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빈 폰 에리히

Kevin Von Erich
케빈 폰 에리히
Kevin Von Erich 2009 (Cropped).png
2009년 WWE 명예의 전당 시상식 케빈 폰 에리히
출생명케빈 로스 아드키송
태어난 (1957-05-15) 1957년 5월 15일 (64세)
미국 일리노이 벨빌
배우자
팸 애드키송
(m.1980)
아이들.4
가족폰 에리히
프로레슬링 경력
링 이름케빈 폰 에리히
빌링 높이6피트 3인치(191cm)[1]
빌드 웨이트222파운드(101kg)[1]
로부터 청구됨텍사스 주 덴턴
교육 대상프리츠 폰 에리히
데뷔1976
은퇴한2017

케빈 로스 아드키송(Kevin Ross Adkisson, 1957년 5월 15일 출생)은 미국의 은퇴한 프로 레슬링 선수로, 그의 반지 이름케빈에리히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폰 에리히 가문의 일원인 폰 에리히는 아버지의 월드클래스 챔피언십 레슬링 프로모션에 출연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1] 그는 WC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을 개최한 적이 있는 세계 챔피언이다.

축구 경력

애드키송은 부상을 당하여 축구 경력을 마감하고 내셔널 풋볼 리그에서 뛰는 꿈을 꾸기 전까지 노스 텍사스 주립대학에서 게리 스미스의 풀백으로 축구를 했다.

프로레슬링 경력

월드클래스 챔피언십 레슬링 (1976-1990)

초기 경력(1976~1981)

Adkisson은 1976년에 Kevin Von Erich로 레슬링을 시작했다. 그는 아버지의 승진인 월드클래스 챔피언십 레슬링을 위해 대부분의 경력을 레슬링에 썼다. 케빈은 타고난 운동 실력과 잘생긴 외모로 인해 이 프로모션에서 가장 큰 스타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싱글과 태그팀 레슬링 선수로서 회사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고, 종종 회사의 세간의 높은 반목에도 참여했다. 케빈은 또한 맨발로 레슬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거의 모든 레슬링 선수들이 높은 발가락의 부츠를 신는 스포츠에서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월드 클래스 아나운서들은 WCCW 방송에서 그를 종종 농담으로 "맨발의 소년"이라고 불렀다. 케빈은 나중에 인터뷰에서 자신이 맨발로 레슬링을 시작한 적은 없지만, 경기 전에 누군가 장난으로 부츠를 숨겼으며, 경기 전에는 부츠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맨발로 레슬링을 하러 나갔을 뿐 나중에 그것이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고 인정했다. 대중적인 믿음과는 달리, 그는 플레이보이 버디로 불리는 폴 페르슈만과의 데뷔 경기, 슈퍼플라이 지미 스누카와의 경기 등 그의 초기 경력에서 부츠를 신었다. 케빈은 맨발로 씨름하는 스누카의 열렬한 팬이었고, 케빈은 톱 로프에서 스누카가 날아오는 몸뚱이와 비슷한 동작을 자주 했는데, 스누카는 이를 '슈퍼플라이'라고 불렀다.

70년대 후반에 케빈은 댈러스 지역에 정착했다. 그의 첫 번째 큰 성공은 1978년 동생 데이비드와 태그팀으로 레슬링을 하던 중 이루어졌다. 한 해 동안, 그들은 NWA 텍사스 태그팀 챔피언십과 NWA 아메리칸 태그팀 챔피언십을 두 차례나 사로잡았다. 1978년 성탄절에는 NWA 아메리칸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브루이저 브로디를 꺾고 승진의 단식 순위에 확고히 자리 잡았다. 1980년, 케빈 폰 에리히는 1월 21일, 조니 로즈와의 경기에서 그가 이긴 경기에서 WWF에 그의 유일한 레슬링 출전을 했다. 1980년대가 밝으면서, 케빈은 이 프로모션에서 가장 활동적인 연기자 중 한 명이 되었고, 다양한 파트너들과 함께 단식과 태그팀 경기에서 수많은 우승을 계속하였다. 하지만 그의 가장 친한 파트너는 항상 그의 형제인 케리와 데이빗일 것이다. 1980년대 초반에 진행되면서 케빈은 세인트루이스를 포함한 다른 NWA가 추진하는 지역에 자주 나타나곤 했다. Louis, Georgia Championship Louis, Georgia Championship 레슬링. 케빈은 또한 월드 와이드 레슬링 연맹에서 몇 경기에 출전했다.

프리버드-본 에리히 앙금 (1982-1984)

1982년 초, 마이클 헤이스, 테리 고디, 버디 로버츠로 구성된 환상적인 프리버드는 WCCW 부커 게리 하트를 쇼에서 만난 후 조지아 챔피언십 레슬링을 떠났다. 월드 클래스에 출연한 이 3인방은 본 에리히스와의 친밀한 우정뿐만 아니라 독특한 재능과 화학성분이 어우러져 순식간에 팬 애호가들이 되었다. 세 사람 모두 대열에서 빠르게 상승했고, 1982년 11월 말에 헤이스와 고디는 NWA 아메리칸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킹콩 번디와일드어윈의 팀을 이겼다.

폰 에리히스와 프리버드 사이의 불화는 대략 한 달 후에 전개되었다. 1982년 WCCW의 연례 크리스마스 쇼에서 케리 본 에리히는 마이클 헤이스가 특별 심판으로 활약하는 가운데 스틸 케이지 안에서 리 플라이어NWA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을 치렀다. 월드클래스 챔피언십 레슬링의 승리와 비극 DVD에서 설명했듯이, 게리 하트가 개발한 스토리 라인은 헤이스가 경기 중 특별 집행관 타입의 심판으로 팬들에 의해 선택되어온 것으로 쓰여졌다. 경기가 끝날 무렵 플레어는 헤이스에게 주먹을 날렸고, 결국 헤이스가 헤이스에게 주먹을 날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자 헤이스는 케리를 플레어 위에 올려 세 사람을 세어보려고 했다. 폰 에리히가 거절한 것은 '텍사스 할 일'이 아니었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잠시 밀치는 대결과 두 사람의 말다툼이 벌어졌다. 헤이스는 그 상황에 넌더리가 난 채 문지기로 배정된 테리 고디에게 새장 문을 열라고 말했다. 헤이스가 떠나려 할 때, 전자가 우연히 헤이스에를 때리고 우리 밖으로 때려눕히는 등, 리크 플레어의 뒤에서 공격당한 폰 에리히를 떠나려 한다. 그 각도는 헤이스도, 고르디도 케리가 헤이스에게 밀쳐진 것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씌어 있었다. 케리가 링 안에서 일어서고 있을 때, 그것이 고디에게 케리의 머리를 맞고 챔피언 자리를 빼앗기면서 우리 문을 쾅 닫으라는 신호였다.

프리버드는 그들의 행동이 그들의 지역 영웅들 중 한 명을 NWA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빼앗겼다는 많은 팬들의 믿음 때문에 즉시 그 회사에서 최고의 하이힐이 되었다. 불화가 쌓이면서 WCCW 텔레비전 방송은 미국 전역의 텔레비전 방송국에 결합되어 매주 미국에서만 수백만 명의 시청자를 홍보하게 되었다. 이것은 레슬링의 면모를 바꾸고 그것이 어떻게 마케팅되고 관객들에게 선보이게 되었는지를 바꾸었다. 프로레슬링이 무엇이고 무엇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선입견을 바꾸며 두 파벌의 경기라는 지극히 육체적인 성격이 팬들을 사로잡았다. 그 후 몇 년 동안, 프리버드와 폰 에리히스는 승급 기간 동안 다양한 선수권 대회를 놓고 각 그룹의 다양한 멤버들과 불화를 일으키면서 본질적으로 매우 물리적인 수많은 높은 주목을 받는 경기를 펼쳤다. 이 불화는 오늘날 많은 팬들과 레슬링 업계 관계자에 의해 프로레슬링 역사상 최고의 작품이자 가장 기억에 남는 불화 중 하나로 여겨진다. 케빈의 형인 데이비드에리히가 일본에서 급성 장염으로 사망하면서 이 드라마는 막을 내렸다. 이것이 씨름 경쟁의 대칭을 무너뜨렸지만, 결국 남은 형제들은 각기 다른 정도의 성공을 거두며 개별적인 레슬링을 계속했다.

크리스 아담스, 리치 플레어와의 불화(1985-1990)

케빈은 또한 크리스 애덤스와 몇 달 동안 오랜 불화를 겪었고, 두 남자 모두를 위한 입원이 필요한 유명한 의자 사진 두 장을 서로 찍는 등 폭력적인 경기를 많이 했다. 케빈은 또한 아담스의 불화 전후에 여러 차례 애덤스와 함께 팀을 꾸리곤 했다. 링에서 멀리 떨어진 케빈과 크리스는 절친한 친구였다; 케빈은 2001년 아담스의 장례식 때 팔베어 역할을 했고 이후 아담스의 가족을 방문하기 위해 영국으로 여행을 갔다. 최근 인터뷰에서 케빈은 애덤스가 선수 생활에서 가장 힘든 레슬링 선수였으며 영국 태생의 레슬링 선수에 대해 많은 존경을 표했다고 말했다. 케빈은 텍사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제2회 다비드 본 에리히 기념챔피언스 퍼레이드 본종목 등 NWA 월드챔프 리치 플레어와 여러 차례 접전을 벌였지만 우승은 하지 못했다.

WCCW와 미국레슬링협회 접기(1989-1990)

1989년 SuperClash III의 실패 후, 케빈은 동생 케리(Kerry)가 Jarret을 혼용하는 것을 환영했음에도 불구하고 멤피스에 본부를 둔 CWA를 소유한 제리 자렛(Jerry Jarret)에게 승진을 팔기로 한 아버지의 결정에 매우 낙담하게 되었고, 합병된 승진은 USWA가 되었다. 그러나 자렛이 직접 소송을 제기하는 등 분쟁으로 1990년 USWA에서 WCCW를 빼냈으나 아버지가 구축한 프로모션을 부활시킬 수 없었고, 11월 월드클래스를 폐쇄할 수밖에 없었다. 케빈은 초반에 간신히 스포츠 경기장에 군중을 끌어 모았지만, 동생인 감독/부고자 게리 하트의 부재와 텔레비전으로 중계된 경기 부족으로 월드 클래스의 생존은 매우 미미했다. 그 기간 동안, 케빈은 크리스 아담스나 게리 하트가 홍보한 다른 독립 카드에서 레슬링을 하는 것 외에는 거의 경기에 참가하지 않았다. 케빈은 월드클래스가 정식으로 USWA 텍사스가 된 1989년 8월 4일 카드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고, 앞서 카드에 출전한 케리 형제는 경기 직후 스포츠코토터를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케빈은 이 시기 동안 어린 스티브 오스틴이 링에서 그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왔고, 오늘날까지 오스틴을 그의 친구 중 한 명으로 여긴다.

세계레슬링연맹 (1991년)

형이 세계레슬링연맹에 가입한 지 16개월 만인 1991년 12월 2일 TX 코퍼스 크리스티에서 열린 레슬링 챌린지 테이핑에서 케빈은 브라이언 와 맞붙어 격파했다.[2]

후기 경력(1991-1995)

폰 에리히는 1991년 멕시코의 콘세조 문디알루차 리브레에 출전했다. 1993년 4월 2일, 그는 크리스 애덤스와 팀을 이뤄 세계레슬링 연맹의 애드키슨 자선 쇼에서 환상적인 프리버드마이클 헤이즈버디 로버츠를 물리쳤다. 케빈의 마지막 영광의 라운드는 1995년 1월 7일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짐 크로켓 주니어의 NWA 프로모션에서 그레그 발렌타인을 물리치고 북미 헤비급 타이틀을 따내던 중 일어났다. 일주일 후 는 존 호크에게 타이틀을 내주었다. 그 후 그는 스칸도르 아크바르 감독과 매우 짧은 동맹을 맺었다. 케빈은 결국 그의 반지 출연을 줄이고 1995년 말에 정식으로 은퇴했다.

은퇴

2005년 10월 3일, 케빈은 WWE Raw Homecoming 쇼에 다른 WWE Hall of Famers와 함께 출연했다. 그날 밤 늦게 더스티 로도스와 WWE 명예의 전당이 링에 모이자 롭 콘웨이가 나와 로도스의 말을 가로막았다. 이것은 결국 몇몇 명예의 전당에 의해 콘웨이의 구타로 이어졌는데, 케빈은 콘웨이에서 전설적인 철 집게발을 사용했고, 텍사스 주의 당파인 댈러스 군중의 무리에게 돌아갔다. 짐 로스는 그 후 다시는 쇠발톱을 보기 위해 살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2006년 1월 20일, 케빈과 그의 아들 로스 애드키슨(로스에리히)은 텍사스 롱뷰의 지역 레슬링 카드에 로디 파이퍼스 파이퍼스 핏의 손님으로 출연했다. 케빈과 파이퍼가 10대 때 스포츠센터에 가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코너 동안, 스칸도르 아크바는 케빈과 로스 둘 다 비난하기 위해 인터뷰를 중단했다. 어느 순간 악바는 로스를 밀었고, 이로 인해 케빈은 철제 발톱을 악바에게 바르게 되었다. 그리고 나서 그렉 발렌타인은 군중들의 환호를 받으며 케빈, 로스, 파이퍼, 그리고 그랩플러가 있는 악바를 끌어냈다. 2006년, 케빈을 비롯한 월드클래스 챔피언십 레슬링 전성기의 많은 사람들이 독립적으로 제작한 회고 다큐멘터리인 히어로즈 오브 월드클래스 레슬링에 참여하였다.[3] 이 다큐멘터리는 애드키송, 게리 하트, 스칸도르 악바, 빌 머서, 미키 그랜트, 데이비드 매닝, 마크 로런스 그리고 이전 인터뷰를 통해 크리스 아담스의 코멘트를 다루었다.

그 후 10월에 그는 WCCW 이름과 테이프 보관소에 대한 권리를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에 팔았다.[4] WWE는 이어 WCCW의 신디케이트 프로그램을 케빈과 마이클 "P.S"와 함께 서브스크립션 온 디맨드 서비스 WWE Classic On Demand방송하기 시작했다. WWE는 2007년 이 지역에 대한 그들만의 다큐멘터리인 월드 클래스의 승리와 비극을 제작했다.[5] 케빈은 2007년 WWE에서 제작한 DVD The Most Powerful Families in Lescling에 Von Erich 가족에 관한 코너에 출연하기도 했다. 2009년 4월 4일, 케빈은 마이클 헤이스에 의해 WWE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면서 폰 에리히 가문을 대표했다. 2014년 6월 15일, 슬라미버서리에서 케빈은 태그팀 경기를 위해 그의 아들 로스, 마샬과 함께 링으로 갔다.[6] 2016년 4월 2일, 케빈은 WWE 명예의 전당에 출연하여 The Fastic Freebirds와의 관계에 대해 토론했다.

간단한 컴백(2017년)

60세의 나이로 2017년 7월 9일 22년 만에 레슬링에 복귀한 폰 에리히. 그는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열린 LA 레슬링에서 아들 로스, 마샬과 함께 마티 재네티, 점프 리, 게리 로이프를 물리쳤다.[7]

사생활

1980년 8월 1일부터 팸 아드키송과 결혼했다. 이들은 현재 하와이에 거주하며 가족투자사업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케빈은 또한 상업용 부동산에 손을 대며 사우스웨스트 스포츠(World Class Championship 레슬링의 배급사)에 대한 권리를 소유하고 있으며, 후에 K.R. Adkisson Enterprise로 개명되었다. 그들은 함께 4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크리스틴 레인 (1981년 2월 3일 출생), 질리언 린지 (1985년 2월 10일 출생), 데이비드 마이클 로스 (1988년 6월 1일 출생), 케빈 마셜 (1992년 11월 10일 출생). 그와 팸도 11명의 손자가 있다. 남편인 크리스틴과 조셉 니콜라스는 딸 아델린 클레어, 쌍둥이 아들 일라이와 러쉬, 아브람과 요시야를 두고 있다.[8][9] 질은 세 딸과 한 아들의 엄마다. 그의 아들 마샬과 아내 코랄은 2명의 아들이 있다.

케빈은 레슬링 선수 프리츠에리히의 마지막 생존 아들로, 레슬링 선수 데이비드, 케리, 마이크, 크리스와 1959년 사망한 형 잭을 비롯해 레슬링 선수 4명이 있었다.

기타 매체

Adkisson은 Kevin Von Erich로, 비디오 게임 Legends of Lesling, Legends of Lesling II, Stalled: Legends of Lesling, WWE 2K17, WWE 2K18에 출연한다.

선수권 대회 및 성과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Statistics for Professional wrestlers". PWI Presents: 1991 Wrestling Almanak and book of facts. Kappa Publications. pp. 55–71. 1991 Edition.
  2.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7, 2011. Retrieved October 11, 2016.{{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3. ^ "Heroes of World Class Wrestling". Right Here Pictur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31, 2003. Retrieved December 19, 2007.
  4. ^ "WCCW FAQ". World Class Memor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8, 2007. Retrieved November 25, 2007.
  5. ^ "The Triumph and Tragedy of World Class product information page". WWEShop.com. Retrieved November 25, 2007.
  6. ^ "TNA News: Kevin Von Erich to appear with his sons at Slammiversary". www.prowrestling.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4, 2016. Retrieved May 6, 2018.
  7. ^ "'Rage Megashow' wrestling event brings Israel into the ring". The Jerusalem Post JPos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3, 2017. Retrieved November 21, 2017.
  8. ^ "Kevin Von Erich". Bios. VonErich.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4, 2007. Retrieved November 25, 2007.
  9. ^ "Frequently Asked Questions". VonErich.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0, 2008. Retrieved May 26, 2009.
  10. ^ 모든 아시아 태그 타이틀 히스토리 2007년 9월 9일 웨이백 머신(wrestling-titles.com)에 보관
  11. ^ "Kevin Von Erich to Receive the Lou Thesz/Art Abrams Award in May - Cauliflower Alley Club". www.caulifloweralleyclub.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1, 2017. Retrieved May 6, 2018.
  12. ^ Royal Duncan & Gary Will (2000). "Texas: NWA / World Class American Heavyweight Title [Von Eric]". Wrestling Title Histories. Archeus Communications. pp. 265–266. ISBN 0-9698161-5-4.
  13. ^ "NWA United States Heavyweight Title (1967-1968/05) - American Heavyweight Title (1968/05-1986/02)". Wrestling-Titles. Retrieved December 26, 2019.
  14. ^ Royal Duncan & Gary Will (2006). "(Dallas) Texas: NWA American Tag Team Title [Fritz Von Erich]". Wrestling Title Histories. Archeus Communications. ISBN 978-0-9698161-5-7.
  15. ^ "N.W.A. American Tag Team Title". Wrestling-Titles.com. Retrieved January 19, 2020.
  16. ^ Will, Gary; Duncan, Royal (2000). "Texas: NWA Texas Tag Team Title [Von Erich]". Wrestling Title Histories: professional wrestling champions around the worl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Pennsylvania: Archeus Communications. pp. 275–276. ISBN 0-9698161-5-4.
  17. ^ "NWA Texas Tag Team Title [E. Texas]". wrestling-title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30, 2008. Retrieved December 27, 2019.
  18. ^ a b World 6-Man Tag Tig Team Title (World Class) 기록 2015년 11월 5일 웨이백 머신(wrestling-titles.com)에 보관
  19. ^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 월드 태그팀 타이틀(텍사스) 역사 2008년 12월 26일 웨이백머신 wrestling-titles.com에 보관되었다.
  20. ^ Duncan, Royal; Will, Gary (2000). "Texas: NWA World Tag Team Title [Siegel, Boesch and McLemore]". Wrestling title histories: professional wrestling champions around the worl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Pennsylvania: Archeus Communications. ISBN 0-9698161-5-4.
  21. ^ "National Wrestling Alliance World Tag Team Title [E. Texas]". Wrestling-Titles. Retrieved February 21, 2017.
  22. ^ Royal Duncan & Gary Will (2000). "Texas: WCWA Television Title". Wrestling Title Histories. Archeus Communications. p. 396. ISBN 0-9698161-5-4.
  23. ^ "World Class Television Title". Wrestling-titles.com. Retrieved November 19, 2016.
  24. ^ Will, Gary; Duncan, Royal (2000). "Texas: NWA Texas Heavyweight Title [Von Erich]". Wrestling Title Histories: professional wrestling champions around the worl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Pennsylvania: Archeus Communications. pp. 268–269. ISBN 0-9698161-5-4.
  25. ^ "NWA Texas Heavyweight Title". Wrestling-Titles. Retrieved March 30, 2017.
  26. ^ 월드 클래스 레슬링 협회 세계 헤비급 타이틀 역사 2012년 8월 13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wrestling-titles.com
  27. ^ World Class Lesling Association World Tag Tag Team 타이틀 히스토리, 2003년 6월 8일 웨이백 머신 wrestling-titles.com에 보관
  28. ^ NWA 북미 헤비급 타이틀 역사 2014년 6월 7일 웨이백 머신 wrestling-titles.com에 보관
  29. ^ "PWI 500 1991". The Turnbuckle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5, 2012. Retrieved August 28, 2012.
  30. ^ a b "PWI 500 of the PWI Years". Willy Wrestlefe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9, 2013. Retrieved August 28, 2012.
  31. ^ NWA 미주리 헤비급 타이틀 히스토리 2008년 1월 27일 웨이백 머신 wrestling-titles.com에 보관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