게이트 영수증은 줄어들었습니다.[24] 루시모프는 1971년 바그다드에서 아드난 알-카이시에게 패배했고,[30] 1971년 베른 가뉴의 미국 레슬링 협회(AWA)에서 특별한 볼거리로 수많은 레슬링을 했습니다.

특별한 관광지(1971-1984)

1973년, 월드 와이드 레슬링 연맹(WWF)의 설립자인 빈센트 맥마혼(Vincent J. McMahon)은 루시모프(Roussimoff)의 예약과 프레젠테이션에 몇 가지 변경 사항을 제안했습니다.[31] 그는 루시모프가 크고 움직이지 않는 괴물로 묘사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의 크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맥마혼은 루시모프가 드롭킥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단념시켰습니다. (비록 그는 나중에 건강이 악화되기 전에 그러한 민첩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었지만). 그는 또한 루시모프를 "거인 안드레"라고 비난하기 시작했고 여행을 많이 하는 일정을 세워 전 세계 레슬링 협회에 빌려주어 [32][33]그가 어떤 분야에서도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막았습니다.[24] 프로모터는 일정 금액을 루심프에게 보장하고 맥마혼의 WWF 예약비를 지불해야 했습니다.[34]

1973년 6월 "지역 경쟁자" 루시모프 레슬링

1973년 3월 24일, 루시모프는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월드 와이드 레슬링 연맹(후에 세계 레슬링 연맹)에서 데뷔하였고, 프랭크 발루아와 불 포메티를 꺾었다. 이틀 후, 그는 버디 울프를 물리치고 뉴욕의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데뷔전을 치렀습니다.[32][35][36]

루시모프(Roussimoff)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프로레슬링에서 가장 사랑 받는 아기 얼굴 중 하나였습니다. 와 같이 고릴라 몬순은 루시모프가 레슬매니아 III 이전에 핀폴이나 서브미션으로 15년 동안 패배한 적이 없다고 종종 말했습니다. 그는 1971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아드난 알-카이시에게 패했고,[30] 1972년 몬트리올에서 돈 레오 조나단에게 패했고,[37] 1972년[38] 퀘벡 시티에서 킬러 코왈스키에게 2무, 1974년[39] 토론토에서 더 세이크에게 불덩이가 던져진 후 카운트아웃에서 패배했습니다. 1975년[40] 멤피스에서 제리 로울러에게 KO승을 거두고 1977년 루이빌에서 로울러에게 카운트아웃을,[41] 1976년 디트로이트에서 보보 브라질과 배틀로얄에서 비겼고,[42] 1978년 녹스빌에서 로니 가빈,[43] 1981년 일본에서 실격으로 스탠 한센과 비겼습니다. 1984년 토론토, 1984년 멕시코 카네크, 1972년[44] 스트롱 고바야시, 1986년 안토니오 이노키에게 일본 내 패배를 안겼습니다.[45][46] 그는 또한 1979년 휴스턴의 할리 레이스와 1976년 시카고의 닉 보크윙클과 함께 60분간의 제한 시간 무승부를 기록했습니다.

1976년, 두 번째 쇼다운시어(Showdown at Shea)에서 루시모프(Roussimoff)는 프로 복서 척 웨프너(Chuck Wepner)와 전사 대 레슬러 싸움에서 싸웠습니다. 격렬한 싸움은 무하마드 알리 대 안토니오 이노키 싸움의 언더카드의 일부로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보여졌고, 그가 웨프너를 밧줄을 넘어 링 밖으로 던졌고 카운트아웃을 통해 승리하면서 끝이 났습니다.

1980년 8월 2일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슈퍼돔 쇼다운 프로레슬링 경기에서 헐크 호건(위)과 거인 안드레.

1980년, 그는 헐크 호건과 싸움을 벌였는데, 1980년대 후반에 있었던 더 유명한 경기들과는 달리, 호건은 악당이었고, 루시모프는 영웅이었습니다. 그리고 루시모프가 호건을 경기에서 이기기 위해 펜실베이니아에서 열린 시 스타디움의 세 번째 쇼다운에서 그와 씨름했습니다. 호건 바디는 1987년 그들의 전설적인 레슬매니아 III 경기와 같이 그를 강타했습니다. 1982년과 1983년에 일본에서 그들의 역할이 뒤바뀌었고 안토니오 이노키와도 관련되어 불화가 계속되었습니다.

루시모프의 불화 중 하나가 "몽골의 거인" 킬러 칸에 대항하기 위해 그를 괴롭혔습니다. 줄거리에 따르면, 칸은 1981년 5월 2일 뉴욕 로체스터에서 열린 경기 중에 루시모프의 발목을 부러뜨렸다.[47] 사실, 그는 경기 전날 아침 침대에서 일어나 발목이 부러진 상태였습니다.[24][48] 부상과 이후의 재활은 기존의 Roussimoff/Khan 스토리에 적용되었습니다. 보스턴의 베스 이스라엘 병원에 머문 후, 루시모프는 마음의 보답을 받으며 돌아왔습니다. 1981년 7월 20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경기에서 두 선수는 더블 실격을 당했습니다.[49] 팬들이 그들의 경기를 보기 위해 동해안을 오르내리는 경기장을 가득 메운 가운데 그들의 불화는 계속되었습니다. 1981년 11월 14일 필라델피아 스펙트럼에서 그는 "몽골 들것 경기"라고 불리는 경기에서 칸을 결정적으로 이겼고, 이 경기에서 진 사람은 들것에 실려 탈의실로 데려가야 했습니다.[50] 같은 유형의 경기가 토론토에서도 열렸습니다. 1982년 초, 두 선수는 일본에서 루시모프의 코너에서 아놀드 스카랜드와 함께 일련의 경기를 치르기도 했습니다.

세계 레슬링 연맹 (1984-1991)

희난가문과의 불화(1984~1987)

1985년 10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태그팀 경기에서 거인 안드레와 힐빌리 짐, 킹콩 번디와 빅 존 스터드의 대결.

1982년 빈센트 맥마혼(Vincent J. McMahon)은 그의 아들 빈스 맥마혼(Vincent McMahon[51])에게 월드 와이드 레슬링 연맹을 매각했습니다. 맥마혼은 새롭게 획득한 승급을 국가 수준으로 확장하기 시작하면서 그의 레슬러들이 그를 위해 독점적으로 나타날 것을 요구했습니다. 맥마혼은 1984년에 루시모프와 계약을 맺었지만, 그는 여전히 신일본 프로레슬링(NJPW)을 위해 일본에서 일할 수 있도록 허락했습니다.[52]

루시모프는 두 남자 중 누가 레슬링의 "진정한 거인"인지를 놓고 빅 존 스터드와 다투었습니다.[47] 198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루시모프와 스터드는 레슬링의 진정한 거인이 누구인지 알아내기 위해 전 세계에서 싸웠습니다. 1984년, 스터드는 그와 파트너인 켄 파테라가 TV 태그팀 경기에서 루시모프를 KO시키고 그의 머리카락을 자르는 과정에서 불화를 새로운 단계로 발전시켰습니다.[47] 파테라에게 복수를 한 후, 루시모프는 1985년 3월 31일 뉴욕의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첫 번째 레슬매니아 대회에서 스터드를 만났습니다.[53] 루시모프는 스터드의 매니저인 바비 "더 브레인" 히난에게 가방을 빼앗기기 전에 스터드에게 15,000 달러의 상금을 받아내라고 맹비난했습니다.[54]

1986년 4월 7일 레슬매니아 2에서 루시모프는 내셔널 풋볼 리그의 최고 스타들과 레슬러들이 참가한 20명의 로얄 배틀에서 승리를 거두며 자신의 우세를 계속 보여주었습니다.[55] 그는 마지막으로 브렛 하트를 물리치고 대회에서 우승했습니다.[56]

1986년 중반, 뉴 재팬 프로레슬링과 마지막 투어를 하고, 오스트리아에서 CWA 세계 챔피언 오토 완즈를 이긴 후,[57] 루시모프는 세계 레슬링 연맹에 단독으로 출연하기 시작했습니다.

레슬매니아 2 이후, 루시모프는 스터드, 킹콩 번디와 불화를 계속했습니다. 이 무렵 루시모프는 그의 말단비대증으로 인한 영향이 일본 관광뿐만 아니라 그의 건강을 돌보기 위해 휴학을 요청했습니다. 그는 또한 영화 공주 신부에 캐스팅 되었습니다. 그의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히난은 루시모프가 스터드와 번디를 몰래 두려워하고 있었고, 히난은 자신이 무적이라고 자랑했던 스타드와 번디를 TV 태그팀 경기에서 상대로 도전하는 스토리를 개발했습니다. 루시모프가 보여주지 못하자, WWF 회장 잭 터니는 그를 무기한 정직시켰습니다.[58] 1986년 여름, 루시모프가 미국으로 돌아오자 그는 마스크를 쓰고 "거인 기계"로 알려진 마구간에서 경쟁하기 시작했습니다.[18] 빅 머신슈퍼 머신은 다른 멤버들이었고, 헐크 호건("헐크 머신")과 로디 파이퍼("파이프 머신")도 한때 멤버였습니다. WWF의 텔레비전 아나운서들은 일본의 레슬러 히라타 준지가 연기한 뉴 재팬 프로레슬링 캐릭터 "슈퍼 스트롱 머신"[59]을 모방한 속임수인 "머신"을 "일본에서 온 새로운 태그 팀"으로 판매하고 레슬러들의 신원을 모른다고 주장했습니다. 팬들이 보기에 루시모프가 자이언트 머신으로 경쟁하는 것이 분명한데도 말입니다. 하이난, 스터드, 번디는 툰니에게 항의했고, 결국 하이난에게 루시모프와 자이언트 머신이 동일인물이라는 것이 증명될 수 있다면, 루시모프는 해고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루시모프는 고비마다 히난, 스터드, 번디를 좌절시켰습니다. 그 후 1986년 말, 자이언트 머신이 "사라지고" 루시모프가 다시 부활했습니다. 히난은 루시모프의 발뒤꿈치 회전을 예고하며 복직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이유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바비 희넌과 테드 디비아세와의 동맹 (1987-1989)

루시모프(오른쪽)는 헐크 호건과의 불화 중 일부로 바비 희난(포어그라운드)이 관리했습니다.

루시모프는 1987년 초 당시 프로레슬링에서 가장 큰 "아기 얼굴"인 헐크 호건에 대항하기 위해 발뒤꿈치를 돌리는 것에 동의했습니다.[60] 1987년 Piper's Pit판에서 호건은 W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으로서 3년 동안 트로피를 수여받았습니다. 루시모프는 그를 축하하기 위해 나와 강한 악력으로 호건의 손을 흔들었고, 이것은 헐크스터를 놀라게 했습니다.[61] 다음 주 파이퍼즈 피트에서 루시모프는 "레슬링 역사상 유일하게 패배하지 않은 레슬링 선수"라는 이유로 약간 작은 트로피를 받았습니다. 비록 그는 WWF에서 몇 번의 카운트아웃과 실격패를 당했지만, WWF 링에 오르거나 제출을 강요받은 적은 없었습니다. 호건은 그를 축하하기 위해 나왔고 결국 인터뷰의 초점이 되었습니다. 분명히 짜증이 난 듯 루시모프는 호건의 연설 도중에 자리를 박차고 나갔습니다.[62][63] 루시모프와 호건의 토론이 예정되어 있었고, 1987년 2월 7일 방송된 파이퍼스 피트에서 두 사람이 만났습니다.[64] 호건이 먼저 소개되었고, 그 뒤로 오랜 라이벌인 바비 희난이 이끄는 루시모프가 소개되었습니다.

히난은 호건이 루시모프의 친구라고 비난했고, 그의 새로운 피후견인을 대신해 호건은 루시모프의 친구라고 비난했습니다. 호건은 루시모프와 함께 추론을 시도했지만, 호건이 레슬매니아 III에서 열리는 WWF 세계 헤비급 선수권 대회에 도전하면서 그의 요청은 무시되었습니다. 호건은 여전히 루시모프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믿지 않는 것처럼 보였고, 그래서 히난은 "믿을 수 없다고요? 아마도 당신은 이것을 믿을 것입니다, 호건" 루시모프가 호건의 티셔츠와 십자가를 뜯기 전에 십자가가 호건의 가슴을 긁어서 피를 흘리게 했습니다.[65]

호건이 파이퍼스 피트의 후기판에서 자신의 도전을 수락한 후, 두 사람은 디트로이트의 조 루이스 아레나에서 3월 14일 토요일 밤 메인 이벤트 X의 20명의 정상을 넘는 전투 로얄의 일부였습니다.[66] 로얄 배틀은 헤라클레스가 이겼지만, 루시모프는 WWF 월드 헤비급 챔피언을 탑 로프 위에 던지면서 호건보다 심리적인 우위를 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1987년 2월 21일에 실제로 녹화된 이 [66]경기는 레슬매니아 3세 이전에 방송되어 호건이 거인 안드레에서 자신의 경기를 만난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습니다.[67]

레슬매니아 III에서 그는 520파운드(236kg)의 체중이 청구되었고,[6] 그의 뼈와 관절에 가해지는 엄청난 무게의 스트레스는 지속적인 고통을 초래했습니다.[24] 최근 허리 수술 후, 그는 또한 레슬링 싱글렛 아래에 보호대를 착용하고 있었습니다.[68] 기록적인 관중들 앞에서 호건은 신체를 강타한 루시모프(나중에 "전세계에서 들리는 바디슬램"이라고 불림)에 이어 호건의 러닝 레그 드롭 피니셔에 이어 우승을 차지했습니다.[6] 몇 년 후, 호건은 루시모프가 너무 무거웠고, 그는 320kg(700lb) 정도로 느껴졌으며, 그를 때릴 때 등뒤 근육이 찢어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경기에 대한 또 다른 신화는 WWF의 소유자인 빈스 맥마혼조차도 행사 당일까지 루시모프가 경기에서 질지 여부를 알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사실, 그는 대부분 건강상의 이유로 전에 언젠가 경기에서 지는 것에 동의했습니다.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호건이 WWF 경기에서 그를 성공적으로 때린 것은 처음이 아니었습니다. 당시 호건은 1980년 8월 9일 시어에서 열린 쇼다운 경기 이후 당시의 루시모프를 강타했는데, 당시 루시모프는 좀 더 가볍고 (약 210 kg (470 lb) 운동신경이 강했습니다 (호건은 한 달 후 펜실베이니아주 함부르크에서 열린 경기에서도 루시모프를 강타했습니다).[69] 이것은 WWF가 전국적인 확장을 시작하기 3년 전에 미국 레슬링의 영토 시절에 일어났기 때문에 레슬매니아 III를 본 많은 사람들은 자이언트가 쾅쾅하는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루시모프는 이전에 할리 레이스, 카넥, 스탠 한센 등도 그를 때리는 것을 허락했습니다.)[70][71]

레슬매니아 3세 무렵, WWF는 전국적으로 퍼져 나갔고, 그 때 있었던 루시모프-호건 경기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루시모프와 호건 사이의 불화는 1987년 여름, 루시모프의 건강이 악화되면서 끓어올랐습니다. 레슬러들이 첫 서바이버 시리즈 행사에서 라이벌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면서 불화는 다시 가열되기 시작했습니다. 경기 중 약 1분 동안 서로 싸우는 동안 호건은 루시모프를 지배하고 링에서 그를 넘어뜨릴 위기에 처했지만 그의 파트너 번디와 원맨 갱에 의해 걸려 넘어지고 카운트아웃되었습니다. 루시모프는 호건이 앙드레를 공격하기 위해 링으로 돌아오기 에 뱀 밤 비글로우[72] 핀으로 고정시키며 경기의 유일한 생존자가 되었습니다. 루시모프는 나중에 호건이 토요일 메인 이벤트에서 번디와의 경기에서 승리한 후 뒤에서 몰래 다가와 호건을 질식시켜 의식을 잃기 시작했을 때 복수를 했습니다. 7명의 얼굴을 맞댄 레슬러들이 링으로 달려와 그를 끌어내려 한 후에도 그는 손을 놓지 않았습니다. 핵은 짐 더건이 그를 놓아주기 위해 위의 나무 조각을 부수는 것을 보았고, 그 후 호건은 안전한 곳으로 끌려갔습니다. 1년 전 SNME 배틀 로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련의 이벤트는 호건과 루시모프의 일대일 재대결 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루시모프가 실제로 만났을 때 쉽게 이길 것이 확실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데 도움이 된 작품 중 하나였습니다. 한편, 루지모프는 1987년 12월에 독일로 돌아와 완즈와의 또 다른 경기를 치렀지만, 그는 카운트다운에서 패배했습니다.[57][73]

그동안 '백만 달러 사나이' 테드 디바이어스는 호건에게 WWF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을 팔도록 설득하는 데 실패했습니다. 이후 계속된 경기에서 호건을 이기지 못한 디비아세는 루시모프에게 승리를 맡겼습니다.[74] 그와 디비아세는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에 일본과 WWF에서 두 사람이 얼굴을 맞댄 것을 포함하여 과거에 여러 번 팀을 이루었지만, 이 새로운 줄거리에서는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이전의 공격과 불화에 대한 디비아세의 삽입은 1988년 2월 5일 NBC에서 생방송으로 방송될 메인 이벤트에서 호건-루시모프 재대결을 만들었습니다. 그의 고용된 총 역할을 한 루시모프는 호건으로부터 W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그 경기에서 데이브 헤브너 심판이 "무대 뒤에 구금"되어 있다는 것이 나중에 밝혀졌고, 교체 선수(호건은 데이브를 닮기 위해 성형 수술을 받기 위해 돈을 지불한 것으로 기소되었습니다).[75] 그러나 그의 사악한 쌍둥이 형제인 얼 헤브너)[76]는 호건의 어깨가 매트에서 떨어져 있는 동안에 그를 세어보았습니다.

승리한 후, 루시모프는 디비아세에게 타이틀을 "매도"했습니다. 당시 WWF 회장 잭 터니에 의해 거래가 무효로 선언되었고 타이틀은 공석으로 선언되었습니다.[77] 이것은 WWF의 NBC 프로그램 The Main Event에서 보여졌습니다. 레슬매니아 IV에서 루시모프와 헐크 호건은 WWF 타이틀 토너먼트 경기에서 더블 실격을 위해 싸웠습니다. (스토리에 따르면 루시모프는 대회에서 디바이어스에게 더 명확한 길을 제공하기 위해 다시 디바이어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후, 루시모프와 호건의 불화는 1988년 7월 31일 밀워키에서 열린 레슬 페스트에서 열린 강철 케이지 경기 이후 잦아들었습니다. 호건이 우승자였습니다.

루시모프와 제이크 로버츠의 불화는 루시모프의 뱀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되었습니다.

Madison Square Garden에서 열린 첫 번째 Summer Slam pay-per-view에서, Roussimoff와 DiBiase(더 메가 벅스로 청구됨)는 주요 경기에서 호건과 WWF 세계 헤비급 챔피언 "마초 맨" 랜디 새비지(더 메가 파워스로 알려짐)를 상대했고, 제시 "더 바디" 벤츄라가 특별 객원 심판으로 나섰습니다.[78]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메가 파워스의 매니저인 미스 엘리자베스는 링 앞치마 위에 올라가 노란 치마를 벗고 빨간 팬티를 입고 돌아다닐 때 메가 벅스와 벤츄라의 주의를 딴 데로 돌렸습니다. 이로 인해 호건과 새비지는 회복할 수 있었고 결국 호건이 디비아세를 지목한 경기에서 승리할 수 있었습니다. 세비지는 벤츄라의 성격이 호건과 역사적으로 대립하고 있고, 몰락을 계산하고 싶어하지 않았기 때문에 벤츄라의 손을 최종 3카운트에서 내리도록 강요했습니다.

메가 파워스와의 불화가 심화되면서 루시모프는 짐 더건과 불화를 겪었고, 이는 더건이 TV 녹화 도중 루시모프를 2x4 보드로 쓰러뜨린 후 시작되었습니다. 덕간의 팬들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루시모프는 정기적으로 불화에서 우위를 점했습니다.

루시모프의 다음 주요 불화는 제이크 "뱀" 로버츠와의 싸움이었습니다. 이 줄거리에서 루시모프가 뱀을 무서워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는데, 로버츠가 토요일 밤의 메인 이벤트에서 자신의 뱀인 데미안을 겁에 질린 루시모프에게 던졌을 때 폭로한 것입니다. 그 결과 카파베 가벼운 심장마비를 겪고 복수를 다짐했습니다. 그 후 몇 주 동안 로버츠는 루시모프의 경기 동안 가방에 뱀을 넣고 링사이드로 자주 걸어갔고, 후자는 겁에 질려 링에서 도망쳤습니다. 그들의 불화(레슬매니아 V에서 절정에 이른) 동안 로버츠는 더 크고 강한 루시모프에 대해 심리적 우위를 얻기 위해 데미안을 지속적으로 사용했습니다.

1989년, 루시모프와 복귀한 빅 존 스터드는 잠시 불화를 겪기도 했는데, 이때부터 스터드가 로버츠와의 경기에서 심판을 맡았고, 이번에는 스터드가 얼굴을, 루시모프가 발뒤꿈치를 맡았습니다.

1989년 늦여름과 가을 동안 루시모프는 거의 전적으로 하우스 쇼(비텔레비전 이벤트)로 구성된 짧은 불화를 겪었고 1989년 10월 28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당시 WWF 인터콘티넨탈 챔피언 얼티밋 워리어와 TV로 중계된 한 경기를 치렀습니다. 루시모프는 더 워리어와 비슷한 디자인의 페이스 페인팅을 하기 시작했고, 그가 더 브라더 러브 쇼에 출연했을 때 그 자신을 "얼티밋 자이언트"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79] WWF의 떠오르는 스타인 더 젊은 워리어는 그의 스타성을 보여주고 그를 "차세대의 큰 것"으로 홍보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늙어가는 루시모프를 물리쳤습니다.[80][81]

거상의 연결 (1989-1990)

1989년 말, 루시모프는 동료 희난 패밀리 멤버인 하쿠와 함께 새로운 태그 을 구성하기 위해 합류했습니다. 부분적으로 툴리 블랜처드아른 앤더슨(희난의 마구간 멤버이기도 했던 브레인 버스터스)이 WWF에서 탈퇴하면서 남겨진 공백을 메우기 위해, 또한 메인 이벤트의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노후화된 Roussimoff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그의 마지막 단식 경기는 1989년 12월 11일 미주리 주 케이프 지라르도에서 열린 하우스 쇼에서 얼티밋 워리어에게 20초 만에 진 것이었습니다.[82] Cosal Connection은 즉시 WWF Tag Team Champions Demolation(최근 BrainBusters로부터 벨트를 획득한)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1989년 12월 13일 텔레비전 녹화에서 콜러스 커넥션은 데몰리션을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했습니다.[83] 루시모프와 하쿠는 1990년 4월 1일 레슬매니아 VI까지 데몰리션을 상대로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습니다.[84] 경기가 끝난 후, 화가 난 히난은 루시모프에게 타이틀을 빼앗긴 것을 비난했고, 그에게 소리친 후 그의 뺨을 때렸습니다. 화가 난 루시모프는 자신의 뺨을 때렸고, 이에 화가 난 루시모프는 링에서 휘난을 휘청거렸습니다.[85] 루시모프는 하쿠의 킥 시도도 잡아내며 링에서 휘청거리면서 루시모프를 응원하고 1987년 이후 처음으로 얼굴을 돌렸습니다. 루시모프는 계속되는 건강 문제로 인해 레슬마니아 6세 당시 레슬링을 할 수 없었고 하쿠는 실제로 데몰리션과의 경기 전체를 태그 없이 씨름했습니다.

레슬매니아 VI 이후 주말 텔레비전 쇼에서 바비 희난은 희난 가족에게 기어 돌아올 때 루시모프의 얼굴에 침을 뱉겠다고 맹세했습니다. 4월 10일 호놀룰루에서 열린 하우스 쇼에서 그는 하쿠와 다시 한 번 씨름을 했고, 루시모프는 링에서 탈락했고, 콜로살 커넥션은 카운트아웃으로 패배했습니다. 경기가 끝난 후, 루시모프와 하쿠는 서로 싸우며 팀의 마지막을 장식했습니다. 1990년 마지막 WWF 경기는 4월 1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WWF/전일본/신일본 합동 쇼에서 자이언트 바바와 팀을 이루어 타이틀전이 아닌 경기에서 데몰리션을 이겼습니다. 루시모프는 스매시의 핀폴을 얻음으로써 승리할 것입니다.[86]

산발적인 출현(1990-1991)

루시모프는 1990년 겨울에 돌아왔지만 세계 레슬링 연맹에는 없었습니다. 대신 루시모프는 10월 11일 캘리포니아 레세다에서 허브 에이브럼스의 신생 세계 레슬링 연맹을 위해 인터뷰에 나왔습니다.[87] (이 코너는 1991년에 방영되었습니다.) 는 루 알바노 대위와의 인터뷰 코너에 출연하여 UWF를 인수했습니다.[88] 다음 달 30일, 세계 레슬링 연맹은 플로리다 마이애미에서 열린 하우스 쇼에서 1991년 로열 럼블(2개월 마이애미에서 열릴 예정)의 참가자로 그의 복귀를 발표했습니다. 루시모프는 텔레비전에서도 참가자로 언급되었지만 결국 다리 부상으로 인해 물러나게 되었습니다.[89]

그의 방송 복귀는 1991년 3월 17일 WWF의 Super-Stars & Stripes Forever USA Network 특집에서 이루어졌는데, 그 때 그는 Perfect씨와 말다툼을 한 후 빅 보스맨의 손을 흔들기 위해 나왔습니다.[90] 그 다음 주 레슬매니아 7에서 그는 미스터 퍼펙트와의 경기에서 보스맨의 도움을 구하러 왔습니다.[91] 루시모프는 1991년 4월 26일,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 열린 하우스 쇼에서 미스터 후지와 오리엔트 익스프레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로커스와 6명의 태그 팀 매치업에서 마침내 활동에 복귀했습니다.[92] 1991년 5월 11일, 는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하우스 쇼에서 17인 전투에 참가했고, 케리 본 에리히가 우승했습니다.[93] 이 경기는 안드레의 마지막 WWF 경기였지만, 그는 여러 후속 스토리 라인에 참여했습니다. 레슬매니아 VII 이후 그의 마지막 주요 WWF 스토리는 주요 힐 매니저들(바비 히난, 센세이셔널 쉐리, 슬릭, 미스터 후지)이 루시모프를 한 명씩 영입하려고 했지만, 다양한 굴욕적인 방법으로 거절당했습니다(예: 히난은 손이 으스러졌고, 쉐리는 엉덩이를 맞았습니다). 슬릭은 루시모프에게 바치던 차 트렁크에 갇혔고, 후지씨는 얼굴에 파이를 얻었습니다). 마침내 지미 하트WWF 슈퍼스타즈에 생방송으로 출연하여 지진과 태그팀으로 성공적으로 루시모프와 계약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진 오커룬드가 이를 확인해달라고 요청했을 때 루시모프는 이 주장을 부인했습니다. 이로 인해 지진은 루시모프를 뒤에서 공격(무릎을 다쳤습니다.[94] 지미 하트는 나중에 터그보트에 몰래 서명하고 자연재해를 결성함으로써 굴욕에 대한 복수를 하게 됩니다.[95] 이로 인해 루시모프는 1991년 서머슬램에서 부시 해커들과의 경기에서 2위를 차지한 마지막 메이저 WWF 무대를 밟게 되었습니다.[96] 루시모프는 링사이드에서 목발을 짚고 있었고, 재난이 승리한 후 그들은 그를 공격하기 위해 나섰지만, 둠의 군단은 링사이드로 향했고, 그들과 그의 목발 중 하나로 자신을 방어할 준비를 하고 있던 거인 사이에 끼어 들었습니다. 재난군은 떠나면서 목발로 지진과 태풍(구 예인선)을 모두 강타한 둠 군단, 부시해커, 루시모프에 의해 수적으로 열세를 면치 못하여 링사이드 지역을 떠났습니다. 1991년 10월 9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하우스쇼에서 그의 마지막 WWF 출연이 이루어졌습니다. 불독이 지진을 맞았을 때 그는 Davey Boy Smith의 코너에 있었고, Smith는 Roussimoff의 목발로 지진을 맞았고, Smith가 승리할 수 있었습니다.

전일본프로레슬링협회(1990~1992)

레슬매니아 6세 이후, 루시모프는 전일본프로레슬링(AJPW)과 멕시코의 세계레슬링협회(UWA)에서 자신의 링 경력의 남은 기간을 보내며 "안드레 엘 기간테"라는 이름으로 공연했습니다. 그는 1990년부터 1992년까지 AJPW에서 1년에 3번 투어를 했으며, 주로 자이언트 바바와 태그팀 경기에서 팀을 이루었습니다.[97]

루시모프는 1991년 허브 에이브럼스의 유니버설 레슬링 연맹에 몇 차례 게스트로 출연하여 빅 스터드와 경쟁했지만, 프로모션에서는 한 번도 경기를 하지 않았습니다.

안드레는 1992년 9월 2일 TBS에서 방영된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XX 스페셜에 출연하여 짧은 인터뷰를 했습니다.[98] 같은 행사 동안, 그는 고든 솔리와 함께 나타났고, 나중에 TBS에서 레슬링 20주년을 기념하는 갈라 공연에서 그와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목격되었습니다.

그는 1992년 Bad News Allen과 미래의 WWF 챔피언 믹 폴리, 요코즈나와 함께 6인 태그 매치를 선택하여 멕시코에서 마지막 투어를 했습니다.[99] 1992년 10월부터 12월까지 AJPW에서 마지막 투어를 펼쳤으며, 1992년 12월 4일에는 기무라 모토시, 바바 자이언트, 기무라 러셔와 함께 팀을 이뤄 아이겐 하루카, 후치 마사노부, 오쿠마 모토시를 꺾었다.[100]

연기경력

루시모프는 1967년 프랑스 권투 영화 이후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다시 연기에 입문했으며 1976년 TV 시리즈 육백만 달러 맨에서 방영된 2부작에서 새스콰치("Bigfoot")를 연기하며 미국 연기 데뷔를 했습니다.[101] 그는 "The Greatest American Hero", "B.J. and the Bear", "The Fall Guy", 그리고 1990년대의 "Zorro"를 포함한 다른 텔레비전 쇼에 출연했습니다.

그의 경력이 끝날 무렵, 루시모프는 여러 영화에 출연했습니다. 그는 1984년 영화 파괴자 코난에서 코난(아놀드 슈왈제네거)에게 죽임을 당하는 부활한 뿔 달린 거인 신 [102]다고트 역으로 출연했습니다. 같은 해, 그는 믹키 모드 (André Rouisimoff) 에 출연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1987년 영화 공주 신부에서 [35]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역할인 페직 역으로 가장 잘 등장했습니다. 루시모프가 제작 중에 촬영장에서 아무도 자신을 응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참신하고 특히 만족스러운 경험이었습니다.[103] 그 영화와 그의 연기 모두 헌신적인 추종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라니 포포와의 짧은 인터뷰에서 그는 앙드레에게 이 영화가 너무 큰 의미가 있어서 레슬링 친구들에게 저녁과 음료를 제공하고 그때마다 "내 공연이 마음에 드셨나요?"라고 달콤한 질문을 하면서 그와 함께 VHS의 고급 복사본을 몇 번이고 보게 했다고 말했습니다.[104]

그의 마지막 영화에서, 그는 죽은 지 1년 후인 1994년에 개봉한 코미디 영화 <트레이딩맘>에서 서커스 거인으로 카메오로 출연했습니다.

필모그래피

제목 연도 역할. 메모들
카세테 치누아 푸레 유도카 1967 파이터 영화
육백만 달러의 사나이 1977 빅풋 텔레비전 (에피소드: "빅풋의 비밀 1부", "빅풋의 비밀 2부")
심포리엔 1978 텔레비전
B. J. 앤 더 베어 1981 매니 펠처 텔레비전 (에피소드: "백설공주와 일곱 여자 트럭 운전사")
더 폴 가이 1982 킬러 태풍 (무신임) 텔레비전 (에피소드: "줄 위의 아가씨들")
레 브릴란트 1982 장 쁘띠 텔레비전
가장 위대한 미국 영웅 1983 몬스터 텔레비전 (에피소드: "Heaven is in your genes")
파괴자 코난 1984 Dagoth(신용되지 않음)[102] 영화
믹키 & 모드 1984 자기[102] 자신 영화
나는 사람을 다치게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1985 자기 자신 영화
구니즈 'R' Good Enough 1985 본인(미신분) 뮤직비디오
프린세스 브라이드 1987 페직[35] 영화
트레이딩 맘 1994 서커스 자이언트 영화, 사후 개봉

개인생활

루시모프는 1974년 기네스북에 역사상 가장 많은 돈을 받는 레슬링 선수로 언급되었습니다. 이때 그는 약 40만 달러(2022년 237만 4천 달러 상당)의 연봉을 받았습니다.[105]

로빈 크리스텐슨은 루시모프의 외동아들입니다. 그녀의 어머니 장 크리스텐슨(2008년 사망)은 1972년이나 1973년경 레슬링 사업을 통해 아버지와 알게 되었습니다. Christensen은 그녀의 아버지와 정기적으로 연락을 취했지만, 그녀의 인생에서 그를 다섯 번밖에 보지 못했습니다. 그가 죽은 후, Christensen은 그녀의 아버지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했고, 그의 이미지와 유산의 수호자가 되었습니다.[3]

1989년, 루시모프는 아이오와파이브 시즌 센터인 시더 래피즈(Cedar Rapids)에서 KCRG-TV 카메라맨이 얼티밋 워리어(The Ultimate Warrior)와 자신의 경기를 촬영하는 것을 공격한 후 폭행 혐의로 체포되어 기소되었습니다. 폭행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범죄 장난 혐의로 벌금 100달러(2022년 236달러 상당)를 선고받았고, 장비 손상에 대한 KCRG 233달러(2022년 550달러 상당)를 지급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106]

소설의 작가이자 프린세스 브라이드의 각본가인 윌리엄 골드만은 그의 논픽션 작품 '내가 무슨 거짓말을 했나요?'에서 루시모프는 그가 아는 사람들 중 가장 온화하고 관대한 사람들 중 한 명이라고 썼습니다. 루시모프는 레스토랑에서 누군가와 식사를 할 때마다 돈을 내지만, 손님일 때도 돈을 내겠다고 고집했습니다. 한번은 루시모프가 아놀드 슈왈츠제네거윌트 체임벌린과 함께 저녁 식사에 참석한 후, 슈왈츠제네거는 루시모프가 지불하기 전에 계산대로 조용히 이동했지만, 그 후 자신이 육체적으로 들어올려져 테이블에서 옮겨져 루시모프와 체임벌린에 의해 차 위에 입금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107]

루시모프는 노스 캐롤라이나 엘러베에 목장을 소유하고 있었고, 그의 친한 친구 두 명이 돌보고 있었습니다. 그가 길에 없을 때, 그는 목장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아했고, 그곳에서 그는 소를 돌보고, 그의 개들과 놀고, 친구들을 즐겁게 했습니다. 그의 집에는 그의 몸집을 맞추기 위해 맞춤 제작된 의자와 몇 가지 다른 개조품들이 있었지만, 그의 집에 있는 모든 것은 큰 남자를 위해 맞춤 제작되었다는 이야기들은 과장되었다고 합니다. 루시모프는 유명세와 덩치 때문에 쉽게 쇼핑을 갈 수 없었기 때문에 쇼핑 채널 QVC에서 물건을 보고 구매하는 데 몇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3]

헬스

루시모프는 비공식적으로 6시간 동안 119개의 12-US-fluid-온스(350mL) 맥주(총 41리터[72임팩트] 또는 11.16갤런)를 마신 것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위대한 음주자"[108]로 선정되었습니다.[109] 1984년 1월 23일 레터맨에서 루시모프는 데이비드 레터맨에게 117개의 맥주를 마셨다고 말했습니다.[110] 레터맨이 술에 취했냐고 묻자 루시모프는 기절해서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한 레터맨 출연 14개월 전부터 맥주를 끊었다고 말했습니다.

WWE의 '레슬링의 전설'의 한 에피소드에서 마이크 그레이엄은 루시모프가 한 자리에서 156개의 16-US-fluid-ounce (470mL) 맥주를 마신 적이 있다고 말했고, 이는 더스티 로즈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 더 패뷸러스 무올라는 자서전에서 루시모프가 펜실베이니아주 레딩에이브러햄 링컨 호텔 바에서 127잔의 맥주를 마셨고 이후 로비에서 쓰러졌다고 썼습니다. 직원들은 그를 옮길 수 없었고, 그가 깨어날 때까지 그를 그곳에 두어야만 했습니다.[111]

촬영 인터뷰에서 켄 파테라는 딕 머독(Dick Murdoch)으로부터 루시모프(Roussimoff)가 맥주를 마시는 대회에 도전했던 일을 회상했습니다. 9시간 정도가 지난 후, 루시모프는 116개의 맥주를 마셨습니다.[112] 캐리 엘웨스(Cary Elwes)가 자신의 책에서 말한 공주 신부 만들기에 관한 이야기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루시모프가 누군가의 위로 떨어지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 후 뉴욕 경찰은 루시모프가 다시는 그 누구에게도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들의 도시에 술을 마시러 갈 때마다 그를 따라다니도록 비밀 경찰관을 보냈습니다.[113] 또 다른 이야기는 그의 유명한 레슬매니아 III 경기 전에 루시모프가 14병의 와인을 마셨다고 합니다.[114]

루시모프의 1987년 수술을 둘러싸고 도시 전설이 존재하는데, 그의 크기는 마취과 의사가 표준 방법으로 복용량을 추정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고, 결과적으로 그의 알코올 내성이 지침으로 사용되었습니다.[115]

루시모프는 심한 심낭 삼출이 있었고 1980년대에 듀크 대학 병원에서 심낭 구심증이 있었습니다.[116]

죽음.

루시모프는 1993년 1월 28일 목요일 아침 파리의 한 호텔에서 46세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그는 1월 27일 수요일 밤에 몇몇 친구들과 카드놀이를 하러 갔습니다. 그는 1월 28일 오전 1시경 호텔 방으로 돌아왔습니다. 오후에 루시모프는 호텔 경영진과 그의 운전기사에 의해 그의 방에서 죽은 채로 발견되었습니다.[1][35][117] 그는 아버지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파리에 있었습니다.[118] 그곳에 있는 동안, 그는 어머니의 생일에 어머니와 함께 있기 위해 더 오래 머물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는 죽기 전날 몰리엔에 있는 그의 가장 오래된 친구들 몇 명과 방문해서 카드놀이를 하며 보냈습니다.[3]

유언장에서 그는 자신의 유해를 화장하고 "처분"해야 한다고 명시했습니다. 그가 파리에서 죽자, 프랑스에 있는 그의 가족은 그를 위해 그의 아버지 근처에 묻을 의도로 장례식을 치렀습니다. 그들이 그가 화장되기를 바라는 것을 알았을 때, 그의 시신은 그의 소망에 따라 화장된 미국으로 날아갔습니다.[3] 그의 유골은 목장에 뿌려졌습니다(35°06'58 ″N 79°4).노스캐롤라이나 엘러베8'23 W / 35.1161°N 79.80634°W / 35.116211; -79.80634 (루시모프 목장). 게다가 그의 유언에 따라, 그는 자신의 재산을 자신의 유일한 수혜자인 딸 로빈에게 맡겼습니다.[120]

기타 매체

루시모프는 WWF 레슬매니아를 시작으로 비디오 게임에 그 자신으로 수많은 출연을 했습니다. He also appears posthumously in Virtual Pro Wrestling 64, WWF No Mercy, Legends of Wrestling, Legends of Wrestling II, Showdown: Legends of Wrestling, WWE SmackDown! vs. Raw, WWE SmackDown! vs. Raw 2006, WWE Legends of WrestleMania, WWE All Stars, WWE 2K14, WWE 2K15, WWE 2K16, WWE 2K17, WWE 2K18, WWE 2K19,[121] WWE 2K20, WWE 2K Battlegrounds, WWE 2K22, WWE 2K23 등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2005년 1월 WWE는 루시모프의 삶과 경력에 초점을 맞춘 DVD인 André The Giant를 발매했습니다. 이 DVD는 1985년 콜리세움 비디오가 만든 절판된 안드레 The Giant VHS의 재발행판으로, 마이클 과 태즈가 고릴라 몬순을 대신하고 제시 벤츄라가 빅 존 스터드와 레슬매니아 경기에 대해 해설한 것입니다. 이 비디오는 알프레드 헤이스 경에 의해 진행됩니다. 헐크 호건과의 힐 전투를 포함한 이후의 경기는 이 VHS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레거시

크기 때문에 루시모프와 종종 비교되는 레슬링 선수인 빅레슬매니아 31에서 열린 2015년 "거대 기념 배틀 로얄"의 우승자이며, 매년 열리는 경기의 우승자에게 주어지는 거대 기념 트로피인 안드레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습니다.
  • 1993년, 당시 세계 레슬링 연맹이 WWF 명예의 전당을 만들었을 때, 거인 안드레는 1993년 클래스의 창립자이자 유일한 헌액자였습니다.[122]
  • 루시모프는 그의 친구인 빌리 크리스탈이 쓴 1998년 영화 "마이 자이언트"의 영감이 되었는데, 그는 "프린세스 브라이드" 촬영 중에 그를 만났습니다.
  • 빅쇼로 더 잘 알려진 폴 와이트는 루시모프가 죽은 이후 다른 레슬링 선수들보다 신체 구조가 더 유사합니다. 그는 원래 WCW에 근무하는 동안 생물학적 관계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단순히 "거인"으로 알려졌을 때) 안드레의 아들로 알려졌습니다.[123] 루시모프와 달리 말단비대증을 앓고 있는 와이트는 1990년대 초 뇌하수체 수술을 받아 상태 진행을 성공적으로 중단했습니다. 전 레슬링 선수였던 자이언트 곤살레스는 거의 말년에 루시모프가 앓았던 것과 비슷한 문제를 겪었고 당뇨병 합병증으로 2010년에 사망했습니다.
  • 1999년, 그는 A&E Biography의 "A&E Biography: André the Giant: Large Than Life"라는 제목의 에피소드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그 다큐멘터리는 그의 어린 시절과 프랑스에서의 어린 시절, 그리고 그의 레슬링 생활의 시작, 말단비대증과의 투쟁, 그의 개인적인 삶, 그리고 그의 말년을 다룹니다. 그의 형 자크 루시모프(Jacques Roussimoff)는 레슬링 역사가 셸던 골드버그(Sheldon Goldberg) 뿐만 아니라 레슬링 동료 유명인사 고릴라 몬순(Gorilla Monseon), 팀 화이트(Tim White), 아놀드 스칼랜드(Arnold Scaland), 빈스 맥마혼(Vince McMahon), 프레디 블래시(Freddie Blassie), 프레디 블래시(Freddie Blassie), 킬러 코왈스키(Killer Kowalski), 르네 굴레(René Goulet), 프렌치 버나드(Frenchy Bernard) 등과 함께 다큐멘터리를 위해 그의 오랜 고향 친구들 몇 명도 인터뷰를 했습니다. 다큐멘터리는 루시모프를 프로레슬링의 "최초이자 유일한 국제적인 매력"으로 묘사했고, "그의 넓은 어깨에서 레슬링은 의심스러운 스포츠의 지위에서 올라서 큰 사업이 되었고, 어떤 이들은 공연 예술이라고 주장할지도 모릅니다."
  • 순종 브랜드 아이콘은 예술가 셰퍼드 페어리가 신문에서 발견한 거인 안드레의 사진을 바탕으로 만든 밀 페이스트 포스터에서 비롯되었습니다.[124]
  • Street Fighter 시리즈의 (파이널 파이트 시리즈의 안도레로 알려진) 캡콤의 비디오 게임 캐릭터 휴고는 그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 2014년 그래픽 소설 André The Giant: Box Brown이 쓰고 그린 The Life and The Legend (첫 번째 두 번째 책)은 그의 삶과 경력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책을 위한 연구는 의 동료 레슬러들과 크리스토퍼 게스트, 맨디 패틴킨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같은 배우들과의 인터뷰를 포함했습니다.
  • 2017년 쇼타임은 베케트가 파리 외곽의 우시수르마른에서 살았던 시대의 극작가 사무엘 베케트와 루시모프의 우정을 다룬 반소설 영화 '[125]앙드레를 기다리며'를 개봉했습니다. 영화의 소설은 이듬해 Steffan Piper에 의해 출판되었습니다. 주문형 Amazon에서 제공하는 ISBN9781980756217 / 198075621X).
  • 2014년 3월 10일, 레슬매니아 XXX의 진행자 헐크 호건(Hulk Hogan)은 루시모프의 유산을 기리기 위해 WWE가 '안드레 더 자이언트 메모리얼 배틀 로얄(André the Giant Memorial Battle Royal)'을 설립한다고 발표했습니다.[126] 2014년 4월 6일 레슬매니아 XXX에서 체사로는 헐크 호건이 레슬매니아 III에서 루시모프에 사용한 바디 슬램과 유사한 바디 슬램을 사용하여 빅쇼를 탈락시키고 승리했습니다.[127] 그 이후로 배틀로얄은 매년 레슬매니아 위크엔드 전통이 되었습니다.

바이오픽

  • 1999년, BiographyAndre The Giant: Large Than Life라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방영했습니다.[128]
  • 2016년 5월 9일, 라이언 포지 코믹스가 제작자 스콧 스타인도르프, 딜런 러셀, 루시모프의 딸 로빈 크리스텐센-루시모프와 함께 2015년에 제작한 그래픽 소설 전기 안드레 자이언트: 클로저헤븐을 기반으로 한 영화가 제작되었다고 발표되었습니다.[129]
  • 2018년 4월 10일, HBO안드레 자이언트(André the Giant)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방영했습니다.

선수권대회 및 업적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Hebert & Laprade (2020), 페이지 387-388.
  2. ^ "Copy of Andre the Giant's death certificate". Findadeath.
  3. ^ a b c d e Burkholder, Denny (25 March 2015). "Being Andre the Giant". CBS Spor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ugust 2022. Retrieved 22 February 2019.
  4. ^ a b 크루그먼(2009), 4쪽.
  5. ^ a b "Andre The Giant WWE". WWE. Retrieved 30 March 2022.
  6. ^ a b c d "WrestleMania III – André the Giant vs. Hulk Hogan – WWE Championship". WW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06. Retrieved 15 February 2011. It was billed as the biggest main event in the history of sports entertainment: Hollywood Hogan vs. André the Giant. Hogan, in his third year as WWE Champion, was set for the biggest challenge of his life in the form of the 7-foot-4, 520-pound Roussimoff, who betrayed his former best friend in exchange for his long-awaited shot at the championship.
  7. ^ Michael Krugman (2009). Andre the Giant: A Legendary Life. Simon and Schuster. p. 149. ISBN 978-1-4391-8813-2.
  8. ^ Laprade, Pat; Hebert, Bertrand (2013). Mad Dogs, Midgets and Screw Jobs: The Untold Story of How Montreal Shaped the World of Wrestling. Canada: ECW Press. p. 1911. ISBN 978-1770902961. Retrieved 11 September 2015. Upon his arrival in Quebec he was announced as 7' 4" inches...
  9. ^ "Andre the Giant". biography.com. A&E Television Networks, LLC. Retrieved 11 September 2015. At his largest, Roussimoff was probably six feet eleven inches tall, though he was advertised as seven feet four inches.
  10. ^ a b Robert Picarello (2002). Monsters of the Mat. Berkley Boulevard Books. p. 185. ISBN 978-0-425-18594-0. ...Andre the Giant, the 7-foot-4, 520-pound behemoth...
  11. ^ Tim Hornbaker (2012). Legends of Pro Wrestling: 150 Years of Headlocks, Body Slams, and Piledrivers. Skyhorse Publishing Inc. p. 197. ISBN 978-1-61321-075-8.
  12. ^ Hebert & Laprade (2020), 17쪽.
  13. ^ Hebert & Laprade (2020), 22쪽.
  14. ^ "Andre The Giant – Matches". Cage Match. Retrieved 3 March 2021. 25.01.1966, Wrestling in Europa, Jean Ferre defeats Ted Lamar
  15. ^ "Andre the Giant: Bio". WW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09. Retrieved 27 May 2021.
  16. ^ "André the Giant official website". Andre The Gia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ly 2007. Retrieved 27 May 2021.
  17. ^ a b "Professional Wrestling Hall of Fame: Andre the Giant". Professional Wrestling Hall of Fame and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anuary 2011. Retrieved 27 May 2021.
  18. ^ a b "André the Giant Profile". Online World of Wrestl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September 2008. Retrieved 22 September 2008.
  19. ^ Hebert & Laprade (2020), p. 4.
  20. ^ Hebert & Laprade (2020), 1-3쪽.
  21. ^ Hebert & Laprade (2020), 4-7쪽.
  22. ^ "Rare Andre the Giant 70s tv interview". YouTu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21.
  23. ^ Hebert & Laprade (2020), 10쪽.
  24. ^ a b c d e f g h i "André the Giant". Biography. 13 January 1998. A&E Network.
  25. ^ "Samuel Beckett Used to Drive André the Giant to School, All They Talked About Was Cricket". www.themarysue.com. 11 July 2011. Retrieved 27 February 2020.
  26. ^ O'Keeffe, Emmet (25 July 2013). "Andre The Giant And Samuel Beckett Knew Each Other And Loved Cricket". Balls.ie. Retrieved 27 February 2020.
  27. ^ a b c 크루그먼(2009), 7쪽.
  28. ^ a b "IWA World Tag Team Title". Wrestling Titles. Retrieved 23 February 2011.
  29. ^ McCoy, Heath (2007). Pain and Passion. ECW Press. p. 96. ISBN 978-1-55022-787-1.
  30. ^ a b 바그다드의 셰이크: 프로레슬링의 아드난 트라이엄프 책 2005에 나오는 유명인과 공포의 이야기
  31. ^ 크루그먼(2009), 9쪽.
  32. ^ a b Solomon, Brian (2006). WWE Legends. Pocket Books. pp. 68–71. ISBN 978-0-7434-9033-7.
  33. ^ Rhodes, Dusty (2005). Dusty: Reflections of an American Dream. Sports Publishing LLC. pp. 95–96. ISBN 978-1-58261-907-1.
  34. ^ 크루그먼 (2009), 12-13쪽.
  35. ^ a b c d "The Official Site of André the Giant: Biograph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y 2010. Retrieved 27 May 2021.
  36. ^ "WWWF @ New York City, NY – Madison Square Garden – March 26, 1973". The History of WWE. Retrieved 13 February 2011.
  37. ^ Hebert & Laprade (2020), 페이지 118.
  38. ^ "Events Database - Grand Prix". Cage Match. Retrieved 6 March 2023. 18.12.1972
  39. ^ "Events Database - MLW". Cage Match. Retrieved 3 March 2021. 17.02.1974, Texas Death Match, The Sheik (w/Abdullah Farouk) defeats Andre The Giant (w/Frank Valois) (3:32)
  40. ^ "Jerry "The King" Lawler Vs. Andre The Giant [1975]". Shitloads Of Wrestling. Retrieved 6 April 2021.
  41. ^ "Events Database -NWA Mid-America". Cage Match. Retrieved 12 January 2023.
  42. ^ "NWA: Big Time Wrestling (02.14.76)". PDRwrestling. 31 August 2016.
  43. ^ Hebert & Laprade (2020), p. 182.
  44. ^ Hebert & Laprade (2020), 페이지 109.
  45. ^ Krugman (2009), 110쪽.
  46. ^ "Antonio Inoki: Career History". Puroresu Central. Retrieved 13 February 2011.
  47. ^ a b c Shields, Brian (2006). Main Event: WWE in the Raging 80s. Pocket Books. pp. 55–58. ISBN 978-1-4165-3257-6.
  48. ^ 크루그먼(2009), p. 48.
  49. ^ Cawthon, Graham (2013). The History of Professional Wrestling: The Results WWF 1963–1989.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p. 339. ISBN 978-1-4928-2597-5.
  50. ^ 크루그먼 (2009), pp. 48–60.
  51. ^ Hornbaker, Tim (2007). National Wrestling Alliance: The Untold Story of the Monopoly That Strangled Pro Wrestling. ECW Press. p. 193. ISBN 978-1-55022-741-3.
  52. ^ Krugman (2009), 69–70쪽.
  53. ^ Shields, Brian (15 June 2010). Main Event: WWE in the Raging 80s. Simon and Schuster. pp. 150–. ISBN 978-1-4516-0467-2.
  54. ^ "WrestleMania I Facts/Stats". WW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October 2005. Retrieved 14 February 2011.
  55. ^ "WrestleMania 2 results". WW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October 2005. Retrieved 14 February 2011.
  56. ^ 크루그먼(2009), 107쪽.
  57. ^ a b "Otto Wanz » Matches". Cage Match.
  58. ^ Shields, Brian; Sullivan, Kevin (2009). WWE Encyclopedia. DK. pp. 12–13. ISBN 978-0-7566-4190-0.
  59. ^ "The Machines' Profile". Online World of Wrestl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07. Retrieved 8 July 2007.
  60. ^ 크루그먼(2009), 131쪽.
  61. ^ Krugman (2009), pp. 132–133.
  62. ^ 크루그먼(2009), 134-135쪽.
  63. ^ "WWF @ East Rutherford, NJ – Meadowlands – January 5, 1987". The History of WW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y 2011. Retrieved 2 April 2011.
  64. ^ "WWF @ Tampa, FL – SunDome – January 26, 1987". The History of WW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y 2011. Retrieved 27 March 2011.
  65. ^ Krugman (2009), 136-139쪽.
  66. ^ a b Cawthon, Graham (2013). The History of Professional Wrestling: The Results WWF 1963–1989.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p. 623. ISBN 978-1-4928-2597-5.
  67. ^ WWE (8 July 2013). Battle Royal with Hulk Hogan and Andre The Gia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13 – via YouTube.
  68. ^ Asael & Mooneyham (2002), 71-72쪽.
  69. ^ Hulk Hogan: The Ultimate Anthology (DVD). WWE. 2006.
  70. ^ 크루그먼(2009), p. 157
  71. ^ Race, Harley (2004). King of the Ring: The Harley Race Story. Sports Publishing L.L.C. p. 90. ISBN 978-1-58261-818-0.
  72. ^ "Survivor Series 1987 – Main Event". WWE. Retrieved 15 February 2011.
  73. ^ "Otto Wanz: Profile & Match Listing - Internet Wrestling Database (IWD)".
  74. ^ Krugman (2009), pp. 172–175.
  75. ^ 헐크 호건 경기 후 인터뷰, The Main Event NBC TV, 1988년 2월 5일
  76. ^ "WWF 매거진 조사 보고서: 데이브 헤브너의 그림자", WWF 매거진, 1988년 6월 30일.
  77. ^ a b "Andre the Giant's first reign". WW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ne 2005. Retrieved 15 February 2011.
  78. ^ "SummerSlam 1988 main event match details". WWE. Retrieved 6 March 2011.
  79. ^ Andre the ULTIMATE Giant on The Brother Love show (1989), retrieved 12 April 2023
  80. ^ Krugman (2009), pp. 297–300.
  81. ^ Hart, Bret (2008). Hitman: My Real Life in the Cartoon World of Wrestling. Grand Central Publishing. p. 233. ISBN 978-0-446-53972-2.
  82. ^ "Andre The Giant - Matches". Cage Match. Retrieved 6 April 2021.
  83. ^ a b "Andre the Giant and Haku's first reign". WW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ly 2005. Retrieved 15 February 2011.
  84. ^ "Demolition's third reign". WW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November 2005. Retrieved 15 February 2011.
  85. ^ Krugman (2009), pp. 321–322.
  86. ^ "1990". The History of WWE. Retrieved 1 June 2016.
  87. ^ "Herb Abram's Universal Wrestling Federation Cards". Pro-Wrestling History. Retrieved 1 June 2016.
  88. ^ "Andre the Giant & Lou Albano UWF January 1991". 23 October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rch 2016. Retrieved 1 June 2016 – via YouTube.
  89. ^ MrYoyo123321 (29 December 2009). "WWF Primetime 1991 Royal Rumble Repo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13. Retrieved 1 June 2016 – via YouTube.{{cite web}}: CS1 main: 숫자 이름: 저자 목록 (링크)
  90. ^ "1991". thehistoryofww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October 2007. Retrieved 3 January 2022.
  91. ^ 크루그먼(2009), 326쪽.
  92. ^ "1991". The History of WWE. Retrieved 1 June 2016.
  93. ^ "Andre's Last WWF Match". Imgur.
  94. ^ Cawthon, Graham. "WWF Show Results 1991". Retrieved 5 March 2011. (Date: May 6, 1991 Shown: June 1, 1991) Included an in-ring interview by Gene Okerlund in which André the Giant refused Jimmy Hart's offer to become his manager only to have his knee attacked by Earthquake, using Hart's megaphone
  95. ^ Cawthon, Graham. "WWF Show Results 1991". Retrieved 5 March 2011. (Date: May 28, 1991 Shown: June 15, 1991)Earthquake & WWF Tag Team Champions the Nasty Boys (w/ Jimmy Hart) defeated Tugboat & the Bushwhackers at 4:05 when Earthquake pinned Luke with a sit-down splash after Tugboat attacked both of his teammates; after the match, Tugboat embraced with his new friends
  96. ^ 크루그먼(2009), 333쪽.
  97. ^ 크루그먼(2009), 335쪽.
  98. ^ 크루그먼(2009), 336쪽.
  99. ^ Kreikenbohm, Philip. "Matches: Andre The Giant: Wrestlers Database". The Internet Wrestling Database.
  100. ^ Kreikenbohm, Philip. "Andre The Giant - matches". Cagematch.net. Retrieved 21 December 2020.
  101. ^ 크루그먼 (2009), 18-19쪽.
  102. ^ a b c 크루그먼(2009), 79쪽.
  103. ^ Matt (22 September 2017). "12 Inconceivable Facts That Prove That 'The Princess Bride' Isn't Just Another 'Kissing Book'". Throwbacks. Retrieved 22 August 2020.
  104. ^ Farrell, Braeden (3 October 2018). "Andre the Giant Documentary - 12 Things Learned (And Facts Left Out!)". ProWrestlingStories.com. Retrieved 17 September 2020.
  105. ^ Krugman (2009), p. 18.
  106. ^ "Andre the Giant vs. the Cedar Rapids Police: 30 years later". The Gazette (Cedar Rapids). 18 October 2019. Retrieved 19 February 2022.
  107. ^ "Arnold Schwarzenegger's Dinner With Wilt Chamberlain and Andre the Giant". Uproxx. 25 September 2012. Retrieved 10 September 2014.
  108. ^ 크루그먼(2009), 123쪽.
  109. ^ Davydov, Dmitri (20 May 2008). "5 Coolest Beer Records". MadConomi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November 2012. Retrieved 1 April 2011.
  110. ^ André the Giant on Letterman, January 23, 1984, retrieved 12 August 2022
  111. ^ Ellison, Lillian (2003). The Fabulous Moolah: First Goddess of the Squared Circle. ReaganBooks. p. 160. ISBN 978-0-06-001258-8.
  112. ^ "Ken Patera tells an incredible Andre the Giant drinking story". YouTube. 26 Ma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21. Retrieved 28 June 2019.
  113. ^ Elwes, Cary; Layden, Joe (2014). As You Wish: Inconceivable Tales from the Making of The Princess Bride. Touchstone. p. 226. ISBN 978-1-4767-6402-3.
  114. ^ "WrestleMania III (1987)". IMDb.
  115. ^ 가짜 레슬링 세계의 실화, 데이비드 슈메이커(David Shoemaker)가 뉴욕 포스트에서 2013년 10월 27일 발행, 2014년 3월 27일 회수.
  116. ^ "Being Andre the Giant - CBSSports.com". CBS Sports. 25 March 2015. Retrieved 10 July 2023.
  117. ^ Woodward, Hamish (28 December 2022). "The Tragic Death Of Andre The Giant Explained - Atletifo". Retrieved 28 January 2023.
  118. ^ Associated Press (31 January 1993). "Andre the Giant, 46, Professional Wrestler (Obituary)".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3 June 2008.
  119. ^ "Andre the Giant lived, died in small N.C. town". WRAL News. Raleigh, NC. 24 March 2009. Retrieved 8 June 2012.
  120. ^ HBO. "Andre The Giant". HBO. Retrieved 13 April 2018.
  121. ^ Cole, Caitlin (19 December 2018). "Complete WWE 2K19 Roster". Rumble Ramble. Retrieved 30 April 2019.
  122. ^ a b "Andre the Giant: Bio". WWE. Retrieved 2 April 2011.
  123. ^ Krugman (2009), pp. 341–342.
  124. ^ Pincus, Robert L. "Social ferment not always reflected in fermentation of artwor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October 2012. Retrieved 22 June 2012.
  125. ^ "Samuel Beckett and Andre the Giant". IMDb. Retrieved 30 May 2021.
  126. ^ "Raw results: Bryan occupies Raw and Triple H says 'YES!' ... with a twist". WWE.
  127. ^ Paglino, Nick (6 April 2014). "And the Winner of the Andre the Giant Battle Royal Is…". Wrestlezone.
  128. ^ "Andre The Giant: Larger Than Life". Turner Classic Movies. 30 March 2023. Retrieved 3 April 2023.
  129. ^ McNary, Dave (9 May 2016). "Andre The Giant Biopic in the Works (EXCLUSIVE)". Variety. Retrieved 1 June 2016.
  130. ^ Hebert & Laprade (2020), p. 180.
  131. ^ Kreikenbohm, Philip. "Real World Tag League 1991 " Tournaments Database " CAGEMATCH - The Internet Wrestling Database". www.cagematch.net. Retrieved 12 February 2018.
  132. ^ "NWA Florida Tag Team Title History". Solie's Wrestling Title Histories. Retrieved 18 February 2011.
  133. ^ Krugman (2009), p. 47.
  134. ^ "World Heavyweight Title (France)". www.wrestling-titles.com. Retrieved 23 October 2020.
  135. ^ Hebert & Laprade (2020), 148쪽.
  136. ^ "Induction Class 2021 Pro Wrestling Hall of Fame". IPWHF. Retrieved 14 December 2020.
  137. ^ Hoops, Brian (18 January 2019). "Pro wrestling history (01/18): Ivan Koloff defeats Bruno Sammartino for WWWF title". Wrestling Observer Figure Four Online. Retrieved 18 January 2019.
  138. ^ a b "Pro Wrestling History". prowrestlinghistory.com.
  139. ^ Kreikenbohm, Philip (7 June 1985). "International Wrestling Grand Prix (1985)". Cagematch - The Internet Wrestling Database. Retrieved 18 March 2022.
  140. ^ Kreikenbohm, Philip (1 April 1982). "MSG League (1982)". Cagematch - The Internet Wrestling Database. Retrieved 15 March 2022.
  141. ^ Kreikenbohm, Philip (10 December 1981). "MSG Tag League (1981)". Cagematch - The Internet Wrestling Database. Retrieved 18 March 2022.
  142. ^ Kreikenbohm, Philip (20 June 1986). "Sagawa Express Cup (1986)". Cagematch - The Internet Wrestling Database. Retrieved 18 March 2022.
  143. ^ "NWA United States Tag Team Title (Tri-State)". Wrestling Titles. Retrieved 24 February 2011.
  144. ^ Krugman (2009), p. 27.
  145. ^ 크루그먼(2009), 24쪽.
  146. ^ "Pro Wrestling Illustrated Award Winners "Most Popular Wrestler of the Year"". Wrestling Information Arch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08. Retrieved 21 March 2011.
  147. ^ 크루그먼(2009), 196쪽.
  148. ^ "Pro Wrestling Illustrated Top 500 – PWI Years". Wrestling Information Arch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ly 2011. Retrieved 6 September 2010.
  149. ^ Whalen, Ed (host) (15 December 1995). "Stampede Wrestling Hall of Fame: 1948-1990". Showdown at the Corral: A Tribute to Stu Hart. Event occurs at 27:55. Shaw Cable. Calgary 7.
  150. ^ "Stampede Wrestling Hall of Fame (1948–1990)". Puroresu Dojo. 2003.
  151. ^ Triple H, 유튜브실물 크기의 안드레 대왕 동상 공개
  152. ^ "WWF Slammy Awards (1987)". TWNP News. Retrieved 22 February 2008.
  153. ^ "Canadian Wrestling Hall of Fame". Slam! Wrestling. Canadian Online Explorer. 3 April 2016.

더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