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키도잔
Rikidōzan리키도잔 | |
---|---|
![]() 1954년 일본 헤비급 선수권 벨트를 한 리키도잔 | |
태명 | 김신락(김신락) |
태어난 | 1924년11월14일 간쿄난 현 고겐 구 (지금의 함경남도 홍원) |
죽은 | 1963년 12월 15일 일본 도쿄 미나토 | (39세)
사인 | 과실치사로 인한 복막염 |
프로레슬링 경력 | |
링네임 | 리키도잔 모모타 미쓰히로 |
청구높이 | 1.75 m (5 ft 9 in) |
청구중량 | 110kg(243lb) |
청구처 | 나가사키 |
교육받은 사람 | 해롤드 사카타 바비 브런스 |
데뷔 | 1951년 10월 28일 |
리키도잔 미츠히로 | |
---|---|
力道山 光浩 | |
개인정보 | |
높이 | 1.75 m (5 ft 9 in) |
체중 | 116kg(256lb, 18st 4lb) |
직업 | |
안정적인. | 니소노세키 |
기록. | 135–82–15 |
데뷔 | 1940년 5월 |
최고위 | 세키와케 (1949년 5월) |
은퇴한 | 1950년 9월 |
선수권 대회 | 1 (마쿠시타) 1(산단메) |
특별상 | 우수한 성과 (1) |
골드 스타즈 | 2 (Azumafuji) |
* 2013년 5월 기준으로 최신입니다. |
시리즈의 일부 |
프로레슬링 |
---|
![]() |
모모타 미쓰히로(, 1924년 11월 14일 ~ 1963년 12월 15일)는 일본의 레슬링 선수로, 力道山 百田 光浩()로 알려져 있으며, 스모와 프로레슬링에 출전했다. 그는 '푸로레수의 아버지'로 알려졌으며, 프로레슬링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었습니다. 처음에, 그는 리키시 (스모 레슬러)가 되기 위해 고국 한국에서 일본으로 이주했습니다. 그는 일본인들이 본받을 지역 영웅이 필요했던 시기에 프로레슬링이라는 스포츠를 일본에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고 국민 영웅으로 칭송 받았습니다. 2017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어 안토니오 이노키, 후지나미 타츠미에 이어 한국인 최초의 헌액자이자 세 번째 퓨로레스 스타가 되었습니다. 그는 1963년 스미요시이카의 한 멤버와 거리 싸움으로 사망했습니다.
전기
초기
모모타는 1924년 11월 14일 조선(현재의 북한 함경남도) 간쿄난(nan京南)에서 태어났습니다. 유교적 전통을 가진 한국 농장의 주인인 김속티와 그의 아내 천기의 막내 아들이었습니다. 그는 건강이 좋지 않아 고생하던 아버지를 돌보았고, 어머니와 형들은 농장을 돌보았습니다. 김씨는 젊은 시절 씨름에 참가했고, 지역 대회에서 3위를 한 뒤 경찰이 되기 위해 한국으로 건너간 오무라 출신 일본인의 장인 [2]모모타 미노스케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모모타는 스모에 관심을 갖고 니소노세키 마구간을 지원했습니다. 그는 마굿간을 위해 여러 명의 한국 소년들을 모집했고, 그도 합류하도록 설득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가족은 그의 아버지를 돌봐야 한다는 책임감 때문에 그를 일본에 보내기를 거부했습니다. 그러나 1939년 김속티가 사망한 후 [3][4][5]신락은 이듬해 어머니의 반대로 일본으로 떠났습니다.[2]
스모 선수 생활 및 은퇴 (1940–1951)

니소노세키 마굿간에 입단한 김연아는 1940년 6월에 데뷔했습니다. 처음에 그의 한국 출신은 스모 랭킹지에 표시되어 있었고, 그는 이로 인해 괴롭힘과 인종 차별을 받았습니다.[2] 그러나 모모타에게 입양되어 모모타 미쓰히로라는 이름을 갖게 되고, 나가사키 오무라에서 태어났다는 이야기가 조작되었습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1951년까지 일본 시민권을 얻지 못했습니다.[6] 리키도잔 미츠히로의 시코나(, 力道山 光浩, 헵번: 리키두잔 미츠히로)를 받았습니다. 1946년에 마쿠우치 부문 1위에 올랐고, 1947년 6월에 열린 대회에서 요코즈나 하구로야마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며 우승을 위한 플레이오프에서 패했습니다. 그는 총 23개의 대회에 출전하여 135승 82패의 승패 기록을 세웠습니다. 그의 가장 높은 계급은 세키와케였지만,[7] 은퇴 전에는 오제키로의 승진에 가까웠다고 합니다.[2]
그의 은퇴에 대한 몇 가지 이유가 제시되었습니다. 그가 비록 작은 시작에도 불구하고 얻은 성공의 정도는 니소노세키의 선배들 사이에서 부러움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인종 차별도 한 요인이 되었을 수 있지만,[8] 그의 은퇴의 원동력은 안정적인 지도자인 타마노우미 다이타로와의 재정적인 분쟁 때문에 이루어졌습니다.[2] 리키도잔은 마구간에 대한 그의 상당한 기여가 그를 큰 재정적 지원을 받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지만, 타마노우미는 그를 이기적으로 생각했고, 열띤 논쟁 끝에 거절당했습니다. 그의 은퇴에 대한 공개적인 설명은 그가 구충증을 앓았다고 주장했지만, 사실은 타마노우미와의 논쟁 직후인 1950년 9월 10일 모모타가 자신의 촌마상 매듭을 "충동적으로" 자르는 것이었습니다.[2]
은퇴 후 모모타는 처음에 미국인들과 함께 암시장 상인으로 일했습니다. 그의 사업은 한국에서 복무하기 위해 출국하는 미군들의 소지품을 구입하고, 이 물품들을 일본인들에게 판매하는 것에서 비롯되었습니다.[2] 그는 결국 이 일을 그만두었고, 스모 복귀 청원이 거절된 후, 그는 그의 전 후원자인 닛타 신사쿠로부터 건설 감독자로서의 일을 받았습니다.[2] 니타 씨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도쿄 포로수용소에서 일했고, 미국인 포로들에게 몰래 음식과 담배를 제공했습니다. 그의 친절에 보답하기 위해, GHQ에서 일하던 전직 포로들은 재건 공사를 계약할 때 건설 회사에 특혜를 주었습니다.[2] 니타는 또한 범죄 지하세계와 관계가 있었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모에 깊이 관여했습니다.[2][nb 1]
프로레슬링 경력 (1951-1963)
데뷔, 미국유학, 메가스타덤 (1951-1958)
1951년 7월, 도쿄에 위치한 Torii Oasis Shriners Club은 장애를 가진 어린이들을 위한 자선 운동을 후원할 의향을 발표했고, 이를 위해 프로레슬링 투어를 마련했습니다.[2] 이러한 이벤트는 호놀룰루 사업가 모 립튼에 의해 홍보될 것입니다. 이 무렵, 리키도잔은 프로 레슬러가 되는 것에 관심을 표명했다고 합니다.[2] 9월, 호놀룰루에 본사를 둔 미드 퍼시픽 프로모션의 레슬링 프로모터 알 카라식은 NWA 샌프란시스코의 조 말세비츠와 함께 립튼과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카라식과 말체위즈는 9월 30일부터 12월 11일까지 열리는 12일간의 투어에 6명의 레슬러를 보낼 예정입니다.[2][nb 2] 이 레슬러들에는 해롤드 사카타와 미드 퍼시픽 부커 바비 브런스가 포함되었습니다. 브룬스는 투어가 시작되기 전에 일본에 있을 때, 리키도잔을 비롯해 유도 선수 엔도 코키치와 사카베 야스유키를 초대했습니다.[2] 1951년 10월 28일 료고쿠 기념관에서 프로레슬링 데뷔전을 치렀고, 료고쿠 기념관에서 10분간의 제한 시간 무승부를 기록했습니다. 그는 나중에 레슬링 선수들에게 필요한 체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어렵게 그렇게 했다고 언급했지만, 그는 나머지 투어에서 계속 일할 것입니다.[2]
리키도잔은 1952년 2월 일본을 떠나 미국으로 건너가 훈련과 경험을 쌓았습니다. 이것은 5개월간의 Mid-Pacific Promotions에서 시작되었고, 그곳에서 그는 Oki Shikina에게 훈련을 받았습니다.[2]
리키도잔의 브레이크 아웃 공연은 1954년 캐나다 샤프 브라더스와의 경기에서 파트너이자 유명한 유도 선수인 기무라 마사히코와 함께 한 것으로 일본에서의 TV 시청률 증가와 동시에 이루어졌습니다. 그는 외국인 레슬링 선수들을 물리침으로써 일본의 가장 큰 레슬링 스타로 계속 자리매김했고, 그 과정에서 주요 텔레비전 스타가 되었습니다.[9][10] 이것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였고, 일본인들은 미국인들에게 대항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했습니다. 이리하여 리키도잔은 일본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습니다. 그의 미국인 적수들은 그들 자신을 시합에서 부정행위를 한 악당으로 묘사함으로써 그를 도왔습니다. Rikidozan 자신은 일찍이 미국에서 레슬링을 했을 때 악역으로 예약되었지만,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 아기 얼굴로 응원을 받은 최초의 일본인 레슬러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
NWA 인터내셔널 헤비급 챔피언 (1958–1963)
1958년 8월 27일 일본에서 열린 세계 헤비급 선수권 대회에서 루 테즈를 꺾으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습니다. 또 다른 경기에서 테즈는 기꺼이 자신의 명성을 희생시키면서 리키도잔을 넘겨주기로 동의했습니다. 이것은 두 레슬러 사이에 상호 존경심을 쌓았고, 리키도잔은 테즈가 한 일을 잊지 않았습니다. 그는 계속해서 일본과 해외의 경기에서 여러 개의 NWA 타이틀을 획득할 것입니다. 리키도잔은 프로레슬링 선수들을 양성하기도 했는데, 이들 중에는 안토니오 이노키 칸지, 오키 긴타로, 그리고 거인 바바 쇼헤이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의 대표적인 동작은 실제 가라데가 아닌 스모의 하라이트를 기반으로 한 가라데 젓가락이었습니다. Rikidozan은 Rikidozan의 가장 친한 친구 중 한 명이었던 한국 태생의 가라테카인 나카무라 히데오와 함께 있을 때 아마도 그 움직임을 생각했을 것입니다.[11] 그는 동료 한국인 오야마 마스타츠에게 지도를 받았다는 소문이 있었습니다.
그는 1953년 일본 최초의 프로레슬링 단체인 JWA를 설립했습니다. 그의 첫 번째 주요 불화는 모모타가 프로 레슬러로서 경쟁하기 위해 초대한 유명한 유도 선수인 기무라 마사히코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다른 유명한 불화로는 1957-58년 테즈, 1962년 클래식 프레디 블래시, 1963년 딕 "디스트로이어" 베이어와의 불화가 있습니다. 레슬링 저널리스트 존 M. 몰리나로의 2002년 저서인 '역대 프로레슬러 톱 100'에서 그의 경기 중 두 경기가 일본에서 역대 TV 프로그램 톱 10에 랭크되어 있다는 사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12] 1957년 10월 6일 NWA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루 테즈와 1시간 동안 무승부를 기록한 것은 87.0의 평점을, 1963년 5월 24일 디스트로이어와 2시간 동안 무승부를 기록한 것은 67.0의 평점을 기록했지만, 1963년까지 더 많은 사람들이 텔레비전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전 경기보다 더 많은 시청자(일본 역사상 가장 큰 시청률)를 기록했습니다.
개인생활
프로레슬링에서의 성공으로 모모타는 나이트클럽, 호텔, 콘도미니엄 그리고 복싱 프로모션과 같은 부동산을 취득하면서 사업가로서 부업을 시작했습니다. 리키 맨션으로 알려진 리키도잔의 고급 아파트는 도쿄 미나토 아카사카에 위치해 있으며 건물 측면에 인쇄된 큰 "R"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리키도잔은 시부야에 9층짜리 "리키 스포츠 팰리스"를 소유하고 있었는데, 그 안에는 볼링장, 수영장, "클럽 리키"라는 술집, "리키 레스토랑"이라는 식당이 있었습니다. 사망 직전, 리키도잔은 사가미 호수에 토지를 구입하여 "레이크사이드 컨트리 클럽"으로 알려진 대규모 골프장에서 작업을 시작했고, 사가미 호수의 해안을 따라 사격장, 실내 스케이트장, 호텔 등의 시설을 갖추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죽음으로 인해 미완성으로 남아 있었고 결국 매각되어 호텔인 사가미 레이크 리조트가 되었습니다.
리키도잔은 일생 동안 많은 여자 친구들이 있었고 동시에 수많은 여자들을 만나는 것으로 자주 알려졌습니다. 그는 죽기 직전 아내 다나카 게이코와 결혼했습니다. 1984년 주간지 플레이보이에 실린 기사는 리키도잔이 실제로 한국 출신으로 일본에서 금기시되는 다나카를 만나기 전에 결혼해 아이를 낳았다는 사실을 밝힌 후 많은 관심을 끌었습니다.[13]
레슬링 경기가 끝난 후, 그는 종종 즉시 Riki 스포츠 팰리스로 가서 상처를 치우지 않고 술을 마시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술집 직원들과 농담을 하며 피투성이가 되거나 얼굴에 큰 흉터가 있는 상태에서 "오늘 일은 끔찍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13]
"기무라 마사히코는 왜 리키도잔을 죽이지 않았는가?"에 따르면, 리키도잔은 역시 한반도 북부 출신인 나카무라 히데오와 우정을 나눴다고 합니다. 리키도잔은 나카무라를 귀여워하며 한국어로 형을 뜻하는 '형님(형님)'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리키도잔은 사냥에 여가 시간을 보냈으며 사망 당시 합법적인 사냥총을 여러 개 소유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의 자서전은 리키도잔이 아내가 가는 곳마다 권총을 들고 다니게 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한 프로 선수인 쿠사마 마츠지와 함께 장기 경기를 할 것입니다.[13]
배우 오츠지 이쿠로도 말년에 리키 저택에서 살았습니다.
그의 아들 모모타 미쓰오는 리키도잔이 많은 재산과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그 또한 많은 빚을 지고 있었고, 리키도잔이 수백만 엔의 미납 세금을 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재산에 대한 상속세는 2023년 기준으로 ¥ 2천만 달러(18만 달러)를 넘어섰다고 말했습니다.
그가 레슬링을 하면서 얻은 악명 때문에, 리키도잔은 일본에서 큰 유명인이었고, 타블로이드지와 잡지에서 자주 언급되었습니다. 국가적 영웅의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그는 특히 그의 경력의 후반기에 말썽꾸러기로 명성을 얻었습니다. 신체 건강이 악화되었기 때문에, Rikidozan은 1960년대 초에 진통제를 남용하기 시작했고 경기 전후에 각성제를 복용했습니다.
리키도잔이 기분이 좋을 때는 술집 종업원에게 많게는 ¥ 만 원의 팁을 남기기도 했지만, 기분이 나쁠 때는 술집 싸움과 폭력은 거의 일상적인 일이었습니다. 술을 많이 마시는 리키도잔의 명성은 프로레슬링의 합법성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상대방과 "싸우고" 몇 시간 후에 술을 마시고 그들과 어울리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17] 어느 순간, 리키도잔은 한큐 브레이브스 소속 쿠바 야구선수 로베르토 바본과 술집에서 술을 마시고 프로레슬링을 가짜라고 부르며 리키도잔을 괴롭히기 시작했습니다. 리키도잔은 폭력을 위협하며 사과를 요구하는 등 적대적인 태도를 취했고, 바르본은 이에 동의했습니다.
죽음.


1963년 12월 8일, 리키도잔은 야쿠자 조직인 닌쿄단타이 스미요시 잇카의 일원인 무라타 가쓰시에게 나이트클럽에서 말다툼을 벌이다 칼에 찔린 적이 있습니다. 리키도잔은 무라타가 자신의 신발을 밟았다고 주장하며 사과를 요구했습니다. 무라타는 거절했고 둘은 말다툼을 하기 시작했고 결국 리키도잔은 무라타의 얼굴을 주먹으로 때리고 벽에 부딪혔습니다. 리키도잔은 그 후 무라타를 올라타서 무라타가 리키도잔의 복부를 한 번 찔릴 때까지 계속해서 그를 땅에 때렸습니다. 두 사람은 즉시 현장에서 도망쳤고, 리키도잔은 산노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그곳에서 의사는 상처가 심각하지 않다고 판단했지만 리키도잔에게 수술을 권유했습니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진행돼 집으로 돌아왔지만 의사의 명령을 어기고 당일부터 식사와 술을 먹기 시작해 조수를 가게로 보내 초밥과 사케를 먹게 했습니다. 술을 많이 마셨기 때문에 병세가 악화되어 1주일 후 두 번째 수술이 필요했지만 복막염이 발병하여 1963년 12월 15일 오후 9시 50분경 사망했습니다. 그의 나이는 39세였습니다.[18][19][20]
리키도잔의 장례식은 1963년 12월 20일 도쿄 오타시 이케가미 혼몬지에서 거행되었습니다.[21][22] 리키도잔의 제자인 안토니오 이노키, 자이언트 바바, 긴타로 오키 등과 함께 선수 생활 내내 다양한 반대자들이 참석했습니다.
무라타 가쓰시는 이후 1964년 10월 과실치사 혐의가 인정돼 8년간 복역한 뒤 1972년 석방됐습니다. 무라타는 출소 후 매년 12월 15일에 리키도잔의 묘소를 방문했습니다. 그는 또한 리키도잔의 아들들에게 전화를 걸어 매년 사과했습니다. 석방된 후 몇 년 동안 무라타는 고위 야쿠자가 되었습니다.[18][19][20][23] 무라타는 2013년 4월 9일 자연사했습니다.[24]
가족
그의 아들 중 한 명인 미쓰오는 1970년 아버지를 따라 링에 올랐고 2021년 73세로 은퇴했지만, 1989년 세계 주니어 헤비급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음에도 불구하고 한때 아버지를 유명하게 했던 인정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미쓰오의 아들인 치카라 모모타는 할아버지의 사망 50주년 다음 날인 2013년 12월 16일 링에 데뷔했습니다.[25] 리키도잔의 다른 아들 모모타 요시히로도 프로레슬러였습니다.
리키도잔의 사위인 박명철(박명철)은 2009년 초쯤부터 북한 국방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고, 박명철의 여동생은 조선노동당 경공업부 부부장을 맡고 있습니다.
선수권대회 및 업적
- 전 아시아 헤비급 챔피언십 (1회)
- 전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 (4회) – 토요노보리와 함께
- JWA 전일본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도요노보리와 함께
- NWA 인터내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회)
- 일본 헤비급 선수권 대회 (1회)
- 월드 빅 리그 (5회)
- 국제 레슬링 명예의 전당
- 2021학년도[28]
- 중태평양 프로모션
- NWA 하와이 태그팀 챔피언십 (3회) – Bobby Bruns (1회), Azumafuji (1회), Koukichi Endoh (1회)
- NWA 명예의 전당 (2011년 클래스)[29]
- NWA Pacific Coast Tag Team Championship (San Francisco 버전) (1회) – Dennis Clary와 함께
- 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샌프란시스코 버전) (1회) – Koukichi Endoh와 함께
스모 톱 디비전 기록
- 1940년대 대부분 동안 단 두 번의 대회만 열렸고 1946년에는 단 한 번의 대회만 열렸습니다.
- | 봄 도쿄 하루바쇼 | 여름 나쓰바쇼, 도쿄 | 가을 아키바쇼 | |||
---|---|---|---|---|---|---|
1946 | 미보유 | 미보유 | 웨스트마에가시라 #17 9–4 | |||
1947 | 미보유 | 동마에가시라 #8 9–1–P | 동마에가시라 #3 6–5 | |||
1948 | 미보유 | 동마에가시라 #2 8–3 O★ | 동코무수비 6–5 | |||
1949 | 서코무수비 8–5 | 웨스트세키와크 3–12 | 서부 마에가시라 #2 8–7 ★ | |||
1950 | 서코무수비 10–5 | 웨스트세키와크 8–7 | 웨스트세키와크 은퇴한 0–0 | |||
승패-부재로 주어진 기록탑 디비전 챔피언상위 디비전 준우승 은퇴 하위 디비전 산쇼키: F=투혼, O=뛰어난 퍼포먼스, T=technique도 표시: ★=긴보시, P=playoff(들) |
레거시

리키도잔은 1996년에 레슬링 옵서버 뉴스레터 명예의 전당의 초대 회원이 되었고, 2006년에는 프로레슬링 명예의 전당과 박물관에 헌액되었으며, 2017년에는 WWE 명예의 전당의 "레거시 윙"에 헌액되었습니다. 2002년, 리키도잔은 데이브 멜처와 제프 마렉이 편집한 존 몰리나로의 "역대 100 레슬링 선수"라는 잡지 기사에서 리크 플레어와 라이벌 루 테즈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위대한 프로레슬러로 선정되었습니다.[31]
대중문화

お月様には悪いけど 오쓰키사마니 와루이케도(1954년, 본인), やがて青空 야가테 아오조라(1955년, 본인), 力道山物語 怒濤の男 리키도잔 모노가타리 도토오토코(1955년, 본인) 등 29편의 영화에 출연했습니다.
참고 항목
메모들
참고문헌
- ^ 북한의 주장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야마구치, 미야모토 & Teal 2019.
- ^ "[戦前戦後を駆け抜けた一人の朝鮮人]‐《力道山年表《プロレス《格闘技".
- ^ "[幼少・少年時代]‐《力道山年表《プロレス《格闘技".
- ^ "第四話 プロレスの殿堂・リキパレス(1)". www.interq.or.j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3-22.
- ^ 이가라시 2000, 125쪽.
- ^ a b "Rikidozan Mitsuhiro Rikishi Information". Sumo Reference. Retrieved 22 August 2017.
- ^ Weiner, Michael (2004). Race, Ethnicity and Migration in Modern Japan. Routledge. p. 166. ISBN 0-415-20854-8.
- ^ "50 Years of NHK Television". www.nhk.or.jp. Retrieved 2023-06-03.
- ^ Oliver, Greg (June 2, 2010). "PWHF inductees Ben & Mike Sharpe were giants". Slam Wrestling. Retrieved 2023-06-03.
- ^ a b 木村政彦はなぜ力道山を殺さなかったのか (2011) ISBN 978-4-10-330071-7
- ^ Molinaro, J.F.: 역대 프로 레슬러 탑 100, p. 19, Winding Steer Press, 2002
- ^ a b c 剱持松二四段(当時)と力道山アマ三段 - 将棋ペンクラブログ・2013年5月7日
- ^ 百田光雄、父・力道山の秘話を披露、急死した時の相続税は「20何億だった」. スポーツ報知. 報知新聞社. 2017-03-03. Retrieved 2018-03-06.
- ^ 当時の1万円は相当な高額であり、大卒公務員の一か月の給与に相当した。「国家公務員の初任給の変遷」『人事院』
- ^ 竹内宏介『プロレス醜聞100連発!!』(日本スポーツ出版社・1998年)p.26 - 27 ISBN 978-4-930943-10-1
- ^ 剱持松二四段(当時)と力道山アマ三段 将棋ペンクラブログ
- ^ a b "父・力道山の死から51年…百田光雄<1>". YOMIURI ONLINE(読売新聞). 8 December 2014. Retrieved 12 January 2019.
- ^ a b Imgur. "Imgur". Imgur. Retrieved 12 January 2019.
- ^ a b "二宮清純「戦後の英雄・力道山はなぜ死んだのか!?」(二宮 清純)". 現代ビジネス. Retrieved 12 January 2019.
- ^ "第103回 力道山(その四)総費用1億円の結婚式を挙げ、新婚旅行は1ヵ月。豪奢な幸福の後に……(福田 和也)". 現代ビジネス. Retrieved 12 January 2019.
- ^ "第四話 プロレスの殿堂・リキパレス(9)". www.interq.or.jp. Retrieved 12 January 2019.
- ^ "Looking back at the death of Rikidozan". 10 May 2013. Retrieved 12 January 2019.
- ^ "Yakuza who stabbed famed wrestler Rikidozan dies in Tokyo". 14 April 2013.
- ^ 力道山50回目の命日に孫の力がプロレスデビュー!父であり力道山の息子である百田光雄はダブルヘッダー. Battle News (in Japanese). 2013-12-16. Retrieved 2013-12-16.
- ^ 마이니치
- ^ 역도산 패밀리 북한서 중용. Kuki News via Yonhap (in Korean). 2009-11-20. Retrieved 2010-03-08.
- ^ "Induction Weekend 2021 Pro Wrestling Hall of Fame".
- ^ Gerweck, Steve (2011-11-14). "NWA Hall of Fame Class for 2011 announced". Wrestl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7, 2011. Retrieved 2011-11-14.
- ^ "Congratulations to the 2017 WWE Hall of Fame Legacy inductees". WWE. March 31, 2017. Retrieved March 31, 2017.
- ^ Molinaro, John (2003). The Top 100 Wrestlers of All Time. ISBN 1-55366-305-5.
- ^ "力道山". www.jmdb.ne.jp. Retrieved 7 February 2008.
서지학
- Igarashi, Yoshikuni (2000). Bodies of Memory: Narratives of War in Postwar Japanese Culture, 1945-1970.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049122.
- Yamaguchi, Haruo; Miyamoto, Koji; Teal, Scott (2019). The Great Pro Wrestling Venues, Volume 4: Japan: The Rikidozan Years (Kindle ed.). Crowbar Press. ISBN 978-1-940391-26-7.
더보기
- Li, Ho In (1989). I Am a Korean The story of the world professional wrestling champion Rikidozan. Pyongyang, (North) Korea: Foreign Languages Pub. House. OCLC 25966342.
Biography of Rikidozan
- Whiting, Robert (1999). Tokyo Underworld The fast times and hard life of an American gangster in Japan. New York: Pantheon Books. ISBN 0-679-41976-4. OCLC 39169916.
Discusses Rikidōzan's impact on Japanese pop-culture and the yakuza underworld during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and also includes a small photo collection of Rikidōzan, and his killer, Katsuji Murata
외부 링크

- WWE.com 에 있는 리키도잔
- Puroresu.com : 리키도잔
- 반지 크로니클 명예의 전당: 리키도잔
- 온라인 레슬링계의 리코도잔
- IMDb의 역도산: 그의 삶을 다룬 영화
- Rikidozan의 프로필(Cagematch.net , Wrestlingdata.com , 인터넷 레슬링 데이터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