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카키아
Aphakia아프카키아 | |
---|---|
전문 | 안과 |
아프카키아는 백내장 수술, 천공이나 궤양, 선천성 이상 등 외과적 제거로 인해 눈의 수정체가 없는 것이다. 그것은 숙소의 상실, 높은 수준의 원시성(초시성),[1] 깊은 전방의 방을 야기한다. 합병증으로는 유리나 망막의 분리, 녹내장이 있다.
아기들은 거의 아프카키아를 가지고 태어나지 않는다. 선천성 백내장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선천성 백내장은 대개 태아의 감염이나 유전적 이유로 발병한다. 이러한 백내장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특히 한쪽 눈에만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아프카키아를 가진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동공이 작고 동공이 덜 확장된다.[2]
원인들
주로 백내장 수술에서 렌즈를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프카키아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1] 자발적인 외상 흡수나 렌즈 물질의 선천적 부재는 드물다.[3][4] 외상성 감퇴나 렌즈의 탈구가 원인이 될 수 있다.[1]
징후 및 증상
- 초메트로피아: 렌즈의 초점력이 없으면, 눈은 매우 원시적이 된다.
- 숙박시설 손실: 렌즈와 그 조눌은 시력의 초점을 다른 길이로 조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아프카키아의 환자들은 숙소를 완전히 잃게 될 것이다.
- 시력 결함: 높은 수준의 고메트로피아와 전체적인 숙소의 손실은 거리 및 근방에 대한 시력 결함을 야기한다.
- 시아노피아: 렌즈가 없으면 시안감이나 푸른 시력이 발생한다.[1] 어떤 사람들은 그들이 자외선을 감지한다고 말했는데, 그들은 렌즈를 착용한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하얀 파란색이나 하얀색 자외선으로 인식한다고 한다.[5][6]
- Erythropsia: 때때로 물체는 불그스름하게 보인다.[1]
- 깊은 앞쪽 챔버: 렌즈가 없기 때문에, 앞쪽 방은 깊을 것이다.
- 이리도돈시스:[1] 이리도돈시스(Iridodoneis)는 홍채의 진동이거나 동요하는 동작으로 눈의 움직임을 말한다.
- 푸르킨제 테스트는 앞쪽과 뒤쪽의 각막 표면에서 반사되는 두 개의 영상만 보여준다.[1]
- 수술용 아프카키아에서는 이리절제술 자국이 보일 수 있다.[7]
- 난시: 각막 상처 치유에 의한 규칙 난시는 주로 ICCE나 ECE 후에 수술용 아프카키아의 경우 발생할 수 있다.[7]
합병증
수술적 아프카키아의 주요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 안경 불내증: 영상 확대(최대 30%), 광학적 이상, 프리즘 효과, 배회 링스코마 등으로 인해 안경은 진피성 환자에게 잘 용인되지 않는다.[8] 높은 음이소메트로피아로 인해 단시골 아프카키아의 안경 교정은 두경증을 유발할 수 있다.[8]
- 녹내장: 유리탈출증으로 인해 2차 각도 폐쇄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9]
- 망막 분리[10]
- 진피성 황소각막병증[8]
치료
아프카키아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인공수정체 삽입술, 굴절 각막수술 등을 통해 교정할 수 있다.[1] 인공 렌즈를 낀 눈은 "의사성"으로 묘사된다.
어원
Gr. a- 알파 프리브 + 파코, 렌즈, 렌즈 모양의[11] 것
참조
- ^ a b c d e f g h Khurana, AK (2015). "Errors of refraction and accommodation". Comprehensive ophthalmology (6th ed.). Jaypee, The Health Sciences Publisher. pp. 37–38. ISBN 978-93-86056-59-7.
- ^ Mary V Gibbens; R Goel; S E Smith (1989). "Effect of cataract extraction on the pupil response to mydriatics".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73 (7): 563–565. doi:10.1136/bjo.73.7.563. PMC 1041802. PMID 2757997.
- ^ Alpar, John (1 April 1989). ""Present state of management of aphakia. Future of spectacles and contact lenses"". Indian Journal of Ophthalmology. 37 (2): 54–57. ISSN 0301-4738. PMID 2583777.
- ^ "Congenital primary aphakia". rarediseases.info.nih.gov.
- ^ R M Anderson (1983). "Visual perceptions and observations of an aphakic surge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57 (3_suppl): 1211–1218. doi:10.2466/pms.1983.57.3f.1211. PMID 6664798. S2CID 20005737.
- ^ David Hambling (29 May 2002). "Let the light shine in". The Guardian.
- ^ a b Textbook of ophthalmology Vol 1. Agarwal, Sunita. New Delhi, India: Jaypee Bros. Medical Publishers. 2002. ISBN 978-81-7179-884-1. OCLC 49561947.CS1 maint: 기타(링크)
- ^ a b c Ramanjit, Sihota; Radhika, Tandon (2015). Parsons' diseases of the eye (22nd ed.). New Delhi, India: Elsevier. ISBN 978-81-312-3819-6. OCLC 905915528.
- ^ Sowka, Joseph W. (November 2002). "Pupil block glaucoma from traumatic vitreous prolapse in a patient with posterior chamber lens implantation". Optometry (St. Louis, Mo.). 73 (11): 685–693. ISSN 1529-1839. PMID 12516797.
- ^ Ophthalmology. Yanoff, Myron,, Duker, Jay S., 1958- (5th ed.). Edinburgh: Elsevier. 2019. ISBN 978-0-323-52821-4. OCLC 1051774434.CS1 maint: 기타(링크)
- ^ 아프카키아. (n.d.) 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2012). http://medic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aphakia에서 2016년 4월 13일 검색
외부 링크
분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