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슬론, 케이프타운
Athlone, Cape Town애슬론 | |
---|---|
왼쪽 위에서 알토네 발전소는 냉각탑이 철거되기 전이다. 트로이 목마 기념관(오른쪽 위). 애슬론 스타디움(센트레) 애슬론을 "개츠비의 고향" 샌드위치(왼쪽 아래)로 축하하는 벽화. 로버트 워터스위치 / 콜린 윌리엄스 기념상(오른쪽 아래) | |
![]() 애슬론의 거리 지도 | |
좌표: 33°57′40″S 18°30′11″e / 33.96111°S 18.50306°E좌표: 33°57′40″S 18°30′11″E / 33.96111°S 18.50306°E/ | |
나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주 | 웨스턴케이프 |
시 | 케이프타운의 도시 |
메인 플레이스 | 케이프타운 |
정부 | |
• 의원 | 무스타파 무루드커(48) ANC 패트릭 힐 (60도) (DA) |
면적 | |
• 합계 | 1.50km2(0.58제곱 mi) |
인구 (2011)[1] | |
• 합계 | 8,893 |
• 밀도 | 5,900/km2(15,000/sq mi) |
인종 메이크업(2011년) | |
• 흑인 아프리카인 | 8.5% |
• 색상 | 82.8% |
• 인도인/아시아인 | 4.1% |
• 흰색 | 1.1% |
• 기타 | 3.5% |
제1언어(2011년) | |
• 영어 | 81.6% |
• 아프리칸스 | 11.7% |
• 기타 | 6.7% |
시간대 | UTC+2(SAST) |
우편번호(거리) | 7764 |
PO박스 | 7760 |
애슬론(Athlone)은 N2 고속도로 남쪽에 있는 케이프 플래츠(Cape Flats)의 도심 동쪽에 위치한 케이프타운 교외다. 교외의 주요 지형지물 중 두 곳은 애슬론 스타디움(Athlone Stadium)과 해체된 석탄 연소 애슬론 발전소(Athlone Power Station)이다. 애슬론은 주로 주거지로 동명의 철도역이 운행한다. 그러나 산업(Athlone Industria 1, 2)과 상업지역(Athlone CBD 및 Gatesville)을 포함한다. 애슬론 내에는 게이츠빌, 라이랜드, 벨그라비아 에스테이트, 브리짓타운, 헤이젠달 등 '하위아레스'가 많다. 비록 케이프타운 시가 론데보쉬 이스트, 크로포드, 마넨버그와 같은 별개의 동네로 분류할 수 있지만, 아틀론 주변의 다른 지역들도 종종 더 큰 아틀론 지역에 포함된다.[2]
역사
원래 웨스트 런던으로 알려졌던 이 지역은 1924년부터 1930년까지 남아프리카 연방의 총독이었던 애슬론 제1대 백작 알렉산더 케임브리지의 이름을 따서 애슬론(Athlone)으로 개명되었다.[2]
아파르트헤이트 기간 동안 그 지역은 유색인종 동네로 지정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케이프타운의 다른 지역에서 인종차별주의 시대 단체 지역법에 따라 정부에 의해 강제 추방된 후 이 지역에 다시 정착했다.[2]
애슬론은 1985년 경찰의 매복으로 3명의 반인종 시위대가 숨지고 15명이 다쳤던 트로이 목마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트로이 목마 기념관의 본거지다.[3] 이 사건은 학생들이 그 전 달에 학교에 다닐 것을 요구했던 알렉산더 신튼 중등학교 근처에서 일어났다.[4]
애슬론 치안판사 법정은 인종차별철폐 투쟁으로 사망한 두 명의 ANC 활동가를 기리기 위해 설립된 로버트 워터위치/콜린 윌리엄스 메모리얼의 집이다. Waterwitch와 Williams는 1989년 7월 23일 법원 밖에서 폭발로 사망했다.[5]
인구통계학
2001년 인구조사를[6] 기준으로 교외에는 11,556가구, 4만5,056명이 거주하고 있다. 교외 지역의 인종 구성은 흑인 아프리카인 3.21%, 흑인 69.66%, 인도인/아시아인 23.45%, 백인 3.68%, 기타 인종 0%로 나타났다.
교외인구 연령은 18세 미만 28.38%, 18세~34세 28.37%, 35세 이상 54세 26.53%, 55세 이상 64세 8.04%, 65세 이상 8.66% 등으로 다양하다. 여성 100명당 남성은 86.53명이었다.
인구의 82.58%가 영어를 말하고, 15.18%가 아프리칸스어를 말하고, 1.13%가 호사를 말하고, 0.52%는 다른 아프리카 언어를 말하고, 0.59%는 모국어로 사용한다.[6]
교육
아틀론 지역에는 힐튼 랑겐호벤, 조나단 은투투 등 여러 장애인 메달 수상 선수들을 배출한 하이데벨드 중등학교, 라이랜드 고등학교, 벨그라비아 고등학교, 다룰 이슬람 고등학교, 아틀론 맹인학교 등 100여 개의 학교가 있다.
애슬론 주의 단체
애슬론에서 많은 회원들과 함께 반방사선전과 게이츠빌 호커스 협회는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애슬론 지역에는 라이랜드 근린 감시, 서리 순찰, 그린헤이븐 범죄 감시, 하비비아 근린 감시 등 많은 근린 시계가 있다.
애슬론 발전소
해체된 애슬론 발전소는 N2와 나란히 위치해 있다. 흔히 "애슬론 타워"라고 불리는 냉각탑은 2010년 8월 22일에 철거되었다.[7]
참조
- ^ a b c d "Sub Place Athlone". Census 2011.
- ^ a b c "Origin and History of Athlone in Cape Town, South Africa". 2019-04-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4-29. Retrieved 2020-10-12.
- ^ 트로이 목마 사건 동영상, 유튜브, 크리스 에머슨, CBS, 2014년 8월 19일 회수
- ^ "Attempt to Reopen a School is Barred". New York Times. 18 Sep 1985. Retrieved 18 August 2014.
- ^ "Robert Anthony Basil Waterwitch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sahistory.org.za. Retrieved 2020-10-12.
- ^ a b "Athlone". Census 2001. City of Cape Tow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February 2010. Retrieved 2 July 2010.
- ^ "Towers to Tumble soon".